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316Y1 - 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 Google Patents

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316Y1
KR200284316Y1 KR2020020015061U KR20020015061U KR200284316Y1 KR 200284316 Y1 KR200284316 Y1 KR 200284316Y1 KR 2020020015061 U KR2020020015061 U KR 2020020015061U KR 20020015061 U KR20020015061 U KR 20020015061U KR 200284316 Y1 KR200284316 Y1 KR 200284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vertical
chair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충
Original Assignee
(주)발란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발란스테크 filed Critical (주)발란스테크
Priority to KR2020020015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31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316Y1/en

Links

Abstract

다리 프레임, 다리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 프레임, 좌석 프레임 상에 놓여질 좌판을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좌판에 고정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수평판과 제 1 수평판과 직교하면서 연결되되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수직판을 가져서 좌판에 고정되어 있는 상판 부재, 좌판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 2 수평판과 제 2 수평판과 직교하면서 연결되되 제 1 수직판과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수직판을 포함하는 하판 부재, 및 상판 부재의 제 1 수직판과 하판 부재의 제 2 수직판 사이의 공간에서 제 1 수직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판 부재를 하판 부재의 제 1 수직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좌판 이동 장치가 제공되어서, 착석자의 신장에 맞추어 좌판을 이동시킴으로써 착석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A chair having a leg frame, a seat frame supported by a leg frame, and a seat plate to be placed on the seat frame, the chair comprisi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lates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plate and connected orthogonally to at least three The upper plate member fixed to the seat plate having a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having the above holes formed therei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frame are connected orthogonally,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A lower plate member including a pair of second vertical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tached to the first vertical plate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second vertic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There is provided a seat plate moving device including a moving member including a wheel means for moving the back and forth along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so that By moving the plate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for the seated person.

Description

좌판이 이동되는 의자{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신장에 맞추어 좌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 seat plate moving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eated person.

서양 문명의 도입이 이루어지면서 방바닥에 앉아 생활하는 "좌식 생활"에서 의자 또는 소파에 앉는 등의 깔개를 이용하는 방식인 "입식 생활"로 점점 바꾸어서 이젠 "입식 생활"이 보편화되었다. 입식생활을 대표하는 의자 또는 소파는 가정, 사무실 또는 영업 장소 등의 각종 공간에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필요한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하게 하는 가구 중의 하나이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의 보급에 의해 학생이나 직장인들은 수업 또는 업무를 위해 많은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게 되므로, 안락감을 줄 수 있는 의자의 고안이 절실해지고 있다.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the "dental life" has become more common by gradually shifting from "left living" sitting on the floor to "dental living," which is a way of using a rug such as sitting on a chair or sofa. A chair or sofa representing a standing life is one of furniture that is installed in various spaces such as a home, an office, or a business place to allow a user to see a necessary task or take a rest while sitting. In particular, recently, with the spread of computers, students and office workers spend a lot of time sitting in chairs for class or work, so the design of chairs that can provide comfort is urgently needed.

의자는 통상 다리 프레임, 좌석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과, 좌석 프레임 상에 놓여서 히프가 안착되는 좌판과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연결되어 있어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된 등받이로 구성되어 있다.The chair is generally composed of a chair frame consisting of a leg frame, a seat frame, and a back frame, and a backrest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a seat plate and a backrest frame on which the hip is seated and rests on the seat frame.

그런데, 대부분의 의자에 있어서 좌판은 좌석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신장이 작아서 하체가 짧은 사람이 자신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지 않은 의자의 좌판에 앉게 될 경우에는, 좌판의 끝 부분에 걸쳐 앉게 되므로 자세가 불량해질 수 있으며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마찬가지로 신장이 커서 하체가 긴 사람의 경우에는 좌판의 후미에 앉게 되어 어정쩡하게 되어 역시 자세가 불량해지고 피로감도 쉽게 느끼게 된다.By the way, in most chairs, the seat plate is fixed to the seat frame in most cases. Therefore, when a person with a short height has a short lower body sitting on a seat of a chair that is not suitable for his or her body structure, the seat may sit over the end of the seat and the posture may be poor, and a fatigue may be easily felt. Similarly, if you have a large body and a long lower body, sitting on the rear of the seat is erroneous, and you will feel bad posture and fatigu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자의 신장에 맞추어 좌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capable of moving th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eated pers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판이 이동되는 의자의 일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1 show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chair to which th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좌판 이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plate moving device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좌판 이동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3A and 3B sho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of FIG. 2.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 이동 장치를 장착한 자세 교정용 의자의 측면도를 나타낸다.Figure 4 shows a side view of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equipped with a seat plate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리 프레임, 다리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 프레임, 좌석 프레임 상에 놓여질 좌판을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좌판에고정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수평판과 제 1 수평판과 직교하면서 연결되되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수직판을 가져서 좌판에 고정되어 있는 상판 부재, 좌판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 2 수평판과 제 2 수평판과 직교하면서 연결되되 제 1 수직판과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수직판을 포함하는 하판 부재, 및 상판 부재의 제 1 수직판과 하판 부재의 제 2 수직판 사이의 공간에서 제 1 수직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판 부재를 하판 부재의 제 1 수직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좌판 이동 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hair having a leg frame, a seat frame supported by the leg frame, a seat plate to be placed on the seat frame, a pair of first horizontal plates and a first number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plate An upper plate member fixed to the seat plate having a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plate and having at least three holes formed thereon, an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frame; The lower plate member including a pair of second vertical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bu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irst one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second vertic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Provided is a seat plate shifting device attached to a vertical plate,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including a moving member including wheel means for moving the upper plate member back and forth along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The.

또한, 좌판 이동 장치는 상판 부재의 제 1 수직판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홀 중의 일부에 그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핀, 핀에서 신장하는 손잡이, 핀의 단부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환상의 돌출부 및 환상의 돌출부와 손잡이로 사이에 배치되어 핀의 외주면을 감싸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핸들러와, 핸들러의 탄성 부재를 수용하며 핀이 삽입되는 제 1 수직판의 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핸들러의 핀이 이동 부재의 이동로드의 신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판 부재의 제 2 수직판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있는 수용체로 이루어져, 상판 부재를 하판 부재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the handle extending from the pin, the pin extending from the pin, and an end thereof selectively inserted into a part of at least three or more holes formed in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upper plate member. A handler consisting of an annular protrusion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nnular protrusion and the handle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and inserted into a hole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o accommodate the elastic member of the handler and to which the pin is inserted. And a receptacle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vertical plates of the lower plate member such that the pin of the handler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rod of the moving member, thereby allowing the upper plate member to be selectively selected from the lower plate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for fixing with.

또한, 상판 부재의 한 쌍의 제 1 수평판은 사각형상이며, 상판 부재는 한 쌍의 제 1 수직판과 연결되며 하판 부재의 제 2 수평판 상에 위치하는 제 3 수평판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하판 부재의 제 2 수평판은 사각형상이며, 하판 부재는 한 쌍의 제 2 수직판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 3 수직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plates of the upper plate member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upper plat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horizontal plate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and positioned o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The second horizont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lower plat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third vertical plates connecting the pair of second vertical plates.

그리고 이동 부재는 상판 부재의 한 쌍의 제 1 수직판에 형성된 3개 이상의 홀 중의 다른 일부를 관통하여 한쌍의 제 1 수직판을 연결하고 바퀴수단에 연결되는 이동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rod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through the other part of three or more holes formed in the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wheel means.

전술한 좌판 이동 장치는 착석자의 무릎이 대여지는 무릎 쿠션, 상기 무릎 쿠션이 놓여지는 무릎쿠션 받침판 및 무릎쿠션 받침판을 지지하는 무릎 쿠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릎쿠션 받침판과 좌판이 상호 마주보도록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있는 자세 교정용 의자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knee cushion on which a seated knee is rented, a knee cushion support plate on which the knee cushion is placed, and a knee cushion support for supporting a knee cushion support plate, wherein the knee cushion support plate and the seat plate face each other. It can also be applied to posture correction chairs that are inclined to have an angle.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판 이동 장치가 구비된 의자의 일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의자(100)는 복수 개의 다리 프레임(110), 복수 개의 다리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고 그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좌석 프레임(120), 좌석 프레임(120)상에 놓여져서 슬라이딩되는 좌판(140), 좌판(40)과 좌석 프레임(120)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좌판 이동 장치(10) 및 다리 프레임(110) 및 좌판(140)과 연결되어 있으며 등받이 쿠션이 덮힐 등받이 프레임(150)으로 이루어져 있다.1 show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chair equipped with a seat plate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100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 frames 110 and a plurality of leg frames 10 and seat frames 120 connected to upper ends thereof, and seat plates 140 which are placed on the seat frames 120 and slide. )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moving device 10 and the leg frame 110 and the seat plate 140 installed between the seat plate 40 and the seat frame 120 and includes a backrest frame 150 on which a back cushion is covered. .

도 2에는 좌판 이동 장치(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의 좌판 이동 장치(10)의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plate moving device 10, and FIGS. 3A and 3B sho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seat plate moving device 10 of FIG. 2.

좌판 이동 장치(10)는 좌판(1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판 부재(20)와 상기 좌석 프레임(120)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하판 부재(30), 상판 부재(20)를 하판 부재(30)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60) 및 상기 상판 부재(20)와 하판 부재(30)의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50+70)로 이루어져 있다.The seat plate moving device 10 includes a top plate member 20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plate 140, a bottom plate member 30 and a top plate member 20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frame 120, and a bottom plate member 30. And a fixing member 50 + 70 for fix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member 20 and the lower member 30 for moving on the movable member 60.

상판 부재(20)는 상기 좌판(140)에 대해 평행하게 신장하는 사각 형상의 제 1 수평판(25), 제 1 수평판(25)의 네 변 중 대향하는 양변에서 제 1 수평판(25)과 직교하면서 신장하는 2개의 제 1 수직판(26, 27), 상기 제 1 수직판(26, 27)의 단부에서 제 1 수평판(25) 또는 좌판(140)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날개 수평판(21, 22)으로 이루어져 있다. 날개 수평판(21, 22)은 좌판(140)이 부착되어 고정될 부분으로서, 좌판(140)을 덮을 좌판 쿠션(미도시) 상에 착석자가 안정적으로 위치하게끔 충분한 넓이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 수직판(26, 27)의 양 가장자리에는 이후에 설명될 이동 로드(60b)가 삽입될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수직판(27)의 이동 로드(60b)용 관통홀 사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개의 관통홀은 고정부재(50+7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도 3a에서는 복수개의 관통홀(40)이 5개로 표시되었다.The upper plate member 20 has a first horizontal plate 25 at two opposite sides of four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25 and the first horizontal plate 25 having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parallel to the seat plate 140. Two first vertical plates 26 and 27 extending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wing horizontal plates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25 or the seat plate 140 at the ends of the first vertical plates 26 and 27. It consists of (21, 22). The wing horizontal plates 21 and 22 are portions to which the seat plate 140 is attached and fixed, and are designed to have a sufficient width to allow the seated person to stably position on a seat cushion (not shown) to cover the seat plate 140. On both edges of the first vertical plates 26 and 27, there are formed through holes into which the moving rods 60b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and between the through holes for the moving rods 60b of the first vertical plates 27.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orme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have a size such that an end of the fixing member 50 + 70 can be inserted. In FIG. 3A,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0 is represented by five.

하판 부재(30)는, 상판 부재(20)의 제 1 수평판(25) 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1 수평판(25)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사각 형상의 제 2 수평판(35), 상기 제 2 수평판(35)의 4면에서 제 2 수평판(35)에 대해 직교하면서 상부(즉, 날개 수평판(21, 22)쪽)로 신장하는 4개의 제 2 수직판(33, 34, 36, 37), 상판 부재(20)의 제 1 수직판(26, 27)과 대응하는 하판 부재(30)의 수직판(36, 37)의 일변에서부터 상판 부재(20)의 제 1 수직판(26, 27)쪽으로 제 2 수평판(35)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제 3 수평판(31, 3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판 부재(30)의 제 3 수평판(31, 32)과 상판 부재(20)의 제 1 수직판(21, 22)은 접촉되어 있지 않으며, 제 3 수평판(31, 32)과 상판 부재(20)의 날개 수평판(21, 22)은 상판 부재(20)가 슬라이딩될 때 방해받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또한 제 3 수평판(31, 32)은, 날개 수평판(21, 22)에 좌판(140)이 부착되고 착석이 이루어졌을 때, 착석에 의한 하향 압력에 의한 날개 수평판(21,22)의 부러짐 등을 막을 수 있는 지지턱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3 수평판(31, 32)과 그 하부의 제 2 수평판(35) 사이의 공간을 제공하여, 이동 부재(60)의 이동 로드(60b)에 연결되는 바퀴수단으로서의 볼베어링(60a)을 수용하게 된다.The lower plate member 30 has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horizontal plate 25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has a square second horizontal plate 35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plate 25. Four second vertical plates 33, 34, which extend from the four sides of the second horizontal plate 35 to the upper side (i.e., toward the wing horizontal plates 21, 22) orthogonal to the second horizontal plate 35. 36, 37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plates 36 and 37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rtical plates 26 and 27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 It consists of the 3rd horizontal boards 31 and 32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2nd horizontal board 35 toward 26,27. The third horizontal plates 31 and 32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and the first vertical plates 21 and 22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horizontal plates 31 and 32 and the upper plate member ( The wing horizontal plates 21 and 22 of 20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not to be disturbed when the upper plate member 20 is slid. In addition, when the seat plate 140 is attached to the wing horizontal plates 21 and 22 and is seated, the third horizontal plates 31 and 32 of the wing horizontal plates 21 and 22 are caused by downward pressure due to the seating. It acts as a supporting jaw to prevent breakage and the like, and provides a space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plates 31 and 32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35 below the moving rod of the moving member 60. The ball bearing 60a as the wheel means connected to the 60b is accommodated.

이동 부재(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 부재(20)의 제 1수직판(26, 27)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 로드(60b)와, 하판 부재(30)의 제 3 수평판(31, 32) 하부의 공간에 설치되되 이동 로드(60b)에 연결되어, 하판 부재(30)의 대향하는 2개의 수직면(33, 34) 사이에서 하판 부재(30)의 제 2 수직면(36)을 따라서 이동하는 볼베어링(60a)으로 이루어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member 60 includes the movable rod 60b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dges of the first vertical plates 26 and 27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The second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is installed in a space below the third horizontal plate 31 and 32, a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rod 60b, between two vertical surfaces 33 and 34 facing the lower plate member 30. It consists of a ball bearing 60a moving along the vertical surface 36.

고정부재(50+70)는 상판 부재(20)가 하판 부재(30) 상에서 소정 거리 이동 된 후에 상판 부재(20)를 하판 부재(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러(50)와, 상기 핸들러(50)가 측면(71)을 통해 관통하며 하판 부재(30)의 제 2 수직판(37)에 부착되어 있는 수용체(70)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체(7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핸들러(50)가 관통하고 제 2 수직판(37)에 부착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므로,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도 있다. 그리고, 수용체(70)에 있어서 제 2 수직판(37)에 부착되는 부분(72)은 핸들러(50)가 관통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수직판(37)의 대응 부분에도 핸들러(50)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member 50 + 70 is for fixing the upper plate member 20 to the lower plate member 30 after the upper plate member 20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lower plate member 30. The handler 50 and the handler 50 consists of a container 70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side surface 71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vertical plate 37 of the lower plate member 30. Receptor 70 is not limited to a hexahedron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handler 50 can be penetrated and attached to the second vertical plate 37, so it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The portion 72 attached to the second vertical plate 37 in the container 70 is opened to allow the handler 50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handler 50 is also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37. Holes are formed to penetrate.

핸들러(50)는 손잡이(51), 손잡이(51)에서 신장하는 핀(52), 핀(52)의 중간 부분에서 핀(52) 주위를 감싸는 탄성 부재(53) 및 핀(5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환상의 돌출부(55)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 부재(53)로서 스프링 또는 고무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였다.The handler 50 is provid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51, the pin 52 extending from the handle 51, the elastic member 53 surrounding the pin 52 at the middle of the pin 52, and the pin 52. It consists of an annular protrusion 55 which protrudes. As the elastic member 53, a spring or a rubber ring can be used and a spring is used in this embodiment.

이제 전술한, 좌판 이동 장치(10)를 이용하여 좌판(140) 및 좌판(140)에 연결되어 있는 등받이 프레임(150)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Now, a method of moving the seat plate 140 and the backrest frame 150 connected to the seat plate 140 by using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1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자신의 신장에 맞추어 좌판(14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핸들러(50)의 손잡이(51)를 잡아 당겨, 핀(52)의 단부(54)가 관통홀(40)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여 상판 부재(20)를 하판 부재(30)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때, 핀(52)이 외부로 인출되면서 핀(52)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스프링(53)은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체(70)의 벽(71) 및 환상의 돌출부(55)에 의해 압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판 부재(20)가 하판 부재(30)에 고정되어 있지 않게 되어, 상판 부재(20)의 날개 수평판(21, 22)에 부착된 좌판(140)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좌판(140)을 움직이면, 상판 부재(20)의 제 1 수직판(26, 27)의 양 가장자리에 있는 관통홀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 로드(60b)에 연결된 볼베어링(60a)이 하판 부재(30)의 수직판(36)을 따라서 이동 로드(60b)의 신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좌판(140)을 앞으로 당기고자 할 경우에는 좌판(140)을 앞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뒤, 핀(52)의 위치가 관통홀(40)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당겨져 있는 핀(52)에서 손을 떼게 되면, 탄성 부재인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핀(52)이 상판 부재(20)의 제 1 수직판(27)쪽으로 진행하여 핀(52)의 단부(54)가 관통홀(40)을 관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판 부재(20)를 하판 부재(30)에 고정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좌판(140)을 뒤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판(140)을 뒤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판 부재(20)를 하판 부재(30)에 고정시킨다.In order to move the seat plate 140 in accordance with its own extension, first pull the handle 51 of the handler 50 so that the end portion 54 of the pin 52 comes out of the through hole 40 so that the upper plate member is moved. The 20 is freed from the lower plate member 30. At this time, as the pin 52 is drawn out, the spring 53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52 is compressed by the wall 71 and the annular protrusion 55 of the container 70 in which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Will be. In this state, the upper plate member 20 is not fixed to the lower plate member 30, so that the seat plate 140 attached to the wing horizontal plates 21 and 22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can be moved. When the seat plate 140 is moved, the ball bearing 60a connected to the moving rod 60b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at both edges of the first vertical plates 26 and 27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is the lower plate member 30. The vertical plate 36 moves vertical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moving rod 60b. When the seat plate 140 is to be pulled forward, the seat plate 140 is pushed forward to move the pin plate 52 in a straight line with the through hole 40. When the pin 52 is removed, the pin 52 moves toward the first vertical plate 27 of the upper plate member 2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53, which is an elastic member. The end 54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0. As a result, the upper plate member 20 is fixed to the lower plate member 30. Likewise, when the seat plate 140 is to be moved backward, the seat plate 140 is pushed back to fix the upper plate member 20 to the lower plate member 3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전술한 방법에 의해 착석자의 등이 등받이 프레임(150)을 덮는 등받이에 닿게 되어 자세가 올바르게 된다.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eated person's back touches the backrest covering the backrest frame 150 so that the posture is correc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핀(52)이 관통하는 관통홀(40)이 수직판(27)에만 형성된 상태를 나타냈으나, 수직판(26)과 수직판(27) 양쪽에 관통홀(40)이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이때는 고정부재(50+70)도 한 쌍이 되며, 수직판(36)에도 설치되게 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40 through which the pin 52 penetrates is formed only in the vertical plate 27, but the through hole 40 is formed in both the vertical plate 26 and the vertical plate 27. This may be formed, in which case the fixing member (50 + 70) is also a pair, it is to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plate (36).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 이동 장치(10)를 자세 교정용 의자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자세 교정용 의자(1')는 베이스(4b), 베이스(4b)의 양 단부에 연결되어 베이스(4b) 상부로 신장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있는 좌판 쿠션 지지대(4a) 및 무릎쿠션 지지대(4c), 좌판쿠션 지지대(4a) 상에 안착되어 있는 좌판(8)과 좌판쿠션(3) 및 무릎 쿠션 지지대(4c) 상에 고정적으로 안착되는 무릎쿠션 받침판(7)과 무릎쿠션(2)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자세 교정용 의자(1')는, 좌판(8)에 연결되어 좌판(8)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등받이(8a), 좌판(8)과 좌판 지지대(4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좌판(8)을 무릎 쿠션(2)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무릎 쿠션(2) 쪽에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판 이동 장치(10)와, 베이스(4b)와 좌판 쿠션 지지대(4a) 그리고 베이스(4b)와 무릎쿠션 지지대(4c)의 연결부분에 베이스(4b)의 신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지지 다리(5)와 지지다리(5)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캐스터(6)를 더 포함한다. 지지 다리(5)에 의해 자세교정용 의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놓여지게 되며, 캐스터(6)에 의해 자세교정용 의자(1') 전체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1 ′ of FIG. 4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se 4b and the base 4b and extends above the base 4b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knee cushion support plate 7 and the knee fixedly seated on the seat plate 8 and the seat plate cushion 3 and the knee cushion support 4c which are seated on the knee cushion support 4c, the seat cushion support 4a. It consists of a cushion (2). In addition,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1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8 and positioned between the backrest 8a, the seat plate 8, and the seat plate support 4a which ar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8, and the seat plate ( 8)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10 for moving the knee cushion 2 toward or away from the knee cushion 2 side, the base 4b, the seat plate cushion support 4a and the base 4b. And a pair of casters 6 provided on the support leg 5 and a pair of support legs 5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base 4b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ck and knee cushion support 4c. It further includes. The posture correcting chair is placed more stably by the support legs 5, and the entire posture correcting chair 1 ′ can be freely moved by the caster 6.

도 4의 자세교정용 의자에 본 고안의 좌판 이동 장치를 적용하여 좌판(8)을 이동시키게 되면 좌판(8)의 경사에 의해 좌판(8)의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좌판을 전후로 이동시게 되는 효과도 있어, 무릎 쿠션(2)과 좌판쿠션(3) 사이의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착석자의 신장에 적합한 바른 자세를 확보하기 용이하다. 즉 자세교정용 의자에 본 고안에 따른 좌판 이동 장치를 적용하면 자세 교정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게 된다.When the seat plate 8 is moved by applying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of FIG. 4, the seat plate 8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plate 8 by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8. There is also an effect,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space between the knee cushion (2) and the seat plate cushion (3) it is easy to ensure a correct posture suitable for the height of the seated person. That is, if 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the effect of posture correction is further improved.

종래 기술의 의자에 있어서, 좌판의 이동이 불가하여서, 착석자의 신장에 맞도록 좌판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판 부재(20), 하판 부재(30), 상판 부재(20)를 하판 부재(30)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60) 및 상기 상판 부재(20)와 하판 부재(30)의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기 위한 핸들러(50)와 수용체(70)로 이루어진 좌판 이동 장치(10)를 이용하여 좌판(140, 8)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착석자의 신장에 맞추어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의자에 올바르게 앉을 수 있게 되어 착석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할 수 있으며, 착석자에게 안락감을 줘어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다.In the chair of the prior art, the seat plate cannot be moved, and the seat plate cannot be moved back and forth to match the height of the seated pers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member 20, the lower plate member 30, and the movable member 60 for moving the upper plate member 20 on the lower plate member 3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0 and the lower plate member 30 The seat plates 140 and 8 can be freely moved using the seat plate moving device 10 including the handler 50 and the receptor 70 for fix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rrectly sit in the chair in a comfortable and correct posture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seated person can correct the seated position of the seated person, giving comfort to the seated person can feel less fatigue.

Claims (8)

다리 프레임, 상기 다리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 프레임, 상기 좌석 프레임 상에 놓여질 좌판을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A chair having a leg frame, a seat frame supported by the leg frame, and a seat plate to be placed on the seat frame, 상기 좌판에 고정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수평판과 상기 제 1 수평판과 직교하면서 연결되되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수직판을 가져서 상기 좌판에 고정되어 있는 상판 부재,A top plate member fixed to the seat plate having a pair of first horizontal plates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plate and a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having at least three holes formed therein; , 상기 좌판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 2 수평판과 상기 제 2 수평판과 직교하면서 연결되되 상기 제 1 수직판과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수직판을 포함하는 하판 부재, 및A lower plate member including a second horizontal plate fixedly connected to the seat plate frame and a pair of second vertical plates connected to orthogonal to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상판 부재의 제 1 수직판과 상기 하판 부재의 제 2 수직판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 1 수직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 부재를 상기 하판 부재의 제 1 수직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A wheel attached to the first vertical plate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second vertic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the wheel for moving the upper plate member back and forth along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A chair having a seat plate moving device including a moving member includ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부재의 제 1 수직판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홀 중의 일부에 그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핀, 상기 핀에서 신장하는 손잡이, 상기 핀의 단부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환상의 돌출부 및 상기 환상의 돌출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핀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핸들러와, 상기 핸들러의 탄성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핀이 삽입되는 상기 제 1 수직판의 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핸들러의 핀이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이동로드의 신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판 부재의 상기 제 2 수직판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있는 수용체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 부재를 상기 하판 부재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2. The p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d thereof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 part of at least three or more holes formed in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upper plate member, a handle extending from the pin,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in of the pin. A handler comprising a protruding annular protrusion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nnular protrusion and the handle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of the handler and into which the pin is inserted. A through hol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hole of the receiver, the pin of the handler being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vertical plates of the lower plate member such that the pin of the handler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ovable rod of the movable member;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selectively fixing the upper plate member to the lower plate member A chair comprising a plate shift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a seat plate moving device made of a spr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제 1 수평판은 사각형상이며, 상기 상판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1 수직판과 연결되며 상기 하판 부재의 제 2 수평판 상에 위치하는 제 3 수평판을 더 구비하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The pair of first horizontal plates of the upper plate member are rectangular, and the upper plate member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and positioned o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A chair having a seat plate shif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horizontal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부재의 제 2 수평판은 사각형상이며, 상기 하판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2 수직판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 3 수직판을 더 포함하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The seat plate shifting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is in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lower plate member further includes a pair of third vertical plates connecting the pair of second vertical plates. One chai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상판 부재의 한 쌍의 제 1 수직판에 형성된 3개 이상의 홀 중의 다른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한쌍의 제 1 수직판을 연결하고 상기 바퀴수단에 연결되는 이동로드를 더 포함하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3. The move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ving member connects the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through the other part of three or more holes formed in the pair of first vertical plates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 means. A chair having a seat plate shif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의 무릎이 대여지는 무릎 쿠션, 상기 무릎 쿠션이 놓여지는 무릎쿠션 받침판 및 상기 무릎쿠션 받침판을 지지하는 무릎 쿠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릎쿠션 받침판과 상기 좌판은 상호 마주보도록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있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The knee cushion support plat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knee cushion on which the knee of the occupant is rented, a knee cushion support plate on which the knee cushion is placed, and a knee cushion support for supporting the knee cushion support plate. A chair having a seat plate shifting device inclined at an angle to face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에 연결되어 있어 좌판의 이동 시 함께 이동하는 등받이 프레임 또는 등받이를 더 포함하는 좌판 이동 장치를 구비한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ckrest frame or a backrest connected to the seatplate and moving together when the seatplate moves.
KR2020020015061U 2002-05-17 2002-05-17 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KR2002843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61U KR200284316Y1 (en) 2002-05-17 2002-05-17 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61U KR200284316Y1 (en) 2002-05-17 2002-05-17 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316Y1 true KR200284316Y1 (en) 2002-08-03

Family

ID=7307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61U KR200284316Y1 (en) 2002-05-17 2002-05-17 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31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WO2019035650A1 (en) Integrated desk and chair unit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JP6325981B2 (en) Straightening chair using the slider method
AU2021202097A1 (en) Injection Moulded Unupholstered Plastic Chair
KR102138836B1 (en)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KR200284316Y1 (en) A chair with seat plate capable of movement
KR20110014334A (en) Chair for correcting attitude
KR101826277B1 (en) Provided with a resilient reinforcing member sofa
KR200407079Y1 (en) Massage chairs with mattress
JP3207492U (en) Sitting posture correction seat
KR101173247B1 (en) Chair for correcting used slider type
KR102290271B1 (en) Multi-function Chair
KR200371544Y1 (en) The chair having a head-rest and a hanger
KR200302692Y1 (en) Back of chair
US4976021A (en) Foundation process for assembling furniture
JP3126599U (en) Sitting chair
JP2005131091A (en) Stand-up assisting chair
KR20240003545A (en) System for packaging
JP3086945U (en) Elastic chair
KR20220107687A (en) Chair with backrest module
KR200473751Y1 (en) Ergonomically Placed dual hip sitting cushion
JP2003070589A (en) Chair
KR20220072584A (en) functional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