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52Y1 -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 Google Patents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52Y1
KR200286652Y1 KR2020020011998U KR20020011998U KR200286652Y1 KR 200286652 Y1 KR200286652 Y1 KR 200286652Y1 KR 2020020011998 U KR2020020011998 U KR 2020020011998U KR 20020011998 U KR20020011998 U KR 20020011998U KR 200286652 Y1 KR200286652 Y1 KR 200286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water
buoyancy
bas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헌
Original Assignee
정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헌 filed Critical 정태헌
Priority to KR2020020011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52Y1/ko

Links

Landscapes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물에 의해 실려와 수중보의 하부측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에 따라 수중보의 높이가 자동조절되어 수위조절이 가능하여 수자원의 관리를 극대화 하였으며, 수중보의 하부 측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오염방지와 준설의 필요성을 없애고 관리가 용이한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수중보에 있어서, 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유동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와 함께 승하강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소정 물을 저수하는 보부재와, 상기 부력부재 및 보부재의 승하강유동을 안내하도록 하천의 양측에 구비되어 소정 높이를 가진 수중보 지지대와, 상기 수중보 지지대의 사이에 다수 구비되어 상기 보부재를 수압으로 부터 지지하는 보부재 지지대와, 상기 수중보 지지대의 사이에 구비되고 하천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퇴적물 배출로를 형성한 수중보 베이스와,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력부재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 사이의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개폐하는 제 1수문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A dam with water level automatic control fuction}
본 고안은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물에 의해 실려와 수중보의 하부측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의 농업용수나 공장지대의 공업용수 등은 대개 근처의 하천에 제방을 쌓고 수중보를 설치하여 확보하거나, 산간지대에 소규모댐 또는 저수지를 축조하여 확보하였다,
이들 수중보나 소규모댐, 저수지 등은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수동이나 반자동 직립식의 수문을 개폐 시켜 저수량을 조절한다.
즉, 하천을 가로 지르는 다수개의 언체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각각의 언체사이에 승하강되는 전도식 수문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도식 수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권양기를 수문의 상부에 설치하여 유압실린더 등으로 작동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곤란한 한편, 수문 자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부식 등으로 사용기간이 제한되었다.
또한, 수중보가 설치된 하천의 저부바닥에 물과 함께 실려온 퇴적물등이 쌓여 퇴적물을 제거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로 하여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에 따라 수중보의 높이가 자동조절되어 수위조절이 가능하여 수자원의 관리를 극대화 하였으며, 수중보의 하부 측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오염방지와 준설의 필요성을 없애고 관리가 용이한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수중보에 있어서, 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유동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와 함께 승하강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소정 물을 저수하는 보부재와, 상기 부력부재 및 보부재의 승하강유동을 안내하도록 하천의 양측에 구비되어 소정 높이를 가진 수중보 지지대와, 상기 수중보 지지대의 사이에 다수 구비되어 상기 보부재를 수압으로 부터 지지하는 보부재 지지대와, 상기 수중보 지지대의 사이에 구비되고 하천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퇴적물 배출로를 형성한 수중보 베이스와,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력부재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 사이의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개폐하는 제 1수문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부재는 상기 수중보 베이스에 절첩 또는 권취되어 저장되도록 유연성이 좋은 슬라이드판에 횡방향으로 강성을 가진 다수의 보강부재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승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보부재의 양단에 롤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보 지지대 및 보부재 지지대의 일측면에는 소정 량의 물 저수시 수압에 의해 상기 보부재의 밀착도를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고무판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부재는 상기 수중보 베이스내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원탄성부재를 일측에 구비한 보부재 권취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보부재 권취로울러에 의해 권취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가 부력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강제적으로 방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력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와 결합되는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수문은 상기 수중보 베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베이스 기둥부재의 사이의 퇴적물 배출로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소정 와이어에 의해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부력부재내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원탄성부재를 일측에 구비한 와이어 권취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부력부재의 승하강시 상기 와이어 권취로울러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풀리면서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1수문을 회동시켜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개폐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중보 베이스와 소정 거리 이격됨과 아울러 하천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문장착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문장착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지지기둥의 사이의 퇴적물 배출로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문장착부재의 저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을 상기 와이어 권취로울러에 의해 권취되도록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부력부재의 승하강시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회동하며 개폐하는 제 2수문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ㆍ2수문의 회동이 중력의 영향을 받도록 일단에 소정 중량을 가진 무게추를 더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차폐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외면에 수밀성이 좋은 방수부재를 씌워 상기 수중보 베이스 및 하천의 저면과의 밀착도를 높임과 아울러, 상기 제 1ㆍ2수문의 양측면을 경사지게 절단하고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 및 지지기둥의 양측면에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퇴적물 배출로의 폭을 점차 감소시킨 경사진 슬로프턱을 부착하여 상기 제 1ㆍ2수문이 상기 퇴적물 배출로의 슬로프턱에 의해 억지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의 설치예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중보 지지대 11 : 안내턱
20 : 수중보 상판 30 : 부력부재
40 : 보부재 41 : 슬라이딩판
50 : 롤러 60 : 보부재 지지대
70 : 고무판 80 : 보강부재
90 : 수중보 베이스 100 : 보부재 권취로울러
110 : 복원탄성부재 120 : 걸림고리
130 : 걸림돌기 140 : 퇴적물 배출로
150 : 베이스 기둥부재 151, 221 : 슬로프턱
160 : 제 1수문 170 : 와이어
190 : 와이어 권취로울러 200 : 제 1지지로울러
210 : 수문장착부재 220 : 지지기둥
230 : 제 2수문 240 : 제 2지지로울러
250 : 무게추 260 : 방수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의 설치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양측에 소정 높이의 수중보 지지대(10)를 구비하고, 상기 수중보 지지대(1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안착된 수중보 상판(20)이 구비되며, 상기 수중보 지지대(10) 사이에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하유동하는 부력부재(30)를 구비하되, 상기 수중보 지지대(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안내되도록 안내턱(11)을 형성한다.
상기 부력부재(30)는 부력이 큰 스티로풀 및 부구등을 내부에 채우고 상기 스트로풀 및 부구등을 내장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력부 케이스(3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력부재(30)의 저부에는 상기 부력부재(30)의 상하유동시 함께유동하여 상기 수중보 지지대(10) 사이를 개폐하는 보부재(40)를 구비하여, 보부재(40) 상승시 하천의 일측을 막아 소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부재(40)의 양단에 롤러(50)를 구비하여 상기 보부재(40)의 승/하강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보부재(40)가 상승하여 물을 저수시 수압으로부터 상기 보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부재 지지대(60)를 상기 수중보 지지대(10)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보부재 지지대(60) 및 상기 수중보 지지대(10)의 안내턱(11)의 일측면에 소정 고무판(70)을 부착하여 수압으로 인해 상기 보부재(40)와의 밀착도를 높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보부재(40)는 유연성이 좋은 슬라이딩판(41)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부재(80)를 구비하여 상기 보부재 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소정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30)의 하강시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보부재(40)가 저장되는 수중보 베이스(90)를 하천저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수중보 지지대(10)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의 내부에는 상기 보부재(40)를 상기 부력부재(30)의 하강시 권취하는 보부재 권취로울러(100)를 구비하되 권취가 용이하도록 탄성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엽형상의 복원탄성부재(110)를 상기 보부재 귄취로울러(100)의 일측에 구비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30)의 상승유동을 강제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부력부재(30)의 일측에 걸림고리(120)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고리(120)와 결합되는 걸림돌기(130)를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의 일측에 구비한다.
한편,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의 저면은 상기 하천의 저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물과 함께 실려온 퇴적물 및 물이 배출되도록 퇴적물 배출로(140)를 형성한다.
상기 수중보 베이스(90)를 지지하는 베이스 기둥부재(150)를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의 하부 즉, 퇴적물 배출로(140)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하되 그 단면을 유선형으로 하여 퇴적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의 저면 일측에 힌지회동하며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를 개폐하는 제 1수문(160)을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150)의 사이에 각각 구비하는데, 상기 제 1수문(160)은 상기 부력부재(30)와 소정 와이어(17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부력부재(30)의 상하유동시 상기 제 1수문(16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력부재(30)의 내부에는 탄성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엽모양의 복원탄성부재(110)를 일측에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170)가 권취되는 와이어 권취로울러(190)가 구비되며,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70)를 지지하는 제 1지지로울러(2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하천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를 연장하는 수문장착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수문장착부재(210)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문장착부재(210)의 하부에 단면이 유선형인 지지기둥(220)을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하며, 상기 수문장착부재(210)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를 개폐하는 제 2수문(230)을 상기 지지기둥(220)의 사이에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 2수문(230)은 상기 부력부재(30)에 구비된 와이어(170)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부력부재(30)의 상하유동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170)를 지지하는 제 2지지로울러(240)를 상기 수중보 베이스(90)의 하부 일측에 구비한다.
상기 제 1ㆍ2수문(160, 230)은 일단에 소정 중량의 무게추(250)를 구비하여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향유동함으로써, 상기 부력부재(30)의 상승유동이외에는 항상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ㆍ2수문(160, 230) 몸체의 길이를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제 1ㆍ2수문(160, 230)의 회동을 하천의 지면에 간섭으로 제한하여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를 차폐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ㆍ2수문(160, 230)의 외주면을 수밀성이 좋은 방수부재(260)로 포장하여 상기 제 1ㆍ2수문(160, 230)이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를 차폐시 하천의 저면 및 베이스 기둥부재(150), 지지기둥(220)의 측면과의 밀착도를 높여 물의 누수를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ㆍ2수문(160, 230)의 양측면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150) 및 지지기둥(220)의 양측면에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퇴적물 배출로(140)의 폭을 점차 감소시킨 경사진 슬로프턱(151, 221)을 부착하여 상기 제 1ㆍ2수문이 상기 퇴적물 배출로(140)의 슬로프턱(151, 221)에 의해 억지끼워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천의 흐르는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될 경우 하천의 수위는 높아지게 된다.
이 때, 하천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에 의해 부력부재는 하천의 수면위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부력부재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보부재 또한 상승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소정 물을 저수하게 된다.
상기 보부재가 상승시 수중보 지지대의 안내턱 및 보부재 지지대의 일측면을 따라 안내되며 물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소정 수압에 의해 가압하며 상승하게 된다.
이 때, 보부재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다수 부착된 강성을 가진 보강부재에 의해 보부재를 보강하였으며, 또한 보부재 지지대에 의해 2차적으로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보부재가 보강된다.
상기 수중보 지지대의 안내턱 및 보부재 지지대의 일측면을 고무판 및 실리콘재를 부착하여 상기 수압에 의해 보부재가 가압할 경우, 물의 누수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보부재의 양단에 롤러를 구비하여 보부재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수위가 소정높이가 되어 보부재가 상기 수중보 상판에 접하면 상기 보부재는 수위와 상관없이 보부재는 정지된다.
상기 보부재가 정지되어 소정 량의 물을 저수하였는데도,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물은 상기 수중보 상판 위로 흘러 넘쳐 하류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중보 상판 위로 지나는 물은 상기 보부재 상판이 상기 수중보 베이스상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상기 수중보 베이스 상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보부재 상판과 상기 수중보 베이스상의 소정 공간에서 상기 물과 공기가 교반되어 흐르는 물에 산소를 융해시켜 수질정화기능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 보부재가 수위에 따라 상승유동을 하게 될 경우, 상기 보부재내의 와이어 권취로울러에 권취된 와이어는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와 수문장착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제 1ㆍ2수문의 일측을 잡아당겨 상기 제 1ㆍ2수문을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 1ㆍ2수문이 회동되면 퇴적물 배출로가 개구되어 물과 흘러와 상기 보부재 하부 일측 및 하천의 저면에 퇴적된 퇴적물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하류로 흘려보내게 됨으로써, 수질오염방지와 퇴적물로 인한 별도의 준설작업의 필요성을 제거하였다.
한편,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부력부재 또한 낮아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보부재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 보부재가 하강하게 되면 수중보 베이스내의 보부재 권취로울러에 의해 상기 보부재가 권취되는데, 상기 보부재 권취로울러의 일측에 구비된 복원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활하게 권취되어진다.
또한, 부력부재의 하강으로 소정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일측으로 회동되어 퇴적물 배출로를 개구하고 있던 제 1ㆍ2수문은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약해짐에 따라 수압에 의해 역회동하여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차폐하게 되는데, 상기 제 1ㆍ2수문의 일단에 구비된 무게추에 의해 중력의 영향으로 원활하게 역회동되어 퇴적물 배출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ㆍ2수문의 양측면을 경사지게 절단하고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 및 지지기둥의 양측면에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퇴적물 배출로의 폭을 점차 감소시킨 경사진 슬로프턱을 부착하여 상기 제 1ㆍ2수문이 수압 및 무게추에 의한 중력의 영향으로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퇴적물 배출로의 슬로프턱에 의해 억지끼워짐으로써 상기 경사진 슬로프턱과의 밀착압력을 높여 수밀성을 좋게 하여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문과 제 2수문의 사이에 소정량의 물이 저수되는데, 이는 상기 제 1수문이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받는 수압을 상기 제 1수문과 제 2수문의 사이에 저장된 물이 받는 수압만큼 지지하여 상기 제 1수문의 회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상기 부력부재 내에 구비된 와이어 권취로울러에 권취되는데, 상기 와이어 권취로울러 일측에 구비된 복원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활하게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고리를 수중보 베이스의 걸림돌기에 결합하여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상기 부력부재의 상승을 강제적으로 억제하여 물의 저수가 필요치 않을 경우 하천의 물을 그대로 방류시킬 수도 있고, 상기 걸림고리의 길이를 조정하여 필요로 한 량만큼 저수도 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수중보를 하천의 폭에 "∨"자형상으로 설치하여 저수된 물의 수압을 분산시켜 상기 수중부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중보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가 승하강 유동하면서 소정 물을 저수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가 있어 수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수중보의 하부 일측면 및 하천의 저면에 퇴적된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별도의 퇴적물 제거작업과 준설의 필요성을 없애 관리 및 유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수중보에 있어서,
    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 유동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와 함께 승하강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소정 물을 저수하는 보부재와,
    상기 부력부재 및 보부재의 승하강유동을 안내하도록 하천의 양측에 구비되어 소정 높이를 가진 수중보 지지대와,
    상기 수중보 지지대의 사이에 다수 구비되어 상기 보부재를 수압으로 부터 지지하는 보부재 지지대와,
    상기 수중보 지지대의 사이에 구비되고 하천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퇴적물 배출로를 형성한 수중보 베이스와,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력부재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 사이의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개폐하는 제 1수문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부재는 상기 수중보 베이스에 절첩 또는 권취되어 저장되도록 유연성이 좋은 슬라이드판에 횡방향으로 강성을 가진 다수의 보강부재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부재의 승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보부재의 양단에 롤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 지지대 및 보부재 지지대의 일측면에는 소정 량의 물 저수시 수압에 의해 상기 보부재의 밀착도를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고무판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부재는 상기 수중보 베이스내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원탄성부재를 일측에 구비한 보부재 권취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보부재 권취로울러에 의해 권취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가 부력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강제적으로 방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력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와 결합되는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문은 상기 수중보 베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베이스 기둥부재의 사이의 퇴적물 배출로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소정 와이어에 의해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부력부재내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원탄성부재를 일측에 구비한 와이어 권취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부력부재의 승하강시 상기 와이어 권취로울러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풀리면서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1수문을 회동시켜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개폐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 베이스와 소정 거리 이격됨과 아울러 하천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문장착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문장착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수중보 베이스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지지기둥의 사이의 퇴적물 배출로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문장착부재의 저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을 상기 와이어 권취로울러에 의해 권취되도록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부력부재의 승하강시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회동하며 개폐하는 제 2수문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ㆍ2수문의 회동이 중력의 영향을 받도록 일단에 소정 중량을 가진 무게추를 더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차폐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외면에 수밀성이 좋은 방수부재를 씌워 상기 수중보 베이스 및 하천의 저면과의 밀착도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ㆍ2수문의 양측면을 경사지게 절단하고 상기 베이스 기둥부재 및 지지기둥의 양측면에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퇴적물 배출로의 폭을 점차 감소시킨 경사진 슬로프턱을 부착하여 상기 제 1ㆍ2수문이 상기 퇴적물 배출로의 슬로프턱에 의해 억지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KR2020020011998U 2002-04-19 2002-04-19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KR200286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98U KR200286652Y1 (ko) 2002-04-19 2002-04-19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98U KR200286652Y1 (ko) 2002-04-19 2002-04-19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748A Division KR100500322B1 (ko) 2003-06-25 2003-06-25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52Y1 true KR200286652Y1 (ko) 2002-08-21

Family

ID=7312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998U KR200286652Y1 (ko) 2002-04-19 2002-04-19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60B1 (ko) * 2003-07-29 2006-05-23 정태헌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60B1 (ko) * 2003-07-29 2006-05-23 정태헌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1023B1 (en) Water control gate
CN111188316B (zh) 自动升降式防洪结构
KR100671264B1 (ko)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KR100479226B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KR100500322B1 (ko)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GB2488809A (en) Buoyant weir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WO2000001892A1 (en) Flood prevention barrier apparatus
KR200286652Y1 (ko)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KR101565081B1 (ko) 가동보 수문
US10724195B2 (en) Aquatic curtain device and uses thereof
KR100582160B1 (ko)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KR102134558B1 (ko)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는 친환경 가동보
CN110678608A (zh) 防洪装置
KR200403186Y1 (ko)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100959271B1 (ko) 취수로용 수위저하 방지 가동보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JP3427324B2 (ja) チェーンゲート装置
KR100564134B1 (ko)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KR200338295Y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CN209941623U (zh) 一种具有排污功能的液压拦河坝
CA2071018A1 (en) System for the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of selective intake towers in reservoirs
KR200267789Y1 (ko) 가요성 튜브가 내장된 수중보 수문
GB2456878A (en) Automatic flood barri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