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147Y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147Y1
KR200282147Y1 KR2020020011632U KR20020011632U KR200282147Y1 KR 200282147 Y1 KR200282147 Y1 KR 200282147Y1 KR 2020020011632 U KR2020020011632 U KR 2020020011632U KR 20020011632 U KR20020011632 U KR 20020011632U KR 200282147 Y1 KR200282147 Y1 KR 200282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rail
concav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태
Original Assignee
노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태 filed Critical 노성태
Priority to KR202002001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14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측벽에 상하로 형성되는 레일을 각각 가지는 제 1 용기체와 제 2 용기체를 포함하며, 용기체들의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은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레일이고, 나머지 레일은 오목 레일에 끼워지도록 오목 레일의 단면에 부합하는 단면을 가지고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Receptacle}
본 고안은 둘 이상의 용기체를 가지면서 필요에 따라 용기체들을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패스트푸드(fast-food) 음식점이 크게 늘어나고 또한 야외 할동이 활발해지면서 패스트푸드 음식점에서 구입한 음식을 음식점 바깥으로 가지고 나가서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먹는 경우가 크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소위 테이크아웃(take-out)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테이크아웃의 경우 통상 2 내지 4 종류의 음식물이나 음료를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먹을 수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45973호 및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47855호는 각각 하나의 용기로써 둘 이상의 음식 및/또는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45973호에 개시된 용기는 음료를 담는 컵본체 내에 감자튀김과 같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보조컵이 수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47855호에 개시된 용기는 음식물 또는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각각 가지는 둘 이상의 용기부를 가지며 각 용기부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45973호에 개시된 용기의 경우 음료와 음식물이 각각 수용되는 공간들이 상하로 배열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음료와 감자 튀김과 치킨 조각들을 한꺼번에 먹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소비자가 3 이상의 메뉴를 원할 때 이를 충족시키기가 곤란하다.
또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47855호에 개시된 용기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45973호에 개시된 용기와 달리 소비자가 3 이상의 메뉴를 원하는 경우에도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용기에 구비된 공간부의 수보다 많은 종류의 음식물 및/또는 음료를 담을 필요가 있을 때 새로운 공간부를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용기에 구비된 공간부의 수보다 적은 종류의 음식물을 담을 경우에는 공간부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연인들끼지 각자 좋아하는 음료를 각 수용 공간에 채워 하나의 용기를 들고 다니면서 각자 좋아하는 음료를 마시다가 헤어질 때 각자의 음료를 미처 다 못마신 경우 어느 한 사람은 자신의 음료를 포기하거나 억지로 다 마셔버려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둘 이상의 용기체들을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제 1 용기체와 제 2 용기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용기체와 제 2 용기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 1 용기체 20 : 제 2 용기체
32 : 오목 레일 34 : 볼록 레일
상기와 같은 목적은, 측벽에 상하로 형성되는 레일을 각각 가지는 제 1 용기체와 제 2 용기체를 포함하며, 용기체들의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은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레일이고, 나머지 레일은 오목 레일에 끼워지도록 오목 레일의 단면에 부합하는 단면을 가지고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제 1 용기체는 둘 이상의 제 2 용기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레일을 가질 수 도 있다. 여기서, 제 1 용기체에 결합되는 제 2 용기체들은 그 크기와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용기체는 제 1 용기체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이에 따라, 제 1 용기체에 형성된 하나의 레일에 둘 이상의 제 2 용기체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용기체는 압출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제 1 용기체(10)와 제 2 용기체(20)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용기체들(10, 2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 등과 같이 압출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질은 패스트푸드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컵이나 용기들과 동일한 재질이므로, 이러한 재질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제 1 용기체(10)와 제 2 용기체(20)는 모두 바닥판과 바닥판의 둘레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으로써 음식물 또는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고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용기체들(10, 20)의 개방된 상면을 덮기 위한 뚜껑이 제공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제 1 용기체(10)와 제 2 용기체(20)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레일들(32, 3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용기체(10)의 레일(32)은 제 1 용기체(10)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레일이고, 제 2 용기체(20)의 레일(34)은 제 2 용기체(20)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 레일이다. 대안적으로, 제 1 용기체(10)에 볼록 레일이 형성되고 제 2 용기체(20)에 오목 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일들(32, 34)이 형성되는 용기체들(10, 20)의 측벽 부분들은 서로 맞대어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체들(10, 20)이 결합되었을 때 용기체들(10, 20)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오목 레일(32)과 볼록 레일(34) 모두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각 용기체(10, 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오목 레일(32)의 내경은 볼록 레일(34)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레일들의 길이 방향을 통해서는 오목 레일(32)과 볼록 레일(34)이 서로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반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오목 레일(32)과 볼록 레일(34)이 서로 끼워지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오목 레일(32)과 볼록 레일(34)의 단면 형상도 반드시 링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각, 타원, 삼각형 등 어떤 형상의 단면도 가질 수 있다.
오목 레일(32)의 경우, 제 1 용기체(10)의 측벽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상단이 개방되어 있다. 볼록 레일(34)의 경우 제 2 용기체(20)의 측벽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하단이 개방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오목 및 볼록 레일(32, 34) 모두 각 용기체의 측벽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하며 상하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제 1 용기체(10)의 오목 레일(32)에 제 2 용기체(20)의 볼록 레일(34)이 상방으로부터 끼워지는 것에 의해 제 1 용기체(10)와 제 2 용기체(20)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폴리스티렌과 같이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 재질 자체의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가 제 1 용기체(10)에 제 2 용기체(20)를 결합시킬 때 오목 레일(32) 내에 볼록 레일(34)이 용이하게 끼워지면서도 일단 결합된 상태에서는 오목 레일(32)의 내주면과 볼록 레일(34)의 외주면이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볼록 레일(34)은 오목 레일(32)로부터 자연적으로 빠지지 않는다.
만약, 용기의 재질이 단단한 재질일 경우, 각 레일(32, 34)의 대향면들이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되면 오목 레일(32)에 대한 볼록 레일(34)의 삽입 및 분리가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에, 각 레일(32, 34)의 대향면들이 견고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대신 각 레일들(32, 34)의 적당한 위치에 볼록 레일(34)이 오목 레일(32)을 통과하여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제 1 용기체(10)의 오목 레일(32)로부터 제 2 용기체(20)의 볼록 레일(34)을 빼냄으로써 제 1 용기체(10)와 제 2 용기체(20)를 분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분리된 제 1 용기체(10)와 제 2 용기체(20)는 그 각각이 별도의 용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용기에 있어서, 각 용기체(10, 20)의 레일들(32, 34)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각 용기체 별로 다수의 용기체들이 상하로 포개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용기체들(10, 20)이 포개질 수 있음으로 인하여 용기의 포장 및 운반에 따른 물류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그 구성은 동일하지만 제 1 용기체(10)에 두 개의 오목 레일(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용기체(20)의 크기가 제 1 용기체(10)에 비해 작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도 4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 1 용기체(10)에 두 개의 제 2 용기체(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용기는, 예를 들어 패스트푸드점의 메뉴 중에서 치킨 조각과 감자 튀김 및 음료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제 1 용기체(10)의 높이에 비하여 제 2 용기체(20)의 높이가 절반 이하라는데 차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용기체(20)에 형성된 하나의 오목 레일(32)에 두 개의 제 2 용기체(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예를 들어 제 1 용기체(10)에는 음료를 담고 상하로 배열된 2개의 제 2 용기체(20)에 감자튀김과 케첩을 각각 담는 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 2 용기체(20)의 크기와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4와 도 5의 실시예를 섞어 놓은 것과 같은 경우이다. 즉, 제 1 용기체(10)에는 2개의 오목 레일(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오목 레일(32)에는 두 개 이상씩의 제 2 용기체(2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예를 들어 밥에 여러 가지 반찬들이 포함되는 1회용 도시락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각 용기체가 별도의 용기로 기능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경우 둘 이상의 용기체를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수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용기체들을 결합시키는 레일들이 용기체와 소통하도록 용기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체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용기체들을 포개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측벽에 상하로 형성되는 레일을 각각 가지는 제 1 용기체와 제 2 용기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체들의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은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레일이고, 나머지 레일은 상기 오목 레일에 끼워지도록 상기 오목 레일의 단면에 부합하는 단면을 가지고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체는 둘 이상의 제 2 용기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레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체에 결합되는 제 2 용기체들은 그 크기와 형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체는 상기 제 1 용기체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져, 상기 제 1 용기체에 형성된 하나의 레일에 둘 이상의 제 2 용기체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체는 압출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2020020011632U 2002-04-17 2002-04-17 용기 KR200282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32U KR200282147Y1 (ko) 2002-04-17 2002-04-17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32U KR200282147Y1 (ko) 2002-04-17 2002-04-17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957A Division KR20030082301A (ko) 2002-04-17 2002-04-17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147Y1 true KR200282147Y1 (ko) 2002-07-22

Family

ID=7312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632U KR200282147Y1 (ko) 2002-04-17 2002-04-17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1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15A1 (ko)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15A1 (ko)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8417B1 (en) Food container
US9474398B1 (en) Food plate with beverage support
US7380685B2 (en) Containers, sleeves and lids therefor, assemblies thereof, and holding structure therefor
AU2007213472B2 (en) Storage container and container system
US8973776B1 (en) Cup with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US6729472B2 (en) Container assembly and nesting set thereof
US5676251A (en) Food service kit and method for using
US7735651B2 (en)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US20020008106A1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multi-functional cap
US20040149755A1 (en) Combined saucer and cover for beverage cup
US8607984B2 (en) Cup and bowl carrier
US20090089993A1 (en) Making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US20090092738A1 (en) Using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JP2008531413A (ja) 積み重ね可能な上蓋と底面を備えた封止容器
US8939310B1 (en) Multi-compartment vessel
US20060124648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US20030111468A1 (en) Beverage container
KR200282147Y1 (ko) 용기
WO200703446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KR101249002B1 (ko) 찬합식 도시락 용기
US9150330B1 (en) Multi-compartment vessel with optional lids
US20040134918A1 (en) Multi-piece vessel
KR20030082301A (ko) 용기
US6213335B1 (en) Stackable container with internal di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