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988Y1 - 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 Google Patents

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988Y1
KR200285988Y1 KR2020020013956U KR20020013956U KR200285988Y1 KR 200285988 Y1 KR200285988 Y1 KR 200285988Y1 KR 2020020013956 U KR2020020013956 U KR 2020020013956U KR 20020013956 U KR20020013956 U KR 20020013956U KR 200285988 Y1 KR200285988 Y1 KR 200285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ovement guide
tube
vending machine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9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창환
Original Assignee
임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환 filed Critical 임창환
Priority to KR2020020013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98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988Y1/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물품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향 개구된 투출구를 가지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투출구를 통해 투출된 물품을 배출가능한 배출구를 가지는 베이스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되어, 투명외관을 제공하는 케이싱; 케이싱내의 중앙에 수용부의 투출구와 베이스부의 배출구 사이에 기립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 및 고정관을 수용하고 고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관, 및 각 연결관의 외면으로부터 케이싱을 향해 돌출된 와선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이동가이드를 구비하는 물품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물품이동안내부가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경우 간단히 교체하여 그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having at least a base portion having a discharge opening for discharging the articl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of the receiving portion form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space and the discharge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A casing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arts to provide a transparent appearance; A fixed tube fixed in an upright direction between the outlet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outlet of the base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casing; And an art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es for receiving the fixing tube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tube, and a moving guide for forming a spiral profile protruding toward the cas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each connecting tub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s by simply replacing the article when the inside is partially damaged.

Description

자판기{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본 고안은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명볼내에 수용된 사탕, 과자, 또는 껌등을 판매할 수 있는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ding machine that can sell candy, sweets, chewing gum and the like contained in a transparent ball.

자판기는, 종래의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구를 구비하는 베이스부(9), 베이스부(9)의 상측에 배치된 수용부(2), 및 이들 베이스부(9)와 수용부(2) 사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재되는 조작본체(3)와 물품이동부(A)를 포함한다. 조작본체(3)의 외면에는 동전투입부와 조작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the conventional Figs. 5 and 6, the vending machine includes a base part 9 having a discharge port, a receiving part 2 disposed above the base part 9, and these base parts 9; And an operating body 3 and an article moving part A inter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and the receiving part 2, respective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body 3, a coin input section and an operation handle are provided.

물품이동부(A)는 투명한 원통상의 케이싱(8)과, 이 케이싱(8)내에 기립방향으로 고정되는 이동안내관(6)을 구비한다. 이동안내관(6)의 외면에는 케이싱(8)의 내면을 향해 돌출된 이동가이드(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이동가이드(7)는 이동안내관(6)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선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며, 이동안내관(6)과 일체로 제작된다. 여기서, 케이싱(8)과 와선형 이동가이드(7)를 구비하는 이동안내관(6)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저렴하게 플라스틱 사출제작가능하다.The article moving portion A includes a transparent cylindrical casing 8 and a movement guide tube 6 fixed in the standing direction in the casing 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tube 6, a movement guide 7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8 is provided. The movement guide 7 forms a spiral profi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ement guide tube 6, and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movement guide tube 6. Here, the movement guide tube 6 having the casing 8 and the helical movement guide 7 is generally plastic injection-molded relatively inexpensively.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전투입부에 동전을 투입하고 조절손잡이를 돌리면, 수용부(2)내의 투명볼(B)이 우선, 물품이동부(A)내로 낙하한다. 그런 다음, 이동안내관(6)의 와선형 이동가이드(7)를 따라 회전이동하면서, 베이스부(9)의 배출구로 배출된다. 이 때, 소비자는 물품이동부(A)내에서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투명볼(B)을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것이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 coin is put into the coin input section and the adjustment knob is turned, the transparent ball B in the receiving section 2 first falls into the article moving section A. FIG. Then, while rotating along the helical movement guide (7) of the movement guide tube 6, it is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base portion (9). At this time, the consumer can visually identify the transparent ball B that moves downward while rotating in the article moving unit A. FIG.

그런데, 종래의 자판기에서는, 비교적 약한 플라스틱재질의 케이싱 및 이동안내관이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쉽게 손상이나 파손될 수 있는데, 특히, 이동안내관은 그 일부분만이 손상된 경우에도 전체를 일체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유지관리비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은, 와선형 이동가이드를 따라 회전이동하는 투명볼과 필연적으로 접촉하는데, 이 때, 상호 충돌이나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여 비교적 자주 교체하여야 하며, 이에 의해, 유지관리비용이 증대되고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the relatively weak plastic casing and the movement guide tube can be easily damaged or damaged by external impact, etc. In particular, the movement guide tube should be replaced integrally even when only a part thereof is damaged. Therefore, it becomes a factor which raises the maintenance cost. In addition, the casing inevitab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ball rotating along the vortex moving guide, and at this time, the collision caused by mutual collision or friction occurs and should be replaced relatively frequently, thereby increasing the maintenance cost. have.

종래의 자판기에서는 또한, 동전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을 수용하는 공간이 조작본체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 동전수용공간이 협소하여 수시로 조작본체를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there is also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in introduced through the coin input unit, which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operation body from time to time because the coin accommodation space is narrow.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동안내관이 부분적으로 손상이나 파손된 경우 그 해당부분만을 간단히 교체가능하며, 이에 의해,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the moving guide tube is partially damaged or broken, it is possible to simply replace only that part, thereby,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명볼의 하향 이동시, 케이싱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asing when the transparent ball moves downwar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오랫동안 조작본체를 분리하지 않아도 동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that can accommodate coins sufficiently without removing the operating body for a relatively long ti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작본체의 부분절취 확대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utaway of the operating body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요부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케이싱, 고정관, 물품이동안내부, 및 동전수용관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Figure 3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showing the casing, the fixed tube, the inner portion of the product, and the coin holding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물품이동안내부에 충돌방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ure 3,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nti-collision memb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의 자판기의 정면도, 및5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and

도 6은 도 5의 개략적 정단면도이다.6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자판기 20 : 수용부1: vending machine 20: receiving unit

29 : 조작본체 31 : 조작부29: operation unit 31: operation unit

40 : 케이싱 50 : 동전수용관40: casing 50: coin holding tube

60 : 고정관 70 : 이동안내부60: fixed tube 70: movement guide

71 : 연결관 72 : 이동가이드71: connector 72: movement guide

80 : 베이스부 B : 투명볼80: base portion B: transparent ball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소정의 물품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향 개구된 투출구를 가지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투출구를 통해 투출된 물품을 배출가능한 배출구를 가지는 베이스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되어, 투명외관을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내의 중앙에 상기 수용부의 투출구와 상기 베이스부의 배출구 사이에 기립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 및 상기 고정관을 수용하고 상기 고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관, 및 상기 각 연결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싱을 향해 돌출된 와선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이동가이드를 구비하는 물품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nding machine having at least a base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for forming a predetermined articl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opening that is downwardly opened,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rticl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 casing interpos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to provide a transparent appearance; A fixing tube fixed in an upright direction between the outlet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outlet of the base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asing;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accommodating the fixed pipes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pipes, and moving guides forming a spiral profile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connecting pipes toward the casing. It is achieved by a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이동가이드 사이에 상기 이동가이드의 판면에 대하여 상향 돌출되게 개재되는 충돌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면, 이동가이드를 따라 하향 이동하는 물품이 케이싱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Here, further comprising an anti-collision member interposed so as to project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between the casing and the movement guide, the article moving downward along the movement guide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casing.

여기에, 상기 수용부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수용부의 투출구와 상기 이동가이드를 연결하는 안내통로가 마련되고, 외측 전면에 동전투입구가 노출되어 있는 조작본체; 및 상기 고정관내에 상향 인출철회가능하게 수용되는 관상체로, 상단부영역에 상기 조작본체의 동전투입구와 연통하는 통전유입구가 개구되어 있는 동전수용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동전투입구로 투입되는 동전을 비교적 넓은 동전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동전수용관내에 저장가능하다.Here, the operating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asing, there is provided with a guide passage for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movement gu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rein, the coin body is exposed on the outside front surface; And a tubular body accommodated upwardly retractable in the fixed tube, and further comprising a coin receiving tube having an opening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in inlet of the operating body in an upper end region thereof. Coins introduced into the inlet can be stored in a coin holding tube forming a relatively large coin holding spac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자판기(1)는, 배출구(81)를 가지는 베이스부(80), 이 베이스부(80)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용부(20), 베이스부(80)와 수용부(2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조작본체(29) 및 이동안내부(70)를 구비한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vending machine 1 includes a base portion 80 having a discharge port 81, a receiving portion 20 and a base portion 80 disposed above the base portion 80. And a manipulation main body 29 and a movement guide part 70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receiving part 20 and the receiving part 20.

수용부(20)는 내부에 물품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원통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도시않은 하향 투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역시 도시않은 물품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물품유입구에는 상향 개폐가능한 덮개(10)가 장착된다. 물품수용공간에는 제과를 포함하는 다수의 투명볼(B)이 수용되며, 이들 투명볼(B)은 투출구를 통해 투출가능하다.The receiving portion 20 has a cylindrical shape to form an article receiving space therein, a lower discharge port (not shown)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n article inlet is also shown at the top. The article inlet is equipped with a cover 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upwards. A plurality of transparent balls B including confectionery are accommodated in the article receiving space, and these transparent balls B can be dispens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조작본체(29)는 도 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의 사각통상의 하부본체(30)와 이 하부본체(30)의 상부를 개폐가능한 상부본체(30a)로 구성된다. 상부본체(30a)는 그 판면으로부터 하향 함몰되어 후술하는 회전개폐체 (35)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개폐체수용부(38)를 가진다. 이 개폐체수용부(38)에는, 바닥면의 중앙영역에 회전축(39)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하향 개구된 연결구(37) 및 연통구(37a)가 형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more detail in Figure 2, the operation body 29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lower body 30 and the upper body 30a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30. The upper body 30a has an opening / closing body accommodating portion 38 which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plate surface to rotatably receive the rotating switch 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ccommodating portion 38, a rotation shaft 39 protrudes from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nnection port 37 and a communication port 37a open downward on one side thereof.

하부본체(30)에는, 그 바닥면의 중앙에 후술하는 이동안내부(70)의 고정관 (60)에 결합되는 결합구(48)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48)의 일측에는 상부본체(30a)의 연결구(37)와 연통하도록 하향 개구된 연결통로(34)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본체(30)내에는, 결합구(48)의 양측에 설치된 결합나사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본체(30a)의 회전축(39) 및 수용부(20)를 관통하여 수용부덮개(10)에 연결되는 결합봉(21)이 설치된다. 이 결합봉(21)은 조작본체(29)의 상부에 수용부(20)의 안정된 결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In the lower body 30, the coupling hole 48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fixed tube 60 of the movement guide unit 70 to be described later. One side of the coupler 48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assage 34 which is open downwar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7 of the upper body 30a. The lower body 30 is supported by coupling screw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48, and penetrates through the rotating shaft 39 and the receiving portion 20 of the upper body 30a to the receiving portion cover 10. The connecting rod 21 is connected. The coupling rod 21 serves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of the receiving portion 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body (29).

이러한 상하부본체(30, 30a)로 구성된 조작본체(29)는, 수용부(20)의 투출구를 개폐가능한 회전개폐체(35), 및 이 회전개폐체(35)를 조작가능한 조작부(31)를 구비한다. 회전개폐체(33)는 전체적으로 고리상을 가지며, 그 중앙에 회전축공 (35a)이 형성되어 개폐체수용부(38)의 회전축(39)을 축으로 좌우회전가능하다. 회전개폐체(35)에는 또한, 그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부(36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판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개구(36)와 차단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body 29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body 30, 30a, the rotary opening and closing body 35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of the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operation unit 31 that can operate the rotary opening and closing body 35 It is provided. The rotary opening and closing body 33 has an annular shape as a whole, and a rotating shaft hole 35a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about the rotating shaft 39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ccommodating part 38. The rotary switch 35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le screw portion 36a along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pening 36 and a blocking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plate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조작부(31)는 조작본체(29)의 전면에 거의 사각판상으로 결합되며, 그 상부영역에는 판면방향으로 동전투입가능한 동전투입구(3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동전투입구(31b)의 하부에는 좌우회전가능한 조작손잡이(31b)가 노출되어 있고, 조작본체(29)내에 수용되는 조작손잡이(31b)의 회전축 말단에는 회전체(32a)가 결합되어 있다. 이 회전체(32a)는 그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나사부는 회전개폐체수용부(38)의 연통구(37a)를 통해 하향 노출된 회전개폐체(35)의 수나사부(36a)와 맞물린다. 이에 의해, 조작손잡이(31b)를 돌리면 회전개폐체(35)가 회전하여 수용부(20)의 투출구를 개방시킨다.The operation unit 31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operation body 29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in inlet (31a) that can be coin-operated in the plate direction. An operating knob 31b rotatable left and right is ex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in inlet 31b, and a rotating body 32a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operation knob 31b accommodated in the operating body 29. As shown in FIG. The rotor 32a has a male screw portion formed along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ale screw portion 36a of the rotary switch body 35 is exposed downw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37a of the rotary switch receiving portion 38. Meshes with As a result, when the operation knob 31b is turned, the rotary opening and closing body 35 rotates to open the discharge port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0.

한편, 이동안내부(70)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40), 이 케이싱(40)의 중앙에 기립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60), 케이싱(40)과 고정관(60) 사이에 설치되는 물품이동안내부(70a), 및 동전수용관(50)을 구비한다. 여기에 물품이동안내부(70a)와 케이싱(40) 사이에 개재되는 충돌방지부재(도 4의 P)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guide part 70, as can be seen in detail in Figure 3, the casing 40, the fixed tube 6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casing 40 in the standing direction, the casing 40 and the fixed tube An article installed between 60 is provided with an inner portion 70a and a coin holding tube 50. The article further includes an anti-collision member (P in FIG. 4)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portion 70a and the casing 40.

케이싱(40)은 거의 원통상을 가지며, 조작본체(29)와 베이스부(80) 사이에 개재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간단히 제작가능한 케이싱(40)은 투명한 재질을 가지며, 이에 의해, 내부 확인가능하다. 케이싱(40)내의 고정관(60)은 그 상단부가 조작본체(29)에 형성된 결합구(48)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베이스부(80)의 상부판에 고정된다.The casing 4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ion body 29 and the base portion 80. For example, the casing 40, which can be simply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has a transparent material, whereby it can be identified internally. The fixing tube 60 in the casing 40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48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ody 29,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upper plate of the base 80.

물품이동안내부(70a)는, 복수의 연결관(71)과 이들 각 연결관(71)의 외면에 일체형성된 이동가이드(72)로 구성된다. 각 연결관(71)들은 고정관(60)을 수용가능한 단면반경을 가지며, 고정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동가이드 (72)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관(71)의 외면에 케이싱(40)을 향해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와선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각 연결관(71)은 그 이동가이드(72)의 판면(73)이 상하부의 이동가이드(72)의 판면(73)과 연속하도록 배치된다.The inner portion 70a of the artic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es 71 and a moving guide 72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connecting tubes 71. Each connecting tube 71 has a cross section radius that can accommodate the fixed tube 60, it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tube 60. As shown in FIG. 4, the movement guide 72 i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casing 4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71 to form an eddy profile as a whole. Each connecting pipe 71 is disposed so that the plate surface 73 of the movement guide 72 is continuous with the plate surface 73 of the movement guide 72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고정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이동가이드(72)의 원주연에는, 충돌방지부재(P)가 결합된다. 이 충돌방지부재(P)는 이동가이드(72)의 판면(73)에 대하여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케이싱(40)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이동가이드(72)의 판면(73)을 따라 이동하는 투명볼(B)이 케이싱(40)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An anti-collision member P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ontinuous movement guide 7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tube 60. The anti-collision member P protrud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73 of the movement guide 72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casing 40 and the casing 40. Thereby, the transparent ball B moving along the plate surface 73 of the movement guide 72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casing 40.

동전수용관(50)은, 고정관(60)에 비하여 작은 단면반경을 가지며, 고정관 (60)내에 수용가능하다. 이러한 동전수용관(50)은 또한, 고정관(60)의 상향 개구를 통해 인출철회가능하며, 역시 상향 개구된 동전유입구(51)를 가진다. 이 동전유입구(51)는 조작부(31)에 마련된 동전투입구(31a)와 연통한다. 이에 의해, 동전투입구(31a)를 통해 외부로부터 투입된 동전이 동전수용관(50)의 동전유입구(51)를 통해 수용되어 그 내부에 저장된다. 여기서, 조작본체(29)의 동전투입구(31a)와 동전수용관(50)의 동전유입구(51) 사이에 동전의 원할한 이동을 위한 동전이동로(33)가 마련되어 있다.The coin holding tube 50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radius than the fixed tube 60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xed tube 60. This coin holding tube 50 is also retractable withdrawable through the upward opening of the fixed tube 60, and also has a coin inlet 51 that is upwardly open. The coin inlet 51 communicates with the coin inlet 31a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31. As a result, coin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in inlet 31a are received through the coin inlet 51 of the coin holding tube 50 and stored therein. Here, a coin movement path 33 for smooth movement of coins is provided between the coin inlet 31a of the operating body 29 and the coin inlet 51 of the coin acceptor tube 50.

한편, 베이스부(80)에는 이동안내부(70)를 형성하는 케이싱(40)내와 연통하는 배출구(81)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portion 8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81 in communication with the casing 40 to form the movement guide portion 7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자판기(1)에서는, 수용부(20)내에 수용된 투명볼(B)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소비자는 우선 동전투입구(31a)에 동전을 투입하고 조작손잡이(31a)를 돌린다. 이 때, 동전투입구(31a)를 통해 투입된 동전은 동전이동로(33)를 따라 이동하여 동전수용관(50)내에 저장된다. 한편, 조작손잡이 (31b)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체(32a)는, 조작본체(29)의 회전개폐체(35)를 회전시켜 수용부(20)의 투출구를 개방시킨다. 이 때, 수용부(20)내에 수용된 투명볼(B)이 개방된 투출구를 통해 하향 낙하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vending machine 1, when the user wants to purchase the transparent ball 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the consumer first inserts a coin into the coin inlet 31a and turns the operation knob 31a. . At this time, the coin injected through the coin inlet (31a) is moved along the coin movement path 33 is stored in the coin holding tube (50).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body 32a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knob 31b rotates the rotary opening and closing body 35 of the operating body 29 to open the outlet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0.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ball 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falls downward through the open discharge port.

하향 낙하하는 투명볼(B)은 조작본체(29)의 연결통로(37)를 따라 이동하여 이동안내부(70)의 케이싱(40)내로 유입된다. 이 후, 케이싱(40)내로 유입된 투명볼(B)은 물품이동안내부(70a)의 나선형 이동가이드(72)를 따라 하향 이동하며, 이 때, 소비자는 케이싱(40)을 통해 하향 이동하는 투명볼(B)을 확인할 수 있다. 나선형 이동가이드(72)를 따라 하향 이동한 투명볼(B)은 베이스부(80)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의해, 소비자는 투명볼(B)을 획득가능한 것이다.The transparent ball B falling down moves along the connection passage 37 of the operation body 29 and flows into the casing 40 of the movement guide unit 70. Thereafter, the transparent ball B introduced into the casing 40 moves downward along the spiral movement guide 72 of the inner portion 70a while the consumer moves downward through the casing 40. The transparent ball B can be confirmed. The transparent ball B moved downward along the helical movement guide 7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let formed in the base 80, whereby the consumer can obtain the transparent ball B.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동안내부를 구성하는 물품이동안내부가 부분적으로 손상이나 파손된 경우, 그 해당부분의 연결관 및 이동가이드를 간단히 교체가능하며,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판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자판기에서는, 이동안내부내에서 투명볼의 하향 이동하는 경우, 충돌방지부재에 의해 그 케이싱과 접촉이 방지되므로, 케이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자판기는 또한, 비교적 넓은 수용공간을 가지는 동전수용관내에 동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다수의 동전을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본체를 자주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art constituting the movement guide portion is partially damaged or broken while the inner part is easily replaced, the connection pipe and the movement guid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can be easily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maintenance cost. Vending machines are provided for saving. In this vending machine, when the transparent ball moves downward in the movement guide part, the contact with the casing is prevented by the collision preventing member, so that the cas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The vending machine can als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coins introduced through a coin inlet in a coin receiving tube having a relatively large accommodating spac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frequently separate the operating body.

Claims (3)

소정의 물품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향 개구된 투출구를 가지는 수용부(20), 및 상기 수용부(20)의 투출구를 통해 투출된 물품을 배출가능한 배출구(81)를 가지는 베이스부(80)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판기(1)에 있어서,A base portion 80 having a receiving portion 20, which has a predetermined opening, and has a discharge opening downwardly formed, and a discharge opening 81 for discharging the articl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of the receiving portion 20. In the vending machine (1) having at least 상기 수용부(20)와 상기 베이스부(80) 사이에 개재되어, 투명외관을 제공하는 케이싱(40);A casing (40) interpos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base portion (80) to provide a transparent appearance; 상기 케이싱(40)내의 중앙에 상기 수용부(20)의 투출구와 상기 베이스부(80)의 배출구(81) 사이에 기립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60); 및A fixing tube 60 fixed in an upright direction between a discharge port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0 and an outlet 81 of the base portion 80 in the center of the casing 40; And 상기 고정관(60)을 수용하고 상기 고정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관(71), 및 상기 각 연결관(7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싱(40)을 향해 돌출된 와선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이동가이드(72)를 구비하는 물품이동안내부 (7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71 accommodating the fixing pipe 60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ipe 60, and a vortex projecting toward the casing 40 from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connecting pipes 71. A vending machine comprising an inner portion (70a) while an article having a movement guide (72) forming a profi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싱(40)과 상기 이동가이드(72) 사이에 상기 이동가이드(72)의 판면 (73)에 대하여 상향 돌출되게 개재되는 충돌방지부재(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And a collision preventing member (P) interposed between the casing (40) and the movement guide (72) to protru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73) of the movement guide (7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수용부(20)와 상기 케이싱(40)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수용부 (20)의 투출구와 상기 이동가이드(72)를 연결하는 안내통로(33)가 마련되고, 외측 전면에 동전투입구(31a)가 노출되어 있는 조작본체(29); 및Is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casing 40, there is provided a guide passage 33 for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movement guide 72 therein, the outer front An operating body 29 to which the coin input port 31a is exposed; And 상기 고정관(60)내에 상향 인출철회가능하게 수용되는 관상체로, 상단부영역에 상기 조작본체(29)의 동전투입구(31a)와 연통하는 통전유입구(51)가 개구되어 있는 동전수용관(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The tubular body accommodated upwardly retractable in the fixing tube 60, the coin receiving tube 50, the current inlet 51 communicating with the coin inlet 31a of the operating body 29 is opened in the upper end region. Vending machine further comprising.
KR2020020013956U 2002-05-07 2002-05-07 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KR2002859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56U KR200285988Y1 (en) 2002-05-07 2002-05-07 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56U KR200285988Y1 (en) 2002-05-07 2002-05-07 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988Y1 true KR200285988Y1 (en) 2002-08-22

Family

ID=7308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956U KR200285988Y1 (en) 2002-05-07 2002-05-07 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98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644A (en) * 2016-12-30 2018-07-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Guide device for spiral of vend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644A (en) * 2016-12-30 2018-07-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Guide device for spiral of vend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3011057A1 (en) Tablet dispenser
KR200285988Y1 (en) A vending machine for confectionery
JP5544973B2 (en) vending machine
KR19980011964U (en) Product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200173870Y1 (en) Fruit vending machine
KR200214771Y1 (en) A device of safety discharge of material for solt-machine
KR100351726B1 (en) Rack Assembly of Bowl Vending Machine
KR100301622B1 (en) A device of safety discharge of material for solt-machine
KR10069418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equal quantity raw materials in a vending machine
KR200174522Y1 (en) Coin-emitting device
KR200317589Y1 (en) game bead counter and provision apparatus
CN213024581U (en) Selling device for boxed products
KR102643809B1 (en) Ice Storage Structure of Dispenser-Type Ice Maker
JP7480803B2 (en) Raw material dispensing device
KR200224114Y1 (en) Product discharge device for entertainment
KR200162570Y1 (en) Emerging box of vending machine
KR200174521Y1 (en) Coin-emitting device
KR100224299B1 (en) Stick dropp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205131Y1 (en) Sales apparatus of a noddle and coffee vending machine
JP4954583B2 (en) Push button structure in gaming machines
KR19980065763U (en) Cup Feeder of Vending Machine
KR200141598Y1 (en) A measuring and outpouring apparatus of a rice container
KR200363482Y1 (en) Sausage vending machine
KR101678920B1 (en) Coin Apparatus for Vending
KR100234639B1 (en) Hot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