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47Y1 - portable baby cot - Google Patents

portable baby c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47Y1
KR200281347Y1 KR2020020010191U KR20020010191U KR200281347Y1 KR 200281347 Y1 KR200281347 Y1 KR 200281347Y1 KR 2020020010191 U KR2020020010191 U KR 2020020010191U KR 20020010191 U KR20020010191 U KR 20020010191U KR 200281347 Y1 KR200281347 Y1 KR 200281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long side
surface portion
coupled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엠엔드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엠엔드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엠엔드피
Priority to KR2020020010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47Y1/en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가 간편하고 유아용품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 휴대용 유아침대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아기가 누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아기수용몸체(20)와, 공간이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끈(81)(82)이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아기수용몸체는 바닥면부(21)와, 바닥면부(21)의 단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측면부(24)(25) 및 바닥면부(21)의 장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벽체(71)(72)가 수용되는 한 쌍의 장측면부(22)(23)를 구비한다. 단측면부(24)(25)에는 벽체가 별도로 수용되지 아니하여 접고 펼침이 가능해진다. 장측면부(22)(2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호 결합되는 암/수파스너(22a)(22b)가 재봉되어서, 유아침대를 접을 때에 각 장측면부(22)(23)의 상단 가장자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기수용몸체(20) 내에는 매트리스(30)가 수용된다. 장측면부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아침대는 직물 등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경량이고 또한 신체접촉이 부드러워 휴대하기에 간편하다. 또한, 유아용품을 함께 휴대가능하고, 수용부가 외측으로 노출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시에 유아침대를 펼치지 아니하고도 유아용품의 출납을 간편하게 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crib that is easy to carry and allows for the storage of baby item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body is open to the baby receiving body 20 so that the baby can lie down, and the handle straps 81 and 82 are provided to allow space movement. The baby receiving body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a pair of short side surface portions 24 and 25 and a long side edg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connected to the short edg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by sewing lines, A pair of long side surface parts 22 and 23 in which the walls 71 and 72 are accommodated is provided. The wall is not separately accommodated in the short side portions 24 and 25 so that folding and unfolding are possible. The upper edges of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are sewn together to allow the female / water fasteners 22a and 22b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op edges of the respectiv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can be coupled when the infant bed is folded. It is supposed to be. The mattress 30 is accommodated in the baby receiving body 20.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part is provided with the some accommodating part. Such a baby bed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and is lightweight and is easy to carry since it has a soft body conta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the infant supplies together, having a structure that the receiv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in and out of the infant supplies without having to spread the infant bed when carrying.

Description

휴대용 유아침대{portable baby cot}Portable baby cot

본 고안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기저귀 및 우유병 등 유아용품을 함께 수용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간단하게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개량한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rib,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rib that is improved to accommodate the baby supplies such as diapers and milk bottles together to be easy to carry and unfold easily.

통상 유아용 침대는 목재 등으로 가공되어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실내공간의 일부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실내공간의 활용에 적절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유아용 침대는 휴대하여 야외에서 사용할 수는 없다.In general, a baby crib is made of wood, so that it can be used indoors, but this is not appropriate for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because a portion of the indoor space must be secured. In addition, such a baby crib cannot be carried and used outdoors.

이를 위해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유아침대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1982-0001219호에 개시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a portable infant bed that can be carried and used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82-0001219 and shown in FIGS. 1 and 2.

이는 연결부재(2)에 의해 양측면 갑체(1)(1')가 접철가능하게 연결되고, 갑체(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7)(7')(9)(9')이 설치되며, 손잡이(4)(4')를 형성하여서 휴대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It is foldably connected to both side bodies 1, 1 'by the connecting member 2, and along the edges of the bodies 1, 1', handrails 7, 7 ', 9 and 9'. ) Is installed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arried by forming a handle (4) (4 ').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휴대용 유아침대는 상호 결합되는 갑체(1)(1')가 가방의 형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휴대시 무거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ortable infant bed of the above structure has a heavy disadvantage when carrying because the body (1) (1 ') coupled to each other must be formed of a solid material to form a bag.

또한, 갑체(1)(1')를 상호 개방하여야만 내부에 수용된 유아용품을 꺼낼 수 있게 되므로 그 이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only when the body (1) (1 ') is open to each other can be taken out of the baby goods contained therein, there is a problem in use.

또한, 손잡이(4)(4')를 형성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손으로 휴대용 유아침대를 파지하여야 되므로 아기와 함께 휴대하기가 번거롭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4) (4 ') having a structure formed by holding the baby in the holding state or holding up the baby crib by hand, it is cumbersome to carry with the bab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첫째, 경량으로써 휴대하기에 간편한 휴대용 유아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First,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rib that is lightweight and easy to carry.

둘째, 우유병 및 기저귀 등 유아용품을 함께 휴대가능하고, 휴대시에 유아침대를 펼치지 아니하고도 유아용품의 출입이 가능한 휴대용 유아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infant bed that can carry infant goods such as a milk bottle and a diaper, and which can be accessed and put out without the need to spread the infant bed.

셋째,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도 유아침대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개량된 휴대용 유아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portable baby cot to easily carry a baby cot even when the baby is held or up.

도 1 및 도 2는 종래 유아침대를 나타낸 개략도,1 and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rib,

도 3은 본 고안 유아침대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유아침대를 절반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fant bed of Figure 3 folded in half,

도 5는 유아침대를 접은 상태에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bed folded state,

도 6은 도 5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FIG. 5;

도 7a는 도 3의 단측 단면도,7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도 7b는 도 3의 장측 단면도,7B is a long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실시예이다.8 is an embodiment of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아기수용몸체 21...바닥면부20 ... Baby body 21 ... Bottom

22,23...장측면부 24,25...단측면부22,23 ... long side 24,25 ... short side

30...매트리스 40...멜빵끈30 Mattress 40 Suspenders

50...모기장 51,52...포스트50 ... Mosquito net 51,52 ... Post

61,62...지지파이프61,62 ... support pipe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휴대용 유아침대는 아기가 누울 수 있으며 절반으로 접어짐이 가능한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단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측면부 및 상기 바닥면부의 장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벽체가 수용되는 한 쌍의 장측면부를 구비하는 섬유재의 아기수용몸체와;Portabl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portion that the baby can lie down and fold in half,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connected to the short side edg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by a seam and the long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 baby receiving body of a fiber material connected to the edge by a sewing line and having a pair of long side surfaces in which a wall is received;

상기 바닥면부에 대응되는 저면부와, 상기 단측면부와 대응되며 상기 저면부와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단측벽부를 가지는 메트리스와;A mattress having a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nd a sewing line;

상기 바닥면부의 단변측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부가 절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암/수 훅크와;A male / female hook installed at each of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mutually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folded in half;

상기 바닥면부의 중심부에 재봉되어 어깨 등의 신체에 걸칠 수 있는 멜빵끈;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spenders are sew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can be worn over the body such as shoulders.

상기 장측면부의 외측면에는 우유병 및 기저귀 등 유아용품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수용부는 암/수 파스너(fastener)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는 암/수 부직포에 의해서 개폐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for accommodating baby products such as milk bottles and diapers. These receptacles may be opened or closed by female / female fasteners, or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female / male nonwovens.

또한, 상기 각 장측면부에는 손잡이끈이 더 마련되어서, 아기를 눕힌 상태에서 공간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long sid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strap, it is possible to move space in the baby lying down.

한편, 상기 아기수용몸체의 각 모서리에는 중공의 지지파이프가 함께 재봉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복수의 포스트를 가지는 모기장이 결합된다.Meanwhile, hollow support pipes are sewn together at each corner of the baby accommodation body, and a mosquito net having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o the support pipes is coupled thereto.

또한, 상기 각 장측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호 결합되는 암/수파스너가 재봉되어서, 유아침대를 접을 때에 각 장측면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dges of the respective long side portions are sewn with female / fastener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op edges of the long side portions can be coupled when the infant bed is folded.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휴대용 유아침대는 멜빵끈에 의해서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도 휴대가 간편하고, 침대 형성을 위한 펼침과 휴대를 위한 접음이 간편하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infant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even when the baby is held by the suspenders, and the folding and folding for carrying are easy to for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 휴대용 유아침대를 나타낸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아기가 누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형의 아기수용몸체(20)와, 아기를 눕힌 상태에서 공간이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끈(81)(82)이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7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infant crib, it is a rectangular accommodating body 20 of the top is open so that the baby can lie down, and the hand strap to enable the space movement in the baby lying down ( 81) and 82 are provided.

상기 아기수용몸체(20)는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직물로 재봉 성형된다. 또한 직물의 표면에는 방수가 가능하도록 방수 처리된다.The baby receiving body 20 is sewn into a fabric to be folded or unfolded.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fabric is waterproofed to enable waterproofing.

상기 아기수용몸체(20)는 아기가 누울 수 있으며 절반으로 접어짐이 가능한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21)와, 바닥면부(21)의 단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측면부(24)(25) 및 상기 바닥면부(21)의 장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벽체(71)(72)가 수용되는 한 쌍의 장측면부(22)(23)를 구비한다.The baby receiving body 20 i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portion 21 that the baby can lie down and can be folded in half, and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24 connected to the short edg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by a sewing line ( 25) and a pair of long side surface parts 22 and 23 connected to a long side edge of the bottom surface part 21 by a seam and accommodating walls 71 and 72 therein.

상기 아기수용몸체(20)의 장측면부(22)(23)에 수용되는 벽체(71)(72)는 아기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골격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단측면부(24)(25)에는 벽체가 별도로 수용되지 아니하여 접고 펼침이 가능해진다.The walls 71 and 72 accommodated in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of the baby accommodation body 20 form a skeleton to form a baby accommodation space. At this time, the walls are not separately accommodated in the short side portions 24 and 25 so that they can be folded and unfolded.

상기 장측면부(22)(23)에 수용되는 벽체(71)(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반으로 접어짐이 가능하도록 두부분으로 나뉘어 수용되어 있다.The walls 71 and 72 accommodated in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are divided into two parts so as to be folded in half, as shown in FIG. 5.

또한, 도 3, 도 4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장측면부(22)(2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호 결합되는 암/수파스너(22a)(22b)가 재봉되어서, 유아침대를 접을 때에 각 장측면부(22)(23)의 상단 가장자리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3, 4, and 7A, female / fasteners 22a and 22b coupled to each other are sewn on the upper edges of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so that the infant bed can be sewn. When folded, the upper edges of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can be engag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아기수용몸체(20) 내에는 매트리스(30)가 수용되는 바, 이 매트리스(30)는 바닥면부(21)에 대응되는 저면부(31)(32)와 단측면부(24)(25)와 대응되는 측벽부(33)(34)로 구성된다. 매트리스(30)의 저면부(31)(32)는 아기수용몸체(20)의 바닥면부(21)와 함께 절반으로 접어짐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측벽부(33)(34)는 각각 접어짐이 가능하도록 저면부(31)(32)의 가장자리와 재봉선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by body 20 is accommodated in the mattress 30, the mattress 30 is the bottom surface portion 31, 32 and the short side surface portion 24 (25)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 And the side wall portions 33 and 34 corresponding thereto. The bottom portions 31 and 32 of the mattress 30 are foldable in half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of the baby-accommodating body 20, and the side wall portions 33 and 34 are each folded. It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31, 32 and the seam to enable the load.

따라서, 아기수용몸체(20)의 단측면부(24)(25)는 매트리스(30)의 측벽부(33)(34)에 의해서 세워짐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아기수용공간은 아기수용몸체(20)의 벽체(71)(72)가 수용된 장측면부(22)(23)와 매트리스(30)의 측벽부(33)(34)에 의해서 공간이 유지되게 된다.Accordingly, the short side portions 24 and 25 of the baby accommodation body 20 can be erected by the side walls 33 and 34 of the mattress 30, and thus the baby accommodation space 20 is the baby accommodation body 20. The space is maintained by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in which the walls 71 and 72 are accommodated and the side wall portions 33 and 34 of the mattress 30.

그리고 상기 단측면부(24)(25)의 하단부에는 상기 바닥면부(21)가 절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암/수 훅크(27a)(27b)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부(21)의 중심부에는 어깨 등의 신체에 걸칠 수 있는 멜빵끈(40)이 재봉되어 있다. 상기 멜빵끈(40)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암/수훅크(41)(42)가 마련되어 있다.And the lower end of the short side portion (24, 25) is coupled to the male / male hooks (27a) (27b)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is folded in half, the bottom surface portion (21) of In the center, suspenders 40 that can be worn over the body such as shoulders are sewn. The suspenders 40 are provided with female and male hooks 41 and 42 to be mutually coupled and separated.

한편, 상기 장측면부(22)(23)의 외측면에는 우유병 및 기저귀 등 유아용품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부(26a)(26b)(26c)(26d)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수용부(26a)(26b)(26c)(26d)는 파스너(fastener;27)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는 암/수 부직포(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26a, 26b, 26c, and 26d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ng side surface portions 22 and 23 to accommodate baby products such as milk bottles and diapers. These receptacles 26a, 26b, 26c, and 26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fasteners 27, or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female / male nonwoven fabrics (not shown).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아기수용몸체(20)의 각 모서리에는 중공의 지지파이프(61)(62)가 함께 재봉되어 있고, 상기 지지파이프(61)(62)에 결합되는 복수의 포스트(51)(52)를 가지는 모기장(50)이 결합된다.8, the hollow support pipes 61 and 62 are sewn together at each corner of the baby accommodation body 20, and a plurality of posts are coupled to the support pipes 61 and 62. Mosquito net 50 having 51 and 52 are coupl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휴대용 유아침대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휴대시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훅크(27a)(27b)를 결합하여서이등분된 두부분이 펼쳐짐을 방지시키고 멜빵끈(40)을 이용하여 어깨에 걸쳐서 휴대한다. 이때 외측에는 수용부(26a)(26b)(26c)(26d)들이 노출되어서 수용된 우유병 및 기저귀 등의 출납을 간편하게 한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infant bed is used as follows. First, when carrying, as shown in Figs. 5 and 6, by combining the female / male hooks (27a) (27b) to prevent the two halves are unfolded and carried over the shoulder using a suspenders (40) . 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s 26a, 26b, 26c, and 26d are exposed on the outside to simplify the putting in and out of housed milk bottles and diapers.

또한, 실내 또는 야외에서 유아침대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암/수훅크(27a)(27b)의 록킹을 해제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infant bed indoors or outdoors, unlocking the female / male hooks (27a) (27b) and unfolds as shown in FIG.

이어서, 상기 각 장측면부(22)(23)의 상단 가장자리를 결합시킨 암/수파스너(22a)(22b)를 해제하여 개봉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측면부(22)(23)를 세운다. 동시에 수용된 메트리스(30)의 측벽부(33)(34)를 세워서 장측면부(22)(23)와 함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Subsequently, the female / water fasteners 22a and 22b having combined the upper edges of the respectiv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are released and opened, and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are opened as shown in FIG. 3. Stand up. At the same time, the side wall portions 33 and 34 of the mattress 30 accommodated are erected to form a receiving space together with the long side portions 22 and 23.

한편, 야외에서 곤충 등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61)(62)에 모기장(50)을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protect the baby from insects and the like in the outdoors, as shown in Figure 8 installs the mosquito net 50 in the support pipe (61, 62).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with many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휴대용 유아침대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baby b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직물 등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경량이고 또한 신체접촉이 부드러워 휴대하기에 간편하다.First, since it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it is lightweight and soft to touch the body, so it is easy to carry.

둘째, 우유병 및 기저귀 등 유아용품을 함께 휴대가능하고, 수용부가 외측으로 노출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시에 유아침대를 펼치지 아니하고도 유아용품의출납을 간편하게 한다.Second, it is possible to carry the infant supplies, such as milk bottles and diapers, and to have the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entry and exit of the infant supplies without having to spread the infant bed when carrying.

셋째,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도 멜빵끈을 이용하여 유아침대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Third, the baby crib can be easily carried using the suspenders even when the baby is held or up.

Claims (5)

아기가 누울 수 있으며 절반으로 접어짐이 가능한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단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측면부 및 상기 바닥면부의 장변 가장자리에 재봉선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벽체가 수용되는 한 쌍의 장측면부를 구비하는 섬유재의 아기수용몸체와;The baby can lie down and be folded in half,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portion,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connected to the short side edg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by a sewing line, and a long side edg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connected to the seam, and a wall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baby receiving body of the fiber material having a pair of long side surface portion to be; 상기 바닥면부에 대응되는 저면부와, 상기 단측면부와 대응되며 상기 저면부와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단측벽부를 가지는 메트리스와;A mattress having a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nd a sewing line; 상기 단측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부가 절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암/수 훅크와;A male / female hook installed at each of the lower edges of the short side portion and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is folded in half; 상기 바닥면부의 중심부에 재봉되어 어깨 등의 신체에 걸칠 수 있는 멜빵끈;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아침대.Portable be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w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suspender straps that can be worn over the body, such as should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면부의 외측면에 우유병 및 기저귀 등 유아용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아침대.The portable infant be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er side of the long s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infant goods such as a milk bottle and a diap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측면부에 손잡이끈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아침대.The portable infant be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handle strap is further provided on each of the long side part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수용몸체의 각 모서리에 중공의지지파이프가 함께 재봉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복수의 포스트를 가지는 모기장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아침대.The portable infant be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hollow support pipes are sewn together at each corner of the baby accommodation body, and a mosquito net having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o the support pipes is coupl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측면부의 상단가장자리에 상호 결합되는 암/수파스너가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아침대.The portable infant be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emale / water fasteners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edge of each of the long side surfaces are sewn.
KR2020020010191U 2002-04-04 2002-04-04 portable baby cot KR2002813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91U KR200281347Y1 (en) 2002-04-04 2002-04-04 portable baby c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91U KR200281347Y1 (en) 2002-04-04 2002-04-04 portable baby c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47Y1 true KR200281347Y1 (en) 2002-07-13

Family

ID=7307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91U KR200281347Y1 (en) 2002-04-04 2002-04-04 portable baby c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4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769A (en) * 2019-10-29 2021-05-10 (주)와이앤피 the bed for the bag with inf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769A (en) * 2019-10-29 2021-05-10 (주)와이앤피 the bed for the bag with infant
KR102370266B1 (en) 2019-10-29 2022-03-04 (주)와이앤피 the bed for the bag with inf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509B1 (en) Convertible diaper bag/changing pad
US6851136B2 (en) Erectable, collapsible portable structures
US7389897B2 (en) Baby bag convertible into baby carrier
US6298993B1 (en) Diaper bag
US6192535B1 (en) Storage unit and canopy for a folding play yard with a bassinet
US6948632B2 (en) Collapsible structure
US6494335B1 (en) Two frame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6687928B1 (en) Portable child's bed
US20070277321A1 (en) Convertible anywhere bed, play mat, and changing station for infants with self-forming carrying case
US6634038B2 (en) Collapsible playpen with detachable cot
US20090114648A1 (en) Collapsible structure
US20090205140A1 (en) Infant play environment
US6378142B1 (en) Foldable privacy screen and portable toilet combination
US7587774B2 (en) Diaper changing station having a collapsible frame
US20180078049A1 (en) Diaper changing canopy
US5480229A (en) Bag for alternative use
US20040112908A1 (en) Collapsible tub-shaped container
KR200281347Y1 (en) portable baby cot
US9516902B1 (en) Sleep sack
CN206380883U (en) A kind of knapsack with baby's sleeping-pad function
US2529983A (en) Bathtub handbag
KR20240000299U (en) Foldable pet bag
US20190200781A1 (en) Collapsible child enclosure
US20120063702A1 (en) Foldable baby rest area
JP2017136197A (en) Multifunctional carrying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