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166Y1 -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166Y1
KR200283166Y1 KR2020020012760U KR20020012760U KR200283166Y1 KR 200283166 Y1 KR200283166 Y1 KR 200283166Y1 KR 2020020012760 U KR2020020012760 U KR 2020020012760U KR 20020012760 U KR20020012760 U KR 20020012760U KR 200283166 Y1 KR200283166 Y1 KR 200283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heating
heating wire
heat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돌산업
Priority to KR2020020012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166Y1/ko
Priority to AU2003235614A priority patent/AU2003235614A1/en
Priority to PCT/KR2003/000080 priority patent/WO2003059099A1/en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맥반석, 황토흙, 옥돌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거나 또는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은 전열선을 만든 후 이를 조끼의 내외피 사이에 삽입하여 봉제(또는 접착)처리할 때, 그 삽입된 전열선을 건강증진에 유익한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을 양면에 도포시킨 양면테이프로 1차 감싸고, 그 양면테이프의 위로는 열손실방지재가 코팅된 보조안감을 적층시키며, 보조안감의 위 즉, 보조안감과 외피 사이에는 조끼와 인체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고발포성의 스폰지를 적층시킨 후 각 전열선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끼의 내외피는 물론 각 적층재료를 봉제(또는 접착) 처리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서, 전열선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이 조끼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 온도가 낮은 냉장창고 또는 겨울철에 조끼 착용자의 체온이 항상 따뜻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는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Prevention structure for heating a leakage the protection against cold of possibility laundry a electric heat waistcoat}
본 고안은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맥반석, 황토흙, 옥돌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거나 또는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은 전열선을 만든 후 이를 조끼의 내외피 사이에 삽입하여 봉제(또는 접착)처리할 때, 그 삽입된 전열선을 건강증진에 유익한 재료(예;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를 양면에 도포시킨 양면테이프로 1차 감싸고, 그 양면테이프의 위로는 열손실방지재가 코팅된 보조안감을 적층시키며, 보조안감의 위 즉, 보조안감과 외피 사이에는 조끼와 인체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고발포성의 스폰지를 적층시킨 후 각 전열선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끼의 내외피는 물론 각 적층재료를 봉제(또는 접착) 처리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열선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이 조끼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 온도가 낮은 곳(예; 냉장창고 또는 겨울철)에서 조끼 착용자의 체온이 항상 따뜻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는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이나 전기담요 등의 전열제품은 발열체가 내장되어 있는데, 상기 발열체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이러한 전열제품은 통상 발열체가 하나의 열선으로 되어 그 열선을 교류전원에 꽂은 상태에서 온도조절기를 통해 온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열제품은 교류전원을 이용하므로서 조끼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여 이동하는 휴대용 제품에는 그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조끼는 많은 사람들이 낚시를 하거나 또는 여행을 갈때 그 착용이 간편하여 많이 애용하는 의류로서, 이러한 조끼의 경우 종래에는 방한의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에는 조끼를 착용할 때 어느정도의 보온기능이 부여될수 있도록 소재의 내부에 털을 넣거나 또는 내피면에 털을 식모시키거나 또는 조끼에 별도의 주머니를 만든 후 그 주머니에 보온팩을 넣어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종래의 조끼에는 열선을 내장하여 보온기능을 한층 강화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열선의 경우에는 겨울철뿐만 아니라 직업적인 특성에 의해 항상 영하의 온도(예; 냉동이나 냉장창고 등)에서 생활하는 착용자에게도 유익한 보온성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조끼에 적용되는 열선의 경우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바, 이로인하여 전력소모량이 많아지면서 그 사용시간이 짧아질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열선에 의한 유해파 방출로 인하여 인체의 원기를 약화시켜 보온기능을 강화하는 특징이 있는 반면, 각종 유해 전자파로 부터 인체를 보호하지못하는 단점을 함께 내포하고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열선이 내장된 종래 조끼의 경우 조끼가 더러워지거나 또는 표면에 여러가지의 얼룩지는 경우, 그 세탁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 열선을 내장한 방한용 조끼의 경우 열선의 외부노출을 완전 차단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차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조끼를 세탁할 경우 열선의 합선이 발생하는 등, 종래에는 열선을 내장한 조끼가 더러워지더라도 이를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내장된 열선을 모두 조끼로 부터 분리 가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종래에는 열선을 조끼에 내장하지 않고 그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서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끼에 열선을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조는, 열선의 발열에 따른 온도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수 있도록 2002년 1월 15일과 2002년 3월 14일자로 각각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조끼"에 관련한 특허와 실용신안을 출원하였는 바, 본 고안은 이의 개량 특허 이다.
즉, 본 고안은 맥반석, 황토흙, 옥돌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거나 또는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은 전열선을 만든 후 이를 조끼의 내외피 사이에 삽입하여 봉제(또는 접착)처리할 때, 그 삽입된 전열선을 건강증진에 유익한 재료(예;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를 양면에 도포시킨 양면테이프로 1차 감싸고, 그 양면테이프의 위로는 열손실방지재가 코팅된 보조안감을 적층시키며, 보조안감의 위 즉, 보조안감과 외피 사이에는 조끼와 인체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고발포성의 스폰지를 적층시킨 후 각 전열선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끼의 내외피는 물론 각 적층재료를 봉제(또는 접착) 처리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서, 전열선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이 조끼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 온도가 낮은 곳(예; 냉장창고 또는 겨울철)에서 조끼 착용자의 체온이 항상 따뜻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는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조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덮개에 의한 제 1 연결플러그의 밀봉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1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주머니 2 ; 전열선
2a; 피복재 2b; 열선
3 ; 전선 4 ; 절연체
5 ; 제 1 연결플러그 10; 제 1 연결잭
11; 제 2 연결잭 20; 제어패널
21; 작동스위치 22; 전원잔량표시부
31; 제 2 연결플러그 40; 밴드조임부
50; 내피 51; 외피
60; 밀봉용 덮개 80; 보조안감
100; 전열조끼 200,200'; 제 1,2 밧데리
300; 끈 400; 양면테이프
401; 스폰지 500; 유동방지선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조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덮개에 의한 제 1 연결플러그의 밀봉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1의 C-C선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충방전용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를 각각 수납하는 주머니(1)(1')를 가지면서 전면 및 후면에는 전열선(2)을 전선(3)으로 병렬 연결시킨 후, 외부 노출된 전열선(2)으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전열선(2)과 전선(3)의 접속부위(A)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체(4)로 피복처리하며, 전면에 위치하는 전열선(2)에는 제 1 연결플러그(5)를 외부 노출되게 구성한 전열조끼(100)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2)은 맥반석, 황토흙, 옥돌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재(2a)로 열선(2b)을 덮도록 구성하여 조끼의 내외피 사이에 삽입하되,
상기 전열선(2)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재료(예;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를 양면에 도포시킨 양면테이프(400)로 감싸고,
상기 양면테이프(400)의 위로는 전열선(2)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피(51)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열조끼(100)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도록 열손실방지재가 코팅된 보조안감(80)을 적층하며,
상기 보조안감(80)의 위 즉, 보조안감(80)과 외피(51)의 사이에는 전열조끼(100)와 인체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면서 외부 누설이 방지된 전열선(2)의 열이 인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시키도록 고발포성의 스폰지(401)를 적층하고,
상기 전열조끼(100)의 세탁시 전열선(2) 및 전선(3)의 유동을 방지시키면서 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세탁후 제품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전열선(2)을 중심으로 적층된 전열조끼(100)의 내외피(50)(51)는 물론 양면테이프(400)와 보조안감(80) 및 스폰지(401)의 양단은 접착제 또는 실로 봉제처리된 유동방지선(50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10은 제 1 연결플러그(5)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전열선(2)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연결잭을 도시하고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1은 전원공급 제어용 제 2 연결잭(11)을 도시하고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0은 전열선(2)으로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온/오프되는 작동스위치(21)와 제 1 및 제 2밧데리(200)(200')의 충방전상태를 착용자가 확인할수 있도록 전원잔량표시부(인디케이터)(22)를 포함하는 제어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31은 제어패널(20)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제 2 연결잭(11)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 2 연결플러그(31)를 도시하고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40은 전열조끼(100)의 어깨 및 옆구리 부위에 형성된 밴드조임부로서, 이는 조끼와 신체의 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길이 가변이 가능한 일자형을 이루도록 하였다.
여기서,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열조끼(100)의 내외피(50)(51)는 전열선(2)의 발열작용이 이루어질 때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황토로 염색처리하였다.
더불어, 상기 제 1 연결플러그(5)에는 전열조끼(100)의 세탁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연결플러그(5)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끈(300)으로 연결된 밀봉용 덮개(60)를 연결하여 두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열조끼(100)의 어깨 및 옆구리 부위에는 조끼와 신체의 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밴드조임부(4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전열조끼(100)의 내외피(50)(51)는 황토로 염색처리하여 둔다.
그리고, 맥반석, 황토흙, 옥돌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재(2a)로 열선(2b)을 덮도록 전열선(2)을 구성한 후, 이를 상기 전열조끼(100)의 내외피(50)(51) 사이에 삽입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내외피(50)(51)에 염색처리된 황토는 전열선(2)의 발열작용이 이루어질 때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전열선(2)을 대략 50㎝의 길이로 절단한 후, 상기 전열선(2)의 양끝단에는 열선이 약간 외부 노출되도록 피복재를 벗긴다.
이때, 상기 전열선(2)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을 양면에 도포시킨 양면테이프(400)로 감싼 후, 상기 양면테이프(400)의 위로는 열손실방지제가 코팅된 보조안감(80)을 적층시키고, 상기 보조안감(80)의 위 즉, 상기 보조안감(80)과 외피(51)의 사이에는 고발포성의 스폰지(401)를 적층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열선(2)을 중심으로 적층된 전열조끼(100)의 내외피(50)(51)는 물론 양면테이프(400)와 보조안감(80) 및 스폰지(401)의 양단은 접착제 또는 실로 봉제처리된 유동방지선(500)을 형성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유동방지선(500)은 전열조끼(100)의 세탁시 전열선(2) 및 전선(3)의 유동을 방지시켜 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함은 물론, 전열조끼(100)의 세탁 후 제품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전열선(2)으로 부터 피복재(2a)가 벗겨진 전열선(2)의 끝단부위에 전선(3)을 접속하면, 상기 전선(3)의 접속으로 부터 다수개의 전열선(2)은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선(3) 또한 전열조끼(100)내에 내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선(3)과 전열선(2)의 접속부위(A)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체(4)로 완전 밀폐되게 피복시켜 상기 접속부위(A)를 완전하게 방수처리한 후, 상기 전열선(2)은 물론 전선(3)과 절연체(4)의 주변을 봉제(또는 접착)처리하여 그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열조끼(100)의 주머니(1)(1')에는 그 분리가 가능하도록 충방전용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를 수납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에는 각각 제 1 연결잭(1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 1 밧데리(200)에는 전원공급 제어용 제 2 연결잭(11)을 연결하여 둔다.
더불어, 전열조끼(100)의 전면에 내장된 복수개의 전열선(2)에는 상기 제 1 연결잭(10)과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의 전원을 각 전열선(2)으로 공급하도록 제 1 연결플러그(5)를 외부 노출되게 연결하여 둔다.
한편, 상기 전열선(2)으로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온/오프되는 작동스위치(21)와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의 충방전상태를 착용자가 확인할수 있도록 전원잔량표시부(22)를 포함하는 제어패널(20)을 외장형으로 구성한 후, 상기 제어패널(20)에는 제 2 연결잭(11)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 2 연결플러그(31)를 일체로 연결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플러그(31)를 제 2 연결잭(11)과 접속한 후 사용자가 전열조끼(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어패널(20)에 구성된 작동스위치(21)를 온 시키면, 상기 작동스위치(21)의 온 스위칭으로 부터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에 충전된 전원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제 1 연결잭(10)과 제 1연결플러그(5)를 통해 전선(3)으로 병렬 연결된 각 전열선(2)에 공급되는 바,
상기 전열선(2)은 공급된 전원으로 부터 가열동작하여 전열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야외(특히 겨울철)나 기타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장소(예; 냉장 및 냉동창고 등)에서 따뜻한 체온을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열조끼(100)의 내외피(50)(51)는 황토로 염색처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열선(2)의 발열작용이 발생할 때, 상기 내외피(50)(51)는 건강증진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 습진 및 냄새 제거의 효과와 땀 조절 기능 및 전열조끼(100)의 통풍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전열조끼(100)의 어깨 및 옆구리 부위에는 밴드조임부(4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밴드조임부(40)의 조임동작으로 부터 전열조끼(100)와 신체의 밀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므로서, 상기 전열선(2)의 발열에 따른 열기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면서 그 보온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패널(20)에는 전원잔량표시부(22)가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전원잔량표시부(22)는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의 충방전상태를 착용자가 외부에서 보다 쉽게 확인할수 있도록 표시하므로서, 전열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의 방전상태를 확인하면서 그 교체를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전열선(2)을 감싸고 있는 양면테이프(400)의 표면에는 건강증진에 유익하도록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재료 즉,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이 도포되어 있는 바,
상기 양면테이프(400)에 도포된 각 재료들은 전열선(2)의 발열이 이루어질 때 전열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건강증진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더불어, 상기 양면테이프(400)의 위로 적층되도록 열손실방지재가 코팅된 보조안감(80)은, 전열선(2)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피(51)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는 바,
상기 전열조끼(100)를 착용할 때 그 보온성은 보다 극대화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안감(80)과 외피(51)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발포성 스폰지(401)의 경우, 전열조끼(100)와 인체의 접촉이 보다 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는 바, 상기 보조안감(80)으로 부터 외부 누설이 방지된 전열선(2)의 열은 인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열조끼(100)의 장기간 착용으로 부터 전열조끼(100)의 표면이 더러워지거나 또는 이물질에 의한 얼룩 등이 묻어 그 세탁이 필요할 경우, 먼저 전열선(2)에 일체로 연결된 제 1 연결플러그(5)로 부터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에 연결된 제 1 연결잭(10)을 분리시킨다.
이후, 상기 제 1 밧데리(200)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연결잭(11)으로 부터 제어패널(20)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연결플러그(31)를 분리시켜, 상기 제어패널(20)을 제 1 밧데리(200)로 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잭(10)은 물론, 전열조끼(100)의 각 주머니(1)(1')에 수납된 제 1 및 제 2 밧데리(200)(200')를 전열조끼(100)로 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전열조끼(100)에는 전열선(2)과 제 1 연결플러그(5)만이 남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플러그(5)에는 끈(300)으로 밀봉용 덮개(60)가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밀봉용 덮개(60)를 제 1 연결플러그(5)에 체결하여 완전 밀봉시키면, 상기 전열조끼(100)의 세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열조끼(100)를 세탁기에 넣어 세탁하는 경우, 상기 전열조끼(100)에 내장된 전열선(2)과 전선(3)은 전열조끼(100)의 구겨짐이 발생하더라도 그 주변의 봉제(또는 접착)선에 의해 움직임 방지되고, 더불어 상기 전열선(2)과 전선(3)의 접속부위(A)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체(4)에 의해 완전 방수처리되며, 상기 제 1 연결플러그(5)는 밀봉용 덮개(60)에 의해 완전 밀봉이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전열조끼(100)를 세탁할 때 그 세탁물이 열선이나 제 1 연결플러그(5)에 묻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되면서 전열선(2)을 내장한 전열조끼(100)의 세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작동스위치(21)와 전원잔량표시부(22)를 갖는 제어패널(20)은 제 1 밧데리(200)와 유선을 통해 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지만, 무선방식으로도 그 연결이 이루어질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밧데리(200)에는 제어패널(20)로 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둠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맥반석, 황토흙, 옥돌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거나 또는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은 전열선을 만든 후 이를 조끼의 내외피 사이에 삽입하여 봉제(또는 접착)처리할 때, 그 삽입된 전열선을 건강증진에 유익한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을 양면에 도포시킨 양면테이프로 1차 감싸고, 그 양면테이프의 위로는 열손실방지재가 코팅된 보조안감을 적층시키며, 보조안감의 위 즉, 보조안감과 외피 사이에는 조끼와 인체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고발포성의 스폰지를 적층시킨 후 각 전열선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끼의 내외피는 물론 각 적층재료를 봉제(또는 접착) 처리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서, 전열선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이 조끼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 온도가 낮은 곳에서 조끼 착용자의 체온이 항상 따뜻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충방전용 제 1,2 밧데리를 주머니에 수납하면서 전후면에 전열선을 전선으로 병렬 연결하고, 외부 노출된 전열선과 전선의 접속부위는 절연체로 피복처리하며, 전면의 전열선에는 제 1 연결플러그를 외부 노출되게 구성한 전열조끼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맥반석, 황토흙, 옥돌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재로 열선을 덮도록 구성하여 조끼의 내외피 사이에 삽입하되,
    상기 전열선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흙가루, 맥반석가루, 옥돌분말, 숯가루 등을 양면에 도포시킨 양면테이프로 감싸고,
    상기 양면테이프의 위로는 전열선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피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열조끼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도록 열손실방지재가 코팅된 보조안감을 적층하며,
    상기 보조안감의 위 즉, 보조안감과 외피의 사이에는 전열조끼와 인체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면서 외부 누설이 방지된 전열선의 열이 인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시키도록 고발포성의 스폰지를 적층하고,
    상기 전열조끼의 세탁시 전열선 및 전선의 유동을 방지시키면서 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세탁후 제품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전열선을 중심으로 적층된 전열조끼의 내외피는 물론 양면테이프와 보조안감 및 스폰지의 양단은 실로 봉제(또는 접착)처리된 유동방지선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KR2020020012760U 2002-01-15 2002-04-26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KR200283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60U KR200283166Y1 (ko) 2002-04-26 2002-04-26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AU2003235614A AU2003235614A1 (en) 2002-01-15 2003-01-15 Washable electric heating garment and electric heating device thereof
PCT/KR2003/000080 WO2003059099A1 (en) 2002-01-15 2003-01-15 Washable electric heating garment and electric heating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60U KR200283166Y1 (ko) 2002-04-26 2002-04-26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920A Division KR20030084276A (ko) 2002-01-15 2002-04-26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166Y1 true KR200283166Y1 (ko) 2002-07-26

Family

ID=7307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760U KR200283166Y1 (ko) 2002-01-15 2002-04-26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053B1 (ko) * 2016-04-14 2018-03-30 이지원 반도체를 이용한 온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053B1 (ko) * 2016-04-14 2018-03-30 이지원 반도체를 이용한 온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3895A1 (en) Heater jacket
JP3177287U (ja) 全天候型電熱保温ウェア
KR20100098787A (ko) 발열 양말
US7288110B1 (en) Heater device for heating a user's hands and feet
KR200283166Y1 (ko)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US11950646B2 (en) Hand warmer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KR20030084276A (ko)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의 열 누설 방지구조
KR200279688Y1 (ko)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
WO2003059099A1 (en) Washable electric heating garment and electric heating device thereof
KR200273044Y1 (ko)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
KR200291447Y1 (ko) 세탁이 가능한 제품의 전열구조
KR20020019489A (ko)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
KR200436801Y1 (ko) 배꼽 단전 온열용 벨트
KR200279700Y1 (ko) 온열 조끼
KR200483106Y1 (ko) 골프용 보온 토시
CN219719798U (zh) 一种使用叠加态材料的外套
CN213550043U (zh) 一种电热式羽绒靴
KR20040000692A (ko) 세탁이 가능한 제품의 전열구조
KR200342616Y1 (ko) 전열조끼를 포함하는 방한겉옷
CN213045237U (zh) 一种护手棉服
KR101940654B1 (ko) 발열 장갑
KR200356410Y1 (ko) 전열 피씨엠팩을 이용한 보온조끼
KR102623606B1 (ko) 다기능 온열수단
KR200353738Y1 (ko) 전열장치가 내장된 보온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