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489Y1 -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489Y1
KR200283489Y1 KR2020020010434U KR20020010434U KR200283489Y1 KR 200283489 Y1 KR200283489 Y1 KR 200283489Y1 KR 2020020010434 U KR2020020010434 U KR 2020020010434U KR 20020010434 U KR20020010434 U KR 20020010434U KR 200283489 Y1 KR200283489 Y1 KR 200283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purifier
water
holder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평
이준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락
Priority to KR2020020010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489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돗물을 단계별로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필터의 장착에 따른 점유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기의 부피를 컴팩트하게 함과 아울러 필터의 교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한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을,
즉, 탁상에 올려 사용하게 된 하프형 정수기에 다단계로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하우징 내에 여과된 청정수가 저장되는 탱크를 중앙에 위치되게 하되 그 가장자리측 모서리 부위에 다수의 필터가 각각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홀더를 갖춘 지지판을 장착하고, 상기 각 홀더의 일측에는 홀더에 안착된 각각의 필터를 가요성을 가진 호스로 연결할 때 호스가 배관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되게 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개폐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수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각 필터를 교체할 때 상부측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함과 아울러 필터의 설치로 인한 점유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Filter support apparatus of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돗물을 단계별로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필터의 장착에 따른 점유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기의 부피를 컴팩트하게 함과 아울러 필터의 교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한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의 훼손과 공업화로 인하여 상수원의 수질이 저하되면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수돗물에 함유된 불순물을 여과하여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각 수돗물 수용가에서는 이른바 정수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용 정수기는 실내바닥에 기립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탁상에 올려 놓아 사용하게 된 하프형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 정수기의 내부에는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다단계로 여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필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스탠드형과 하프형 정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스탠드형 정수기(1)는 그 내부 공간이 비교적 여유로운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물의 여과와 저장 등의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설치가 용이한 반면, 상기 하프형 정수기(2)의 경우에는 스탠드형에 비해 내부 공간이 절반 정도에 불과하였으므로 비록 정수용량이 적은 용도를 전제로 하지만 그 내부에 물을 여과하는 필터와 물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의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하였다.
즉, 상기 각종 정수기에서 수시로 교환 및 A/S를 요구하는 다수개의 필터를 설치함에 있어서 스탠드형 정수기(1)의 경우에는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된 전면패널의 하부측에 다수의 필터(f)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전면패널을 개방할 경우 필터의 교체가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하프형 정수기(2)의 경우에는 냉온수가 저장되는 탱크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형성되는 극히 협소한 공간을 활용하여 다수의 필터(f)를 장착한 구조이므로 필터의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웠고 필터의 설치공간에 해당되는 많큼 기기의 부피가 전체적으로 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c는 "U타입"으로 된 정수기용 필터의 연결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정수기에 장착되어 있는 대부분의 필터는 기기의 구조적 특성상 입수구와 출수구가 필터의 상부측에 동시에 형성된 이른바 "U타입"으로 된 제품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입수구와 출수구가 필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I타입"의 필터를 사용할 수 없는 제약과 더불어 "I타입"에 비해 값이 고가이므로 교환에 따른 비용지출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탁상용 소형 정수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기적으로 교체를 필요로 하는 필터를 간편하게 교환함과 아울러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터가 안착되는 지지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어느 한 종류에 국한됨이 없이 여러 종류의 필터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탁상에 올려 사용하게 된 하프형 정수기에 다단계로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하우징 내에 여과된 청정수가 저장되는 탱크를 중앙에 위치되게 하되 그 가장자리측 모서리 부위에 다수의 필터가 각각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홀더를 갖춘 지지판을 장착하고, 상기 각 홀더의 일측에는 홀더에 안착된 각각의 필터를 가요성을 가진 호스로 연결할 때 호스가 배관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되게 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개폐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수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각 필터를 교체할 때 상부측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함과 아울러 필터의 설치로 인한 점유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스탠드형 정수기와 하프형 정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 및 사시도이고, 1c는 "U타입"으로 된 정수기용 필터의 연결예를 나타낸 사시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하프형 정수기에 장착된 필터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3a 및 3b는 상기 필터 지지장치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및 4b는 상기 필터 지지장치의 단면구성도와 필터가 안착된 상태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1 : 덮개
20 : 지지판 21 : 통공
30 : 홀더 31 : 통로
32 : 플랜지 33 : 통공
이하, 본 고안의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하프형 정수기에 장착된 필터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구성도 이고, 도 3a 및 3b는 상기 필터 지지장치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필터 지지장치의 단면구성도로서, 탁상용으로 사용하게 된 하프형 정수기의 몸체(10)내에 그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되게 하는 지지판(20)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1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의 중앙부위에는 여과된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하는 물탱크(T)와 이에 연결되는 각종 부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1)을 구비한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탱크(T)가 안착된 안착부를 중심으로 지지판(20)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다단계로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f)가 각각 수직으로 안착되는 홀더(3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 홀더(30)의 일측에는 홀더에 안착된 각각의 필터(f)를 호스(h)로 연결할 때 호스가 원활히 통과될 수 있도록 통로(31)가 형성되고, 홀더(30)의 하부측에는 필터(f)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호스가 통과되게 통공(33)이 구비된 플랜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판(2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는 홀더(30)는 용이하게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판(20)을 펀칭 가공한 홀에 끼워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정수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교체할 경우, 정수기 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지지판(20)의 홀더(30)에 안착된 필터(f)를 위로 들어 올려 이에 연결된 호스를 분리한 후 교체하게 된다.
또한 사각기둥 형태로 제작되는 정수기 몸체(1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원통상의 물탱크(T)를 중심으로 그 사방 모서리 부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필터를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기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각 홀더(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31)와 저면의 플랜지(32)에 구비된 통공(33)은 필터(f)의 하부에 구비된 입출수구를 호스(h)로 연결할 때 호스가 원활히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호스의 배관이 용이하며, 이러한 홀더(3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어느 한 종류의 필더에 국한됨이 없이 여러 종류의 필터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입출수구에 연결되는 호스의 배관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는 정수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각 필터를 교체할 때 상부측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교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필터의 설치로 인한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외관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므며 값이 저렴한 종류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도 있다.

Claims (1)

  1. 탁상용으로 사용하게 된 하프형 정수기의 몸체(1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덮개(11)가 결합되어 있되 몸체(10)의 내부에 그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되게 하는 지지판(2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20)의 중앙부위에 여과된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하는 물탱크(T)와 이에 연결되는 각종 부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1)을 구비한 안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물탱크(T)가 안착된 안착부를 중심으로 지지판(20)의 각 모서리 부위에 다단계로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f)가 각각 수직으로 안착되는 홀더(3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각 홀더(30)의 일측에는 홀더에 안착된 각각의 필터(f)를 호스(h)로 연결할 때 호스가 원활히 통과될 수 있도록 통로(31)가 형성되어 있되 홀더(30)의 하부측에 통공(33)이 구비된 플랜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KR2020020010434U 2002-04-08 2002-04-08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KR200283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34U KR200283489Y1 (ko) 2002-04-08 2002-04-08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34U KR200283489Y1 (ko) 2002-04-08 2002-04-08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489Y1 true KR200283489Y1 (ko) 2002-07-26

Family

ID=7307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434U KR200283489Y1 (ko) 2002-04-08 2002-04-08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4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76B1 (ko) * 2007-08-29 2009-09-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탈착가능한 일체형 하우징을 갖는 정수기 필터 시스템
KR102279332B1 (ko) 2021-03-26 2021-07-20 후지산 스프링스 주식회사 정수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76B1 (ko) * 2007-08-29 2009-09-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탈착가능한 일체형 하우징을 갖는 정수기 필터 시스템
KR102279332B1 (ko) 2021-03-26 2021-07-20 후지산 스프링스 주식회사 정수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20134156A (ko)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3489Y1 (ko)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CN207418424U (zh) 一种便于拆卸的家用式自来水过滤器
CN201111439Y (zh) 家用过滤净水器
CN210069975U (zh) 可更换过滤网组件的油烟处理装置及智能炒菜机
CN210631831U (zh) 一种侧吸式无烟净化器
CN214060217U (zh) 一种污水过滤收集装置
CN208047778U (zh) 一种挂壁式鱼缸过滤托盘架
CN2797349Y (zh) 饮水机专用净水器
CN207685930U (zh) 反渗透净水水槽
CN209957413U (zh) 一种智能型可多种安装方式的全屋无盐软净一体机
CN110681195B (zh) 一种智能一体化污水处理系统
CN214360623U (zh) 一种便于拆卸的壁挂式净水器
CN215490221U (zh) 一种可对室内气体净化的智能家具
CN207811418U (zh) 超滤净水水槽
CN219722034U (zh) 前置过滤器
CN208047779U (zh) 一种吸壁可漂浮式鱼缸过滤托盘架
CN108689525A (zh) 一种储水式净水器
CN218740506U (zh) 一种带漏斗污水处理分离设备
CN208516979U (zh) 一种家用壁挂式净水器
CN218686742U (zh) 一种水体细菌分离装置
CN212864423U (zh)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CN214634076U (zh) 一种具备进水口过滤功能的mvr蒸发器
CN215059845U (zh) 一种便于过滤和清洗的水龙头
CN210303701U (zh) 一种教学实验室用防异味的实验柜
CN214833169U (zh) 一种带有过滤装置的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