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738Y1 - Waste water disposal plant - Google Patents

Waste water disposal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738Y1
KR200281738Y1 KR2020020012148U KR20020012148U KR200281738Y1 KR 200281738 Y1 KR200281738 Y1 KR 200281738Y1 KR 2020020012148 U KR2020020012148 U KR 2020020012148U KR 20020012148 U KR20020012148 U KR 20020012148U KR 200281738 Y1 KR200281738 Y1 KR 200281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stewater
stirrer
separation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14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승기
Original Assignee
나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기 filed Critical 나승기
Priority to KR2020020012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7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738Y1/en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 처리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이러한 폐수 처리장치는, 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와 관으로 연결되며 관로 상에 설치된 펌프 작동에 의해 폐수를 공급받아 반응제와 함께 혼합시키는 제1교반기와; 상기 제1교반기와 관으로 연결되어 반응제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아 응집제와 함께 혼합시키는 제2교반기와; 상기 제2교반기와 유입관으로 연결되어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며, 상,하부 일측에는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관과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되는 슬러지 분리조와; 상기 슬러지 분리조의 상부 내측 공간을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며 양측면이 슬러지 분리조의 내부 양측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고 폐수의 유입 및 배출에 따른 출렁거림에 의한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를 억제하는 최소 2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유속흐름 안정판과; 상기 슬러지 분리조의 내부에 처리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주위에 공간이 형성되게 "ㄴ" 형태로 굽힘되어 용접 접합되며 상단부는 톱니가 형성되어 처리수는 통과되면서 부유물 배출은 억제시키는 부유물 배출 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first stirrer connected to a water collecting tank for storing wastewater and supplied with wastewater by a pump operation installed on a pipeline to be mixed with a reactant; A second stirrer connected to the first stirrer and a pipe to receive wastewater mixed with a reactant and mix with the coagulant;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irrer and the inlet pipe is supplied with the waste water mixed with the flocculant is separated into the treated water and sludge by sedimenta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sludg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ludge A sludge separation tank connected; The upper inner space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ertically and both sides are weld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by welding, and at least two or more to suppress the flotation of the precipitated sludge by the slump due to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ste water A flow rate stabilizer plate provided; The sludge separation tank is bent and welded to form a space around the connection to the treatment water discharge pipe is formed in the "b" shape,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sawtooth float includes a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for suppressing the discharge of suspended matter. It is configured by.

Description

폐수 처리장치 {Waste water disposal plant}Waste water treatment plant {Waste water disposal plant}

본 고안은 공업용으로 사용된 오폐수를 정화하는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와 폐수를 효율적으로 분리시키도록 하여 폐수 정화율을 향상시키는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water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efficiently separating sludge and wastewater, thereby improving wastewater purification rate.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이란 생물체에게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변화되는 것을 말하며, 크게 고정적 수질 오염원과 비고정적 수질 오염원으로 대별되는 바, 상기 고정적 수질 오염원으로는 일정한 장소에서 호수나 하천으로 이어지는 관로를 통해 오염물질을 방출시키는 공장이나 발전소 및 하수 처리장 등이 이에 속하며, 비고정적 수질 오염원으로는 먼지, 침전물, 살충제, 석면, 비료, 중금속, 염분, 기름, 쓰레기 등 다양한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경작지, 주차장, 세차장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수질 오염원에서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배출되므로 수질환경 보전법에서는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각 처리시설에서는 유입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유출수의 수질을 적당한 기준에 맞도록 적절한 처리 공정을 갖추고 있으며, 이 처리공정에서는 생물학적·화학적·물리적 폐수처리 방법이 적용된다.In general, water pollution refers to a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so as to adversely affect living organisms, and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fixed water source and a non-fixed water source, and the fixed water source is a lake or a river at a certain place. These include factories, power plants, and sewage treatment plants that release pollutants through subsequent pipelines, and non-static water pollutants that emit various pollutants such as dust, sediments, pesticides, asbestos, fertilizers, heavy metals, salts, oil, and garbage. Arable land, parking lots, car washes, etc. Since various pollutants are emitted from such water pollutants, the Water Quality Preservation Act stipulates the quality of discharged water in treatment facilities that treat wastewater causing water pollution. Therefore, each treatment facility has an appropriate treatment proces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influent to meet the appropriate standard of water quality, and bio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are applied to this treatment process.

한편, 수질오염은 비교적 규모가 큰 고정적 수질 오염원보다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비고정적 수질 오염원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비고정적 수질 오염원에서 발생된 오폐수는 집단적 처리보다는 오염 발생원에서 즉각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이와 같은 소규모의 비고정적 수질 오염원에는 대부분이 연속시 폐수처리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ater pollution is caused by the discharge of pollutants from relatively small non-fixed water pollutants rather than a relatively large fixed water pollutant. Wastewater generated from such non-fixed water pollutants is more efficiently treated at the pollutant source than from collective treatment, so most of these small non-fixed water pollutants are installed with continuous wastewater treatment devices.

상기 종래의 연속식 폐수 처리장치는 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와, 이 집수조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무기물질을 이용한 액상 또는 분말형태의 응집 침전제로 폐수에 함유된 화학물질과 일부 분해성 물질을 반응 및 응집으로 침전시켜 폐수의 탁도를 개선시키는 반응조 및 응집조와, 그리고 폐수와 침전물을 분리시키는 침전조 등을 각각의 장치로서 병열 나열한 구성이다.The conventional continuous wastewater treatment device is a water collecting tank for storing waste water, and a liquid or powdered coagulant precipitant using inorganic materials by receiving waste water from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reacting and agglomerating chemica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and some degradable substances. Reactors and flocculation tanks which precipitate to improve the turbidity of the wastewater and settling tanks that separate the wastewater and sediment are arranged in paralle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속식 폐수 처리장치는 집수조와 반응조 및 응집조 그리고 침전조 등이 각각 개별적인 장치로서 마련되는 것에 의해 외형이 크고 복잡한 구성을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그 운용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설비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반응조와 응집조를 통과한 폐수와 침전물을 분리시키는 침전조에서는 폐수와 침전물을 분리시켜 개별적으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미립자가 침전되기 위한 체류시간이 길고 응집된 미립자 속에 물에 뜨는 기름성분과 기포를 일으키는 세제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침전되는 그 입자가 다시 물위로 떠오르거나 응집 침전된 입자로부터 기름성분이 용출되어 물위로 부상하게 되는 것에 의해 침전조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오염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tinuous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a large and complicated configuration by providing a collection tank, a reaction tank, a flocculation tank, a sedimentation tank, and the like as a separate device, and as a result, of course, the installation space is restricted. It is not only easy to operate, but also has a disadvantage of expensive equipment. In addition, in the sedimentation tank which separates the wastewater and the sediment passed through the reaction tank and the flocculation tank, the sewage and sedimen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separately. At this time, the residence time for sedimentation of the particulates is long, and oil components and bubbles floating in the water in the aggregated particulates Since the detergent component is added to the water, the precipitated particles float on the water again, or the oil component is eluted from the flocculated precipitated particles and floats on the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pollution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settling tank. have.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간소하게 하면서 처리수의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폐수처리의 신뢰성으 확보하면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nd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of the treated water,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nd miniaturizing the device.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폐수처리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1 is a process chart showing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서 슬러지 분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슬러지 분리조에서 유속흐름 안정판의 각도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ngle of the flow rate stabilizer plate in the sludge separation tank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슬러지 분리조에서 슬러지와 폐수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at sludge and waste water are separated in the sludge separation tank shown in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서 슬러지 분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집수조 15 : PH검출 컨트롤러 16 : 유량기10: collection tank 15: PH detection controller 16: flow meter

20 : 제1교반기 25,26,35 : 저장용기 25a,26a,35a : 정량펌프20: first stirrer 25, 26, 35: storage container 25a, 26a, 35a: metering pump

30 : 제2교반기 40 : 슬러지 분리조 40a : 상부케이스30: second stirrer 40: sludge separation tank 40a: upper case

40b : 하부케이스 41 : 유입관 42a : 처리수 배출관40b: lower case 41: inlet pipe 42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b : 슬러지 배출관 43 : 유속흐름 안정판 44 : 부유물 배출 차단판42b: sludge discharge pipe 43: flow velocity stabilizer 44: float discharge block

50 : 슬러지 수거조 60 : 여과기 p1,p2 : 관 m : 펌프50: sludge collection tank 60: filter p1, p2: pipe m: pump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와 관으로 연결되며 관로 상에 설치된 펌프 작동에 의해 폐수를 공급받아 반응제와 함께 혼합시키는 제1교반기와; 상기 제1교반기와 관으로 연결되어 반응제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아 응집제와 함께 혼합시키는 제2교반기와; 상기 제2교반기와 유입관으로 연결되어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며, 상,하부 일측에는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관과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되는 슬러지 분리조와; 상기 슬러지 분리조의 상부 내측 공간을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며 양측면이 슬러지 분리조의 내부 양측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고 폐수의 유입 및 배출에 따른 출렁거림에 의한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를 억제하는 최소 2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유속흐름 안정판과; 상기 슬러지 분리조의 내부에 처리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주위에 공간이 형성되게 "ㄴ" 형태로 굽힘되어 용접 접합되며 상단부는 톱니가 형성되어 처리수는 통과되면서 부유물 배출은 억제시키는 부유물 배출 차단판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stirrer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the pipe for storing the wastewater and receiving the wastewater by the pump operation installed on the pipeline and mixed with the reactant; A second stirrer connected to the first stirrer and a pipe to receive wastewater mixed with a reactant and mix with the coagulant;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irrer and the inlet pipe is supplied with the waste water mixed with the flocculant is separated into the treated water and sludge by sedimenta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sludg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ludge A sludge separation tank connected; The upper inner space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ertically and both sides are weld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by welding, and at least two or more to suppress the flotation of the precipitated sludge by the slump due to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ste water A flow rate stabilizer plate provided; The sludge separation tank is bent and welded to form a space around the connection to the treatment water discharge pipe is formed in the "b" shape,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sawtooth float includes a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for suppressing the discharge of suspended matter.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폐수처리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서 슬러지 분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sludge separation 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bath.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슬러지 분리조에서 유속흐름 안정판의 각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슬러지 분리조에서 슬러지와 폐수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ngle of the flow rate stabilizer plate in the sludge separation tank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sludge and waste water is separated from the sludge separation tank shown in FIG.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집수조(10)와 제1,2교반기(20),(30) 및 슬러지 분리조(40) 그리고 여과기(60) 및 슬러지 수거조(50)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collecting tank 10, first and second stirrers 20, 30, and a sludge separation tank 40, and a filter 60 and a sludge collection tank 50. It is composed.

상기 집수조(10)는 공장이나 세차장으로부터 배출되어지는 폐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로서, 통상 지하에 매설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집수조(10)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저장된 폐수에 포함된 기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부재(토목재등)를 구비시키거나, 또는 침전물(모래나 기타 불순물)이 외부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집수조(10)는 일측에 마련된 배출관(p1)을 통해 폐수를 배출하게 된다.The water collecting tank 10 is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factory or a car wash, and is usually provided in a form buried underground. Such a sump tank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dsorption member (such as a civil engineering material) for adsorbing oil contained in stored wastewater is provided, or a precipitate (sand or other impurities) is externally provided. An outlet can be formed that allows it to be removed. The collection tank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ischarges wastewater through a discharge pipe p1 provided at one side.

상기 제1교반기(20)는 집수조(10)의 배출관(p1)과 연결관(p2)으로 연결되어 폐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공급된 폐수를 반응제와 함께 혼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폐수와 반응제를 혼합하기 위하여 상부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21)와, 이 모터(2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을 이루는 블레이드(22)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2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1교반기(20)의 용기내에 위치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21)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블레이드(22)가 고속으로 회전되어짐으로써 제2교반기(30)의 용기내에 있는 폐수가 응집제와 함께 교반된다.The first stirrer 2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p1) and the connection pipe (p2) of the collection tank 1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waste water, and the supplied waste water is mixed with the reactant. At this time, in order to mix the wastewater and the reactant, the motor 21 which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and the blade 22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motor 21 to form an integral rotation The blade 22 is located in the container of the first stirrer 20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motor 21 is rotated by such a configuration, the blade 22 is rotated at a high speed in conjunction with this, and the waste water in the vessel of the second stirrer 30 is stirred together with the flocculant.

한편, 상기 제1교반기(20)에 투입되는 반응제는 통상 가성소다라 불리우는 수산화나트륨과 황산반토라 불리우는 황산알루미늄이 사용되어지며, 이들 수산화나트륨과 황산알루미늄은 각각의 저장용기(25),(26)에 저장되어 튜브를 통해 제1교반기(2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튜브상에는 PH검출 컨트롤러(15)의 제어를 받는 각각의 정량펌프(25a),(26a)가 설치되며, 이 정량펌프(25a),(26a)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저장용기(25),(26)에 저장된 수산화나트륨과 황산알루미늄이 제1교반기(20)의 용기내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PH검출 컨트롤러(15)는 집수조(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의 PH 농도를 검출하여 적정량의 약품이 제1교반기(20)로 투입되도록 정량펌프(25a),(26a)를 제어하는 기기로서, 상기 제1교반기(20)로 폐수가 유입되어지는 유입관(p2)으로 상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ct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stirrer 20 is used sodium hydroxide and aluminum sulfate, commonly referred to as sodium hydroxide and alumina sulfate, these sodium hydroxide and aluminum sulfate, respectively, storage containers 25, ( And stored in 26) and connected to the first stirrer 20 through a tube. At this time, each of the metering pump (25a, 26a) under the control of the PH detection controller 15 is installed on the tube, the respective storage container 25 by the operation of the metering pump (25a, 26a). Sodium hydroxide and aluminum sulfate stored in the 26, 26 is supplied into the vessel of the first stirrer 20. Here, the PH detection controller 15 detects the PH concentration of the wastewater flowing from the water collecting tank 10 and controls the metering pumps 25a and 26a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chemical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tirrer 20. In addition, the first stirrer 20 is installed on the inlet pipe (p2)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wat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교반기(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집수조(10)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으면서 동시에 수산화 나트륨과 황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반응제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하여 교반시키게 되며, 이렇게 반응제가 혼합된 폐수는 제2교반기(30)로 배출되어지게 된다.The first stirrer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wastewater from the sump tank 10 as described above, receives a reactant made of sodium hydroxide and aluminum sulfate, and then mixes and stirs the wastewater mixed with the reactants. Is discharged to the second stirrer (30).

상기 제2교반기(30)는 제1교반기(20)와 관으로 연결되어 반응제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공급된 반응제와 혼합된 폐수를 응집제와 함께 교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교반기(30)는 제1교반기(20)와 마찬가지로 반응제와 혼합된 폐수를 다시 응집제와 혼합하기 위하여 상부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와, 이 모터(3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을 이루는 블레이드(32)가 설치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블레이드(3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교반기(30)의 용기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1)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블레이드(32)가 고속으로 회전되어짐으로써 제2교반기(30)의 용기내에 있는 폐수가 응집제와 함께 교반된다.The second stirrer 30 is connected to the pipe with the first stirrer 20 to receive the wastewater mixed with the reactant, and the wastewater mixed with the supplied reactant is stirred together with the coagulant. At this time, the second stirrer 30 is a motor 31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the upper side in order to mix the wastewater mixed with the reactant with the flocculant, like the first stirrer 20, The blade 32 is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motor 31 and is integrally rotated. The blade 32 is located in the container of the second stirrer 30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fore, when the motor 31 is rotated, the waste water in the vessel of the second stirrer 30 is stirred together with the flocculant by rotating the blade 32 at a high spe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1.

한편, 상기 제2교반기(30)에 투입되는 응집제는 폐수 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입자를 모여 큰 덩어리 형태로 만들기 위한 약품으로서, 통상 침강촉진제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응집제는 화학 조성상 두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첫 번째로는 무기 전해질로서 소석회(수산화칼슘)·백반·염화알루미늄·산철(Ⅲ)·황산철(Ⅱ) 등이 이에 속하며, 이들은 액체 속의 입자의 표면전위(表面電位)를 거의 0에 가깝게 하며 그때까지 존재하던 입자 상호간의 전기적 반발력을 없애 줌으로써 응집을 일으킨다. 두 번째는 유기고분자 화합물로 녹말류나 폴리 아크릴 아미드와 그 유도체 등이 이에 속하며, 녹말은 콜로이드의 증감작용(增減作用)에 의하여 응집을 일으키는데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유도체는 입자에 흡착된 분자가 다리 걸침 작용에 의해 서로 입자를 끌어당기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위의 두 가지 응집제가 함께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응집제는 저장용기(35)에 저장되어 튜브를 통해 제2교반기(30)에 연결되는 구성이며, 상기 튜브상에는 PH검출 컨트롤러(15)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는 정량펌프(35a)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교반기(30)는 제1교반기(20)로부터 반응제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으면서동시에 정량펌프(35a)의 작동에 의해 응집제를 공급받아 이들을 교반시키게 되며, 이렇게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는 슬러지 분리조(40)로 배출되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occulant introduced into the second stirrer 30 is a medicine for collecting the solid particles suspended in the waste water to form a large agglomerate, which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sedimentation accelerator. These coagulant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chemical compositions. First, inorganic electrolytes include hydrated lime (calcium hydroxide), alum, aluminum chloride, iron (III), iron sulfate (II), and the like. Aggregation is caused by bringing the dislocation to nearly zero and eliminating the electric repulsive force between the particles that existed up to that time. The second is an organic polymer compound, which includes starch, polyacrylamide and derivatives thereof. Starch causes coagulation by sensitization of colloids. Polyacrylamide and its derivatives are molecules adsorbed on particles. The interlocking action attracts the particles from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two coagulants may be used together. Such a flocculant i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35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irrer 30 through a tube, and on this tube, a metering pump 35a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H detection controller 15 is installed. to be. Therefore, the second stirrer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coagulant by the operation of the metering pump 35a while receiving the waste water mixed with the reactants from the first stirrer 20 and agitates them. Mixed wastewater is discharged to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상기 슬러지 분리조(40)는 크게 상부(40a)와 하부(40b)로 나뉘어지며, 상부(40a)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내부가 빈 상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하부(40b)는 상기 상부(40a)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그 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슬러지 분리조(40)는 상기 제2교반기(30)와 유입관(41)으로 연결되어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처리수(w)와 슬러지(s)로 분리하게 된다.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is divided into a large upper portion (40a) and the lower portion (40b), the upper portion (40a)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empty box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lower portion (40b) is the upper portion ( Is connected to 40a) is provided in a form that the area is reduced while proceeding downward.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irrer 30 and the inlet pipe 41 to receive the wastewater in which the flocculant is mixed, thereby separating the treated water w and the sludge s by precipitation. .

한편, 상기 슬러지 분리조(40)는 상부(40a) 일측으로 처리수(w)를 여과기(60)로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관(42a)이 연결되며, 하부(40b) 일측으로는 침전된 슬러지(s)를 슬러지 수거조(50)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관(42b)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유입관(41)은 상기 처리수 배출관(42a)과 마주보는 방향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is connected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w) to the filter 60 to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40a), sludge sedimented to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40b) The sludge discharge pipe 42b for discharging (s) to the sludge collection tank 50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inlet pipe 41 is provided in a direction facing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슬러지 분리조(40)는 유입관(41)을 통해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게 되면 응집제에 의해 고체 입자가 슬러지(s) 형태로 뭉치면서 하부(40b)로 가라앉게 되고 반면, 처리수(w)는 상부(40a)에 위치되게 된다.When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wastewater in which the flocculant is mixed through the inlet pipe 41, the solid particles are aggregated in the form of sludge (s) by the flocculant and settled to the lower portion 40b. , The treated water w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40a.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슬러지 분리조(40)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는 유속흐름 안정판(43)과, 부유물 배출 차단판(44)이 구성되어지는 바, 이때의 상기 유속흐름 안정판(43)은 슬러지 분리조(40)내로 유입되는 폐수와, 침전에 의해 생성된 슬러지(s) 및 처리수(w)가 상호 혼합되지 않게 하면서 동시에 폐수유입과 슬러지(s) 및 처리수(w)의 배출에 따른 출렁거림을 방지하여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w)가 부유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부유물 배출 차단판(44)은 처리수 배출관(42a)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처리수(w)에 거품과 같은 부유물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flow rate flow stabilizer 43 and a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44 having a characteristic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low rate stabilizer plate ( 43) prevents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and the sludge (s) and the treated water (w) generated by the sedimentation, while simultaneously mixing the wastewater inflow and sludge (s) and the treated water (w) It prevents the slump due to the discharge of the sludge (w) to act to suppress the floating. In addition, the suspended matter discharge blocking plate 44 serves to prevent the suspended matter such as foam is mixed with the treated water (w) discharged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to be discharged.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유속흐름 안정판(43)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재형으로 제공되어지며, 최소 2개 이상이 슬러지 분리조(40)의 상부 내측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는 형태로 마련되어진다. 즉, 본 고안에서의 유속흐름 안정판(43)은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된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하지 않고 슬러지 분리조(40)의 용량 즉, 크기에 따라 유속흐름 안정판(43)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In more detail, the flow velocity stabilizer 43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t least two or more in the form of partitioning a plurality of upper inner spaces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pared. That is, the flow rate flow stabilizer 4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be composed of thre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flow rate stabilizer plate according to the capacity, that is, the size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The number of 43 may be added or subtracted.

이러한 유속흐름 안정판(43)은 상단부가 유입관(41)측으로 향하면서 하단부는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지며, 그 경사각은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10~60°를 가지며, 이를 수평선 기준으로 보면 30~160°내에서 형성되어진다.The flow rate stabilizer 43 is provid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pper end toward the inlet pipe 41 side, the lower end toward the opposite side, the inclination angle has a 10 ~ 60 ° relative to the vertical line as shown in FIG. When viewed from the horizontal line, it is formed within 30 ~ 160 °.

한편, 상기 유속흐름 안정판(43)은 수직하는 방향으로 양측면이 슬러지 분리조(40)의 상부(40a) 내측면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고정되어진다. 또한, 유입관(41)에 근접되는 위치에 있는 유속흐름 안정판은 타 유속흐름 안정판에 비해 낮은 높이로 구비되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유입관(41)에 근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유속흐름 안정판이 다른 유속흐름 안정판의 높이를 기준으로 대략 10~30%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velocity stabilizer 43 is fixed to both sides are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40a)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low rate flow stabilizer plate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flow pipe 41 is provided at a lower height than other flow rate stabilizer plate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flow stabilizer plate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flow pipe 41. It is proposed to have a height of approximately 10-30% lower based on the height of this other flow velocity stabilizer plat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입관(41)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backflow of the waste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41 is prevent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유속흐름 안정판(43)은 유입관(41)을 통해 유입되어지는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와 슬러지와 분리된 처리수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슬러지(s)와 처리수(w)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The flow velocity stabilizer 43 formed as described above separates the sludge (s) and the treated water (w) while preventing the wastewater mixed with the floccula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41 and the tre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sludge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forms if it has a feature to make it easy.

일예로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유속흐름 안정판(43a)은 판재형의 부재를 수회 굽힘시킨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low velocity stabilizer 43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bending a plate member several times.

한편, 상기 부유물 배출 차단판(44)은 판재형의 부재를 대략 "ㄴ" 형태로 굽힘 성형시킨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리수 배출관(42a)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비되어지며, 상술한 유속흐름 안정판(43)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44 is formed by bending the plate-shaped member in the form of approximately "b", is provided in the form to cover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low rate described above It is provid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flow stabilizer 43.

즉, 상기 부유물 배출 차단판(44)은 처리수 배출관(42a)이 연결되는 슬러지 분리조(40)의 내부 일측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되게 한 것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톱니가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부유물 배출 차단판(44)은 슬러지 분리조(40)에서 슬러지(s)와 분리된 처리수(w)가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홈으로 통과되게 하면서 거품과 같은 부유물은 통과되지 못하게 억제함으로써 처리수 배출관(42a)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w)의 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That is, the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44 is to form a separate space on one side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to whic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is connected, the upper end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teeth are formed extending do. Such a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44 is allowed to pass the sludge (s) and the treated water (w) separated from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to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teeth while suppressing the passage of floating matters such as bubbles.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w discharged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is maintained.

상기와 같이 슬러지 분리조(40)에서 슬러지(s)와 분리된 처리수(w)는 처리수 배출관(42a)을 통해 활성탄·모래·자갈로 이루어진 여과기(60)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정수 형태로 배출되어지게 되며, 상기 슬러지 분리조(40)에서 처리수와 분리된 슬러지(s)는 슬러지 배출관(42b)을 통해 슬러지 수거조(50)로 배출되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eated water (w) separated from the sludge (s) in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passes through the filter 60 made of activated carbon, sand, and gravel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and finally, in the form of purified water. The sludge s separated from the treated water in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is discharged to the sludge collection tank 50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42b.

한편, 미설명 부호 (c)는 펌프를 포함하여 제1교반기(20) 및 제2교반기(30)와 슬러지 분리조(40)를 일체로 내설한 케이스이며, 이와 같은 케이스(c)에 의해 본 고안의 폐수 처리장치는 크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호 (16)은 처리수 배출관(42a)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처리수의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기이며, 이때의 유량기(16)는 폐수 처리용량을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c) deno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stirrer 20, the second stirrer 30, and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are integrally installed, including a pump, and is viewed by such a case (c).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in size.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flowmeter for checking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2a, and the flow rate 16 at this time is for checking the wastewater treatment capacit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폐수처리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차장이나 기타 공장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10)로부터 오염물질을 함유한 폐수를 제1교반기(20)에서 공급받아 이를 반응제와 함께 교반하게 된다. 이때의 상기 반응제는 수산화나트륨과 황산알루미늄이 사용되어지며, 이들 화학약품에 의해 분해성 물질이 분해되면서 폐수의 탁도를 개선시키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1, to receive the waste 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from the water tank 10 for storing the waste water discharged from the car wash or other factories from the first stirrer 20 to stir it with the reactant do. In this case, sodium hydroxide and aluminum sulfate are used as the reactants, and decomposable substances are decomposed by these chemicals to improve turbidity of the wastewater.

이어서, 상기 제1교반기(20)에서 반응제와 혼합된 폐수는 관로를 통해 제2교반기(30)로 배출되어지게 되고, 이때의 제2교반기(30)에서는 공급된 폐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2차 교반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의 상기 응집제는 폐수와 반응하여 일부 고체입자를 고형물 즉 슬러지 형태로 응집시키게 된다.Subsequently, the wastewater mixed with the reactant in the first stirrer 20 is discharged to the second stirrer 30 through a pipe line, and in this case, a flocculant is added to the supplied wastewater in the second stirrer 30. Differential stirr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flocculant reacts with the wastewater to aggregate some solid particles into solids, that is, sludge.

이와 같이 제2교반기(30)에서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는 관로를 통해 슬러지분리조(40)로 배출되어지게 된다.As such, the wastewater in which the flocculant is mixed in the second stirrer 30 is discharged to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through a pipe line.

한편, 상기 슬러지 분리조(30)로 공급된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는 응집과 침전작용에 의해 고형화된 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되고, 반면 고체입자가 제거된 처리수는 가라앉은 슬러지의 상부에 위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러지 분리조(40)의 내부에서 상,하로 분리된 슬러지(s)와 처리수(w)는 각각의 배출관(42a),(42b)을 통해 슬러지 수거조(50)와 여과기(60)로 배출되어짐으로써 폐수처리 공정이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stewater mixed with the flocculant supplied to the sludge separation tank 30, the sludge solidified by the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is submerged by its own weight, while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solid particles are removed is placed on the top of the sludge To be located. As such, the sludge s and the treated water w separated up and down in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are sludge collection tank 50 and the filter 60 through the respective discharge pipes 42a and 42b.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completed.

또한, 상기 슬러지 분리조(40)에는 본 고안의 특징 요소인 유속흐름 안정판(43)과 부유물 배출 차단판(44)이 설치되는 구성에 의해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의 유입과 처리수 및 슬러지 배출에 의한 출렁거림을 안정되게 방지하여 처리수의 탁도를 유지시키면서 부유물이 처리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ludge separation tank 40 has a flow rate stabilizer 43 and a float discharge block 44, which ar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the inflow of wastewater mixed with the flocculant and in the treatment water and sludge discharge. By stably preventing the slack caused by 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the suspended matter with the treated water while maintaining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폐수 처리장치는 단일의 케이스 안에 집수조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화학반응과 응집을 수행하는 제1,2교반기 및 폐수와 슬러지를 공급받아 침전시키는 슬러지 분리조를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기기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며, 기기의 운용이 종전에 비해 대폭적으로 간소해지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슬러지 분리조에는 유속흐름 안정판과 부유물 배출 차단판을 설치하는 구조에 의해 제1,2교반기를 통해 급속하게 유입되는 폐수와 슬러지가 빠른 시간내에 서로 분리되어 배출되어지므로 폐수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and second stirrers that receive wastewater from a collection tank to perform chemical reactions and flocculation in a single case, and a sludge separation tank to receive and settle the wastewater and sludge. As a result, the device can be made compact, and consequently, i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place, and the maintenance of the device is much simpler than before. In addition, the sludge separation tank has a structure in which a flow velocity stabilizer plate and a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are installed so that wastewater and sludge which are rapidl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irrers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within a short tim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wastewater treatment time. It provides the effect.

Claims (3)

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와 관으로 연결되며 관로 상에 설치된 펌프 작동에 의해 폐수를 공급받아 반응제와 함께 혼합시키는 제1교반기와;A first stirrer connected to a collecting tank for storing wastewater and receiving the wastewater by a pump operation installed on the pipeline and mixing the wastewater with a reactant; 상기 제1교반기와 관으로 연결되어 반응제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아 응집제와 함께 혼합시키는 제2교반기와;A second stirrer connected to the first stirrer and a pipe to receive wastewater mixed with a reactant and mix with the coagulant; 상기 제2교반기와 유입관으로 연결되어 응집제가 혼합된 폐수를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며, 상,하부 일측에는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관과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되는 슬러지 분리조와;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irrer and the inlet pipe is supplied with the waste water mixed with the flocculant is separated into the treated water and sludge by sedimenta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sludg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ludge A sludge separation tank connected; 상기 슬러지 분리조의 상부 내측 공간을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며 양측면이 슬러지 분리조의 내부 양측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고 폐수의 유입 및 배출에 따른 출렁거림에 의한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를 억제하는 최소 2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유속흐름 안정판과;The upper inner space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ertically and both sides are weld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sludge separation tank by welding, and at least two or more to suppress the flotation of the precipitated sludge by the slump due to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ste water A flow rate stabilizer plate provided; 상기 슬러지 분리조의 내부에 처리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주위에 공간이 형성되게 "ㄴ" 형태로 굽힘되어 용접 접합되며 상단부는 톱니가 형성되어 처리수는 통과되면서 부유물 배출은 억제시키는 부유물 배출 차단판;A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that is bent and welded to form a "b" shape so that a space is formed around the sludge separation tank to which a treatment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and a top portion is formed with a sawtooth to pass through the treatment water;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장치.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흐름 안정판은 30~160°의 경사각을 가지며, 유입관에 근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유속흐름 안정판은 타 유속흐름 안정판에 비하여10~30%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장치.The flow velocity stabilizer of claim 1, wherein the flow velocity stabilizer has an inclination angle of 30 to 160 °, and the flow velocity stabilizer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flow pipe has a height of 10 to 30% lower than that of other flow velocity stabilizers.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기와 제2교반기 및 슬러지 분리조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에 내설되어 일체로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장치.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irrer, the second stirrer, and the sludge separation tank are installed in a box-shaped case.
KR2020020012148U 2002-04-22 2002-04-22 Waste water disposal plant KR2002817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48U KR200281738Y1 (en) 2002-04-22 2002-04-22 Waste water disposal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48U KR200281738Y1 (en) 2002-04-22 2002-04-22 Waste water disposal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738Y1 true KR200281738Y1 (en) 2002-07-13

Family

ID=7305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48U KR200281738Y1 (en) 2002-04-22 2002-04-22 Waste water disposal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73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328A2 (en) * 2009-04-24 2010-10-28 Kim Hun-Gi Compact siz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328A2 (en) * 2009-04-24 2010-10-28 Kim Hun-Gi Compact siz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0123328A3 (en) * 2009-04-24 2011-03-31 Kim Hun-Gi Compact siz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947B1 (en) Sewage purification apparatus
US5695645A (en) Methods for removing silver from spent photoprocessing solution
KR100938146B1 (en) Waste water traement system using distribution manifold
JPH03137988A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hexavalent chromium from water
CN106517591A (en) Reverse osmosis concentra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0646042B1 (en) Sedimentation of liquid waste treatment with screw type slant plant
KR100801981B1 (en) Swirl-type press apparatus for separation of solids and liquid
CN205472856U (en) Integration tube settler
CN110386689A (en) Pretreatment system for bed mud residual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667225B1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errous catalyst air oxdization reaction vessel and a fast flocculation lamella sediment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404065B1 (en) Different Impellers Type Settling Tank(DIST)
KR20110071481A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KR200281738Y1 (en) Waste water disposal plant
CN102276112A (en) Method for treating flotation wastewater of non-ferrous metal ores
JP3958301B2 (en) Polluted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628881B1 (en) Compact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0377629Y1 (en) Compact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209938B1 (en)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by sludge flotation
Mennell et al. Treatment of primary effluent by lime precipitation and dissolved air flotation
JP4997389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JP2014004569A (en) Solid-liquid separation apparatus for muddy water
JP4396981B2 (en) Sewage treatment equipment
KR200384139Y1 (en) Sedimentation of liquid waste treatment with screw type slant plant
KR101223247B1 (en) Integrated sewage disposal device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in treated sewage
JP2011189339A (en) Alkaline turbid-water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