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57Y1 -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57Y1
KR200285657Y1 KR2020020012617U KR20020012617U KR200285657Y1 KR 200285657 Y1 KR200285657 Y1 KR 200285657Y1 KR 2020020012617 U KR2020020012617 U KR 2020020012617U KR 20020012617 U KR20020012617 U KR 20020012617U KR 200285657 Y1 KR200285657 Y1 KR 200285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s
connector
locking
mounting
rotatabl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후이-난
Original Assignee
샤오 야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오 야츄 filed Critical 샤오 야츄
Priority to KR2020020012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57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가동형 만곡 로드(1), 두 개의 핸들(2),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3), 두 개의 회전가능 휠(4), 두 개의 스프링(11), 및 두 개의 연결관(12)을 포함한다. 탄성 위치 부재에는 연결관에 장착되고, 연결관의 맞물림 구멍(121)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록킹 스터브(31)가 제공된다. 핸들은 연결관에 장착되고 다중 조절 구멍(211)에 형성된 장착 단부(21)에 제공되므로, 핸들의 장착 단부가 연결관에 장착될 때, 탄성 위치 부재의 록킹 스터브는 핸들의 장착 단부의 조절 구멍 중의 어느 하나에 맞물려 고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MULTI-DIRECTIONAL SWIVEL TYPE EXERCISING DEVICE}
본 고안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특히, 양호한 만곡 곡선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 변화를 가질 수 있는 핸들 구조를 포함한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으로 파지하는 형태의 운동 기구는 손잡이(handgrip) 및 손잡이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하고, 손잡이를구부리도록 가압하여, 스프링을 구부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손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손으로 파지하는 형태의 운동 기구는 단일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굽힘 각도가 너무 작고, 스프링이 쉽게 잘라져(clip) 사용자에게 부상을 입힌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보다 양호한 만곡 곡선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 변화를 갖는 핸들 구조를 포함하는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양손 또는 한손을 사용하여 작동되고 선회될 수 있는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양쪽 핸들의 사용 각도가 사용자의 실제의 요구에 따라 각각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전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가동형 만곡 로드, 두 개의 핸들,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 및 두 개의 회전가능 휠을 포함하며,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가동형 만곡 로드의 각각의 양 단부상에 고정된 제1 단부를 각각 가지는 두 개의 스프링, 및 각각의 두 개의 스프링의 제2 단부에 각각 장착된 두 개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연결관은 맞물림 구멍이 형성된 외주를 가지며,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는 각각의 연결관에 장착되며, 각각의 연결관의 맞물림 구멍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록킹 스터브가 제공되고,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은 각각의 연결관에 장착되는 장착 단부가 제공된 제1 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장착 단부는 다중 조절 구멍을 형성하므로,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이 각각의 연결관에 장착될 때,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의 록킹 스터브는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장착 단부의 조절 구멍 중의 어느 하나와 맞물려 고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은 록킹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은 각각의 두 개의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록킹 단부상에 장착되는 부싱이 제공되므로, 각각의 두 개의 핸들과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형성되며, 상기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을 통해 각각 연장되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록킹 단부에 각각 고착되어 각각의 두 개의 핸들상에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을 장착하는 두 개의 록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두 개의 스프링을 에워싸기 위해 가동형 만곡 로드의 외부상에 장착되는 보호용 피복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연결관은 환형 그루브가 형성된 외벽을 가지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장착 단부에는 각각의 연결관의 환형 그루브에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보스가 제공된 내벽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를 부분적으로 자른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사용시의 개략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사용시의 개략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사용시의 개략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사용시의 개략 작동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사용시의 개략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의 사용시의 개략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형 만곡 로드 2 : 핸들
3 : 탄성 위치 부재 4 : 회전 가능 휠
6 : 보호용 피복물 11 : 스프링
12 : 연결관 21 : 장착 단부
22 : 록킹 단부 31 : 록킹 스터브
121 : 맞물림 구멍 211 : 다중 조절 구멍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가동형(movable) 만곡 로드(1), 두 개의 핸들(2),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3), 두 개의 회전가능 휠(4), 및 보호용 피복물(6, protectivejacket)을 포함한다.
가동형 만곡 로드(1)는 각각 내측으로 만곡된 양 단부를 갖는다.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가동형 만곡 로드(1)의 양 단부의 각각에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각각 갖는 두 개의 스프링(11), 및 두 개의 스프링(11)의 제2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연결관(12)을 더 포함한다.
보호용 피복물(6)은 스프링(11)이 만곡되어 신장될 때,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두 개의 스프링(11)을 에워싸도록 가동형 만곡 로드(1)의 외부에 장착되며, 이에 의해, 변형된 스프링(11)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연결관(12)은 맞물림 구멍(121)이 형성된 외주 및, 환형 그루브(122)가 형성된 외벽을 갖는다.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3)는 대체로 V자형 탄성판이며, 각각의 연결관(12)에 장착된다.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3)에는 각각의 연결관(12)의 맞물림 구멍(121)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록킹 스터브(31)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은 각각의 연결관(12)에 장착되는 장착 단부(21)가 제공된 제1 단부를 갖는다.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에는 다중 조절 구멍(211)이 형성되므로,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가 각각의 연결관(12)에 장착될 때,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3)의 록킹 스터브(31)는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의 조절 구멍(211) 중의 어느 하나에 맞물려 고착될 수 있다.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는 각각의 연결관(12)의 환형 그루브(122)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보스(212)가 제공된 내벽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3)의 록킹 스터브(31)가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의 조절 구멍(211)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탈착되도록 내측으로 가압될 때,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는 각각의 연결관(1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3)의 록킹 스터브(31)는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의 다른 조절 구멍(211)에 맞물려 고착될 수 있다.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가 각각의 연결관(12)에 대하여 회전될 때,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의 맞물림 보스(212)는 각각의 연결관(12)의 환형 그루브(122)에서 이동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장착 단부(21)의 회전을 촉진시킬 수 있다.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은 록킹 단부(22)가 제공된 제2 단부를 갖는다.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4)은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록킹 단부(22)에 장착되는 부싱이 제공되므로, 각각의 두 개의 핸들(2)과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4)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두 개의 회전가능 휠(4)을 파지하는 것을 개선한다.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4)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의 록킹 단부(22)에 각각 고착되며, 이에 의해,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상에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4)을 장착하는 볼트와 같은 두 개의 록킹 부재(5)를 더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대하여 언급하면, 각각의 두 개의 핸들(2)은 다중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팔, 손, 복부, 가슴 등을 운동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각도로 두 개의 핸들(2)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9에 대하여 언급하면, 두 개의 핸들(2)이 서로 병치(juxtaposed)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가 완전히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가동형 만곡 로드(1)의 두 개의 스프링(22)은 완전 원형 곡선에 근접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잘라지거나 사용자에 부상을 입히지 않고, 사용자의 목 또는 허리를 감쌀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시의 안전을 제공한다.
도 10에 대하여 언급하면, 두 개의 핸들 사이의 상대각도가 소정치로 조절된 후, 사용자의 양손은 두 개의 회전 가능한 휠(4)을 요동시키도록 파지하거나,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를 흔들 수 있으므로, 핸들(2) 및 가동형 만곡 로드(1)는 두 개의 회전 가능한 휠(4)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가동형 만곡 로드(1)의 편심 배열(eccentric arrangement)에 의해, 가동형 만곡 로드(1)는 회전과정중에 원심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양손을 운동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체 명세서를 통해, 문맥이 다른 것을 요구하지 않는 한, 단어 "comprise", 또는 "comprises" 또는 "comprising"과 같은 단어의 변형은 다른 완전체 또는 완전체군을 배제하지 않으며, 진술한 완전체 또는 완전체군의 포함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 이해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 기구는 양호한 만곡 곡선을 제공하고, 다양한 각도 변화를 갖는 핸들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양손 또는 한손을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양쪽 핸들의 사용 각도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

Claims (3)

  1.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에 있어서, 가동형 만곡 로드, 두 개의 핸들,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 및 두 개의 회전가능 휠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상기 가동형 만곡 로드의 각각 양 단부상에 고정된 제1 단부를 각각 가지는 두 개의 스프링, 및 각각의 두 개의 스프링의 제2 단부에 각각 장착된 두 개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연결관은 맞물림 구멍이 형성된 외주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는 각각의 연결관에 장착되며, 각각의 연결관의 맞물림 구멍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록킹 스터브가 제공되고,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은 각각의 연결관에 장착되는 장착 단부가 제공된 제1 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장착 단부는 다중 조절 구멍을 형성하므로,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이 각각의 연결관에 장착될 때, 각각의 두 개의 탄성 위치 부재의 록킹 스터브는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장착 단부의 조절 구멍 중의 어느 하나와 맞물려 고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은 록킹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은 각각의 두 개의 핸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록킹 단부상에 장착된 부싱이 제공되므로, 각각의 두 개의 핸들과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형성되며, 상기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는 각각의 두 개의 회전가능 휠을 통해 각각 연장되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록킹 단부에 각각 고착되어서 각각의 두 개의 핸들상에 각각의 두 개의 회전 가능 휠을 장착하는 두 개의 록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프링을 에워싸기 위해 상기 가동형 만곡 로드의 외부상에 장착되는 보호용 피복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관은 환형 그루브가 형성된 외벽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두 개의 핸들의 장착 단부에는 각각의 연결관의 환형 그루브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보스가 제공된 내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KR2020020012617U 2002-04-25 2002-04-25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KR200285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17U KR200285657Y1 (ko) 2002-04-25 2002-04-25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17U KR200285657Y1 (ko) 2002-04-25 2002-04-25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57Y1 true KR200285657Y1 (ko) 2002-08-13

Family

ID=7307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617U KR200285657Y1 (ko) 2002-04-25 2002-04-25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10B1 (ko) 2010-10-08 2018-04-23 샬린 엔. 샤 운동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10B1 (ko) 2010-10-08 2018-04-23 샬린 엔. 샤 운동 기구
US10441839B2 (en) 2010-10-08 2019-10-15 Recovery Science, Llc Exercise device
US11179593B2 (en) 2010-10-08 2021-11-23 Recovery Science Llc Exercis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87337A (en) Multi-directional swivel type exercising device
US6120421A (en) Multifunctional miniature exercise device
US4433683A (en) Exercise-massaging device
US5695436A (en) Abdomen fitness apparatus
US5080349A (en)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two-handed exercises
US9132315B1 (en) Multifunctional arms and wrists trainer
US5407405A (en) Grip handle for sport and physical exercise implements
US4257591A (en) Elongated exercising device of variable length
CA2510597C (en) Dumbbell with angle weight parts
US6692416B1 (en) Exercise machine handles
US9352183B2 (en) Bicycle-mounted exercise apparatus
US4332380A (en) Muscle building apparatus for developing bending strength
TWI696478B (zh) 可調整阻力的握力棒
US20170157457A1 (en) Exercise device with dual-axis rotation and method of use
WO2002032509A1 (en) Handgrip
US4768783A (en) Apparatus for the rehabilitation of damaged limbs
US20160082314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shaft device
KR200285657Y1 (ko) 다중 방향 선회형 운동 기구
US20070243977A1 (en) Hand grip for exercise yoke
US20190059345A1 (en) Handle For A Fishing Pole
CN110074946B (zh) 一种手腕功能康复训练装置
US7416520B1 (en) Curler exerciser
US20100160119A1 (en) Forearm, wrist and hand strengthener
US20220143455A1 (en) Exercise Handle
US20050101455A1 (en) Exerciser capable of doing multidirection 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