KR200288071Y1 - Tied type file holder - Google Patents

Tied type file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071Y1
KR200288071Y1 KR2020020015437U KR20020015437U KR200288071Y1 KR 200288071 Y1 KR200288071 Y1 KR 200288071Y1 KR 2020020015437 U KR2020020015437 U KR 2020020015437U KR 20020015437 U KR20020015437 U KR 20020015437U KR 200288071 Y1 KR200288071 Y1 KR 200288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xing
body portion
fixed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종현
Original Assignee
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현 filed Critical 유종현
Priority to KR2020020015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07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071Y1/en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형 파일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류가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서류를 양측 커버 내측에 철하여 보관할 수 있는 타이형 파일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type fil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e-type file holder that can be stored by storing a large amount of documents inside the cover on both sides without being damaged.

상기의 본 고안은 보관되는 서류를 보호하도록 상하측으로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절첩선을 형성하며 절첩선의 일측으로는 고정커버를 형성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하측커버의 고정커버에 일단을 고정하며 일정길이의 띠로 형성한 일측면에 래치를 형성한 다수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 상측커버의 고정커버에 고정하며 전후방이 개방되어 개방홀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었을 시 래치와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편을 형성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form a cover to protect the document is stored and to form a fold line on one side of the cover and the cover portion formed a fixed cover on one side of the fold line, and the fixed cover of the cover lower cover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having a latch fixed to one side formed by a b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xed to one end, and fixed to the fixing cover of the upper cover of the cover part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and the front and rear are opened to form an open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that forms a fixing piece that is fixed by engaging with the latch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많은 양의 서류와 같은 간지를 천공하지 않고도 철할 수 있으며 파일홀더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서류를 철할 때에 용이하게 철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roned without drilling a lot of papers such as a large amount of papers, and the structure of the file holder is simple,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iron can be easily ironed when the papers are iron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It works.

Description

타이형 파일홀더{Tied type file holder}Tied type file holder

본 고안은 타이형 파일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류가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서류를 양측 커버 내측에 철하여 보관할 수 있는 타이형 파일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type fil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e-type file holder that can be stored by storing a large amount of documents inside the cover on both sides without being damaged.

일반적으로 파일홀더는 양측 커버와 상기의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커버와 상기 양측커버와 연결커버를 절첩되도록 하는 절첩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일은 용도에 따라서 서류정리나 명함정리 및 사진정리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크기도 다양하게 세분화 되어 있다.In general, the file holder is formed of a connecting cover for connecting both cover and the cover and a folding portion for folding the both cover and the connection cover, and these files are arr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filing, business card and photo Kinds of things are used and the size is variously subdivided.

상기와 같은 파일 홀더를 크게 나누면 서류와 같은 간지를 철하기 위한 간지에 직접 구멍을 천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연결커버에 클립과 같은 고정구를 형성한 것과, 자체의 탄성력을 갖는 홀더를 형성하여 양측커버와 간지를 끼워서 보관하도록 형성한 파일홀더로 나눌수 있다.When the file holder is largely divided, a fastener such as a clip is formed on the connection cover so that a hole can be directly punched in the paper to iron the paper such as paper, and a holder having its own elastic force is formed to cover both sides and It can be divided into pile holders which are formed to hold interleaved sheets.

이러한 파일홀더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지를 증감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Such a file holder is formed to be used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kanji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그러나 상기의 파일홀더 중 고정구를 사용하는 파일홀더는 서류와 같은 간지를 파일홀더에 철하기 위해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서류를 천공한 후 서류에 천공된 구멍을 고정구에 끼워 보관하여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번거로웠다.However, the file holder using the fastener of the above file holder has been used to store the hole punched in the document by using a separate tool in order to bind the same sheet of paper to the file holder, and then used It was troubleso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일홀더는 고정구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일정한 경도를 가진 소재를 이용하여 고정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파일홀더의 자체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ile hold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pile holder itself becomes heavy because the fixture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vity is reduced, as well as the fixture is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a certain hardness.

또한 서류와 같이 철해지는 간지에 항상 천공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간지를 파손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punctured in the kanji that is being stiff, such as paper,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break the kanji.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체 탄성을 갖는 홀더를 형성한 파일홀더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ile holder having a holder having its own elasticity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종래의 자체 탄성을 갖는 파일홀더의 전형전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ypical file holder having such a conventional elasticity is shown in FIG. 1.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앞,뒤표지, 2는 홀더를 각각 가리킨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front and rear cover, and 2 denotes a holder.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파일홀더는 일정크기의 앞,뒤표지(1)를 형성하고 상기 앞,뒤표지(1)의 연부가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홀더(2)를 일측에 형성하였다.As shown therein, the pile holder having its own elasticity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ront and rear covers 1 of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and the edges of the front and rear covers 1 can be fitted and fixed. The holder 2 was formed in one side.

상기와 같은 파일홀더는 서류를 철하기 위하여 서류에 천공을 하지 않아도되어 서류를 원형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하기 편리하였다.The file holder as described above does not have to be perforated in order to file the documents so that the documents can be stored in a circular state and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일홀더는 적은 양의 간지를 끼울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ile hold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can only be inserted a small amount of kanji.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많은 양의 서류와 같은 간지를 천공하지 않고도 철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서류를 철할 때에 용이하게 철할 수 있도록 한 타이형 파일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ironed without having to punch a large amount of paper such as a large amount of pap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ie file hold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관되는 서류를 보호하도록 상하측으로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절첩선을 형성하며 절첩선의 일측으로는 고정커버를 형성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하측커버의 고정커버에 일단을 고정하며 일정길이의 띠로 형성한 일측면에 래치를 형성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 상측커버의 고정커버에 고정하며 전후방이 개방되어 개방홀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회전공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결합부의 래치와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고정구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의 중앙은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의 상단에는 회전봉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의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 외측으로는 돌출된 회전봉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손잡이를 형성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형 파일홀더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v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protect the document to be stored, and forms a folding line on one side of the cover, and a cover part which forms a fixed cover on one side of the folding line, and the cover part. The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cover of the lower cover and the coupling part having a latch formed on one side formed by a b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xed to the fixing cover of the cover upper cov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A hole is formed and both sides have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rotating hole, and a fastener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to be fixed to engage with the latch of the coupling portion, the center of the fastener to form a fixing piece and the top of the fixing piece rotating rod Rotation is inserted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ng holes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protruding outside the body portion One to form the handle on both sides so as to rotate said fastener coupled to and provides a tie-type fi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government.

이와같은 타이형 파일홀더는 상기 커버부의 고정커버 내측으로는 금속편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측면에는 조절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고정편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단에는 회전봉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회전공에 삽입 결합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측으로는 손잡이편을 조절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tie pile holder forms a metal piece inside the fixing cover of the cover part, an adjustment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forms a fixing piece in the center, and a rotating ro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fixing piece.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iec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hole.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측면에는 조절홀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상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공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단에는 회전봉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이동공에 삽입 결합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단으로는 인출턱이 형성된 인출손잡이를 조절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형 파이홀더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ontrol hole, 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ing hole is formed to be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to form a rotating ro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oving hole of the body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It provides a tie-type pi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pull-out handl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hole.

도 1은 종래 파일홀더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le hold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type pi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를 나타낸 저면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type pi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 고정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ie-type pile holder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 고정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ie-type pile holder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의 고정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fixing portion of a tie-type pi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의 고정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fixing portion of the tie-type pi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커버부 11 : 커버10: cover 11: cover

12 : 절첩선 13 : 고정커버12: fold line 13: fixed cover

14 : 금속편 20 : 결합부14 metal piece 20 coupling portion

21 : 래치 22 : 스냅단추21: latch 22: snap button

30 : 몸체부 31 : 개방홀30 body portion 31 opening hole

32 : 회전공 33 : 양측면32: rotating hole 33: both sides

34 : 상측면 35 : 조절홀34: upper side 35: adjustment hole

36 : 손잡이편 37 : 이동공36: handle piece 37: moving hole

38 : 인출턱 39 : 인출손잡이38: withdrawal jaw 39: withdrawal handle

40 : 고정부 41 : 고정편40: fixed part 41: fixed piece

42 : 고정구 43 : 회전봉42: fixture 43: rotary ro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형 파일홀더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e-type pi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e-type pi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타이형 파일홀더는 보관되는 서류를 보호하도록 커버부(1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부(10)는 상하측으로 커버(11)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11)의 일측에 절첩선(12)을 형성하며 절첩선(12)의 일측으로는 고정커버(13)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커버(13)의 내측으로는 상기 커버부(10)에 철되는 서류와 같은 간지의 고정이 쉽도록 일정량의 무게를 갖도록 내부에 금속편(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rein, the tie-type fi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ver portion 10 to protect the stored documents, but the cover portion 10 forms a cover 11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one side of the cover 11. The folding line 12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olding line 12 to form a fixing cover 13, but inside of the fixing cover 13 of the cover sheet 10 such as paper that is ironed on the cover portion 10 It is preferable to form a metal piece 14 therein so as to have a certain amount of weight so that fixing is easy.

이와같은 상기 커버부(10) 하측커버(11')에는 결합부(20)을 고정하되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하측커버(11')의 고정커버(13)에 일단을 고정하며 일정길이의 띠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20)의 일측면에 래치(21)를 형성한다.The coupling part 20 is fixed to the cover part 10 lower cover 11 ', but the coupling part 20 fixes one end to the fixing cover 13 of the lower cover 11'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latch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20.

이러한 결합부(20)와 하측커버(11')의 고정커버(13)의 결합상태는 스냅단추(22)와 같은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portion 20 and the fixed cover 13 of the lower cover 11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as the snap button 22.

또한 상기 결합부(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10) 상측커버(11")의 고정커버(13)에 고정하는 몸체부(30)는 전후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홀(31)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30)의 내부에는 결합부(20)의 래치(21)와 고정되도록 내향경사진 편으로 형성된 고정부(40)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0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cover 13 of the upper cover 11 ″ of the cover portion 1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31 which is open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formed. Forming and forming a fixing portion 40 formed in the inclined side to be fixed to the latch 21 of the coupling portion 20 inside the body portion 30.

상기와 고정부(4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부(4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40)는 결합부(20)의 래치(21)에 걸쳐져 고정되도록 중앙은 고정편(41)을 형성한 고정구(4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42)의 고정편(41) 상단에는 회전봉(43)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면(33)의 회전공(3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30)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봉(43)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구(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손잡이(44)를 손잡이(44)의 회전으로 상기 고정편(41)이 결합부(20)의 래치(21)와 결합 및 해제가 되도록 형성한다.The fixing part 40 forms the fixing part 40 as shown in FIGS. 4 to 5, but the fixing part 40 is fixed to the center so as to be fixed across the latch 21 of the coupling part 20. A fastener 42 having a piece 41 formed therein is formed, and a rotating rod 4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astening piece 41 of the fastener 42 to rotate the holes 32 on both sides 33 of the body part 30.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able bar 43 coupled to the rotating rod 43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30 so as to rotate the fixture 42 to rotate the handle 44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44. The fixing piece 41 is formed to be engaged and released with the latch 21 of the engaging portion 20.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부(30)의 상측면(34)에는 조절홀(3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4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편(41)의 상측으로는 손잡이편(36)을 상기 조절홀(3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4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부(30)의 상측면(34)에는 조절홀(35)을 형성하고 양측면(33)에는 상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공(37)을 형성하고 상측면(34)으로는 조절홀(35)을 형성하여 고정편(41)의 상단으로 형성된 인출턱(38)이 형성된 인출손잡이(39)를 조절홀(3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므로써 상기 인출손잡이(39)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이동공(37)에 삽입 결합된 회전봉(43)을 상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n upper surface 34 of the body part 30 forms an adjustment hole 35, and a handle piece is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xing piece 4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xing part 40. 36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hole 35 to be formed to rotate the fixing portion 40, as shown in Figure 7 the upper surface 34 of the body portion 30 ) To form an adjustment hole 35 and to both sides 33 to form a moving hole (37) formed up and down i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34 to form an adjustment hole (35)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41) Rotating rod 43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oving hole 37 by pulling the pull-out handle 39 upward by forming the pull-out handle 39 formed with the formed pull-out jaw 38 to protrude outward of the adjustment hole 35. It may be form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커버부(10)의 몸체부(30)가 고정된 상측커버(11")와 결합부(20)가 형성된 하측커버(11')의 사이에 보관해야할 서류와 같은 간지를 개재하여 상기 상측커버(11")와 하측커버(11')를 적재시킨다.First, the upper cover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11 "to which the body part 30 of the cover part 10 is fixed and the lower cover 11 'formed with the coupling part 20, such as documents to be stored. (11 ") and the lower cover 11 'are loaded.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띠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20)의 단부를 상기 몸체부(30)의 개방홀(31)을 통하여 삽입하면 래치(21)의 기울어진 사선을 따라 고정부(40)에 걸리지 않고 삽입되어 상기 상측커버(11")와 하측커버(11')를 고정하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0 formed in the belt shap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hole 31 of the body portion 30, the fixing portion 40 is caught along the inclined diagonal line of the latch 21. It is inserted without fixing the upper cover (11 ") and the lower cover (11 ').

상기와 같이 상측커버(11")와 하측커버(11')가 고정되면 상기 결합부(20)의 래치(21)가 상기 고정부(40)의 단부에 걸리면서 간지를 가압하면서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cover 11 ″ and the lower cover 11 ′ are fixed, the latch 21 of the coupling portion 20 is fixed to the end of the fixing portion 40 while pressing the interlayer.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1)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서류를 인출하거나 또 다른 서류를 고정하여 보관하기 위해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타이형 파일홀더는 띠 형상의 결합부(20) 당겨서 고정부(40)의 고정편(41)에 고정되어 있는 래치(21)를 느슨하게 한다음 손잡이(44)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고정편(41)이래치(21)에서 이탈되어 래치(21)의 상측에 위치하게 한 다음 상기 결합부(20)를 몸체부(30)에서 인출하여 분리한 후 서류를 넣거나 추가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tie-type fi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 to 5 in order to withdraw the document which is fixed inside the cover 11 or to fix another document is stored in a strip-shaped coupling portion 20. Pull out to loosen the latch 21 fixed to the fixing piece 41 of the fixing part 40, and then rotate the handle 44 downward to release the fixing piece 41 from the latch 21 and latch 21 After pl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0 to remove the separation from the body portion 30 can be put or add documents.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띠 형상의 결합부(20) 당겨서 고정부(40)의 고정편(41)에 고정되어 있는 래치(21)를 느슨하게 한다음 손잡이편(36)를 가압하면 고정편(41)이 래치(21)에서 이탈되어 래치(21)의 상측에 위치하게 한 다음 상기 결합부(20)를 몸체부(30)에서 인출하여 분리한 후 서류를 넣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띠 형상의 결합부(20) 당겨서 고정부(40)의 고정편(41)에 고정되어 있는 래치(21)를 느슨하게 한다음 인출손잡이(39)를 상측으로 당기면 회전봉(43)이 이동공(37)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편(41)이 래치(21)에서 이탈되어 래치(21)의 상측에 위치하게 한 다음 상기 결합부(20)를 몸체부(30)에서 인출하여 분리한 후 서류를 쉽게 넣거나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ulling the band-shaped coupling portion 20 to loosen the latch 21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41 of the fixing portion 40 and then the handle piece ( When pressing the 36, the fixing piece 41 is released from the latch 21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tch 21, and then the coupling part 20 is pulled out from the body part 30 to separate it, and then a document is insert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belt-shaped coupling part 20 is pulled to loosen the latch 21 fixed to the fixing piece 41 of the fixing part 40, and then the pull-out handle is pulled out. Pulling the upper portion 39, the rotating rod 43 moves upward along the moving hole 37, the fixing piece 41 is released from the latch 21 to position the upper side of the latch 21, then the engaging portion After the 20 is drawn out from the body portion 30, the documents can be easily added or add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많은 양의 서류와 같은 간지를 천공하지 않고도 철할 수 있으며 파일홀더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서류를 철할 때에 용이하게 철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roned without drilling a lot of papers such as a large amount of papers, and the structure of the file holder is simple,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iron can be easily ironed when the papers are iron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It works.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고안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who have

Claims (4)

보관되는 서류를 보호하도록 상하측으로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절첩선을 형성하며 절첩선의 일측으로는 고정커버를 형성한 커버부와,A cover part which forms a cov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protect the documents to be stored, and forms a folding line on one side of the cover, and a fixing cov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line; 상기 커버부 하측커버의 고정커버에 일단을 고정하며 일정길이의 띠로 형성한 일측면에 래치를 형성한 다수의 결합부와,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having one end fixed to a fixed cover of the lower cover of the cover part and having a latch formed on one side formed of a bel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결합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 상측커버의 고정커버에 고정하며 전후방이 개방되어 개방홀을 형성한 몸체부와,A body part fixed to the fixing cover of the cover upper cover to inser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in front and rear;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었을 시 래치와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편을 형성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형 파일홀더.Tie-type pi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ing portion for forming a fixing piece that is fixed to the engagement with the latch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는 회전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결합부의 래치와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고정구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의 중앙은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의 상단에는 회전봉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의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 외측으로는 돌출된 회전봉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손잡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형 파일홀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rotating hole and the fixing portion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to form a fastener to be fixed in combination with the latch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fastener to form a fixing piece and the top of the fixing piece Is formed in the rotary ro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ng holes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ng ro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tie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ormed on both sides to rotate the fixture File hol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면에는 조절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고정편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단에는 회전봉을 형성하여 상기몸체부의 회전공에 삽입 결합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측으로는 손잡이편을 조절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형 파일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orming a control hole,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xing piece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to form a rotary rod inserted into the rotating hole of the body por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iece Tie-type pi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iece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adjustment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면에는 조절홀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상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공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단에는 회전봉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이동공에 삽입 결합하며 상기 고정편의 상단으로는 인출턱이 형성된 인출손잡이를 조절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형 파일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ontrol hole, and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ing hole is formed to be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to form a coupling rod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of the body portion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ece The tie-type pi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out handl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hole is formed with a pullout jaw.
KR2020020015437U 2002-05-21 2002-05-21 Tied type file holder KR2002880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37U KR200288071Y1 (en) 2002-05-21 2002-05-21 Tied type fil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37U KR200288071Y1 (en) 2002-05-21 2002-05-21 Tied type file hold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047A Division KR20030090062A (en) 2002-05-21 2002-05-21 Tied type file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071Y1 true KR200288071Y1 (en) 2002-09-05

Family

ID=7312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37U KR200288071Y1 (en) 2002-05-21 2002-05-21 Tied type file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07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6411A (en) File folder with integral loose leaf binder rings
JP2559949Y2 (en) Document binding device
KR200288071Y1 (en) Tied type file holder
KR20030090062A (en) Tied type file holder
EP0962336A1 (en) Device for retaining a stack of papers
JP2009039918A (en) File
US9868316B2 (en) Book provided with storage groove for writing implements
GB2380450A (en) Ring binder clamp with perforator
JPH07330047A (en) Box for tissue paper
JP4023551B2 (en) Folder file
JP3609899B2 (en) Case file
KR940008520Y1 (en) Punching device
KR200279374Y1 (en) Bag for document having a binder
JP2007090720A (en) Attachment for double clip
US20120148334A1 (en) Locker Binder Kit Arrangement and System
US2796646A (en) Clip
JP2927771B1 (en) Threadable pipe file
KR200328022Y1 (en) a File with locking function
JP3154306U (en) Reference file structure
JP3200523U (en) Organizer with tabs
JP2008105365A (en) Filing folder
JP2024035584A (en) File
KR200184149Y1 (en) Filing fasteners
KR200228857Y1 (en) A binder
JP3106738U (en) Folder and front plate member use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