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862Y1 - 종이 파레트 - Google Patents

종이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862Y1
KR200281862Y1 KR2020020012816U KR20020012816U KR200281862Y1 KR 200281862 Y1 KR200281862 Y1 KR 200281862Y1 KR 2020020012816 U KR2020020012816 U KR 2020020012816U KR 20020012816 U KR20020012816 U KR 20020012816U KR 200281862 Y1 KR200281862 Y1 KR 200281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aper pallet
bottom plat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형
Original Assignee
정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형 filed Critical 정재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862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제품을 적재하고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품포장 및 제품운반용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최소화된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여 생산단가의 절감과 자체하중에 대한 부담이 최소화되며, 제조과정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종이 파레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좌·우내측판과, 좌·우내측판 각각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지지체와; 상기 내측지지체의 상부에 올려지는 덮개판과, 덮개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좌·우외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체로 구성되며; 상호 면접촉하는 상기 좌·우외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좌·우내측판의 외측면이 접착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충분한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하면서도 양적으로 최소화된 골판지를 사용하여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원가가 감소하고 자중에 대한 부담이 감소하며,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종이파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종이 파레트{PALLET USING CORRUGATED CARDBOARD}
본 고안은 다양한 제품을 적재하고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품포장 및 제품운반용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손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전기, 전자제품 등의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며 포크리프터와 같은 운반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종이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통상 판상의 지지판에 복수의 다리를 부착하여 이 지지판 위에 포장된 각종 물품박스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다리 사이에 포크리프터(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물품을 간편하게 콘테이너 또는 화물차의 짐칸에 상/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창고에 입/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파레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파레트 사용의 일 예를 설명하면, 냉장고 등과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대형 전기, 전자제품을 포장하여 포크리프터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통상 포장박스로 포장된 제품 1대당 하나의 파레트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즉, 제품이 포함된 포장박스(1)를 파레트(5)에 안착시킨 후, 밴드(8)를 사용하여 파레트(5)에 포장박스를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파레트(5)의 다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7)에 포크리프터의 포크를 삽입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운반하고, 운송수단이 되는 컨테이너 또는 화물차의 적재함 등에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파레트는 내화물(내화벽돌 등)이나 석재와 같이 물품의 중량이 무거워 큰 강성을 요구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목재파래트의 경우 대부분 수공에 의존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열악하고, 플라스틱의 경우 재료비 부담이 과중하여 생산단가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이 수반되며, 상기 두 경우 모두 자체의 중량에 대한 부담이 상당하여 컨테이너 등에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하는데 장애요소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목재 파래트의 경우 수분을 흡수함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는 부가적 단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파레트의 경우 최근 많은 국가에서 환경문제를 이유로 하여 포장용으로 자국내에 반입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등의 문제가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재생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재료비 부담이 적으며, 환경친화적인 종이 파레트의 필요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종래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지(11)와 하판지(12) 및 상기 상/하판지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 같은 종이 파레트를 포함한 다양한 종이 파레트가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이 파레트는 강성이 부족하여 그 적용대상이 매우 한정적이었고, 또한 적용대상을 확장하고자 했던 여러 시도들이 있었으나 주된 단점되는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추가하여 매우 복잡한 형태로 제조되어 왔으며, 따라서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수공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산성이 매우 열악할 뿐만아니라 부피가 비대해지고, 각 부분품 간의 결합에 대한 결속력이 떨어져 쉽게 파손되는 등 상당히 효율적이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던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문제에 저촉됨이 없고, 적은양의 골판지를 사용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여 생산단가의 절감과 자체하중에 대한 부담이 최소화되며, 제조과정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종이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종이 파레트가 사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조립순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종이 파레트를 저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다른 일실시예를 저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변형 가능한 부착방향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0', 40, 50: 내측지지체 20" :제2내측지지체
30: 외측보강체 22: 바닥판
24: 좌내측판 25: 우내측판
26: 좌경사판 27: 우경사판
28, 28': 좌연장판 29, 29': 우연장판
30: 외측보강체 31: 덮개판
33: 좌외측판 35: 우외측판
60: 내부보강체 61: 중앙판
63: 좌보강경사판 65: 우보강경사판
72: 제2바닥판 74: 제2좌내측판
75: 제2우내측판 76: 제2좌경사판
77: 제2우경사판 78: 제2좌연장판
79: 제2우연장판 90: 상부체
100: 지지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품이 올려지는 상부체와 상부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골판지로 제조되는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좌·우내측판과, 좌·우내측판 각각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지지체와; 상기 내측지지체의 상부에 올려지는 덮개판과, 덮개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좌·우외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체로 구성되며, 상호 면접촉하는 상기 좌·우외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좌·우내측판의 외측면이 접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를 제공한다.
상기 내측지지체는 좌·우경사판의 각 자유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연장판을 더 구비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연장판은 상기 외측보강체의 덮개판 저면에 이를 정도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판과, 중앙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보강경사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지지체의 좌·우경사판 상부와 상기 외측보강체의 덮개판 저면으로 둘러싸이는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내부보강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지지체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제2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제2좌·우내측판과, 제2좌·우내측판 각각에서 상기 제2바닥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좌·우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된 제2내측지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2내측지지체는 상기 제2좌·우경사판의 각 자유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상기 외측보강체의 덮개판 저면에 이를 정도로 연장되는 제2좌·우연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이 파레트는 상기 상부체의 저면 길이방향 양끝단 및 중심부에 각각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3개의 상기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상부체의 저면 길이방향 양끝단 및 중심부 각각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각각 부착되는 9개의 상기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조립순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품을 포장 및 운반하기 위한 종이 파레트는 직접적으로 제품이 올려지는 상부체와, 이 상부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체는 요구되는 크기로 절단된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적층한 형태로 형성되며, 적층되는 골판지의 수는 종이 파레트에 올려져 운반될 제품의 무게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상부체를 지지할 뿐만아니라 운송수단이 되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상차하거나 하차하기 위해 포크리프터의 포크부분이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체의 저면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접착된다. 이 지지대는 접착재나 접착용 양면테이프와 같은 공지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는 크게 내측지지체(20)와 외측보강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지지체(20)는 총 5면의 부분판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판 간의 경계부는 골판지 두께의 일부를 일측면에서 절단하여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지지체(20)를 구성하는 총 5면의 부분판은 세부적으로 사용시 바닥과 접하게되는 바닥판(22)과, 이 바닥판(22)의 양측단 각각에서 접혀서 위로 연장되는 좌·우내측판(24)(25)과, 이 좌·우내측판(24)(25) 각각에서 접혀서 상기 바닥판(22)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경사판(26)(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보강체(30)는 조립시 상기 내측지지체(20)의 상부와 양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총 3면의 부분판으로 구성되며, 역시 각 부분판 간의 경계부는 골판지 두께의 일부를 일측면에서 절단하여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보강체(30)를 구성하는 총 3면의 부분판은 세부적으로 상기 내측지지체(20)의 상부에 올려지는 덮개판(31)과, 이 덮개판(31)의 양측단 각각에서 접혀서 아래로 연장되는 좌·우외측판(33)(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지지체(20)과 외측보강체(30)은 상호 면접촉하는 상기 좌·우내측판(24)(25)의 외측면과 상기 좌·우외측판(33)(35)의 내측면이 접착되어 조립되어 하나의 지지대(10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지대(100)는 종이 파레트에 올려지는 제품에 의한 하중을 총 4면의 세로방향판(24)(25)(33)(35)과, 경사를 구비하는 2면의 경사방향판(26)(27)이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제2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7면의 부분판으로 구성되는 내측지지체(40)를 포함하는 지지대를 제공한다. 각 부분판 간의 경계부는 역시 골판지 두께의 일부를 일측면에서 절단하여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실시예의 내측지지체(20)를 구성하는 좌·우경사판(26)(27) 각각에서 접혀서 위로 연장되는 좌·우연장판(28)(29)을 더 포함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올려지는 제품의 하중에 의한 영향이 상기 좌·우경사판(26)(27)에 미칠 경우, 바닥판(222)의 상면과 접촉하게 되는 좌·우경사판(26)(27)과 좌·우연장판(28)(29)의 각 경계부의 아래측이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게 되고, 또한 좌·우연장판(28)(29)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수직의 정적하중이 아닌 수평성분을 포함하는 동적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하중에 대한 더욱 효과적이고 유연한 지지가 가능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제3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에 포함되는 내측지지체(50)의 상기 좌·우연장판(28')(29')이 상기 외측보강체(30)의 덮개판(31) 저면에 이를 정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보다 2면이 증가한 총 6면의 세로방향판(24)(25) (33)(25)(28')(29')으로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더욱 증가한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즉, 올려질 제품에 따라 큰 하중지지능력이 요구될 경우에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제4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지지체(20') 및 상기 외측보강체(30)에 추가로 내부보강체(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제공한다. 상기 내부보강체(60)는 중앙판(61)과, 이 중앙판(61)의 양측단 각각에서 접혀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보강경사판(63)(65)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지지체(20')의 좌·우경사판(26)(27) 상부와 상기 외측보강체(30)의 덮개판(31) 저면으로 둘러싸이는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대(1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와 마찬가지로 더욱 증가한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하게 되며, 특히 수평 성분의 하중을 포함하는 동적하중이 가해질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제5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지지체(20') 및 상기 외측보강체(30)에 제2내측지지체(20")를 더 포함하는 지지대를 제공한다. 상기 제2내측지지체(20")는 제2바닥판(72)과, 이 제2바닥판(72)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제2좌·우내측판(74)(75)과, 제2좌·우내측판(74)(75) 각각에서 상기 제2바닥판(72)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좌·우경사판(76)(7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제2내측지지체(20")는 상기 내측지지체(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바닥판(72)은 상기 바닥판(22)의 상면에 겹쳐지고, 상기 제2좌·우내측판(74)(75)은 각각 상기 좌·우내측판(24)(25) 각각의 내측면에 겹쳐지며, 상기 제2좌·우경사판(76)(77)은 각각 상기 좌·우경사판(26)(27)의 각각의 내측경사면에 겹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더욱 더 증가한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제6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지지체(50) 및 상기 외측보강체(30)에 상기 제5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제2내측지지체(20")를 더 포함하는 지지대를 제공한다. 역시, 상기 제2내측지지체(20")는 제2바닥판(72)과, 이 제2바닥판(72)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제2좌·우내측판(74)(75)과, 이제2좌·우내측판(74)(75) 각각에서 상기 제2바닥판(72)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좌·우경사판(76)(7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제2내측지지체(20")는 상기 제5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지지체(5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바닥판(72)은 상기 바닥판(22)의 상면에 겹쳐지고, 상기 제2좌·우내측판(74)(75)은 각각 상기 좌·우내측판(24)(25) 각각의 내측면에 겹쳐지며, 상기 제2좌·우경사판(76)(77)은 각각 상기 좌·우경사판(26)(27) 각각의 내측경사면에 겹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더욱 더 증가한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하게 되며, 특히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이 증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제7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의 제2내측지지체(20")를 구성하는 제2좌·우경사판(76)(77)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제2좌·우연장판(78)(79)을 더 포함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좌·우연장판(78)(79)은 상기 외측보강체(30)의 덮개판(31) 저면에 이를 정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총 8면의 세로방향판 (24)(25)(33)(25)(28')(29')(78)(79)으로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더욱 더 증가한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하게 되어, 올려질 제품에 따라 더욱 더 큰 하중지지능력이 요구될 경우에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들에 나타난 지지대를 포함하는 종이 파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종이 파레트를 저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다른 일실시예를 저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일실시예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90)의 저면 길이방향 양끝단 및 중심부에 각각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3개의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이 파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부체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이라고 할 때, 장변방향을 길이방향으로 단변방향을 폭방향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종이 파레트는 2-웨이(way)방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종이 파레트의 전방과 후방에서 포크리프터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90)의 저면 길이방향 양끝단 및 중심부 각각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각각 부착되는 9개의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이 파레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이 파레트는 4-웨이(way)방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종이 파레트의 전후좌우 4방에서 포크리프터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이상의 종이 파레트에 관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된 도면에서, 총 3장의 골판지(80)(85)(85')로 형성된 상부체(90)를 포함한 형태로 나타나 설명되었지만, 상부체(90)를 구성하는 골판지의 형상, 크기 및 수는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를 사용하여 종이파레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0)를 180°회전한 형태로 상부체(90)의 저면에 부착하여 종이파레트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수정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파레트는 수분에 의한 변형이 없고 환경문제에 저촉되지 않는 골판지로 제조되면서도, 제품을 운반하는데 충분한 하중지지능력을 보유할 수 있으며, 특히 양적으로 최소화된 골판지를 사용하면서도 하중지지능력이 탁월하여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여 생산원가가 감소하고 자중에 대한 부담이 감소하며,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9)

  1. 제품이 올려지는 상부체와 상부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골판지로 제조되는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좌·우내측판과, 좌·우내측판 각각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된 내측지지체와;
    상기 내측지지체의 상부에 올려지는 덮개판과, 덮개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좌·우외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보강체를 포함하며;
    상호 면접촉하는 상기 좌·우외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좌·우내측판의 외측면이 접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체는 좌·우경사판의 각 자유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연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연장판은 상기 외측보강체의 덮개판 저면에 이를 정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중앙판과, 중앙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보강경사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지지체의 좌·우경사판 상부와 상기 외측보강체의 덮개판 저면으로 둘러싸이는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내부보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제2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제2좌·우내측판과, 제2좌·우내측판 각각에서 상기 제2바닥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좌·우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지지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내측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6. 제 3항에 있어서,
    제2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양측단 각각에서 위로 연장되는 제2좌·우내측판과, 제2좌·우내측판 각각에서 상기 제2바닥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좌·우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지지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내측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지지체는 제2좌·우경사판의 각 자유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상기 외측보강체의 덮개판 저면에 이를 정도로 연장되는 제2좌·우연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저면 길이방향 양끝단 및 중심부에 각각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3개의 상기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9.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저면 길이방향 양끝단 및 중심부 각각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각각 부착되는 9개의 상기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KR2020020012816U 2002-04-04 2002-04-26 종이 파레트 KR2002818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0236 2002-04-04
KR2020020010236 2002-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862Y1 true KR200281862Y1 (ko) 2002-07-13

Family

ID=7312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816U KR200281862Y1 (ko) 2002-04-04 2002-04-26 종이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8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862B1 (ko) * 2022-08-11 2022-11-14 김상은 종이 팔레트
KR102466863B1 (ko) * 2022-08-11 2022-11-14 김상은 종이 팔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862B1 (ko) * 2022-08-11 2022-11-14 김상은 종이 팔레트
KR102466863B1 (ko) * 2022-08-11 2022-11-14 김상은 종이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839A (en) Corrugated fiberboard pallet
US5601035A (en) Corrugated fiberboard pallet
US5941177A (en) Recyclable, heavy duty, lightweight, moisture resistant corrugated fiberboard pallet
WO2007008175A1 (en) Pallet with foldable platform surface
US7677183B2 (en) Pallet with walls hinged to support plate
US4267780A (en) Load supporting and handling means
EP0564585A1 (en) PAPER PALLETS.
KR200281862Y1 (ko) 종이 파레트
KR200285601Y1 (ko) 종이파레트
JP3138091B2 (ja) 重量物の梱包装置
US3217965A (en) Shipping and storage containers and means for palletizing the same
KR200250709Y1 (ko) 종이 파레트
JPH0224742Y2 (ko)
CN213385271U (zh) 一种托盘支撑脚
KR200348614Y1 (ko) 종이 파레트
KR200244225Y1 (ko) 종이 파레트
KR200424788Y1 (ko) 종이 파렛트
JPH0635932Y2 (ja) ダンボール梱包構造
KR950008452Y1 (ko) 물품 상하역 작업용 팰릿(pallet)의 구조
JP2565291Y2 (ja) 貨物用パレットの荷載板と貨物用パレット
JPH101138A (ja) 梱包ケース
JPH0140827Y2 (ko)
JPH0443470Y2 (ko)
JP4216566B2 (ja) 紙製パレット
KR101806018B1 (ko) 목재부가 구비된 금속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