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03Y1 - 걸이구 - Google Patents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03Y1
KR200286603Y1 KR2020020017077U KR20020017077U KR200286603Y1 KR 200286603 Y1 KR200286603 Y1 KR 200286603Y1 KR 2020020017077 U KR2020020017077 U KR 2020020017077U KR 20020017077 U KR20020017077 U KR 20020017077U KR 200286603 Y1 KR200286603 Y1 KR 200286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lower member
hang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2020020017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03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이나 면도기 또는 비누와 같은 각종 세면용품들을 수납한 수납대를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가능토록 함으로서 세면용품 등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시켜 빼내도록 하고, 또 사용이 끝난 세면용품들을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스의 내부로 다시 끌어 당겨 각종 세면용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세면실의 정리정돈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걸이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쉽게 분리가능하므로 각 구성요소의 세척이 용이하게 되어 위생적으로 세면용품들을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걸이구{Hanger}
본 고안은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종 세면용품들을 욕실내의 벽체에 간편하게 거치토록 할 수 있는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이나 면도기 또는 비누와 같은 각종 세면용품들은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각종 용기에 담아져서 욕실 또는 세면실의 빈 공간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세면실에는 각종 세면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로 각종 세면용품들을 정리정돈하는 것은 위생적인 면이나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세면용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벽에 걸고, 이 용기에 각종 세면용품을 수납시키는 방법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중의 일예로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59-48289에 개시된 칫솔통은 벽체에 고정 부착된 고정편(1)으로부터 수평으로 뻗어 나온 판(2) 위에 용기(3)를 회동 자재하고 설치하고, 이 용기(3)의 원주 둘레 상에 칫솔을 끼울 수 있는 다수의 칫솔지지부(4)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칫솔통은 용기(3)가 판(2) 위에서 회동 자재하게 설치되므로 칫솔을 칫솔통의 빈 곳에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칫솔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미관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62-20587에 개시된 칫솔통은 벽체(W)에 고정 부착되는 취부좌판(5)에서 수평으로 뻗어 나온 지지아암(6)의 상단에 기대(7)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기대(7)의 안쪽에는 다수의 칫솔삽입공(8)이 형성된 융기부(9)를 형성하고, 그 외측에는 외륜(10)을 형성하여 상기 융기부(9)와 외륜(10)사이에 컵(11)을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칫솔통은 칫솔과 컵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는 있으나,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는 컵은 양치후에 칫솔의 위에 덮어 씌워지게 되므로 칫솔이 보관되는 부위는 항상 수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세균이 쉽게 번식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 50-32244에 개시된 칫솔보관함은 칫솔지지대(12)를 살균등(13)이 장착된 상자(14)의 내부에 거치시키고, 상자(14)의 내부로 열풍을 도입토록 함으로써 칫솔을 쉽게 건조시키고, 또 살균 가능토록 하고 있으나, 칫솔을 수납시키거나 빼내고자 할 때에 항상 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 부피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세면실과 같이 좁은 장소에 설치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세면용품들을 간편하게 수납가능토록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또 부피를많이 차지하지 아니하는 걸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걸이구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쉽게 분해가능토록 하여 세척이 용이토록 함으로서 위생적인 걸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걸이구는 수납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수납대와, 상기 수납대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회동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수납대가 하부의 내측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중공의 얇은 통으로 형성되며 벽체에 착탈자재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상면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상하로 이동을 함으로서 수납대가 승강가능토록 하고, 상기 상부부재는 그 상부에 케이스의 상면 중앙에 형성한 구멍속으로 상부부재가 빠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걸이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걸이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걸이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6f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a,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수납대 21 : 절취홈
30 : 하부부재 40 : 상부부재
50 : 케이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에서 수납대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걸이구에서 수납대가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는 수납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수납대(20)와, 상기 수납대(2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부재(30)와, 상기 하부부재(3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부재(40)와, 상기 수납대(20)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대(20)는 칫솔이나 면도기와 같은 수납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외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절취홈(21)이 형성되어 있는 얇은 판상 부재(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취홈(21)은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은 형상으로 절취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칫솔이나 면도기의 머리부분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취홈(21)에 끼워 지지토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3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에는 수납대(2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3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절취홈(32)이 형성된 절개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33)의 상측에는 핀(34)을 끼우기 위한 핀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부재(30)는 후술하는 케이스(5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구멍(51)을 관통하여 상기 구멍(51)의 상부로 돌출가능토록 형성되며, 그 외주의 일 지점에 상기 구멍(51)의 직경보다 큰 걸림턱(36)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부재(30)가 구멍(51)의 상부로 돌출될 때 상기 걸림턱(36)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 상기 구멍(5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는 하부부재(30)를 수납대(20)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연결부(31)를 수납대(20)에 고정 결합토록 하기 위하여는 먼저 연결부(31)를 수납대(20)의 중앙에 형성한 구멍(23)에 끼우고 그 다음에 연결부(31)의 하단에 형성한 핀공(37)에 핀(38)을 끼우면 하부부재(30)를 수납대(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40)는 하부부재(30)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편(41)과, 상기 연결편(4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로드(42)와, 상기 로드(42)의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분(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편(41)과 로드(42)는 후술하는 케이스(5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구멍(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41)은 하부부재(30)의 상측에 형성된 절개부(33)에 삽입 가능하도록 얇게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44)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부재(40)를 하부부재(30)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부부재(40)의 연결편(41)을 하부부재(30)의 절개부(33)에 삽입시키고, 절개부(33)의 핀공(35)과연결편(41)의 장공(44)을 맞춘 상태에서 핀(34)을 끼우게 되면, 상기 장공(44)이 핀(3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부재(40)는 하부부재(30)에 대해서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분(43)은 상부부재(4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분(43)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시키거나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면 그 하측에 하부부재(30)를 개재해서 결합된 수납대(20)를 회전 또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분(43)은 후술하는 케이스(5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구멍(51)의 크기보다도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부부재(40)가 구멍(51)내로 빠져들어 구멍(51)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의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50)는 칫솔이나 면도기와 같은 수납물건이 수납된 수납대(20)가 그 하부의 내측으로부터 수납 가능하도록 중공의 얇은 통(52)으로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는 상부부재(40)와 하부부재(30)가 관통 가능한 정도의 구멍(5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멍(51)을 통하여 상부부재(40)와 하부부재(30)가 상하로 이동을 함으로서 그 하부에 연결된 수납대(20)가 승강가능토록 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50)는 벽체에 착탈자재하게 설치토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일 예로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50)의 외주에 돌기부분(53)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부분(53)을 벽체에 부착된고정편(54)에 끼우게 되면 케이스(50)를 벽체에 착탈자재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그 외부둘레 또는 상면에 다수의 통기구멍(55)을 형성하여 케이스 내부에 통기가 양호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에 수분이 쉽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를 실제로 사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수납대(20)가 케이스(50) 내부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걸이구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칫솔이나 면도기와 같은 수납물건을 수납대(20)에 거치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부부재(40)의 손잡이부분(43)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분(43)을 위로 제껴 올리면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분(43)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아래로 밀면 수납대(20)가 아래로 하강하여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물건 예를 들면, 칫솔을 용이하게 수납대(20)의 절취홈(21) 안쪽으로 삽입시킬 수가 있으며, 이때, 손잡이부분(43)을 회전시키게 되면 원하는 위치의 절취홈(21)에 칫솔을 삽입시킬 수가 있다.
위와 같이 절취홈(21)에 칫솔을 거치시키면 다시 손잡이부분(43)을 위로 당겨 올리게 되면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수납대(20)가 케이스(50)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분(43)을 아래로 제끼게 되면 도 6e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부재(40)가 구멍(51)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분(43)을 앞으로 전진시키게 되면 구멍(51)의 턱(54)에 상부부재(40)가 걸쳐지게 되므로 상부부재(40)가 구멍(51)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칫솔이나 면도기와 같은 수납물건을 위와 같은 절차를 거쳐 수납대(20)에 거치시킨 후에 수납대(20)를 상승시키게 되면 수납물건을 말끔히 정리정돈할 수가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구에서 수납대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구에서 수납대가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구는 후술하는몇가지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걸이구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도 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기로 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구는 수납되는 물건이 비누와 같은 물건으로서 그 물건의 특성상 수납대에 끼워지게 할 수 없으므로 이때에는 비누와 같은 수납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수납대를 형성하는 점에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수납대와 차이점이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수납대(20)는 수납대(20)의 외부 둘레를 따라 절취홈(21)을 형성하고, 그 절취홈(21)에 수납물건을 끼우도록 하고 있으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수납대(20)는 수납대(20)의 중앙 부분에 비누와 같은 물건을 단순히 올려 놓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차이점은 수납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또한 달리하게 되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수납대(20)는 상하부로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대(20)의 양단에 홈(24)을 형성하고, 상기 홈(24)에 하부부재(30)의 소정위치에서 분리된 연결편(39)을 끼워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수납대(20)를 케이스(5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승하강시킬 수가 있다. 상기 수납대(20)는 다수의 슬릿(25)을 형성하여 수납대(20)의 상면에 비누와 같은 물건을 올려 놓았을 경우에 배수가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걸이구는 케이스(50)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면에 하부부재(30)의 양쪽에 위치하는 연결편(39)이 대응되는 지점에 레일홈(55)을 형성하여 상기 레일홈(55)에 하부부재(30)의 소정위치에서 분리된 연결편(39)이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수납대(20)가 케이스(5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케이스(50)는 위의 예와는 달리 그 형태를 변경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가 있으며, 그 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케이스로 형성하거나, 또는 여러가지 모양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걸이구는 각종 세면용품들을 간편하게 수납가능하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또 부피도 많이 차지하지 아니하므로 세면실의 벽체에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걸이구는 걸이구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쉽게 분해될 수 있어 각 부품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인 걸이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수납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수납대(20)와, 상기 수납대(2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부재(30)와, 상기 하부부재(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부재(30)에 대하여 회동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부재(40)와, 상기 수납대(20)가 하부의 내측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중공의 얇은 통(52)으로 형성되며 벽체에 착탈자재하게 설치되는 케이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그 상면 중앙에 구멍(51)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51)을 통하여 상부부재(40)와 하부부재(30)가 상하로 이동을 함으로서 그 하측에 결합된 수납대(20)가 승강가능토록 하고, 상기 상부부재(40)는 그 상부에 케이스(50)의 상면 중앙에 형성한 구멍(51)속으로 상부부재(40)가 빠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분(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20)는 그 중앙에 구멍(23)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23)에 하부부재(30)의 하단을 끼워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20)는 그 외부 둘레를 따라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은 형상으로 절취되는 복수개의 절취홈(21)이 형성되어 있는 얇은 판상 부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20)는 하부부재(30)의 소정위치에서 분리된 양쪽의 연결편(39)에 의해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그 내부면에 하부부재(30)의 하부에 분기된 연결편(39)이 대응되는 지점에 레일홈(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30)는 그 상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절취홈(21)이 형성된 절개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부재(40)는 상기 절개부(33)에 삽입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장공(44)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30)는 그 외주의 일 지점에 케이스(50)의 상면 중앙에 형성한 구멍(51)의 직경보다 큰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그 외부둘레에 다수의 통기구멍(5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KR2020020017077U 2002-06-04 2002-06-04 걸이구 KR200286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077U KR200286603Y1 (ko) 2002-06-04 2002-06-04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077U KR200286603Y1 (ko) 2002-06-04 2002-06-04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03Y1 true KR200286603Y1 (ko) 2002-08-22

Family

ID=7308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077U KR200286603Y1 (ko) 2002-06-04 2002-06-04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922B2 (en) Decorative dentifrice holder
US6119854A (en) Sanitary toothbrush storage unit
US7896153B2 (en) Toilet utensil kit
US6457583B1 (en) Holder device for toothbrushes, table knives, forks and spoons and the like
US20040149608A1 (en) Storage device for bathroom implements
US5890605A (en) Article organizer
US6446792B1 (en) Movable storage unit and plunger combination with other optional toilet accessories such as brush
KR200405861Y1 (ko) 칫솔걸이
US10004362B2 (en) Storage container
KR101575404B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US20030192798A1 (en) Utensil storage unit
KR200286603Y1 (ko) 걸이구
KR101648375B1 (ko) 착탈식 칫솔꽂이
US6994212B2 (en) Apparatus for storing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KR200497000Y1 (ko) 자석식 칫솔 거치대
JP2006089078A (ja) 卵収納容器
JP4732914B2 (ja) 歯間ブラシ用容器
KR200234552Y1 (ko) 거치식 수납대
US20050161354A1 (en) Bathroom accessory holder and method therefor
KR200229599Y1 (ko) 칫솔걸이
WO2001060200A1 (en) Brush holder, use of the brush holder, brush and brush set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102347097B1 (ko) 양치컵
KR200304273Y1 (ko) 칫솔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