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774Y1 - The radio controlling the voice - Google Patents
The radio controlling the vo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3774Y1 KR200283774Y1 KR2020020008164U KR20020008164U KR200283774Y1 KR 200283774 Y1 KR200283774 Y1 KR 200283774Y1 KR 2020020008164 U KR2020020008164 U KR 2020020008164U KR 20020008164 U KR20020008164 U KR 20020008164U KR 200283774 Y1 KR200283774 Y1 KR 2002837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 control
- control command
- unit
- radio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전기의 송신키를 누른 상태에서 송신을 하고 송신키를 놓아야만 상대편의 음성을 수신함에 따라 통신시 반드시 한 손은 무전기를 잡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핸즈프리 무전기를 구현하고자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음성제어 무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implement a hands-free radio that solves the problem that one hand must hold the radio during communication as the receiver receive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only after transmitting and pressing the transmitter key. It relates to a voice control radio used.
Description
무전기의 핸즈프리 기능을 구현한 기술로 무전기 핸즈프리/마우스프리(출원번호 특1997-031520)가 있으나 송수신 제어버튼을 구비하여 송신과 수신시에 버튼으로 제어를 하게 되어있다.It is a technology that implements the hands-free function of the radio, and there is a radio hands-free / mouse-free (application number special 1997-031520), but it is equipped with 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button to control the button dur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휴대폰과 연결하여 핸즈프리(Hands free)로 겸용할 수 있는 무전기에 관한 기술로 핸즈프리 겸용 무전기(출원번호 20-2001-0032085)가 있으나 무전기의 통화키 및 통화 종료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로 제어하게 되어있다.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radio that can be used as hands-free by connecting to a mobile phone. have.
송ㆍ수화부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양방향으로 송, 수신하는 송ㆍ수신 일체형 양방향 무전기(출원번호 10-2001-0063535)는 단일주파수 단일통신로의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무전기 개념이 아니며, 차량용 무전기에서의 음성을 이용한 송신 제어방법 및 그 장치(특1993-00264285)는 차량용 무전기의 송수신 전환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 전환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음성을 발성하면 발성된 음성의 크기를 감지하여 잡음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직접 송신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무전기에서의 음성을 이용한 송신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용 무전기에서의 음성메시지 송수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하여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소정의 증폭치로 증폭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증폭되어진 음향신호를 직류전원으로 정류 변환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정류되어진 음향신호를 기준전원과 비교하여 기준전원보다 음향신호가 큰 경우 제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발생되어진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무선 송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전기에서의 음성을 이용한 송신 제어 방법으로 송신자가 음성을 발성하면 송신키가 ON 되는 기술이나 청구항에 따르면 음향신호를 기준전원과 비교하여 기준전원보다 음향신호가 큰 경우 송신키를 ON 시키는방식으로 주변 소음의 크기에 따른 오류 및 음성크기 기준레벨의 설정 모호성 및 통신중 음성 발성에 잠시 시간을 두는 경우 송신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송신키가 OFF 제어되는 문제점 및 상대편의 통신내용 수신중 사용자가 통신내용과 관계없는 음성을 발성하면 송신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수신이 끊기거나 송수신이 불통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주변의 소음에 의한 오작동 및 초기음성 부분이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 및 채널변경, 볼륨조절 등의 제어는 수동으로 제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An integrated two-way radio (application number 10-2001-0063535)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in both directions by separating the frequencies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is not a radio concept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f a single frequency single communication channe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ing the voice and its apparatus (especially 1993-00264285) relates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witching method of a vehicle radio, in particular, when the voice is uttered without manually opera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witching button to detect the size of the spoken voice noise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using a voice in a vehicle radio and a device for allowing direct transmiss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not the case,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message in a vehicle radio includes: A first step of amplifying with an amplification value of; A second step of rectifying and converting the sound signal amplified in the first step into a DC power source;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reset signal when the sound signal rectified in the second step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power source by comparing the sound signal rectified with the reference power source; And a fourth step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 acoustic signal applied through the microphone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third step. According to the technology or claim, the transmission key is turned on when the sound signal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power according to the technology or the claim, and when the sound signal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power, the transmission key is turned on. And when the voice is put on for a while, the transmission key is OFF regardless of the sender's intention and if the user speaks the voice unrelated to the communication contents while receiving the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other party, the reception is not performed.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especially due to ambient noise. There have been problems in that malfunctions and initial voice parts are not well transmitted, and control such as channel change and volume control must be controlled manually.
본 고안은 주변 소음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하기 쉬운 음성의 크기(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신호의 기준치 보다 크다, 작다)로 제어하는 기술이 아니라 송신키 ON, 송신키 OFF, 채널 변경, 볼륨조정등 무전기 고유의 기능을 음성명령어로 제어하는 것이 첫 번째 특징이며, 통신중 발성되는 모든 음성중 미리 입력한 음성명령어와 일치할 경우에만 통신 음이 아니라 음성제어 명령어로 인식하여 제어하는 것이 두 번째 특징으로 일상의 통신 내용중 등록된 음성(음성제어 명령어)만을 제어 명령어로 분리해 제어하는 것으로 기존의 음성제어 무전기 및 기존의 음성인식 제어기술과 차별화된 무전기의 단방향통신 특성에 맞는 음성제어 특징을 갖는 제어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technology to control the volume of voice that is likely to malfunction due to ambient noise (converts the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which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value). The first feature is to control the radio's unique functions such as coordination by voice command, and the second is to recognize and control not the communication sound but the voice control command only when it matches the voice command input in advance among all voices spoken during communication. It is to separate and control only the registered voice (voice control command) from the daily communication contents with the control command, and to control the voice control feature suitable for the one-way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voice control radio and the existing voice recognition control technology. Control technology.
사용자로부터 발성되는 일상의 통신음성과 제어명령 음성을 분리하여 인식하기 위하여 일상의 통신 내용과 차별화된 제어명령 음성을 등록하는 제어명령 입력부에 의해 등록된 제어명령어를 음성비교부에서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제어를 실시하는 주제어부를 기술적 과제로 차별화된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나 제어명령어 앞에 '레디-'와 같은 특정 음성을 부쳐 만들거나 평상시 통신 내용에 잘 사용하지 않는 음성어를 음성제어 명령어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명령 입력부와 음성제어 명령어의 생성 및 송신되는 음성중 음성제어 명령어와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음성비교부 및 음성제어 명령어와 일치할 경우 무전기 제어를 실시하는 주제어부가 기술적 과제이다.When comparing the control command registered by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that registers the control command voice differentiated from the daily communication contents in order to separate and recognize the daily communication voice and the control command voice spoken by the user in the voice comparator The control commands differentiated by the technical task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However, the voice commands are used to make a specific voice such as 'ready-' in front of the control command or to control the voice words that are not used in the usual communication contents. It is preferable to register as a command, and the control unit input unit and the voice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ic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re consistent with the voice control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adio when the voice control command is matched. to be.
도 1은 음성제어 무전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control radio.
도 2는 음성제어 명령어 등록 순서도 예2 is an example of voice control command registration flowch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송신부 110 : 수신부100: transmitter 110: receiver
120 : 스피커 130 : 마이크120: speaker 130: microphone
200 : 표시부 300 : 채널선택부200: display unit 300: channel selection unit
400 : 메모리부 500 : 안테나400: memory 500: antenna
600 : 주제어부 700 : 제어명령 입력부600: main control unit 700: control command input unit
710 :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 720 : 음성데이터 분석기710: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720: voice data analyzer
730 : 음성데이터 변환기 740 : 제어데이터 생성기730: voice data converter 740: control data generator
800 : 음성비교부800: voice comparison
본 고안은 무전기의 송신키를 누른 상태에서 송신을 하고 송신키를 놓아야만 상대편의 음성을 수신함에 따라 통신시 반듯이 한 손은 무전기를 잡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음성제어 무전기를 구현하고자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음성제어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크게 마이크(130), 스피커(120), 제어명령 입력부(700), 메모리부(400), 주제어부(600), 음성비교부(800), 송신부(100), 수신부(110), 채널선택부(300), 표시부(200), 안테나(5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implement a voice control radio that solves the problem that one hand must hold the radio according to communication when receiv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only when transmitting and pressing the transmission key of the radio while the transmission key is released. 1, a microphone 130, a speaker 120, a control command input unit 700, a memory unit 400, a main control unit 600, a voice comparator 800, and a transmitter. 100, the receiver 110, the channel selector 300, the display 200, and the antenna 500.
마이크(130)는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120)는 역으로 전기적신호를 음성으로 변환시킨다.The microphone 130 receives the voice and converts the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speaker 120 reversely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the voice.
메모리부(400)는 제어프로그램, 음성메모리, 제어데이터 등을 저장한다.The memory unit 400 stores a control program, a voice memory, control data, and the like.
제어명령 입력부(700)는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710)와 음성데이터 분석기(720)와 음성데이터 변환기(730)와 제어데이터 생성기(74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는 음성제어 무전기를 최초구입 후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를 누르고 음성제어 명령을 마이크를 통해 송신키 ON/OFF 명령어입력, 채널입력 명령어입력, 무전기 특수기능 적용 명령어를 입력받아 음성데이터 분석기(720)를 통하여 제어명령과 입력된 음성을 일대일로 대응시킨 후 음성데이터 변환기(730)로 음성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어데이터 생성기를 통해 음성제어 명령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된다.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700 includes a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710, a voice data analyzer 720, a voice data converter 730, and a control data generator 740.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receives a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after the first purchase of a voice control radio, and receives a voic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a microphone on / off command input, a channel input command input, and a radio application special application command. After the control command and the input voice are corresponded one-to-one through 720, the voice data converter 730 is converted into voice data, and the voice control command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rough the control data generator.
주제어부(600)는 음성제어 무전기 최초구입 후 생성된 음성제어 명령어를 이용하여 무전기를 음성으로 작동 및 무전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한다. 음성비교부(800)는 음성 송신중 음성제어 명령어와 동일한 음성의 발성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주제어부를 통해 음성제어 무전기의 제어를 실시할 제어정보를 제공한다.The main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radio by voice using the voice control command generated after the initial purchase of the voice control radio and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radio. The voice comparison unit 800 compares the voice control command with the voice of the same voice during voice transmission and provides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voice control radio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voice is matched.
표시부(200)는 액정화면 및 적색, 녹색 LED로 구성되어 액정화면은 각종 메시지 및 채널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송신상태를 나타내는 적색 LED,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녹색 LED로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200 is composed of an LCD screen and red and green LEDs. The LCD screen displays various messages and channel states, and is composed of a red LED indicating a transmission state and a green LED indicating a reception state.
송신부(100), 수신부(110), 채널선택부(300), 안테나(500)는 일반적인 무전기의 기능을 구현한다.The transmitter 100, the receiver 110, the channel selector 300, and the antenna 500 implement functions of a general radio.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음성제어 무전기의 동작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음성제어 명령어 등록 예를 나타낸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voice control radio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hich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gistering a voice control comman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에 의해 최초구입 후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710)를 누르면, 표시부는 '송신키 ON 음성을 입력하시오'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마이크를 통해 해당 음성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송신키 ON에 따른 명령어로 'SEE ON','시작', '온' 등의 예를 들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710 after the initial purchase, the display unit displays a message 'Please enter the transmit key ON voice' and the user inputs the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For example, 'SEE ON', 'Start', 'On' are examples of command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key ON.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를 다시 눌러 음성을 입력시키면 다음단계로, 표시부는 '송신키 OFF 음성을 입력하시오'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마이크를 통해, '오버' 등의 해당 음성을 입력한다.When the voice is input by pressing the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again, in the next step,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message 'Please enter the transmit key OFF voice' and the user inputs the corresponding voice such as 'over' through the microphone.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를 다시 눌러 음성을 입력시키면 다음단계로, 표시부는 '볼륨 업 음성을 입력하시오'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마이크를 통해, '레디-볼륨업' 등의 해당 음성을 입력한다.When the voice is input by pressing the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again, in the next step, the message 'Enter the volume up voice' is displayed and the user inputs the corresponding voice such as 'Ready-Volume up' through the microphone.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를 다시 눌러 음성을 입력시키면 다음단계로, 표시부는 '볼륨 다운 음성을 입력하시오'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마이크를 통해, '레디-볼륨다운' 등의 해당 음성을 입력한다.When the voice is input by pressing the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again, in the next step, the message 'Enter the volume down voice' is displayed and the user inputs the corresponding voice such as 'ready-volume down' through the microphone.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를 다시 눌러 음성을 입력시키면 다음단계로, 표시부는 '채널선택 음성을 입력하시오'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마이크를 통해, '채널 일', '채널 이', '채널 원', '채널 투' 등의 해당 음성을 입력한다.Press the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again to input the voice. In the next step, the display shows the message 'Please select the channel selection voice' and the user can display the 'channel one', 'channel two', and 'channel one' through the microphone. , Input the corresponding voice such as 'channel to'.
입력된 음성명령어는 음성데이터 분석기(720)를 통하여 제어명령과 입력된 음성을 일대일로 대응시킨 후 음성데이터 변환기(730)에 의해 음성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어데이터 생성기(740)를 통해 음성제어 명령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된다.The input voice command is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input voice through the voice data analyzer 720 and then converted into voice data by the voice data converter 730 and then the voice control command through the control data generator 740. Will be stored in the memory.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 무전기의 고유한 특수기능 및 음성제어 명령어의 재입력 등을 반복 입력 사용한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unique input of each radio and the re-entry of voice control commands are repeated.
평상시 무전 통화중 무전기 제어를 위한 명령이 아닌 통화내용 중 상기 음성이 나오면 음성제어 무전기의 주제어부는 무전기 제어 명령어로 오인하여 무전기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각 명령어 앞에 특수한 음절 예를 들어 " 레-디"와 같은 특수 음을 넣음으로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If the voice comes out of the contents of the call, which is not a command to control the radio during a normal radio call, the main control part of the voice control radio can be mistaken for a radio control command to perform radio control. You can prevent errors by inserting a special note such as.
상기 등록 예로 등록된 음성제어 명령어로 등록된 무전기를 통해 실제 사용 예를 들어보면,For example, the actual use through the radio registered with the voice control command registered as the registration example,
운전중 무선통신을 필요로 할 경우 음성으로 "SEE ON"음을 발성하면 음성제어 무전기의 주제어부는 무전기의 송신키를 누르고 있는 것과 같은 제어를 실시하여 손으로 키를 잡지 않고도 통신을 실시한다.When wireless communication is required during operation, when the voice "SEE ON" is sounded,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voice control radio performs the same control as pressing the radio transmission key and communicates without holding the key by hand.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끝마치고 상대편의 통신을 듣고자 할 경우에는 "SEE OFF"라고 하면 음성제어 무전기의 주제어부는 송신키를 놓는(OFF) 제어를 실시하여 상대편의 음성을 수신한다.When the user wants to listen to the other party's communication after saying what he wants to say, say "SEE OF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voice control radio receives the other party's voice by performing a control to release the transmission key.
채널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채널 투"라고 하면 주제어부는 채널을 바꾸어 통화로를 구성하는 제어를 실시한다.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hannel, if it is called "channel to",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o configure the communication path by changing channels.
그러나, 일상적인 통화중 음성제어 명령과 관계없이 "채널 투"라는 말을 하게될 경우 채널이 바뀌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명령어( 예를 들어 레디-채널 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However, if the word "channel to" is spoken regardless of the voice control command during the daily call, the channel may change.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use commands that are not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eg, ready-channel to).
또한, 원활한 사용을 위하여 송신가능, 수신가능 상태표시 및 채널을 표시하는 LED와 표시부가 있으며 송수신 전환시 전환음(예 삐-하는 음)을 넣을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LED and a display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indication and channels for smooth use, and a switching sound (eg a beeping sound) can be inserted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제어명령 입력부와 주제어부를 상세히 설명하면,When describing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in detail,
제어명령 입력부의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710)는 사용자가 최초구입 후 음성제어 명령어 입력키를 누르고 마이크를 통해 제어명령 음성을 발성하면 메모리부의 음성메모리에 음성을 입력 저장하게 한다.The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710 of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allows the user to press the voice control command input key after the first purchase and utter a control command voice through a microphone to store the voice in the voice memory of the memory unit.
음성데이터 분석기(720)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때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로써 A/D 변환기를 통해 디지탈화 하여 음성데이터를 형성한다.The voice data analyzer 720 converts the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t this time, the signal is digitalized through an A / D converter to form voice data.
음성데이터 변환기(730)는 음절단위로 분석한 후 음성명령어 단위의 음성데이터로 변환한다.The voice data converter 730 analyzes the syllable unit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the voice command unit.
제어데이터 생성기(740)는 음성데이터 변환기를 통해 생성된 음성데이터를 주제어부의 해당 제어와 일대일로 대응시켜 음성제어 명령어를 생성한다.The control data generator 740 generates voice control commands by one-to-one correspondence of the voice data generated through the voice data converter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음성비교부(800)는 교신 중 송신되는 음성에서 음성제어 명령어와 동일한 음성의 발성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주제어부를 통해 음성제어 무전기의 제어를 실시할 제어 정보를 주제어부에 제공한다.The voice comparison unit 800 compares the voice of the voice control command with the same voice in the voice transmitted during the communication, and provides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the voice control radio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if the voice control command matches.
주제어부는 음성제어 무전기의 작동 개시후 음성비교부를 통해 일치된 음성제어 명령어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제어를 실시한다.The main control unit performs the corresponding control when the matched voice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voice comparator after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ntrol radio.
평상시 통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음성을 음성제어 무전기에 음성인식 등록 후 음성에 의해 무전기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완전한 핸즈프리 무전기를 실현한 음성제어 무전기로써 일상의 음성어로 통신을 하다 무전기의 제어를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등록된 음성제어 명령어를 발성함으로써 무전기의 해당제어를 실시하게 하는 것으로 송신자의 일상의 음성어와 음성제어 명령어의 음성을 비교하는 음성비교부의 일치여부에 따라 주제어부에서 음성제어 무전기를 제어한다.The voice control radio which realizes complete hands-free radio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adio by the voice after registering the voice recognition to the voice control radio by the voice control radio to communicate with the everyday voice using the voice control. In order to control the radio by activating the registered voice control command,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he voice control radio according to whether the voice comparator compares the voice of the sender's daily voice word with the voice control command. .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164U KR200283774Y1 (en) | 2002-03-19 | 2002-03-19 | The radio controlling the vo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164U KR200283774Y1 (en) | 2002-03-19 | 2002-03-19 | The radio controlling the vo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3774Y1 true KR200283774Y1 (en) | 2002-07-27 |
Family
ID=7311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8164U KR200283774Y1 (en) | 2002-03-19 | 2002-03-19 | The radio controlling the vo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3774Y1 (en) |
-
2002
- 2002-03-19 KR KR2020020008164U patent/KR20028377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22369A (en) | Communication process device and method therefor | |
US20030114202A1 (en) | Hands-free telephone system for a vehicle | |
US2005012523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arcon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
CN102483915A (en) | Tele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controlled functionality including walk-through pairing and voice-triggered operation | |
US7605742B2 (en) | Foldable remote controller | |
US20070281748A1 (en) | Method & apparatus for unlocking a mobile phone keypad | |
US6574341B1 (en) | Hand-free switch device for wireless intercom | |
KR200283774Y1 (en) | The radio controlling the voice | |
US2014005757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ve volume in a two-way radio system | |
CN101150798A (en) | Folding handheld device | |
US7826805B2 (en) | Automatic-switch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0335010Y1 (en) | Wireless Ear MIC equipped with the voice control function for two way radios | |
KR20080074449A (en) | Transmission and receiving method of a character message using bluetooth headse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
KR100724888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radio frequency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of mobile terminal | |
KR19990024488A (en) | Hands-free device for a vehicle phone | |
KR200397775Y1 (en) | The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 |
KR100298317B1 (en) | Communication method for portable phone | |
KR100684519B1 (en) | Voice recognition hands-free device for car audio and car audio having thereof | |
US20080064423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message transformation function | |
KR100399883B1 (en) | Voice cognition system for a cellular phone including voice cognition processor | |
KR101278408B1 (en) | Voice RecognitionModule for Wireless set | |
KR100722790B1 (en) | Pendent kitt equippted with a push-to-talk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0315201Y1 (en) | Voice recogntion function hand free | |
KR19990026918A (en) | TV set with wireless telephone | |
KR200164205Y1 (en) | Portable device of hands-free type ear-mic-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