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376Y1 - 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 Google Patents

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376Y1
KR200283376Y1 KR2020020013116U KR20020013116U KR200283376Y1 KR 200283376 Y1 KR200283376 Y1 KR 200283376Y1 KR 2020020013116 U KR2020020013116 U KR 2020020013116U KR 20020013116 U KR20020013116 U KR 20020013116U KR 200283376 Y1 KR200283376 Y1 KR 200283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buoyancy
buoyancy body
fish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재풍
Original Assignee
전재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풍 filed Critical 전재풍
Priority to KR2020020013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37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376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물 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체를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낚시찌와 봉돌간의 중력-부력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봉돌(1)은, 낚싯줄과 낚시바늘을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10), 상기 와이어(10)에 부착된 납(20), 및 상기 와이어(10)의 둘레에 부착된 부력체(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봉돌(1)은, 예를 들어 상기 납(20)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에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상기 납(20) 사이에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하측 또는 상측에 상기 납(20)이 위치되고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상기 납(20)의 상하에 별도로 형성된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또는 상기 납(20)의 전체 둘레에 상기 부력체(30)가 피복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10)의 상하에 형성된 고리(11)는 개방형 고리(11B)를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having a buoyancy body having a buoyancy body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water and thus adjusting the gravity-buoyancy balance between the bobber and the boulder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buoyancy body. The pedest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re 10 for binding a fishing line and a fishing needle, a lead 20 attached to the wire 10, and a buoyancy body 30 attached to a circumference of the wire 10. ). The pedest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30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lead 20, and the buoyancy body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lead 20. Structu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ad 2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and the buoyancy body 3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30 form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lead 20 is located Alternatively, the buoyancy body 3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around the lead 20. Preferably, the ring 11 formed above and below the wire 10 may use an open ring 11B.

Description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기술분야)(Technology)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물 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낚시찌와 봉돌간의 중력-부력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buoyancy body having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so that the buoyancy body can adjust the gravity-buoyancy balance between the bobber and the ro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buoyancy body. It is about a fishing boulder.

(배경기술)(Background)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낚시용 봉돌은 바늘에 달린 미끼가 수중으로 가라앉도록 하는 중량을 제공함과 아울러, 부력체인 낚시찌와 수중에서 중력-부력의 균형상태를 유지하면서 물고기가 미끼를 먹는 동작에서 중력-부력의 균형이 이탈될 때, 낚시찌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낚시인들이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고 챔질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구의 하나이다.As is well known, fishing rods provide the weight to allow the bait attached to the needle to sink into the water, as well as gravity in the buoyant chain bobber and the water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buoyancy. When the balance of buoyancy is off, it is one of the fishing gear that allows the angler to move the fish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fish and determine the timing of the chamfer by moving the bobber.

도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낚시채비에서의 봉돌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action of the bondol in the general fishing tackle.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100)의 하단에는 바늘(110)이 부착된 봉돌(120)이 결속되고, 낚싯줄(100)의 중간에는 낚시찌(130)가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찌고무(131)에 고정된다. 이때, 봉돌(120)은 낚시찌(130)의 부력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되고, 낚시찌(13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낚시찌(130)의 찌톱(132)이 수면에서 약간 노출되도록 찌맞춤을 한다.As shown, the bottom of the fishing line 100 is bound to the rod 120 is attached to the needle 110,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100, fishing bobber 13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steaming rubber 131 to be fixed It is fixed. At this time, the bondol 120 is selected to have a weight that can balance the buoyancy of the bobber 130,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bobber 130 up and down the bobber 132 of the bobber 130 is slightly at the surface Tailor it to expose.

이런 찌맞춤에서 물고기가 바늘(110)에 있는 미끼(111)를 먹는 행동을 하게되면 봉돌(120)이 들어 올려지고, 이에 따라 낚시찌(130)와 봉돌(120) 사이의 중력-부력의 균형이 순간적으로 깨지면서 낚시찌(130)가 상승하게 되며, 낚시인은 이와 같은 낚시찌(130)의 상승을 어신(입질)으로 파악하고 챔질을 하여 고기를 낚게 된다.When this fish acts to eat the bait 111 in the needle 110, the rods 120 are lifted, and thus the balance of gravity-buoyancy between the bobber 130 and the rods 120 is increased. Instantly broken while fishing bobber 130 is raised, the fisherman grasping the rise of such a fishing bobber 130 as a fish (sieving) and chamfered to catch the meat.

따라서, 물고기의 입질이 낚시찌(130)의 움직임으로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봉돌(120)의 중량을 낚시찌(130)의 부력에 정확하게 맞추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mouth of the fish to be properly delivered by the movement of the bobber 130, the work of accuratel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rod 120 to the buoyancy of the bobber 130 must be preceded.

이상과 같은 봉돌의 기능에 따라, 봉돌은 미끼를 원하는 포인트에 정확하게 투척할 수 있고 낚시찌의 부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중량과 비중을 가지면서도 그 중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밖에 없으며, 납은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하면서도 그 가격이 저렴하여 오래 전부터 봉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According to Bongdol's function as described above, Bongdol has to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accurately throw the bait at the desired point and has a sufficient weight and specific gravity to offset the buoyancy of the bobber, Although lead meets the above conditions and is inexpensive,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boulder for a long time.

도3은 종래의 일반적인 봉돌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봉돌(120)은 상하에 각각 낚싯줄과 낚시바늘을 결속하기 위한 고리(122)가 형성된 와이어(121)와, 상기 와이어(121)의 둘레에 부착된 타원형 또는 유선형의 납(123)으로 구성되어 있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common bump. As shown, the conventional Bongdol 120 is a wire 121 is formed with a ring 122 for binding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ing needle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oval or streamlined lead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121 It consists of 123.

전술한 종래의 봉돌(120)을 사용하여 봉돌(120)과 낚시찌(130)의 중력-부력을 조절함에 있어서는, 우선 낚시찌의 부력보다 약단 더 무거운 봉돌을 부착한 후에 수중에서 중력-부력의 균형을 관찰하면서 니퍼(nipper)와 같은 공구로 봉돌(120)의 납을 조금씩 떼어 내면서 중력-부력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In adjusting the gravity-buoyancy of the bondol 120 and the bobber 130 by us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umper 120, first, a weight of heavier than the buoyancy of the bobber is attached, and then the balance of gravity-buoyancy in water is adjusted. Observing the balance of gravity-buoyancy while removing the lead of the pedestal 120 little by little with a tool such as a nipper.

그러나, 종래의 봉돌(120)에서는 중력-부력의 균형조절을 위해 상기와 같이 단단한 납을 조금씩 깎아 내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일 뿐만 아니라 니퍼와 같은 공구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또한 잘게 깎이어진 납이 인체에 접하게 되고 낚시터에 버려지게 됨에 따라, 납에 의한 인체손상과 환경오염이 우려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edestal 120, it is necessary to scrape off the hard lead little by little in order to balance the gravity-buoyancy, so the work is not only a very troublesome and troublesome work, but also requires a tool such as a nipper, and also finely chopped. As the shattered lea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is discarded in the fishing field, there is a concern about human dam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lead.

특히 작은 조각으로 버려지는 납이 덩어리로 버려지는 납에 비하여 환경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점을 생각할 때, 기존의 봉돌은 그 사용이 재고되어야 시점에 이르렀다. 그러면서도, 아직까지는 납을 대체할 수 있을 만한 새로운 소재의 봉돌은 제안되고 있지 않다.Particularly, given the fact that lead thrown into small pieces is much more likely to contaminate the environment than lead thrown into lumps, the existing Bongdol has only reached its point when its use is reconsidered. At the same time, no new material is currently proposed to replace lead.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낚시용 봉돌이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시찌와의 중력-부력 균형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납 조각 발생에 따른 인체 유해성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봉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ishing rods as described above, very easy to adjust the gravity-buoyancy balance with the bobber,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lead fragments It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the bumper that can be solved.

본 고안의 목적은, 부력이 작은 찌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봉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끼를 목적하는 위치에 보다 용이하게 투척할 수 있는 봉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estal that can more easily throw a bait at a desired position by allowing a relatively high weight of pedestal to be used even for a small buoyancy.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낚시용 봉돌들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exemplary fishing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낚시채비에 있어서 봉돌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bondol in fishing tackle,

도3은 종래 봉돌의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bondo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고안의 봉돌 2: 낚싯줄1: Bondol of the present invention 2: Fishing line

3: 낚시바늘 10: 와이어3: fishing needle 10: wire

11, 11A, 11B: 고리 20: 납11, 11A, 11B: Ring 20: Lead

30: 부력체30: buoyant body

본 고안에 따라, 부력체가 구비된 낚시용 봉돌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shing rod with a buoyancy body.

본 고안의 낚시용 봉돌은, 낚싯줄과 낚시바늘을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 상기와이어에 부착된 납, 및 상기 와이어에 부착된 부력체를 포함한다.Fishing rod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for binding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ing needle, the lead attached to the wire, and the buoyancy body attached to the wir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란, 물을 흡수하지 아니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아 수중에서 부상력을 받는 소재로 된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means a material that receives floating force in water because its specific gravity is lower than water without absorbing water.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봉돌은, 상기 납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에 상기 부력체가 위치되는 구조, 상기 납 사이에 상기 부력체가 위치되는 구조, 하측 또는 상측에 상기 납이 위치되고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부력체가 위치되는 구조, 상기 납의 상하에 별도로 형성된 상기 부력체가 위치되는 구조, 또는 상기 납의 전체 둘레에 상기 부력체가 피복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u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lead,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positioned between the lead, the lead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and the buoyancy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ieve is position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form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lead is positioned, or the buoyancy body is coated i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lead.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의 상하에 형성된 고리는 개방형 고리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ing formed above and below the wire may be an open rin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fishing rod with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fishing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낚시용 봉돌들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exemplary fishing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봉돌(1)은 종래의 봉돌과 마찬가지로 와이어(10)와 납(2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As shown, the pedest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the wire 10 and lead 20 as in the conventional pedestal.

상기 와이어(10)의 상하에는 종래의 봉돌과 마찬가지로 각각 낚싯줄과 낚시바늘(즉, 낚시바늘의 목줄)을 결속하기 위한 고리(11)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re 10, a hook 11 is formed to bind a fishing line and a fishing needle (that is, a neck of a fishing needle), respectively, like the conventional bar stones.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와이어(10)에는 납(20)과 함께 부력체(30)가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부력체(30)라 함은, 물을 흡수하지 아니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아서 수중에 투입되었을 때 부상력 받는 소재로 된 것을 의미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10 is attached to the buoyancy body 30 together with the lead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30 means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floated when it is put in water because its specific gravity is lower than water without absorbing water.

상기 부력체(30)의 소재로서는,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요건을 갖춘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각종 발포수지를 포함한 각종 합성수지,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실리콘, 방수 처리한 목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비중인 낮으면서 칼이나 니퍼로 손쉽게 깎아 내거나 잘라 낼 수 있는 연질 소재가 바람직하고, 손으로도 잘나 낼 수 있을 정도의 연질 소재이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buoyancy body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basically meets the above requirements. For example, various synthetic resins including various foamed resins, natural or synthetic rubber, silicone, waterproof wood, and the like may be used. In this case, a soft material which is as low as possible and can be easily cut or cut with a knife or nipper is preferable, and a soft material that can be easily cut by hand may be more preferable.

상기 부력체(30)를 와이어(10)에 부착하는 위치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중앙에 위치하는 납(20)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에 부력체(30)를 위치시켜 봉돌(1)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유선형)이 되도록 한 구조(도1의 A 참조); 상하의 납(20) 사이에 부력체(30)를 위치시켜 봉돌(1)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이 되도록 한 구조(도1의 B 참조); 하측 또는 상측에 타원반구형의 납(20)을 위치시키고 상측 또는 하측에 타원반구형의 부력체(30)를 위치시켜 봉돌(1)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이 되도록 한 구조(도1의 C 참조), 타원형의 납(20)의 상하에 별도의 부력체(30)를 위치시킨 구조(도1의 D 참조); 납(20)의 전체 둘레를 타원형의 부력체(30)로 피복한 구조(도1의 E);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osition at which the buoyancy body 30 is attached to the wir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30 is elliptical (wired) as a whole by placing the buoyancy body 30 above and below with the lead 20 positioned in the center (see A in FIG. 1); A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eads 20 so that the pedestal 1 is generally oval (see FIG. 1B); Ellipsoidal hemispherical lead 20 on the lower side or upper side and ellipsoidal hemisphere buoyancy body 30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so that the pedestal 1 becomes entirely oval (see FIG. 1C), elliptical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buoyancy body 30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lead 20 (see FIG. 1D);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lead 20 is coated with an elliptical buoyancy body 30 (FIG. 1E); Or the like.

물론, 납(20)과 부력체(30)를 합한 봉돌(1)의 전체 비중이 물의 비중보다 커야 함은, 낚시채비에 있어서의 봉돌의 기능에 비추어 당연하다.Of course, it is natural in light of the function of the pedestal in the fishing gear that the total specific gravity of the pedestal 1 which combined the lead 20 and the buoyancy body 30 should be larg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도1에서 A, B, C, 및 E는 와이어(10)의 고리(11)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폐쇄고리(11A)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의 D는 본 고안자가 개발하여 '끼움봉돌'의 명칭으로 등록 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21750호의 개방형 고리(11B)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후자의 개방형 고리(11B)를 적용한 와이어(10)가 사용되는 경우 봉돌(1)에 낚싯줄과 낚시바늘을 결속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A, B, C, and E in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onventional general closed loop 11A is applied as the ring 11 of the wire 10, and D in Fig. 1 is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and is fitted. I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pen ring (11B)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21750 registered under the name of 'Bongdol'. When the wire 10 to which the latter open ring 11B is applied is used, it is advantageous to bind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ing needle to the rod 1.

이상에서 설명한 부력체(30)가 구비된 본 고안의 봉돌(1)은, 상기 부력체(30)의 작용으로 기존에 납으로만 된 봉돌에 대비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작용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udol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the buoyancy body 30, the buoyancy body 30 is to act in the following action effects as compared to the existing lead-only buddol. .

첫째, 본 고안의 봉돌(1)을 적용하면, 봉돌과 낚시찌의 중력-부력 균형조절이 매우 용이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납을 깎아 내어 봉돌의 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중력-부력의 균형을 조절하였지만, 본 고안의 봉돌(1)은 납보다 다루기 쉬운 부력체(30)를 잘라 내어 봉돌의 부력을 감소시키는 원리로 중력-부력의 균형을 조절하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중력-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First, by applying the Bongdo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asy to adjust the gravity-buoyancy balance of Bongdol and fishing bobb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by adjusting the gravity-buoyancy balance by cutting the lead and reducing the gravity of the pedestal, the pedest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cuts out the buoyancy body 30, which is easier to handle than the lead, and thus the buoyancy of the pedestal. Since the principle of reducing the gravity-buoyancy balance is adjusted, the gravity-buoyancy can be adjusted more easily.

둘째, 본 고안의 봉돌(1)을 적용하면, 납 조각 발생에 의한 인체손상이나 환경오염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봉돌(1)은 그 중력-부력 균형조절 과정에서 납 대신에 앞서 예시한 합성수지(발포수지), 천연 및 합성 고무, 실리콘, 목재 등의 조각이 발생하고 벼려지게 되므로, 인체손상이나 환경오염 문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Second, by applying the Bongdo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prevent human damage or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generation of lead fragments. That is, in the gravity-buoyancy balanc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ece of synthetic resin (foamed resin), natural and synthetic rubber, silicone, wood, etc., instead of lead in the process of gravity-buoyancy balance process is generated and forged, Dam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셋째, 본 고안의 봉돌(1)을 적용하면, 동일한 부력의 낚시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봉돌(1)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미끼 투척이 용이하다.Third, by applying the Bongdo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relatively heavy Bongdol (1) for fishing bobber of the same buoyancy, it is easy to throw bait.

낚시인들 사이에는 입질에 대해 보다 민감하게 찌가 움직이도록 하려면 부력이 작은 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찌의 부력이 작으면 이에 대응하여 봉돌의 중량도 낮추어야 하고, 봉돌의 중량이 낮아지면 봉돌이 날아가면서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되고 또한 멀리 던지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미끼를 원하는 포인트에 정확하게 투척하기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긴 낚싯대를 사용할 때에는 실질적으로 부력이 작은 찌는 사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Among the anglers, it is widely known to use a small buoyancy bobber to make the bobber move more sensitively to the mouth. However, if the buoyancy is small, the weight of the pedestal should be reduced accordingly. If the weight of the pedestal is low, the pedestal will be affected by the wind as it flies, and it will be difficult to throw the bait more accurately. Becomes difficult. Therefore, when using a long fishing rod,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steaming which is substantially small buoyancy.

본 고안의 봉돌(1)은, 종래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납(20)을 사용하여 봉돌(1)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상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먼 거리의 원하는 포인트로 미끼를 용이하게 투척할 수 있으면서도, 일단 수중으로 들어간 이후에는 부력체(30)가 납(20)의 물속에서의 중량을 상쇄시키게 되므로, 그 만큼 작은 부력의 낚시찌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ondo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latively heavy lead (20) in the light of the prior art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pedestal (1) to easily throw the bait to the desired point of a long distance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wind on the ground Even though it is possible, since once the buoyancy body 30 to offset the weight of the lead 20 in the water after entering the water, it is possible to use a small float buckle.

넷째, 본 고안의 봉돌(1)을 적용하면, 미끼가 수중에서 보다 천천히 가라앉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urth, by applying the pedest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bait sinks more slowly in the water.

낚시인들 사이에는 투척된 미끼가 가능하면 천천히 가라앉는 것이 물고기의 유인에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분할봉돌 등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의 영향과 투척거리 등의 문제로 긴 낚싯대나 릴낚시에는 분할봉돌을 적용하기 어렵다.Among the anglers, it is known that the thrown bait, if possible, sinks as slowly as possible, which is preferable for attracting fish.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plit bar to long fishing rods or reels for fishing due to wind effects and throwing distance.

본 고안의 봉돌(1)을 적용하면, 지상에서는 고중량으로 작용하여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고 투척거리를 멀리 할 수 있으면서도 수중에서는 부력체(30)의 부력에 의해 그 하강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By applying the pedest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cting as a heavy weight on the ground can be less affected by the wind and the throwing distance, while underwater can be delayed the descent speed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30) .

이상 본 고안을 설명하면서 봉돌에 중량을 제공하는 고비중의 소재로서 납(20)을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극히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동(구리)과 같은 다른 고비중의 소재가 납 대신에 사용되는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됨은 당연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lead 20 is used as a high-weight material that provides weight to a bump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other high-weight materials such as copper (copper), which are used in very few parts, are used instead of lead. Naturally, it is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봉돌(1)에 의하면, 낚시찌와의 중력-부력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중력-부력 조절과정에서 납 조각을 전혀 발생시키지 아니하므로, 납 조각에 의한 인체 유해성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ngdo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very easy to adjust the gravity-buoyancy with the bobber, and does not generate any pieces of lead in the process of gravity-buoyancy adjustment, human harmfuln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lead fragments Can solve the problem.

또한 본 고안의 봉돌(1)에 의하면, 동일한 부력의 낚시찌에 대하여 종래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납(20)을 사용하여 봉돌(1)의 중량을 증가시켜도 중력-부력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부력이 작은 낚시찌를 사용하면서도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먼 거리의 원하는 포인트로 미끼를 용이하게 투척할 수 있고, 부력체(30)의 부력에 의해 낚시찌의 하강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edest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eight of the pedestal (1) by using a relatively heavy lead 20 in the light of the conventional buoyancy of the same buoyancy can maintain the gravity-buoyancy balance, By using a small float as a buoyancy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the wind can be easily throwing the bait to a desired point of a long distance,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30 can delay the rate of descent of the bobber.

Claims (3)

낚싯줄과 낚시바늘을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10), 상기 와이어(10)에 부착된 납(20), 및 상기 와이어(10)의 둘레에 부착된 부력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 10 for binding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ing needle, lead 20 attached to the wire 10, and buoyancy body 30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wire 10, Fishing rods with buoyancy bod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20)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에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상기 납(20) 사이에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하측 또는 상측에 상기 납(20)이 위치되고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상기 납(20)의 상하에 별도로 형성된 상기 부력체(30)가 위치되는 구조, 또는 상기 납(20)의 전체 둘레에 상기 부력체(30)가 피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buoyancy body 30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lead 20, and the buoyancy body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lead 20, lower side or upper side. The lead 20 is locat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30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body 30 form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lead 20 is located, or the lead 20 Fishing rods with a buoyancy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body 30 has a structure covered with the entire circumferen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의 상하에 형성된 고리(11)는 개방형 고리(1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The fishing rod with buoyancy body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11) formed above and below the wire (10) is an open ring (11B).
KR2020020013116U 2002-04-30 2002-04-30 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KR20028337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16U KR200283376Y1 (en) 2002-04-30 2002-04-30 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16U KR200283376Y1 (en) 2002-04-30 2002-04-30 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376Y1 true KR200283376Y1 (en) 2002-07-26

Family

ID=7307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16U KR200283376Y1 (en) 2002-04-30 2002-04-30 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37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970B1 (en) * 2013-07-15 2015-01-21 오세호 Fishing lure and fishing sinker for carrying the same at a floor point
KR101556764B1 (en) * 2013-07-15 2015-10-15 오세호 Fishing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970B1 (en) * 2013-07-15 2015-01-21 오세호 Fishing lure and fishing sinker for carrying the same at a floor point
KR101556764B1 (en) * 2013-07-15 2015-10-15 오세호 Fishing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830A (en) Artificial fishing l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745700A (en) Fishing lure
JP6721660B2 (en) Fishing gear for cephalopod fishing
KR20140000661U (en) Artificial Bait for Boat Fishing
KR101882086B1 (en)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US20080289244A1 (en) Fishing lure having an action halo
KR200283376Y1 (en) Fishing Weight Having Buoyant Body
KR20210000674U (en) Adjustable Fishing Float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KR101407741B1 (en) A fishing float
RU189761U1 (en) ARTIFICIAL FISHING LURE
US4890410A (en) Automatic fishing hook setting device
CN209403347U (en) A kind of parent&#39;s shrimp collection device
US2877594A (en) Interchangeable fishing float and sinker
KR200370603Y1 (en) Stick type holl float
JP2000224946A (en) Attracting bait cage for fishing use
US2803916A (en) Fish lure
CA1287211C (en) Diving plug fish lure
KR102344040B1 (en) Eco-friendly Fishing tackle
JP3239958U (en) fishing equipment
KR20190118449A (en) Artificial Bait for Fishing
Nair Hand-jigging for cuttlefish at Vizhinjam with a note on modern squid jigging
JP2012175939A (en) Method of controlling posture-state change of lure and weight adjustment spindle
JP2024028265A (en) fishing gear with moving bait
KR200412966Y1 (en)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