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793Y1 - 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 Google Patents

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793Y1
KR200281793Y1 KR2020020007263U KR20020007263U KR200281793Y1 KR 200281793 Y1 KR200281793 Y1 KR 200281793Y1 KR 2020020007263 U KR2020020007263 U KR 2020020007263U KR 20020007263 U KR20020007263 U KR 20020007263U KR 200281793 Y1 KR200281793 Y1 KR 200281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ice
supply container
office supply
supplies
office supp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문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7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7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793Y1/en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무용품통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사무용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형 사무용품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office supply container that can separate and store various kinds of office supplies in the office supply container.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용품통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 사무용품통(20)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고, 개방부의 상단에는 바깥쪽 하부방향으로 삽입홈(40)이 형성되며, 제1 사무용품통(20)의 바깥면 또는 내부면과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사무용품통(20)의 개방부의 가장자리가 삽입홈(40)에 삽입된 상태로 제1 사무용품통(20)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제2 사무용품통(30, 30')을 포함하며, 삽입홈(40)은 제2 사무용품통(30, 30')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분리형 사무용품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ffice supply container,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having an inner space of one end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nd has an inner space of one end is open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n insertion groove 40 is formed at an upper lower side thereof, and an edge of an opening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0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Including the second office supplies (30, 30 ')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ffice supplies 20, the insertion groove 40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office supplies (30,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tachable office supply box formed by cutt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Description

분리형 사무용품통{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본 고안은 사무용품통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양한 사무용품을 각각 다른 격실에 분리하여 수용함으로써 업무에 편리성을 제공하며, 또한 체결 및 분리 가능하여 사용하는 사무용품에 따라 그 격실의 수를 달리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사무용품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supply container,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convenience to the work by separately receiving a variety of office supplies in different compartments, and also can be fastened and detached can be adju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office supplies used Removable office supplies box.

일반적으로 종래의 사무용품통은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의 몸체로서, 일부의 사무용품통은 개방된 사무용품통의 입구에 뚜껑을 설치하여 사무용품통의 내부에 너저분하게 배치된 사무용품을 가려 정돈된 모습을 보이도록 하며 또한, 용품이 사무용품통을 이탈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In general, a conventional office supply bin is a cylindrical body with one end closed, and some office supply bins are provided with a lid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open office supply bin to cover the office supplie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office supply bin so that the office supplies are neat. In addition, the article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by leaving the office supply container.

그러나, 사무용품들은 다양하다. 그 몇 가지 예로서, 다수의 용지를 묶는 클립 및 핀, 용지를 벽에 붙여두는 압전, 필기구, 스케일, 지우개 등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그 사무용품은 더욱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사무용품들은 그 종류별로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However, office supplies vary. As some examples, the office supplies may be more diverse according to the user's working environment, such as clips and pins for binding a plurality of sheets, piezoelectrics for writing the sheets on a wall, writing instruments, scales, erasers, and the like. These various office supplies can be stored separately by typ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무용품을 따로 분리하여 보관하다보면, 사무용품을 보관하는 사무용품통 또한 그 개수가 증가하여 책상 등이 지저분하게 되어 정리 정돈되지 않은 인상을 느끼게 한다.When the various kinds of office supplies are separately stored and stored, office supplies containers for storing office supplies also increase in number, resulting in messy desks, which makes the impression of being unorganized.

또한, 이런 다수 개의 사무용품통을 갖고 있다보면, 그 사무용품들이 차지하는 면적 또한 넓어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if you have a large number of such office supplies, the area occupied by the office supplies is also difficult to manage.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사무용품의 종류에 따라 분리하여 사무용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무용품통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분리형 사무용품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office supplies can be stored office supplies, an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area occupied while having a plurality of office supplies containe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rrel.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사무용품통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office supplie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사무용품통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제2 사무용품통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office supplies are respectively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사무용품통의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shown in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사무용품통의 단면사시도이며,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shown in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사무용품통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이런 제2 사무용품통이 제1 사무용품통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shown in FIG. 3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is fastened to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필기구 2 : 클립1: writing instrument 2: clip

3 : 압전 4 : 핀3: piezoelectric 4: pin

5 : 견출지 20 : 제1 사무용품통5: field of reference 20: first office supplies

30, 30' : 제2 사무용품통 31 : 뚜껑30, 30 ':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1: lid

32 : 수직벽 33 : 수평면32: vertical wall 33: horizontal plane

35 : 수직면 40, 40' : 삽입홈35: vertical plane 40, 40 ': insertion groove

100 : 분리형 사무용품통100: detachable office supplie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용품통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 사무용품통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개방부의 상단에는 바깥쪽 하부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의 바깥면 또는 내부면과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의 개방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사무용품통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제2 사무용품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 사무용품통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분리형 사무용품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office supply container,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having an inner space of one end is open and the other end is closed, the inner space of one end is open and the other end is closed Has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in the outer downward direction,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office equipment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ffice equipment container. And a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in a closed state, and the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 사무용품통의 개방부에는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id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ngedly coupled to open and clos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 사무용품통은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has a concave surface and convex surface of the same radius as the radius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사무용품통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eparable office suppl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사무용품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사무용품통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제2 사무용품통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사무용품통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사무용품통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사무용품통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이런 제2 사무용품통이 제1 사무용품통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tachable office supp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office supplies are respectively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office supplies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quadrangular shape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shown in FIG. 3. It ha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is fastened to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사무용품통(100)은 다른 종류의 사무용품통(20, 30)들을 포함한다. 제1 사무용품통(20)은 종래의 사무용품통과 유사하게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사무용품통이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removable office supply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ther types of office supply containers (20, 30).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is a cylindrical office supply container of which one end is closed and the other end is open,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ffice supply container.

한편, 이런 제1 사무용품통(20)의 둘레에는 다수 개의 제2 사무용품통(30)들이 위치한다. 이런 제2 사무용품통(30)은 초승달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오목면은 제1 사무용품통(20)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볼록면 또한 제1 사무용품통(20)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그리고, 오목면과 볼록면이 만나는 부위는 라운드처리된 것이 양호한 구조의 제2 사무용품통(30)이다.Meanwhile, a plurality of second office supplies 30 are located around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has a shape like a crescent moon and the concave surface has the same radius as the radius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and the convex surface also has the same radius as the radius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meet is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having a good structure that is rounded.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제2 사무용품통(30)의 개방부에는 바깥방향으로 삽입홈(40)이 형성되는데, 삽입홈(40)은 제2 사무용품통(30)의 수직벽(32)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33)과 이런 수평면(33)의 단부에서 수직벽(3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면(35)의 안쪽 공간이다. 한편, 제2 사무용품통(30)의 오목면과 볼록면이 접하는 부위에는 이런 수평면(33)과 수직면(35)이 절단되어 있다.3 and 4, the opening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40 in an outward direc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40 has a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A horizontal plane 33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wall 32 of the inner space of the vertical plane 35 extending parallel to the vertical wall 32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lane 33. On the other hand, such a horizontal surface 33 and the vertical surface 35 is cut at the site where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contact.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제2 사무용품통(30)의 개방부에는 힌지결합된 뚜껑(31)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제2 사무용품통(30)의 개방부를 개폐한다. 이런 뚜껑(31)에는 힌지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에는 래치(도면에 도시안됨)가 형성되고, 이런 래치와 대응하는 제2 사무용품통(30)의 수직벽(32) 안쪽에는 래치홈(도면에 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31)의 래치가 래치홈에 삽입되어 체결된다.And, in some cases, the opening 31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hinged lid 31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while turn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d 31 has a latch (not shown)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hinge portion, and a latch groove (shown in the drawing) inside the vertical wall 32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corresponding to the latch. No) is formed so that the latch of the lid 31 is inserted into the latch groove and fasten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리형 사무용품통에 설치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in the detachable office suppli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우선 제1 사무용품통(20)만이 존재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종래의 사무용품통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사무용품통에는 뚜껑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길이가 긴 사무용품 스케일, 필기구, 붓 등을 수용한다.First, in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exists, it performs the same role as a general conventional office supply container. That is, since the lid is not formed in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a relatively long office supply scale, a writing instrument, a brush, and the like are accommodated.

한편, 2종류의 사무용품의 부피가 모두 작을 경우에는 제2 사무용품통(30)을 제1 사무용품통(20)의 안쪽에 위치하여 설치한다. 즉, 제2 사무용품통(30)을 제1 사무용품통(20)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2 사무용품통(30)의 볼록면에 형성된 삽입홈(40)에 제1 사무용품통(20)의 입구가 삽입되도록 위치한다. 이때, 제2 사무용품통(30)의 볼록면과 오목면의 반경은 제1 사무용품통(20)의 반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무용품통(30)이 제1 사무용품통(20)의 안쪽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사무용품통(20, 30)을 설치하면 분리형 사무용품통(100)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ume of the two kinds of office supplies are both small,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and installed. That is, the inlet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0 formed in the convex surface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and placed inside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To be located. At this time, since the radius of the convex surface and the concave surface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the same as the radius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as shown in Figure 2,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the first office equipment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arrel 20 and positioned. As such, when the first and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s 20 and 30 are installed, the area of the separate office supply container 100 can be minimized.

한편, 2종류의 사무용품 중에서 어느 한 사무용품의 부피가 클 경우에는 제2 사무용품통(30)을 제1 사무용품통(20)의 바깥면에 설치하는데, 이때 제2 사무용품통(30)의 오목면이 제1 사무용품통(20)의 바깥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오목면에 형성된 삽입홈(40)에 제1 사무용품통(20)의 입구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제1 사무용품통(20)에 길이가 긴 또는 부피가 큰 사무용품을 투입하고, 제2 사무용품통(30)에는 작은 부피의 사무용품을 투입한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of the two kinds of office supplies is large volume of office supplies,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wherein the concave surface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inlet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in the insertion groove 40 formed in the concave surface. In this structure, a long or bulky office supply is put into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and a small volume of office supply is put into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무용품통(20)에 총 4개의 제2 사무용품통(30)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총 5종류의 사무용품인, 필기구(1), 클립(2), 압전(3), 핀(4) 및, 견출지(5) 등을 각각 분리 보관할 수 있으며, 제1, 제2 사무용품통(20, 30)이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사무용품통(20, 30) 전체의 부피를 최대로 축소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since four second office supplies 30 can be arranged in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a total of five types of office supplies, writing instruments 1, clips 2, and piezoelectric elements are provided. (3), the pin (4) and the holding paper (5) can be stored separately,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office supplies 20, 30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the volume of the entire office supplies (20, 30) Can be reduced to the maximum.

한편,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분리형 사무용품통은 제2 사무용품통(30)의 형상이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응용하여 다른 형태의 제2 사무용품통(30)을 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achable office supplies bi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the same shape all of the second office supplies bin 30, it can be applied to produce a second type of office supplies bin 30 of another form.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무용품통(2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2 사무용품(30') 또한 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제1 사무용품통(20)의 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사무용품통(20)을 중심으로 4측면에 밀착되어 제2 사무용품통(30')이 밀착되어 위치한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second office supply product 30 ′ also has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 Then,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ur sides and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제2 사무용품통(30')에 형성된 삽입홈(40')은 제2 사무용품통(30')의 4수직벽(32) 중에서 어느 한 수직벽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제2 사무용품통(30')의 뚜껑(31)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groove 40 'formed in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any one of the four vertical walls 32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 In some cases, the lid 31 of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30 'may not be install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사무용품통은 다양한 종류의 사무용품들을 분리 보관할 수 있어 다양한 사무용품을 사용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에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Such a detachable office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d store various kinds of office supplies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to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work using a variety of office supplies.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사무용품통은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사무용품을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사무용품의 부피에 따라 사무용품통을 달리함으로써, 일정한 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eparable office supplies b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various kinds of office supplies while occupying a small space, and also by varying the office supplies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office suppli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tilization of a certain space is efficient. .

또한, 본 고안의 분리형 사무용품통은 제2 사무용품통에 뚜껑이 설치되어 사무용품통에 보관된 용품이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movable office supplies b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lid is installed in the second office supplies can prevent the loss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office supplies.

이상에서 본 고안의 분리형 사무용품통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separable office suppl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사무용품통에 있어서,Office supplies,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 사무용품통과,A first office supply passag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one end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개방부의 상단에는 바깥쪽 하부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의 바깥면 또는 내부면과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의 개방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사무용품통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제2 사무용품통을 포함하며,The inner space of one end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 the outer downward direction, the first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ffice supplies And a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while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office supply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 사무용품통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사무용품통.The insertion groove is detachable office suppli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utt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office suppli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사무용품통의 개방부에는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사무용품통.Separating office suppl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 is opened and hinged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office supplies are install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 사무용품통은 상기 제1 사무용품통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사무용품통.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is a cylindrical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nd the second office supply container has a concave surface and convex surface of the same radius as the radius of the first office suppl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office equipment container.
KR2020020007263U 2002-03-12 2002-03-12 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KR2002817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63U KR200281793Y1 (en) 2002-03-12 2002-03-12 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63U KR200281793Y1 (en) 2002-03-12 2002-03-12 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793Y1 true KR200281793Y1 (en) 2002-07-13

Family

ID=7311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63U KR200281793Y1 (en) 2002-03-12 2002-03-12 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7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715A (en) Tool case with snap-in modules
US5803254A (en) Tool case with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6167680B1 (en) Portable display case
US5248030A (en) Folding instrument container
US6044973A (en) Case with split panels
RU2060168C1 (en) Storage container and system of containers
US4591056A (en) Organizer for attache cases
US20070020600A1 (en) Activity center
US5758769A (en) Tool case
US5340156A (en) Notebook binder having a tray with sliding lid
US4134525A (en) Traveling case for artist brushes
US5350061A (en) Container systems for school supplies
KR200281793Y1 (en) Separation type of office supplies case
US6325077B1 (en) Contact lens kit and carrying pouch
CA2303551C (en) Tool case with snap-in modules
KR200391618Y1 (en) A art for art-instrument
KR200231465Y1 (en) nail clipper set case
KR200230127Y1 (en) make up palette
CA2402788C (en) Case with split panels
KR960007256Y1 (en) Box for receipts
CN212290958U (en) Double-sided storage box
KR960007174Y1 (en) A multi purposed hole of desk top board
JP3048474U (en) Tissue paper storage box
KR200187107Y1 (en) A rest for telephon
KR200218442Y1 (en) Copy-holder having a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