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299Y1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99Y1
KR200287299Y1 KR2020020010316U KR20020010316U KR200287299Y1 KR 200287299 Y1 KR200287299 Y1 KR 200287299Y1 KR 2020020010316 U KR2020020010316 U KR 2020020010316U KR 20020010316 U KR20020010316 U KR 20020010316U KR 200287299 Y1 KR200287299 Y1 KR 200287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ger
clothes
tong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석
Original Assignee
나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현석 filed Critical 나현석
Priority to KR2020020010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99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지나 스커트와 같은 하의를 걸었을 때 집게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이즈를 구별하기 쉽도록 구성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지나 스커트를 집게를 이용해서 옷을 걸었을 대 나타나는 집게로 인한 옷의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의류매장에서와 같이 동종 다수의 하의를 전시했을 때 사이즈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된 옷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옷걸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옷의 허리둘레에 맞게 옷을 걸 수 있고 아울러 부피를 적게할 수 있어 보관/이동 등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옷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옷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3)와 상기한 지지대의 양단에 옷과 지지대(3)를 밀착시켜주는 고정핀(5)과 상기한 지지대(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버튼(4) 등이 내장된 옷걸이부(2)와 상기한 옷걸이부(2)의 상면에 사이즈를 구별할 수 있는 눈금자(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옷걸이 {A CLOTHES HANGER}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옷걸이에 바지나 스커트와 같은 하의를 걸어 보관하거나 전시할 때 집게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허리 사이즈를 구별하기 쉽도록 구성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나 스커트와 같은 하의는 전용 옷걸이에 걸어야 옷이 구겨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옷걸이의 일반적인 형태는 도8 에서와 같이 옷과 옷걸이를 고정할 수 있는 집게(54)와 옷걸이 본체(52)와 집게(54)를 연결함은 물론 옷의 허리둘레에 맞게 집게(54)를 이동할 수 있는 금속성 연결대(53)와 옷걸이를 못 등에 걸게 되는 걸고리(5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옷걸이에 옷을 걸기 위해서는 바지나 스커트의 정면 또는 측면이 보이도록 접은 후 허리둘레에 맞게 집게(54)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집게(54)를 벌려 바지나 스커트의 양쪽을 각각 집어 옷걸이 본체(52)와 고정시켜 걸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일반적인 형태의 옷걸이는 집게(54)가 옷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당한 힘을 옷에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옷을 장시간 옷걸이에 걸어두게 되면 집게 자국이 남게 되는 바 집게(54)의 안쪽 부분에 자국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부재(62)로 구성된 옷걸이를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동종 다수의 옷을 전시하게 되는 의류 매장이나 공장에서는 각각의 허리 사이즈를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유관으로는 구별하기가 상당히 힘든 바 옷걸이와는 별도의 사이즈식별 부속품을 걸고리의 하단에 부착해서 사이즈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옷걸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집게(54)를 이용한 옷걸이를 사용하여 옷을 걸게되면, 상기한 옷걸이의 집게(54) 안쪽 부분에 자국 방지를 위한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부재(62)를 부착한다 할지라도 집게(54)가 조이는 힘이 상당하기 때문에 옷을 집게(54)로 집어 장시간 보관하게 되면 이 부분에 자국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형태의 옷걸이는 집게(54)가 연결되어 있는 금속성의 연결대(53)가 항상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둘레가 상이한 옷을 걸 경우 허리둘레가 가장 큰 옷은 상기한 집게(54)를 상기한 연결대(53) 양쪽의 끝으로 이동한 후 걸게되고, 허리둘레가 가장 작은 옷은 집게(54)를 연결대(53)의 안쪽 끝으로 이동한 후 걸게된다.
이와 같이, 연결대(53)가 항상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옷을 걸때 마다 허리둘레에 맞게 집게(54)의 위치를 조정하고 집게로 옷을 집어 걸게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연결대(5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보관/이동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집게(54)를 이용한 일반적인 형태의 옷걸이의 경우 의류매장과 같이 동종 다수의 옷을 전시하는 곳에서는 옷을 걸어 놓은 상태에서 각각의 사이즈를 구별하기 위해 집게(54)를 벌려 옷의 안쪽에 있는 라벨을 확인하거나 사이즈 표시가 되어 있는 별도의 사이즈 식별용 부속품을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옷걸이에 바지나 스커트와 같은 하의를 걸어 보관하거나 전시할 때 집게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이즈를 구별하기 쉽도록 구성된 옷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관시 부피를 적게 차지하도록 하여 옷걸이의 보관/이동 등이 용이하도록함과 아울러 옷걸이 작동이 용이하도록 하여 옷을 쉽게 걸 수 있고 잘 정돈해서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옷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옷을 걸기위해 별도의 집게를 사용하지 않고 옷을 걸 수 있도록 양측에 지지대(3)가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대(3)와 옷을 밀착시키기 위해 지지대(3) 양단에 고정핀(5)과 상기한 지지대(3)의 일측에 부착되어 지지대(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버튼(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조절버튼(4)을 이용해 지지대를 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이동톱니(11/12)각 지지대 각측에 구성되고, 상기한 각측의 이동톱니(11/12)와 맞물려 일측의 이동톱니 운동방향을 다른측의 이동톱니에 역으로 전달하도록 작용하는 원형톱니(13)로 구성된다.
또한, 일정한 위치로 조절된 상기한 조절버튼(4)을 통해 사이즈를 구별할 수 있도록 옷의 허리둘레에 맞는 눈금자(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한 옷걸이 각각의 이동톱니와 원형톱니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2에서 각각의 이동톱니와 원형톱니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한 옷걸이의 눈금자와 조절버튼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4의 조절버튼이 고정된 상태(가)와 이동시의 작동 상태(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기한 옷걸이의 원형톱니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일반적인 형태의 옷걸이와 중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옷걸이부 3: 지지대 4: 조절버튼
5: 고정핀 6: 이탈방지핀 7: 눈금자
11/12: 이동톱니 13: 원형톱니 19: 이동톱니 관통공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옷걸이 형상이 되도록 옷걸이부(2)가 형성되고 상기한 옷걸이부 중앙 상면에 옷걸이를 못 등에 걸게 되는걸고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옷걸이부(2)의 내부에 옷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대가 양쪽에 동일한 길이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고, 상기한 지지대(3)의 끝 부분에는 옷을 걸었을 때 옷과 옷걸이가 밀착 될 수 있도록 고정핀(5)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핀(5)의 저면에 옷과 옷걸이가 밀착된 후 옷이 밑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6)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옷걸이부(2)의 상면에는 상기한 지지대(3)를 옷걸이부(2)의 좌우로 이동하여 옷의 허리둘레에 맞게 지지대(3)의 길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버튼과 조절버튼이 적당한 위치로 이동한 후 옷의 허리둘레를 알아볼 수 있는 눈금자(7)가 형성되어 있다.
도1은 상기한 양측의 지지대(3)가 모두 옷걸이부(2)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주요 기능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에서 옷걸이부(2)의 내부에 내장된 각각의 지지대(3)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톱니(11/12)와 각각의 이동톱니의 운동방향을 역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원형톱니(13)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상기한 각각의 지지대(3)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톱니(11/12)와 상기한 원형톱니(13)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한 각각의 지지대(3)와 일체로 이동톱니(11/12)가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톱니(11/12)와 맞물려 지지대(3)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원형톱니(13)가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이동톱니(11/12)와 원형톱니(13)가 맞물려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대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톱니(11/12)를 원형톱니(13)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하면 도2에서와 같은 형상의 단면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이 된 후 상기한 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된 조절버튼(4)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톱니(11)와 맞물려 있는 원형톱니가(13)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한 원형톱니(13)의 아래에 맞물려 있는 이동톱니(12)는 원형톱니(13)의 위에 맞물려 있는 이동톱니(11)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만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지지대(3)의 일측에 형성된 조절버튼(4)을 이동하는 만큼 각각의 지지대(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조절버튼(4) 하나 만을 작동함으로써 양측의 지지대(3)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3의 이동톱니 관통공(19)은 각각의 지지대에 형성되어 있고, 도2와 같이 상기한 각각의 지지대(3)를 결합하면 각각의 이동톱니(11/12)는 다른측에 형성된 이동톱니 관통공(19)으로 수평 삽입됨과 아울러 좌우 이동이 원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에 이동톱니 관통공(19)이 형성됨으로 인해 지지대(3)의 형상이 옷걸이부(2)와 결합되어 있을 때 좌우 대칭이 되는 특징을 갖게된다.
도4는 옷걸이부(2)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옷의 허리둘레에 맞게 상기한 조절버튼(4)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한 지지대(3)를 좌우로 똑 같이 이동시켜 옷을 걸게되면, 상기한 조절버튼(4)이 위치한 자리에 실제 옷의 허리 사이즈를 알아 볼 수 있는 눈금자(7)가 형성되어 있어 동종의 옷을 전시할 경우 쉽게 사이즈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옷걸이부(2)의 상면에는 상기한 조절버튼(4)이 이동할 수 있는 트랩(8)과 상기한 조절버튼(4)이 이동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치수톱니(9)가 형성되어 있다.
도5는 도4의 조절버튼(4)이 고정된 상태(가)와 이동시의 작동 상태(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한 지지대(3) 일측에는 상기한 조절버튼(4)과 지지대를 연결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관통공에는 스프링(20)이 장설된다.
또한, 상기한 조절버튼(4)에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나사(25)는 상기한 관통공(24)에 삽입되기 쉬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한 관통공(24)으로 직립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한 관통공(24) 내에 장성된 스프링(20)과 맞닿게 된다.
상기한 조절버튼(4)을 이동할 시에는 조절버튼을 눌러 치수톱니(9)와 스토퍼(26)가 서로 엇갈려 맞물리지 않게 함으로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한 조절버튼(4)을 적당한 위치로 이동한 후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한 스프링(20)의 팽창으로 인해 스프링과 맞닿은 상기한 연결나사(25)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결국 상기한 치수톱니(9)의 사이에 스토퍼(26)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한 조절버튼(4)이 그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6은 상기한 원형톱니(13)를 장착하는 방법과 장착물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한 옷걸이부의 전면(2-1)에는 원형톱니 관통핀(1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옷걸이부의 후면(2-2)에는 원형톱니(13)를 삽입할수 있도록 십자구(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관통핀(14)의 내부에는 십자핀(22)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나사(21)가 상기한 관통핀(14)에 직립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원형톱니(14)를 장착하는 방법을 보면, 우선 관통핀(14)에 십자구(30)를 통해 상기한 원형톱니(13)를 삽입하고, 십자핀(22)을 십자구(30)의 모양에 맞게 끼워 넣으면 십자핀(22)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나사(21)와 관통핀(14)내부에 형성된 고정구(15)가 서로 맞 물려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한 원형톱니(13)를 상기한 옷걸이부(2)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집게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대(3)와 고정핀(5)을 이용해서 옷을 걸 수 있도록 하므로써 집게 자국이 남는 단점을 보완했고, 원형톱니(13)와 이동톱니(11/12)를 이용해 상기한 지지대(3)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각각의 지지대(3) 길이가 똑 같이 조절되게 하므로써 사용하기에 편리함과 아울러 지지대(3)의 길이를 최소화해 부피를 적게 하므로써 보관에 필요한 장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절버튼(4)을 이용해 지지대(3)를 이동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한 조절버튼(4) 위에 눈금자(7)가 구성되게 하므로써 조절버튼(4)의 위치에 따라 옷의 허리 사이즈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집게를 사용하지 않고 옷을 걸 수 있도록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의 양단에 옷과 지지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이 구성되고 상기한 고정핀이 구성된 지지대가 내장되어 옷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옷걸이부 상면 중앙에 수직 형상으로 구성된 관통공과 상기한 관통공에 직립 삽입됨과 아울러 저면에 고정 수단에 의해 옷걸이부와 결합되는 걸고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옷걸이부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한 지지대를 손쉽게 이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양측의 지지대 길이를 똑 같이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 일측에는 지지대 상부와 연결되어 이동톱니가 형성되고 다른 지지대 일측에는 지지대 하부와 연결되어 이동톱니가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 각 측에 형성된 이동톱니와 맞물려 상기한 지지대를 이동하도록 원형톱니(13)와 상기한 지지대를 좌우로 이동시 지지대 각 측에 형성된 이동톱니가 다른 측의 지지대로 들어 갈 수 있도록 각 측의 지지대에 이동톱니 관통공(19)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옷걸이부의 상면에 각각의 지지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일측의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된 조절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절버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한 조절버튼을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버튼과 일체로 스토퍼가 형성되고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기한 조절버튼이 위치한 곳에 사이즈를 식별할 수 있도록 옷걸이부의 상면에 눈금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2020020010316U 2002-04-04 2002-04-04 옷걸이 KR200287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16U KR200287299Y1 (ko) 2002-04-04 2002-04-04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16U KR200287299Y1 (ko) 2002-04-04 2002-04-04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99Y1 true KR200287299Y1 (ko) 2002-08-30

Family

ID=7312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316U KR200287299Y1 (ko) 2002-04-04 2002-04-04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057B1 (en) Garment hanger with size window
CA2541368C (en) Two piece design for coordinate loop hanger
US5361949A (en) Pants hanger with pivotable finger on lower bar
US7124919B1 (en) Clamp-type garment hanger
US6164504A (en) Clothes hanger extender
US7513375B2 (en) Hanging device
US6308872B1 (en) Hanger with multiple means for supporting other hangers
KR200287299Y1 (ko) 옷걸이
US3836189A (en) Zipper pull
US6427882B1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US6896163B2 (en) Pinch-grip hanger
KR200279539Y1 (ko) 옷걸이
KR200287318Y1 (ko) 정장바지용 옷걸이
US20070075103A1 (en) Adjustable Hanger with Size Calibration and Internal Support Device
KR970005297Y1 (ko) 물품현수구
US5950885A (en) Garment hanger with reinforced non-creep clamp retainers
KR20110004673U (ko) 옷걸이
US5377390A (en) Adjustable tie chain
KR200185081Y1 (ko) 옷걸이
US7100807B2 (en) Elongated pinch-grip hanger
KR200404812Y1 (ko) 미끄럼방지용 피복부재가 구비된 옷걸이
US20230329468A1 (en) Garment Hanger
US6386406B1 (en) Garment hanger
KR102238995B1 (ko) 옷걸이
US5178430A (en) Transport case for one or a few garment han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