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428Y1 -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 Google Patents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428Y1
KR200281428Y1 KR2020020011877U KR20020011877U KR200281428Y1 KR 200281428 Y1 KR200281428 Y1 KR 200281428Y1 KR 2020020011877 U KR2020020011877 U KR 2020020011877U KR 20020011877 U KR20020011877 U KR 20020011877U KR 200281428 Y1 KR200281428 Y1 KR 200281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etaining wall
triangular plate
fixture
l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웅
Original Assignee
배용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웅 filed Critical 배용웅
Priority to KR2020020011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428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구의 전단에 형성된 삼각판재의 끝단에 걸림수단을 구비하되, 이 걸림수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각목과 각목 사이에 인입됨에 전혀 무리가 없고 인입된 이후에는 각목과 각목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도 고정구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타설이후, 배부름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早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은, 일측단에 삼각판재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호형절곡된 걸이부가 형성된 몸체를 갖는 거푸집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삼각판재의 끝단측에 몸체의 상부에는 호형진 걸림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CONCRETE FORM FIXING TOOL FOR UNDERGROUND BREAST WALL}
본 고안은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적층되는 토류목과 토류목 사이에 거푸집고정구를 인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토퓨벽과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을 유도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배부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상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층을 건설하여야 하는 바, 이 지하층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하에 옹벽을 구축하여 지하층의 외벽을 형성한다.
이런,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벽체 구조물로써 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항토압 구조물이며, 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지지력,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건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정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데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지하에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파서 H형빔을 옹벽이 형성되는 지주부분에 타설하고, 지하층의 확보된 넓이의 지반을 파내려 가면서 각목을 수평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토사의 붕괴를 막아주는 토류벽을 형성한 다음, 상기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거푸집을 고정구로 고정한 후, 토류벽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과 토류벽과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각목 등을 거푸집과 토류벽사이에 끼워 넣거나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거푸집과 토류벽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과 토류벽 사이에 장입한, 각목이 빠져 나가거나 하여 거푸집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구축된 옹벽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고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옹벽의 외부면이 일정면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해결하고자, 토류벽과 거푸집을 연결고정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고정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거푸집을 토류벽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거푸집 고정구는 토류벽을 구축하고 있는 각목과 각목 사이를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화살촉과 같이 납짝하고 뾰족하게 생긴 삼각판재가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삼각판재의 일측방향으로 용접된 연결대와, 이 연결대의 끝단에 철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된 연결고리를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연결고리가 폐구된 링고리로 형성된 경우에는 묶음철선을 연결고리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마치 바늘 귀에 실을 꿰어주는 것과 같은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묶음철선의 연결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연결고리를 관통한 묶음철선을 철제거푸집 쪽으로 길게 잡아 당겨서 묶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연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연결고리에 묶음철선이 드나들수 있도록 개구공간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묶음철선의 일측을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한 개구공간를 통해 철선의 구부러진 부분을 연결고리로 집어 넣을 수 있으므로 묶음철선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한 연결고리에 삽입된 묶음철선을 철제거푸집의 연결구에 묶어줄 때 묶음철선이 개구공간으로 빠져나가게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묶음철선 자체는 유연성이 없으므로 철제거푸집의 연결구에 묶음철선을 묶어주는 과정에서 연결고리에 삽입된 부분이 뒤(삼각판재 방향)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묶음철선이 뒤로 밀릴 때 개구공간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술한 종래 거푸집고정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출원 제1999-8790호인 옹벽구축을 거푸집 고정구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개실용신안공부에 개재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토류벽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삼각판재가 용접되며, 타단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연결대로 구성된 거푸집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고정구의 연결때 끝부분에서 연장되어 1리이드의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나선상의 연결고리가 상기 연결대의 끝부분을 지나 1/4 내지 1/2 정도 더 연장되는 연결고리 끝단과, 및 상기 연결대의 끝부분과 상기 연결고리 끝단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묶음철선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공간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철제거푸집을 묶음철선으로 고정시킬 때 토류벽에 고정 설치된 거푸집 고정구에 일체로 형성된 1리이드의 나선상 연결고리에 묶음철선의 꺽인 부분을 위에서 한차례 걸어주는 동작으로 그 꺽인 부분을 연결고리에 삽입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일단 연결고리에 삽입된 묶음철선의 꺽인 부분은 작업자의 인위적인 분리작업에 의하지 않고는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서 묶음철선의 자유단을 철제거푸집에 고정된 연결구에 묶어주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구에 묶음철선을 이용하여 거푸집과 토류벽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이나 또는,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에 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토류벽을 이루는 각목과 각목 사이에 끼워진 삼각판재가 돌아가거나 하여, 거푸집과 토류벽을 연결하는 수단인 묶음철선등이 느슨해지게 되어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거푸집이 배부름현상을 갖게 된다.
또한, 최근들어서는 상기 묶음철선 대신에 여러 가지 연결구를 사용하여 상기 토류벽과 거푸집을 연결 고정하고는 있으나, 상기 토류벽을 이루는 각목과 각목사이에 삼각판재가 인입되는 거푸집고정구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하는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거푸집과 토류벽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인 거푸집고정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구의 전단에 형성된 삼각판재의 끝단에 걸림수단을 구비하되, 이 걸림수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각목과 각목 사이에 인입됨에 전혀 무리가 없고 인입된 이후에는 각목과 각목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도 고정구가 회전되지 않음에따라 타설이후, 배부릉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에 의해 거푸집과 토류벽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삼각판재
11a : 파지부 12 : 걸이부
13 : 걸림판 20 : H빔
30 : 토류벽 31 : 각목
40, 40' : 보조연결구 50 : 거푸집
60 : 이탈방지구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은, 일측단에 삼각판재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호형절곡된 걸이부가 형성된 몸체를 갖는 거푸집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삼각판재의 끝단측에 몸체의 상부에는 호형진 걸림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각판재의 일단면부에는 다수개의 파지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는, 토류벽을 이루는 각목과 각목 사이에 삼각판재가 인입된 후, 상기 삼각판재가 일측에 형성된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삼각판재가 각목과 각목의 일단측에 걸리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삼각판재의 끝단부와 접하는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판이 각목과 각목 사이에 인입되어, 상기 각목의 하중에 의해 견고하게 걸림에 따라 토류벽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유동되지 않음에 따라,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콘크리트타설 후, 벽면의 배부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는, 삼각판재(11)가 일측에 형성되고, 호형절곡된 걸이부(12)가 타측단에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 중 삼각판재(11)의 끝단부와 접하는 위치의 상부에 호형을 갖는 걸림판(13)이 구성된다.
상기 걸림판(13)은, 일측부가 상기 삼각판재(11)의 끝단부와 융착되어 있음에 따라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삼각판재(11)의 끝단면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의 파지부(11a)가 더 형성됨으로써, 각목과 각목 사이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삼각판재(11)는, 상기 몸체(10)와 리벳팅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결합력이 견고하여 시공작업이나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몸체(10)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지하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입설된 H빔(20)과 H빔 사이에 적층되는 각목(31)과 각목(31) 사이에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의 몸체(10) 일측에 형성된 삼각판재(11)를 누인상태로 인입하여 각목(31)의 타측단 밖으로 돌출시킨 후, 상기 몸체(10)를 90도 회전함으로써, 각목의 타측단 밖으로 돌출된 삼각판재(1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목(31)과 각목(31)의 타측단부에 세워져 밀접되도록 한 다음, 상기 몸체(10)의 타측단에 호형 절곡된 걸이부(12)에 보조연결구(40)의 일측을 걸고, 이 보조연결구(40)의 타측에 다시 장형의 보조연결구(40')의 일측을 결합한 후, 이 보조연결구(40')의 타측을 거푸집(50)에 결합하면 각목(31)과 각목(31)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토류벽(30)과 거푸집(50)간의 연결이 완료되게 되며, 상기 거푸집(50)은, 토류벽(3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삼각판재(11)가 각목과 각목 사이에 인입되어 세워짐으로써, 상기 각목과 각목의 일측단에 걸리게 될 때,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구성된 걸림판(13)이 세워지는 형상으로 상기 각목과 각목 사이에 걸려지는 키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본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고정구는,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부연하면,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의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삼각판재(11)를, 토류벽(30)을 이루는 각목(31)과 각목(31) 사이에 인입한 후, 상기 몸체(10)를 일방향 돌리게 되면, 상기 삼각판재(11)와 몸체(10)의 접하는 부분에 구비된 걸림판(13)이 상기 각목(31)과 각목(31) 상부와 하부사이에 걸리게 되고, 상기 보조연결구(40)(40')를 이용하여 거푸집(50)간을 고정하기 위해 보조연결구(40)(40')를 체결할 때, 상기 몸체(10)가 거푸집(50)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걸림판(13)은, 각목(31)과 각목(31)의 상부와 하부사이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각목의 누르는 하중에 의해 더욱 고정이 견고해짐에 따라, 거푸집(5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가 유동되지 않음에 따라 옹벽의 외벽면이 배부름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더욱이, 상기 삼각판재(11)의 끝단부(상기 각목에 접하는 부위)가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의 파지부(11a)가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연결구(40)(40')들을 이용하여 거푸집(5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몸체(10)가 당겨짐에따라이 파지부(11a)가 각목(31)과 각목(31)의 외측단면에 깊게 파고 들기 때문에, 본 고안인, 거푸집고정구의 유동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는, 그 타측단부가 호형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조연결구를 연결하는데에 용이하여 시공잡업이 수월하다.
또한, 보조연결구 이외에 철선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거푸집과 토류벽을 연결 고정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 보조연결구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호형절곡된 걸이부(12)와 연접되는 위치에 끼움부(14)를 더 형성하고, 이 끼움부(14)에 끼워져 탈착이 가능한 이탈방지구(6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구(60)는, 일측 하부에 상기 끼움부(14)와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하도록 호형상의 끼움편(61)이 구성되며, 타측부는 상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구(60)를 이용하면, 상기 걸이부(12)에 걸어 거푸집과 토류벽 간을 연결하는 수단인 보조연결구의 이탈이 방지됨에 따라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됨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는,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은 물론, 몸체의 상부에 구성된 걸림판이 각목과 각목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거푸집내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유동됨이 방지되어, 옹벽의 외벽면의 배부름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Claims (3)

  1. 일측단에 삼각판재가 리벳팅결합되고, 타측단에는 호형절곡된 걸이부가 형성된 몸체를 갖는 거푸집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삼각판재의 끝단측과 접하는 몸체의 상부에는 호형진 걸림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판재의 일단면부에는 다수개의 파지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끼움부를 더 형성하고, 이 끼움부에 끼워짐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끼움편이 형성된 이탈방지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KR2020020011877U 2002-04-18 2002-04-18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KR200281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877U KR200281428Y1 (ko) 2002-04-18 2002-04-18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877U KR200281428Y1 (ko) 2002-04-18 2002-04-18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428Y1 true KR200281428Y1 (ko) 2002-07-13

Family

ID=7312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877U KR200281428Y1 (ko) 2002-04-18 2002-04-18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4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70774A (ja) コンクリート製建材のコンクリート打ち時にアンカーを保持するための成形体
JPH02178442A (ja) 支柱の連結方法及び支柱装置
KR101669151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KR200281428Y1 (ko) 지하옹벽구축용 거푸집고정구
KR20150000433U (ko) 와이어 앵커
KR101283137B1 (ko)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US20070186504A1 (en) Device for tying and centering reinforcing bar
JPS6122088B2 (ko)
US20060214146A1 (en) Systems for extracting construction forms and other embedded elements
KR100765384B1 (ko) 거푸집 인서트 조립체
CN210597702U (zh) 一种钢结构的立柱加强底座
KR200349955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강관고정장치
US7086640B2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ncrete forms and elements related to concrete formwork
KR100820218B1 (ko) 거푸집판 체결구
KR200362840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구
KR102649780B1 (ko) 바닥슬래브매입배관을 연결하여 인출하는 배관인출커플링장치
JPS585806Y2 (ja) マンホ−ル用柵
JPH0752286Y2 (ja) 配管スリーブ支持金具
KR200420025Y1 (ko) 체결이 편리하고 변형에 강한 파스너
JP2578164Y2 (ja) フェンスの連結構造
KR20190002104U (ko) 철근 클립 고정장치
JPH0215104Y2 (ko)
KR200362865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JPH01370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