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106Y1 - Opening device for can - Google Patents

Opening device for c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106Y1
KR200282106Y1 KR2020020010912U KR20020010912U KR200282106Y1 KR 200282106 Y1 KR200282106 Y1 KR 200282106Y1 KR 2020020010912 U KR2020020010912 U KR 2020020010912U KR 20020010912 U KR20020010912 U KR 20020010912U KR 200282106 Y1 KR200282106 Y1 KR 200282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essing
contents
open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9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만
황보연
Original Assignee
최용만
황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만, 황보연 filed Critical 최용만
Priority to KR2020020010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1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106Y1/en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캔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물을 구비하는 캔의 상면에 설치되어 캔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장치로써; 캔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개봉부분(112)과; 사용자가 잡아당기기 위한 파지부(122)와, 상기 파지부의 반대측에서 제1개봉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부(124)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축(126)을 구비하는 개봉부재; 상기 개봉부재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는 제2개봉부분(130); 그리고 상기 제2개봉부분의 상부에 해당하는 개봉부재의 하면에서 돌출 성형되는 가압돌기(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relates to an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having the contents as an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can; A first opening part 112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n; An opening having a grip portion 122 for a user to pull, a pressing portion 124 located above the first opening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lding portion, and a support shaft 126 formed behind the pressing portion. absence; A second opening portion 13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ing projection (128)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Description

캔 개봉장치{Opening device for can}Opening device for can}

본 고안은 음료용 캔의 개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의 내부에 내장된 음료수가 보다 쉽게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캔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device for a beverage ca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ing device of a can configured to allow a beverage contained in the can to flow out more easily.

도 1에는 일반적인 캔의 개봉부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캔몸체(10)의 내부에는 음용하는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이 내용물이 일반적으로 들어있고, 상면(12) 또는 하면에는 캔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캔몸체(10)의 상면을 개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지렛대축(24)을 통하여 상면(12)에 부착되어 있는 개봉부재(20)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부재(20)는 지렛대축(24)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파지부(22)와, 그 반대측으로 연장된 가압부(26)로 구성된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of a typical ca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or beer to drink are generally contained in the can body 10, and an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can is general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2 or the lower surface. Used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ody 10 is an opening member 2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2 through the lever axle 24. And the opening member 20 is composed of a gripping portion 22 extending to one side about the lever axle 24, and the pressing portion 26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그리고 상기 가압부(26)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면(12)에는, 일정한 깊이로 홈이 성형된 절개라인(28)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봉부분(29)이 위치하게 된다.In the upper surface 12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6, an opening portion 29 formed by the cutting line 28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s positioned.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22)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재봉부재(20)는 지렛대축(24)을 중심으로 하여, 그 반대편에 있는 가압부(26)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부(26)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개봉부분(29)이 상부에서 하방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개봉부분(29)은 절개라인(28)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면(12)에서 분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캔몸체(10)는 상기 개봉부분(29)이 열리게 되어, 내부의 음료수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Here, when the user pulls the grip part 22 upward, the sewing member 20 moves the pressing part 26 on the opposite side about the lever axle 24. When the pressurizing portion 26 moves downward, the opening portion 29 receives downward force from the upper portion. At this time, the opening portion 29 is substantially formed because the cutting line 28 is formed. It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12 to fall. By this action, the can body 10 is substantially opened the opening portion 29,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beverage inside.

그리고 상기 절개라인(28)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봉부분(29)은, 일부가 캔의 상면(12)과 붙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26)에 의하여 개봉부분(29)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캔이 열릴 때, 상기 개봉부분(29)은 캔의 상면(12)에 일부가 붙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공지된 것이다.And the opening part 29 formed by the said cutting line 28 is a part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2 of the can. Therefore, it is also known that when the can is opened while the opening portion 29 is moved downward by the pressing portion 26, the opening portion 29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thereof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2 of the ca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캔몸체(10)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흘러나오면, 이와 반대로 외부의 공기가 캔몸체(10)의 내부로 들어가야 보다 원활한 음료수의 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종래의 캔의 구조에 의하면 개봉부분(29)이 하나 밖에 성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이 외부공기가 들어감과 동시에 음료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개봉초기 캔에서 일정한 양의 음료수가 흘러나오기 전까지(즉 캔 자체가 일정한 경사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짐으로써, 개봉부분의 상부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하부로는 음료수가 배출되기까지)의 초기단계에 있어서 음료수의 배출이 매우 어렵게 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when the drink water flows from the inside of the can body 10, on the contrary, the outside air enters the inside of the can body 10 to allow a smoother discharge of the drink.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opening part 29 is formed in only on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n structure, the contents are not smoothly discharg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beverage while the external air enters as described above. Is there. Therefore, the initial stage of the opening until substantially a certain amount of beverage flows out of the can (i.e. the can itself is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of inclination, so that air enters the top of the opening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bottom). In the stage, the drainage of the drink becomes very difficult.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재(20)의 파지부(22)의 전체적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파지부(22)를 상부로 잡아당기는 부분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지부(22)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손가락이 굵은 사람들은 그것을 잡기 힘들뿐만 아니라, 캔의 개봉에 필요한 힘 이상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힘들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의 힘이 약한 어린이 및 노약자, 그리고 여성들에게 있어서는, 상기 파지부(22)를 잡고 당기는 것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verall size of the gripping portion 22 of the unsealing member 20 is very small,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e portion to pull the gripping portion 22 upwards. For example, because the size of the grip portion 22 is small, those who have thick fingers are not only hard to hold it, but also hard to pull more than the force necessary for opening the can. And for children, the elderly, and women with weak fingers, it is natural that the grip portion 22 is difficult to hold and pull.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캔 개봉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8-55776호 및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5-69029호로 제안된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disadvantage, the can opening device as shown in Figure 2 has been prop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8-55776 and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5-69029.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briefly described such a prior art.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캔 개봉장치는, 캔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개봉부분(32,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봉부분(32,34)은 금형에 의하여 제조될 때 캔의 상면을 보다 얇게 처리한 절단라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개봉부분(32,34)은, 실질적으로 캔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제1개봉부분(32)과, 외부에서 캔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개봉부분(34)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a conventional can open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opening portions 32 and 34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n. The opening portions 32 and 34 are portions formed by cutting lines which thinn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when manufactured by the mold. The opening parts 32 and 34 may include a first opening part 32 through which contents of the can can flow down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pening part 34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can from the outside. It is composed of

그리고 개봉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30)와, 상기 파지부의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봉부분(32,34)을 가압하여 열기 위한 한쌍의 가압부(36a,36b)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0)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축(Ha,Hb)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압부(36a,36b)가 개봉부분(32,34)을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개봉부분(32,34)이 캔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30 for holding by a user with a finger and a pair of pressing portions 36a and 36b for pressing and opening the opening portions 32 and 34. It includes. When the user pulls the holding part 30 upward, the pressing parts 36a and 36b press the opening parts 32 and 34 downward about the axes Ha and Hb, and the opening part ( 32 and 34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so that the contents can flow out.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두개의 개봉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보다 쉽게 외부로 흘러나오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봉부분을 한쌍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특히 탄산음료 또는 맥주와 같이 거품이 발생하는 내용물 또는 예를 들면 과실 입자를 가지는 내용물을 가지는 캔의 경우에는 특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the contents flow out more easily by forming two open portions substantially. In the case of forming a pair of opening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o be particularly useful in the case of a can having a content in which foaming occurs, such as a soda or beer, or a content having, for example, fruit particles.

그러나 하나의 파지부를 이용하여 두개의 개봉부분을 동시에 개봉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많은 힘이 필요함과 동시에, 한쌍의 개봉부분을 동시에 개봉할 때 상기 파지부에 걸리는 응력에 의하여 파지부와 가압부 사이가 변형되기 쉬운 단점이 지적된다.However, opening two openings at the same time by using one holding part requires substantially a lot of force,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hold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due to the stress applied to the holding part when opening a pair of opening parts at the same time.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easy to deform.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보다 쉽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캔의 개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device for a can configured to allow the contents to flow out more easily.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개봉부분을 형성하되, 개봉부분을 개봉하는 구조를 가장 간단하게 구성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opening parts is formed, but the structure for opening the opening parts is most simply configured.

도 1은 종래의 캔을 보인 예시 사시도.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n.

도 2는 종래의 다른 캔을 보인 예시 사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can.

도 3은 본 고안의 캔의 상부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of the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캔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캔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캔 110 ..... 상면100 ..... Can 110 ..... Top

120 ..... 개봉부재 122 ..... 파지부120 ..... Opening member 122 ..... Holding part

124 ..... 가압부 126 ..... 지지축124 ..... Pressing part 126 ..... Support shaft

128 ..... 가압돌기 130 .....제2개봉부분128 ..... Pressurization protrusion 130 ..... Secondary open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캔 개봉장치에 의하면, 내용물을 구비하는 캔의 상면에 설치되어 캔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장치로써; 캔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개봉부분과; 사용자가 잡아당기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반대측에서 제1개봉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개봉부재; 상기 개봉부재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는 제2개봉부분; 그리고 상기 제2개봉부분의 상부에 해당하는 개봉부재의 하면에서 돌출 성형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an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having the contents as an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can; A first open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n; An opening member having a holding part for pulling by a user, a pressing part position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opening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lding part, and a support shaft formed behind the pressing part; A second op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개봉부재의 파지부는 캔의 상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gripping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개봉부재의 파지부는, 그 외측 테두리 부분이 상면에 밀착되고, 그 중심부분은 상부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면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gripping portion of the unsealing member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when the outer edg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convexly shaped upwards and pressed downwar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1개봉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이 흘러나올 때, 제2개봉부분을 통하여 외기가 캔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내용물이 보다 원활하게흘러나올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s flow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since the outside air enters into the ca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can flow out more smoothly.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Nex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먼저 본 고안의 개봉장치가 구현된 캔의 상부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캔(100)의 상면(110)에는 한쌍의 개봉부분(112,130)이 형성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which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ortion of a can in which an op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 pair of opening portions 112 and 130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110 of the ca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상대적으로 크게 성형되는 제1개봉부분(112)은, 금형에 의하여 제조될 때 상면(110) 전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절개선(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1개봉부분(112)은 실질적으로 캔(100) 내부의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부분이다.The first opening part 112 that is relatively large is a part formed by the incision line 114 formed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upper surface 110 when manufactured by the mold. The first opening 112 is a portion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can 100 flow out substantially.

상기 제1개봉부분(112)은 개봉부재(120)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지면서, 상면(110)에서 분리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개봉된다. 그리고 제2개봉부분(130)은, 상기 제1개봉부분(112)을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올 때, 외부의 공기가 캔 내부로 유입되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개봉부분(112)을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올 때, 상기 제2개봉부분(130)을 통하여 외기가 캔 내부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제1개봉부분(112)을 통하여 내용물의 유출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탄산음료, 맥주, 또는 과실입자 등과 같은 알갱이가 들어있는 내용물을 가지는 캔에 적용될 때 내용물의 유출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is pressed downward by the opening member 120,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110 so that the contents can be leaked out.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when the contents flow out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the outside air is molded to be introduced into the can. Therefore, when the contents flow out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sinc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a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the contents leak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This can be done more smoothly. Thus,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 can having a content containing grains such as carbonated beverages, beer, or fruit particles, the outflow of the contents can be made smoother.

상기 제2개봉부분(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봉부재(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개봉부재(120)는, 사용자가 잡고 당기기 위한 파지부(122)와, 상기 파지부(122)의 반대측에서 제1개봉부분(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부(124), 그리고 상기 가압부(124)의 바로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축(12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122)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지지축(126)을 중심으로 상기 가압부(124)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1개봉부분(112)을 개봉시키게 된다.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is located below the opening member 12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opening member 120 is a holding portion 122 for the user to hold and pull, the pressing portion 124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lding portion 122, and the pressing The support shaft 126 formed just behind the part 124 is comprised. Accordingly, when the grip portion 122 is pulled upward, the pressing portion 124 is moved downward about the support shaft 126 to open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그리고 상기 제2개봉부분(130)은 실질적으로 상기 개봉부재(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있다. 상기 개봉부재(120)의 하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개봉부분(13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128)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가압돌기(128)의 하부에는 제2개봉부분(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개봉부분(130)은 제1개봉부분(112)과 같이 소정의 절개선으로 형성되는 부분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pening part 1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120. As shown in FIG. 4, a pressing protrusion 128 for pressing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120. A second opening portion 1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128,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is a portion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t line like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따라서 상기 제2개봉부분(130)은, 상기 가압돌기(128)가 하방으로 눌러지는 것에 의하여, 상면(110)에서 이격되면서 개봉된다.Therefore,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is open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 by pressing the pressing protrusion 128 downward.

다음에는 본 고안에 의한 캔의 개봉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캔을 개봉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봉부재(120)의 상면을 하방으로 눌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봉부재(120)는 상면(11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개봉부재(120)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면 상기 가압돌기(128)가 제2개봉부분(130)을 누르게 된다. 제2개봉부분(130)이 눌러지면 상면(110)에서 이격되면서 제2개봉부분(130)이 열리게 된다. 이렇게 제2개봉부분(130)이 열리는 경우, 상기 제2개봉부분(130)을 통하여 외부로 나올 수있는 소량의 내용물은, 실질적으로 상기 개봉부재(120)에 의하여 막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묻을 우려는 전혀 없다.Next, the opening process of the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open the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first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120 downwar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member 120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hen the opening member 120 is pressed downward, the pressing projection 128 is the second opening portion ( 130). When the second opening part 130 is pressed, the second opening part 130 is open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 When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is opened in this way, a small amount of contents that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is substantially blocked by the opening member 120, so that it may get on the user's hand. Is not at all.

그리고 이렇게 하여 상기 제2개봉부분(130)이 개봉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개봉부재(120)의 파지부(122)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된다. 파지부(122)가 상부로 잡아당겨지게 되면, 상기 가압부(124)는 지지축(126)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1개봉부분(112)을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124)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1개봉부분(112)은 상면(110)에서 이격되어 제1개봉부분(112)이 개봉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opening part 130 is opened, the user pulls the grip portion 122 of the opening member 120 upward. When the grip portion 122 is pulled upward, the pressing portion 124 is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26,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is pr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unit 124,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 so that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can be open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1개봉부분(112) 및 제2개봉부분(130)이 동시에 따진 상태이기 때문에, 제1개봉부분(112)을 따라 내용물이 흘러나올 때 상기 제2개봉부분(13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캔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보다 원활한 내용물의 유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 are simultaneously drawn, the second opening portion (when contents flow out along the first opening portion 112) ( 130, the outside air enters into the can, thereby allowing a substantially smoother outflow of contents.

다음에는 도 5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봉부재(120a)는, 외주면이 상면(110a)에 밀착되고 중심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재(120a)의 볼록한 상부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그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128a)가 제2개봉부분(130a)을 누르게 되어 그것을 개봉시키게 된다.As for the opening member 120a in this Example, it turns out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10a, and the center part is formed convexly upwar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vex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120a is pressed downward, the pressing protrusion 128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120a presses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a to open it.

그리고 이와 동시에, 알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력 있는 상기개봉부재(120a)는, 그 중심부분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면서, 개봉부재(120a)의 외주연 테두리부분이 상부로 올라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봉부재(120a)의 파지부(122a)는 상면(110a)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opening member 120a, which is formed of aluminum and is elastic, has its central portion convexly deformed downward, such th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member 120a can rise upward. Therefore, the holding part 122a of the opening member 120a may b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a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따라서 탄성 변형된 상기 파지부(122a)는 상면(110a)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파지부(122a)를 잡고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grip portion 122a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a, the user can more easily grasp the grip portion 122a and lift it upward.

따라서 상기 파지부(122a)를 잡고 상부로 당기게 되면, 지지축(126a)을 중심으로 하여 가압부(124a)가 하방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24a)에 의하여 제1개봉부분(112a)이 상면(110a)에서 이격되면서 열리게 된다.Therefore, when holding the grip portion 122a and pulled upward, the pressing portion 124a is press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126a. The first opening part 112a is open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a by the pressing part 124a.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개봉부재(120a)의 외측 테두리 부분이 상면에 밀착되어 있고, 그 중심부분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12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formed convexly upwardly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개봉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가압돌기에 의하여 개봉될 수 있는 제2개봉부분과, 개봉부재의 가압부에 의하여 개봉되는 제1개봉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includes a second opening portion that can be opened by a press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and a first opening portion that is opened by the pressing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You can see that.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ru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제1개봉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때, 제2개봉부분을 통하여 외기가 캔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실질절으로 내용물의 원활한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맥주, 탄산함유음료, 또는 입자가 들어있는 내용물을 가지는 캔에 적용되면 아주 편리한 장점으로 나타나게 될 것은 자명하다.When the contents flow out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a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so that the contents can be smoothly spilled into the actual opening. It is obvious that this would be a very convenient advantage when applied to beer, carbonated beverages, or cans with particulate content.

그리고 상기 제2개봉부분이 개봉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2개봉부분의 개봉에 의하여 외부로 나올 수 있는 내용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게 되어, 위생상 및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opening part is located under the opening member, the contents that can be substantially released by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ing part do not get on the user's hand, thereby improving hygiene and convenience. Able to know.

Claims (3)

내용물을 구비하는 캔의 상면에 설치되어 캔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장치로써;An opening devic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n having a contents to open the can; 캔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개봉부분과;A first open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n; 사용자가 잡아당기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반대측에서 제1개봉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개봉부재;An opening member having a holding part for pulling by a user, a pressing part position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opening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lding part, and a support shaft formed behind the pressing part; 상기 개봉부재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는 제2개봉부분; 그리고A second op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And 상기 제2개봉부분의 상부에 해당하는 개봉부재의 하면에서 돌출 성형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개봉장치.Can op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재의 파지부는 캔의 상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개봉장치.The can open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재의 파지부는, 그 외측 테두리 부분이 상면에 밀착되고, 그 중심부분은 상부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면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개봉장치.The can-ope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ts outer edge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convexly formed upward and pressed downward.
KR2020020010912U 2002-04-11 2002-04-11 Opening device for can KR2002821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912U KR200282106Y1 (en) 2002-04-11 2002-04-11 Opening device for c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912U KR200282106Y1 (en) 2002-04-11 2002-04-11 Opening device for c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106Y1 true KR200282106Y1 (en) 2002-07-19

Family

ID=7307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912U KR200282106Y1 (en) 2002-04-11 2002-04-11 Opening device for c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10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3784B2 (en) Vented metallic container end closure
US7513383B2 (en) Opening device for can
US3200982A (en) Bottle cap
US20100219186A1 (en) Plastic cap having a pouring protrusion
US5335812A (en) Drinking vessel lid having a defined straw puncturable area
KR200233702Y1 (en) Opening device for can
US4252247A (en) Tear-open can lid with push-in tabs
KR200280803Y1 (en) Opening device for can containing beer
KR200282106Y1 (en) Opening device for can
US20050051552A1 (en) Self-closing lid for beverage cups and the like
KR200304548Y1 (en) Opening device for can
KR102440995B1 (en) safety can lid
KR20040018627A (en) Opening device for can
CN209750657U (en) ice-separation cold drink cup cover
KR200169039Y1 (en) A beverage can
KR100349307B1 (en) Drink can which have a steel straw
JPH11105868A (en) Container for drink
KR200201763Y1 (en) Can structure
KR200174379Y1 (en) Can for drink
JP2561434Y2 (en) Hermetic lid for cans
KR200183948Y1 (en) Can beverage non over-flowing device
KR200399800Y1 (en) a crown cap
KR100337432B1 (en) A beverage can of open and close structure
JP2001328661A (en) Cap for drinking cup
JPH09267833A (en) Lid with pull tab for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