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074Y1 - 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074Y1
KR200281074Y1 KR2020020006716U KR20020006716U KR200281074Y1 KR 200281074 Y1 KR200281074 Y1 KR 200281074Y1 KR 2020020006716 U KR2020020006716 U KR 2020020006716U KR 20020006716 U KR20020006716 U KR 20020006716U KR 200281074 Y1 KR200281074 Y1 KR 200281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voice signal
mobile phone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7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나텍
Priority to KR2020020006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0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074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이 장착되는 거치대 내부에 사용자의 기준음성을 저장하였다가 후에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때 이를 인식하여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장치를 내장하고, 사용자의 귀에 꽂아 사용하며 상기 메인장치와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교신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을 조작하지 않고 무선 음성인식 기능에 의거 다이얼링 및 송수신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고밀도 집적회로 설계에 의한 초소형 이어 마이크로폰과 최첨단 신기술을 적용하여 도청 및 주파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includes a main device for storing a reference voice of a user in a cradle i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and outputting a dial signal by recognizing it when the user's voice is input later. By inserting into a user's ear and communicating a voice signal wirelessly with the main device, the ear microphone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make a mobile phone call as a voice, so that the user can dial and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voice recognition function without operating the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to eliminate eavesdropping and frequency interference by applying an ultra-small ear microphone and high-tech new technology by a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 design.

Description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본 고안은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이 장착되는 거치대 내부에 사용자의 기준음성을 저장하였다가 후에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때 이를 인식하여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장치를 내장하고, 사용자의 귀에 꽂아 사용하며 상기 메인장치와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교신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조작하지 않고 무선 음성인식 기능에 의거 다이얼링 및 송수신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고밀도 집적회로 설계에 의한 초소형 이어 마이크로폰과 최첨단 신기술을 적용하여 도청 및 주파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and in particular, a main device for storing a user's reference voice in a cradle where a mobile phone is mounted and recognizing it when the user's voice is input later and outputting a dial signal. By configuring the ear microphone which allows the user to make a mobile phone call as a voice by communicating a voice signal wirelessly with the main device, the user can conveniently dial and transmit / receive based on the wireless voice recognition function without manipulating the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to eliminate eavesdropping and frequency interference by applying an ultra-small ear microphone and a high-tech new technology by a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 design.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은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는 장점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점차 그 사용인구가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폰을 운전중에 사용하게되면 운전중 집중력이 분산될 뿐만 아니라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휴대폰에 설치되어있는 숫자버튼을 눌러주어야만 하므로 이 과정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폰을 들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핸즈프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핸즈프리장치는 핸즈프리장치를 휴대폰 본체에 내장시키거나, 적외선 및 차체의 라디오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방향성과 차내의 보안 유지 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Currently, mobile phones are being used by many people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alk wirelessly, and the user population is gradually spreading. However, if the mobile phone is used while driving, the concentration of driving is not only dispersed, but in order to make a phone call, the user must press a number button installed on the mobile phon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ands-free device for allowing a user to talk without lifting a mobile phone is provided.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for various types of wired and wireless hands-free systems, such as a method of embedding the hands-free device in the body of a mobile phone or using an infrared ray and a radio of a car body.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rection and security of the vehicle are insufficient.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이 장착되는 거치대 내부에 사용자의 기준음성을 저장하였다가 후에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때 이를 인식하여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장치를 내장하고, 사용자의 귀에 꽂아 사용하며상기 메인장치와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교신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마이크로폰을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조작하지 않고 무선 음성인식 기능에 의거 다이얼링 및 송수신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고밀도 집적회로 설계에 의한 초소형 이어 마이크로폰과 최첨단 신기술을 적용하여 도청 및 주파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store the user's reference voice in the cradle where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nd to recognize the next time the user's voice is input, and to output the dial signal by recognizing it when the user's voice is input, By plugging in an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to communicate with a voice signal wirelessly with the main device to allow a user to make a mobile phone call as a voice, the user can conveniently dial and transmit / receive the wireless voice recognition function without operating the mobile pho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s-free devic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at can eliminate eavesdropping and frequency interference by applying an ultra-small ear microphone and high-tech new technology by a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 design.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메인장치가 내장되는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in which the main apparatu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이어마이크로폰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 microphon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메인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이어마이크로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ar microphon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휴대폰, 200: 거치대,100: cell phone, 200: cradle,

201: 접속부, 203: 전원잭,201: connection part, 203: power jack,

300: 메인장치, 400: 이어 마이크로폰,300: main unit, 400: ear microphone,

402: 마이크, 403: 이어폰 캡,402: microphone, 403: earphone cap,

404: 귀걸이, 405: 스위치,404: earrings, 405: switch,

도 1 내지 도 4 는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4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무선통화가 가능한 휴대폰(100)과;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100)이 탈착되며, 상기 휴대폰(100)과 접속되어 휴대폰(100)과 메인장치(300)간의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부(201)가 형성되어있는 거치대(200)와;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장착되어 소정의 주파수로서 이어마이크로폰(400)과 교신하고, 녹음모드시 이어 마이크로폰(400)을 통해 무선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을 기준 음성으로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 말한 숫자음이 이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면 이미 저장되어있는 기준음성과 비교하여 다이얼번호를 인식하며, 그 인식된 다이얼번호를 접속부(201)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전송하여 전화가 걸리도록 하는 메인장치(300)와;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귀걸이(404)가 형성되고, 이 귀걸이(404)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귀 구멍 속으로 삽입되기 위한 이어폰 캡(403)이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육성을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402)와 상대 통화자의 육성을 소리로 변화시키는 스피커(415)가 구성되고, 구동전압 공급용 밧데리(401)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장치(300)로부터 무선송신된 상대 통화자의 육성을 스피커(415)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육성은 메인장치(300)로 무선 송신하여 상대 통화자에 전달되도록 하는 이어마이크로폰(400)으로 구성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the mobile phone 10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Mounted inside the vehicle, the mobile phone 100 is detachable, the cradle 200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201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0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main device 300 Wow; Is mounted inside the cradle communicates with the ear microphone 400 as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in the recording mode to store the user's voice input wirelessly through the ear microphone 400 as a reference voice, after which the user to make a call When the spoken number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dial number is recognized by comparing with the stored reference voice, and the recognized dial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to make a call. Device 300; An earring 404 formed to be hooked to a user's ear is formed, and an earphone cap 40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arring 404 to be inserted into a user's ear hole, and converts the user's growth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415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to the sound of the microphone 402, and the battery 401 for supplying the driving voltage is mounted and the speaker of the other party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main device 300 is mounted. Output through 415, the user's upbringing is composed of an ear microphone 400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by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main device 300.

그리고, 상기 메인장치(300)는, 휴대폰(100)으로부터 접속부(201)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제 1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확장하는제 1 음성변환부(302)와, 제 1 음성변환부(30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1 믹서(303)와, 상기 제 1 믹서(30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어마이크로폰(400)으로 무선 송신하고 마이크로폰(400)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 2 믹서(306)로 공급하는 제 1 송수신부(305)와, 상기 제 1 송수신부(305)로부터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2 믹서(306)와, 제 2 믹서(306)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파하는 제 1 중간주파 증폭부(307)와, 제 1 중간주파 증폭부(307)에서 검파된 음성신호를 확장하여 접속부(201)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전송하는 제 2 음성변환부(308)와, 상기 제 2 음성변환부(308)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1 레벨검출기(309)와, 상기 제 2 음성변환부(308)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일정대역에 대해 필터링하는 대역필터(312)와, 녹음모드시 상기 A/D컨버터(313)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음에 해당하는 음성신호와 음성패턴인식부(314)에 저장되어있는 기준음성을 비교하여 다이얼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다이얼번호에 해당하는다이얼신호를 접속부(201)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공급하는 제 1 제어부(310)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마이크로폰(400)은, 제 2 마이크(402)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 2 제어부(417)의 제어에 따라 확장시키는 제 3 음성변환부(407)와, 상기 제 3 음성변환부(407)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3 믹서(411)와, 상기제 3 믹서(411)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메인장치(300)의 제 1 송수신부(305)로 전송하고, 제 1 송수신부(305)로 부터 전송된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 4 믹서(411)로 공급하는 제 2 송수신부(410)와, 상기 제 2송수신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4 믹서(411)와, 제 4 믹서(411)에서출력된 음성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여 상대통화자의 음성신호를 검파하는 제 2 중간주파증폭부(412)와, 제 2 중간주파증폭부(412)에서 검파된 음성신호를 확장하여 증폭기(414)를 통해 스피커(415)에 공급하는 제 4 음성변환부(413)와, 상기 음성변환부(41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2 레벨 검출기(416)와, 이어마이크로폰(400)과 메인장치(300)간의 신호송수신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각부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417)로 구성된다.The main device 300 includes a first voice converter 302 which expands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s caller inputted from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310. The first mixer 303 mixes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voice converter 302, and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ixer 303 to the ear microphone 400. A first local transceiver unit 305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user's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400 to the second mixer 306, and a predetermined local portion in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first transceiver unit 305. A second mixer 306 for mix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a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307 for detecting an audio signal of the user by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mixer 306, and a first intermediate The voice signal detected by the frequency amplifying unit 307 is expanded to obtain a connection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A second voice converter 308 for transmitting to the phone 100, a first level detector 309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voice converter 308, and the second voice converter Band filter 312 for filter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unit 308 for a predetermined band, and the voice signal and the voice pattern recogni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ound input through the A / D converter 313 in the recording mode And a first control unit 310 which recognizes the dial number by comparing the reference voice stored in the 314 and supplies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dial number to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The ear microphone 400 includes a third voice converter 407 for expanding a voice signal of the user output from the second microphone 402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ler 417, and the third voice converter. A third for mixing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unit 407 The mixer 411 and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mixer 411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ceiver 305 of the main device 300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305. A fourth transceiving unit 410 for receiving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and supplying it to the fourth mixer 411 and a fourth local mixing frequency mixed with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10. A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412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412 for detecting an audio signal of the other party by amplif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411, the fourth mixer 411, and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412. A fourth voice converter 413 which extends the detected voic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414 to the speaker 415 through an amplifier 414, and a second voice level detected by the voice converter 413; The level detector 416 and each of the ear microphones 400 and the main device 300 to facilitat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It consists of a 2nd control part 417 which controls a part.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믹서(303)(306)(408)(411)로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국부발진기(311)(418)를 더 구성하고, 제 1 및 제 2 국부발진기(311)(418)에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의 주파수값은 제 1 또는 제2 제어부(310)(417)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first and second local oscillators 311 and 418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to the first to fourth mixers 303, 306, 408 and 411 are further configured, and the first And a frequency value of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output from the second local oscillators 311 and 41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first or second controllers 310 and 417.

또한, 상기 메인장치(300)에는, 휴대폰(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17)와,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신호로 변화시켜 접속부(201)와 대역필터(312)로 출력하는 제 1 마이크(3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메인장치(300)를 이용해서 기준음설정, 음성다이얼링, 통화등의 기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device 300, the speaker 317 for outputting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s caller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user's development by chang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nection unit 201 and the band filter 312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microphone 315 that is output to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freely implement the functions such as reference sound setting, voice dialing, call using the main device 30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휴대폰(100)을 거치대(200)에 장착한 후 접속부(201)를 휴대폰(100)의 전원및 데이타 입출력단자에 접속하여 휴대폰(100)과 거치대(200)에 내장되어있는 메인장치(3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대(200)는 시거잭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폰(100)을 충전시키고 때에 따라서는 이어마이크로폰(400)용 예비 밧데리(202)를 충전시킨다. 거치대(200)의 표면에는 휴대폰(100)의 충전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램프(204)가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user mounts the mobile phone 100 to the holder 200, and then connects the connection unit 201 to the power and data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100, the main device embedded in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holder 200 Allow 3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radle 200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through a cigar jack to charge the mobile phone 100 and, in some cases, to charge the spare battery 202 for the ear microphone 400. On the surface of the cradle 200, a display lamp 204 for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mobile phone 100 is formed.

또한, 거치대(200)의 표면에는 메인장치(300)의 동작제어를 위한 스위치(200a)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200a)는 ON/OFF 스위치와 모드선택스위치로 구분되는데, ON/OFF 스위치는 메인장치의 전체적인 기능을 온/오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모드선택스위치는 사용자가 모드선택스위치를 누를때마다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간의 교신주파수 변환 및 녹음모드 등이 설정되어진다.In addition, a switch 200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device 3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radle 200. The switch 200a is divided into an ON / OFF switch and a mode selection switch. The ON / OFF switch is used to control the overall function of the main device, and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used whenever the user presses the mode selection switch. Communication frequency conversion and recording mode between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are set.

상기와 같이 휴대폰(100)을 거치대(200)에 장착한 후 사용자는 이어마이크로폰(400)의 귀걸이(404)를 귀에 걸면서 이어폰캡(403)이 귀 구멍 속에 삽입되도록 하며, 이때의 마이크(402)는 사용자의 입 주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어마이크로폰(4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마이크로폰(400)에 구비되어있는스위치(405)를 조작하여 녹음모드를 설정한 후 사용자가 말을 하면, 사용자의 육성이 마이크(402)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증폭기(406)에서 증폭되어 음성변환부(407)로 공급되고, 음성변환부(407)는 제 2 제어부(417)의 제어에 따라 음성 확장하여 제 3 믹서(408)로 출력한다.After attaching the mobile phone 100 to the hold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puts the earpiece 404 of the ear microphone 400 on the ear so that the earphone cap 403 is inserted into the ear hole, and the microphone 402 at this time. ) Is located around the user's mouth.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405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400 and sets the recording mode while wearing the ear microphone 400, the user's nurturing the microphone 402 is performed. After being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amplifier 406 is amplified and supplied to the voice conversion unit 407, the voice conversion unit 407 is the voice expans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417 to the third mixer 408 )

상기 제 3 믹서(408)는 제 2 국부발진기(418)에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와 음성변환부(407)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제 2 송수신부(410)를 통해 메인장치(300)로 무선송신하고, 메인장치(300)의 제 1 송수신부(305)는 제 2 송수신부(41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믹서(306)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믹서(306)는 입력신호에 제 1 국부발진기(311)에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증폭부(307)로 출력한다.The third mixer 408 mixes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output from the second local oscillator 418 an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conversion unit 407 and the main device 300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410. The first transceiver 305 of the main unit 30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410 and supplies the signal to the second mixer 306, and the second mixer 306 transmits the signal. Mixes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output from the first local oscillator 311 with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307.

상기 중간주파증폭부(307)는 제 2 믹서(306)에서 혼합된 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여 이어마이크로폰(400)에서 송신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파하여 제 2 음성변환부(308)를 통해 대역필터(312)로 출력하고, 상기 대역필터(312)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대역에 대해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 A/D 컨버터(313)로 공급하여 디지탈신호로변화시켜 1 제어부(310)로 공급한다.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307 detects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ear microphone 400 by intermediately amplifying the mixed signal of the second mixer 306 and bands through the second speech converter 308. Output to the filter 312, the band filter 312 to filter the user's voice signal is input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o remove the noise and then supplied to the A / D converter 313 to convert to a digital signal 1 Supply to the control unit 310.

상기 제 1 제어부(310)는 녹음모드가 설정된 후 A/D컨버터(313)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패턴인식부(314)에 기준음성으로 저장하여 후에 사용자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이얼링 동작시 다이얼번호를 인식하는 기준음이 된다.After the recording mode is set, the first control unit 310 store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A / D converter 313 as a reference voice in the voice pattern recognition unit 314 and then dials using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user. This is the reference sound for recognizing the dial number.

상기 설명과 같이 기준음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위해 사용자가 다이얼번호를 말하면, 예를들어 '031-318-0942'번에 전화를 걸기위해 '공 삼일 삼 일 팔 공 구 사 이'라고 말을 하면, 상기 사용자의 육성은 마이크(402)를 통해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앞서 설명한바와같은 경로를 통해 메인장치(300)의 제 1 제어부(310)로 공급되고, 제 1 제어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이얼번호 음성과 음성패턴 인식부(314)에 저장되어있는 기준음성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말한 다이얼번호를 인식한다.If the user says the dial number to make a call while the reference tone is set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o make a call to '031-318-0942' In this case, the user's training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402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310 of the main device 300 through the path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rol unit 310 Compares the dial number voice input from the user with the reference voice stored in the voice pattern recognition unit 314 to recognize the dial number spoken by the user.

다이얼번호를 인식한 제 1 제어부(310)는 인식된 다이얼번호에 대한 다이얼신호를 접속부(201)를 통해 휴대폰(100)으로출력하여 무선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다이얼숫자를 포함하여 '#(샵). *(눈)'표시의 키이입력도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Recognizing the dial number, the first control unit 310 outputs a dial signal for the recognized dial number to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to perform a wireless call.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dial number '# (shop). Key inputs marked with * (eye) can also be input by voice.

한편, 상기 설명과 같은 제어동작에 의해 상대통화자와 연결이되면, 상대통화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접속부(201)를통해입력되어 증폭기(301)에서 증폭된 후 제 1 음성변환부(302)에서 확장된 후 제 1 믹서(303)로 공급되고, 제 1 믹서(303)는 제 1 국부발진부(311)에서 출력된 국부발진주파수와 혼합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 1 믹서(303)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는 RF증폭기(304)에서 증폭된 후 제 1 송수신부(305)를 통해 이어마이크로폰(400)으로 무선 송신된다.On the other hand, when connected to the other party by the control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oice converter 302 after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other party is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and amplified by the amplifier 301 ) And then is supplied to the first mixer 303, the first mixer 303 is mixed with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output from the first local oscillator 311 and output, and output from the first mixer 303 The voice signal is amplified by the RF amplifier 304 and then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ear microphone 400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305.

상기 이어마이크로폰(400)의 제 2 송수신부(410)는 제 1 송수신부(305)에서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 4 믹서(411)로 출력하고, 제 4 믹서(411)와 제 2 중간주파증폭부(412)의 중간주파수혼합 및 중간주파증폭동작에 의해 상대통화자의음성신호가 검파된다. 상기 검파된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는 제 4 음성변환부(413)에서 음성 확장된 후 증폭기(414)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415)로 출력된다. 상기 스피커(415)로 출력되는 상대 통화자의 음성은 사용자의 귀 구멍에 삽입되어있는 이어폰캡(403)을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상대통화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The second transceiver 410 of the ear microphone 400 receive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305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fourth mixer 411, and the fourth mixer 411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art.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detected by the intermediate frequency mixing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cation operation of the frequency amplifier 412. The detected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expanded by the fourth voice converter 413 and then amplified by the amplifier 414 and then output to the speaker 415. The other party's voice output to the speaker 415 is output through the earphone cap 403 inserted into the user's ear hole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other party's voice.

한편, 통화중에 사용자의 육성은 앞서 설명한바와같은 경로를 통해 메인장치(300)로 무선 송신된 후 접속부(201)를 통해휴대폰(100)으로 공급되어 상대통화자에게 제공되어 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stering of the user during the call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main device 300 through the path as described above, and then supplied to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to be provided to the other party to make the call smoothly. Will be.

본 고안에서는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 상호간의 교신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여러가지 호핑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첫번째의 호핑방법은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 상호간에 교신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이 레벨이 기준치 이하일때 상호간에 교신되는 주파수(채널)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메인장치(300)의 음성변환부(308)에서 출력되는 것을 제 1 레벨검출기(309)가 감지하였을때 이 음성신호의 레벨이 기준치에 못미치게되면 제 1 레벨검출기(309)는 제 1 제어부(310)로 채널변경신호를 출력하고,제 1 제어부(310)는 제 1 국부발진부(311)에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값이 변화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이어마이크로폰(400)의 제 2 제어부(417)로도 변화된 주파수값을 알려주어 양측에서 동시에 송수신 주파수값이 가변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hopping methods are adopted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in an optimal state. The first hopping method is a method of detecting the level of the voice signal communicated between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and changing the frequency (channel)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en the leve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when the first level detector 309 detects that the user's voice signal is output from the voice converter 308 of the main device 300, the first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etector 309 outputs a channel change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310, and the first controller 310 controls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value output from the first local oscillator 311 to be changed, and at the same time, the ear microphone ( The second control unit 417 of the 400 also notifies the changed frequency value so that both sides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y value is variable.

상기 설명과 같은 채널 변환은 이어마이크로폰(400)이나 메인장치(300) 어느 곳에서 먼저 실시될수 있으며, 먼저 주파수값을 변화시킨 제어부는 상대측 제어부로 변화된 주파수값을 알려주어 이어마이크로폰(400)과 메인장치(300) 상호간의 데이타 송수신 주파수가 매칭되도록 한다.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의교신 주파수가 변화되면 그만큼 잡음이 감소되므로 사용자가 듣게되는 음감도가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channel convers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first at any place of the ear microphone 400 or the main device 300, and the control unit which first changes the frequency value informs the counterpart side of the changed frequency value to the ear microphone 400 and the main unit. The device 300 allow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requencies to be matched with each other. When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is changed, the noise is reduced by that,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improved sound sensitivity.

두번째의 호핑방법은 제 1 제어부(309)(또는 제 2 제어부)에 미리 여러개의 호핑 주파수를 설정해놓고 일정주기마다 제 1국부발진부(311)의 출력주파수값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즉, 통화가 이루어지면, 제 1 제어부(309)는 설정된 값에 따라 제 1 국부발진부(311)를 제어하여 소정의 주파수로 국부발진주파수가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주파수값을 이어마이크로폰(400)의 제 2 제어부(417)로도 알려주어 양측의 송수신주파수가 매칭되도록 하는 것이며, 일정주기가 경과하면 제 1 제어부(309)는 다시 미리 설정되어있는 다음의 주파수값으로 제 1 국부발진부(311)를 제어하여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 상호간의 송수신 채널이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second hopping method is to set several hopping frequencies in advance in the first controller 309 (or the second controller) and change the output frequency value of the first local oscillator 311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when a call is made, the first controller 309 controls the first local oscillator 311 according to the set value so that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is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the microphone 400 follows this frequency value. The second control unit 417 also informs the transmit / receive frequencies of both sides to match, and when a certain period has elapsed, the first control unit 309 resets the first local oscillator 311 to the next preset frequency value.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nnels between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are variable.

세번째의 호핑방법은 제 1 제어부(309)(뗘는 제 2 제어부)가 랜덤하게 제 1 국부발진부(311)의 출력주파수값을 가변시키면서 이어마이크로폰(400)의 제 2 제어부(417)에 변화된 주파수값을 알려주어 양측의 송수신 주파수값이 매칭되도록 하는방법이다. 상기 설명된 세가지 호핑방법 모두 사용자가 통화하는 중에 일어나며, 송수신채널의 가변동작이 월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음질보상을 하기위해 통화중 송신뮤트, 수신뮤트, 스피커 뮤트동작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In the third hopping method, the first control unit 309 (or second control unit) randomly varies the output frequency value of the first local oscillator 311 and chang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ontrol unit 417 of the ear microphone 400. It tells the value so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y values of both sides are matched. All three hopping methods described above occur during the user's conversation, and the transmission mute, the reception mute, and the speaker mute operation are instantaneously performed to compensate for the sound quality while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hannel is performed smoothly.

한편, 본 고안에서는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상호간의 음성신호 송수신동작이 이루어질때 도청에 대한 방지를 위해 사용자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간에 제 1 및 제 2 제어부(310)(417)에서 제 1 및 제 3 음성확장부(302)(407)의음성확장시 제공되는 기준 주파수값을 변환하여 준다. 상기 제 1 및 제 3 음성확장부(302)(407)의 음성확장시 제공되는 기준 주파수값이 변환되면 타인이 도청을 하려고해도 음성신호의 기준주파수를 맞출수가 없어 도청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는 메인장치(300)에도 스피커(317)와 마이크(315)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마이크로폰(400)을 이용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317)를 통해 상대 통화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315)를 통해 상대통화자로 전송되므로 핸즈프리기능을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인장치(300)에 구비되어있는 마이크(315)를 이용해서 기준음 설정, 음성다이얼링, 통화등의 기능을 손을 이용하지 않고 음성으로 구현할 수 있게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s 310 and 417 whether or not the user wants to prevent eavesdropping when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between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are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frequency values provided when the first and third voice expansion units 302 and 407 are expanded are converted. When the reference frequency values provided during the voice expansion of the first and third voice extension units 302 and 407 are converted, even when others attempt to eavesdrop,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voice signal cannot be matched and the eavesdropping is im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apparatus 300 also includes a speaker 317 and a microphone 315. Therefore, the user can hear the other party's voice through the speaker 317 so that the user does not use the ear microphone 400, and the user's voic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icrophone 315, so that the hands-free function can be used freely. have. In addition, the user can implement functions such as reference sound setting, voice dialing, and call using voice without using the microphone 315 provided in the main device 300.

본 고안에 적용된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의 크기를 초소형화하기위하여 전자적으로 송수신회로와 국부발진기가 내장되어있는 원칩 IC를 사용하였으며, 패키지의 규격을 고밀도 특수형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PCB기판을 최소화하였다.In order to miniaturize the size of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e-chip ICs in which a transceiver and a local oscillator are electronically used are used. The substrate was minimiz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이 장착되는 거치대 내부에 사용자의 기준음성을 저장하였다가 후에 사용자의음성이 입력될때 이를 인식하여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장치를 내장하고, 사용자의 귀에 꽂아 사용하며 상기 메인장치와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교신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조작하지 않고 무선 음성인식 기능에 의거 다이얼링 및 송수신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고밀도집적회로 설계에 의한 초소형 이어 마이크로폰과 최첨단 신기술을 적용하여 도청 및 주파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user's standard voice inside the holder on which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nd recognizes when the user's voice is input later. The main device outputs a dial signal and plugs into the user's ear. By constructing an ear microphone that allows a user to make a mobile phone call as a voice by communicating a voice signal wirelessly with the main device, the user can conveniently dial and transmit and receive according to a wireless voice recognition function without manipulating the mobile phone. It is expected to provide a hands-free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at eliminates eavesdropping and frequency interference by applying ultra-small ear microphone and high-tech new technology by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 design.

Claims (8)

무선통화가 가능한 휴대폰(100)과;A mobile phone 10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100)이 탈착되며, 상기 휴대폰(100)과 접속되어 휴대폰(100)과 메인장치(300)간의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부(201)가 형성되어있는 거치대(200)와;Mounted inside the vehicle, the mobile phone 100 is detachable, the cradle 200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201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0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main device 300 Wow;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장착되어 소정의 주파수로서 이어마이크로폰(400)과 교신하고, 녹음모드시 이어 마이크로폰(400)을 통해 무선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을 기준 음성으로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위해 말한 숫자음이 이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면 이미 저장되어있는 기준음성과 비교하여 다이얼번호를 인식하며, 그 인식된 다이얼번호를 접속부(201)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전송하여 전화가 걸리도록 하는 메인장치(300)와;Is mounted inside the cradle communicates with the ear microphone 400 as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in the recording mode to store the user's voice input wirelessly through the ear microphone 400 as a reference voice, after which the user makes a call When the spoken number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dial number is recognized by comparing with the stored reference voice, and the recognized dial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to make a call. Device 300;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귀걸이(404)가 형성되고, 이 귀걸이(404)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귀 구멍 속으로 삽입되기 위한 이어폰 캡(403)이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402)와 상대 통화자의 육성을 소리로 변화시키는 스피커(415)가 구성되고, 구동전압 공급용 밧데리(401)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장치(300)로부터 무선송신된 상대 통화자의 육성을 스피커(415)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육성은 메인장치(300)로 무선 송신하여 상대 통화자에 전달되도록 하는 이어마이크로폰(400); 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An earring 404 formed to be hooked to a user's ear is formed, and an earphone cap 40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arring 404 to be inserted into a user's ear hole, and converts the user's developmen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415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to the sound of the microphone 402, and the battery 401 for supplying the driving voltage is mounted and the speaker of the other party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main device 300 is mounted. Output through 415, the user's upbringing ear microphone 400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by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main device 300; Hands-free device with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300)는, 휴대폰(100)으로부터 접속부(201)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제 1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확장하는제 1 음성변환부(302)와, 제 1 음성변환부(30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1 믹서(303)와, 상기 제 1 믹서(30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어마이크로폰(400)으로 무선 송신하고 마이크로폰(400)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 2 믹서(306)로 공급하는 제 1 송수신부(305)와, 상기 제 1 송수신부(305)로부터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2 믹서(306)와, 제 2 믹서(306)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파하는 제 1 중간주파 증폭부(307)와, 제 1 중간주파 증폭부(307)에서 검파된 음성신호를 확장하여 접속부(201)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전송하는 제 2 음성변환부(308)와, 상기 제 2 음성변환부(308)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1 레벨검출기(309)와, 상기 제 2 음성변환부(308)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일정대역에 대해 필터링하는 대역필터(312)와, 녹음모드시 상기 A/D컨버터(313)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음에 해당하는 음성신호와 음성패턴인식부(314)에 저장되어있는 기준음성을 비교하여 다이얼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다이얼번호에 해당하는 다이얼신호를 접속부(201)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공급하는 제 1 제어부(310)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The first voice converter of claim 1, wherein the main device 300 extends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s caller, which is input from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310. 302, a first mixer 303 for mixing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voice converter 302, and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ixer 303.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5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o the 400 and supplying a user's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400 to the second mixer 306,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5. A second mixer 306 that mixes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307 that detects a user's voice signal by amplifying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f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mixer 306; And the connection unit 201 by extending the voice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307. A second voice converter 308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phone 100, a first level detector 309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voice converter 308, 2 The band filter 312 for filter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conversion unit 308 for a predetermined band, and the voice signal and voic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ound input through the A / D converter 313 in the recording mode The first control unit 310 recognizes the dial number by comparing the reference voice stored in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314 and supplies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dial number to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Hands-free device with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로폰(400)은, 제 2 마이크(402)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 2 제어부(417)의 제어에 따라 확장시키는 제 3 음성변환부(407)와, 상기 제 3 음성변환부(407)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3 믹서(411)와, 상기 제 3 믹서(411)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메인장치(300)의 제 1 송수신부(305)로 전송하고, 제 1 송수신부(305)로 부터 전송된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 4 믹서(411)로 공급하는 제 2 송수신부(410)와, 상기 제 2송수신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 4 믹서(411)와, 제 4 믹서(411)에서출력된 음성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여 상대통화자의 음성신호를 검파하는 제 2 중간주파증폭부(412)와, 제 2 중간주파증폭부(412)에서 검파된 음성신호를 확장하여 증폭기(414)를 통해 스피커(415)에 공급하는 제 4 음성변환부(413)와, 상기 음성변환부(41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2 레벨 검출기(416)와, 이어마이크로폰(400)과 메인장치(300)간의 신호송수신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각부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4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ar microphone 400 includes: a third voice converter 407 for expanding a user's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microphone 402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ler 417; A third mixer 411 for mixing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voice converter 407, and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mixer 411 through an antenna (main unit); A second transceiver 410 which transmits to the first transceiver 305 of 300 and receives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s call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305 to the fourth mixer 411; And a fourth mixer 411 for mixing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transmitter / receiver 410, and amplify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ourth mixer 411 to the other party. The sound detected by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412 and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412 for detecting an audio signal. A fourth voice converter 413 which extends the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speaker 415 through the amplifier 414, and a second level detector 416 which detects a level of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converter 413; And a second control unit (417) for controlling each unit so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between the ear microphone (400) and the main device (300) is performed smoothly.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믹서(303)(306)(408)(411)로 소정의 국부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국부발진기(311)(418)를 더 구성하고, 제 1 및 제 2 국부발진기(311)(418)에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의 주파수값은 제 1 또는 제 2 제어부(310)(417)의 제어에 의해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4. The first and second local oscillators 311 and 418 according to claim 2 or 3, which output a predetermine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to the first to fourth mixers 303, 306, 408 and 411. ), And the frequency values of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i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local oscillators 311 and 418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first or second controllers 310 and 417. Hands-free device with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제어부(310)(417)는 제 1 또는 제 2 레벨검출기(309)(416)에서 검출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이 기준값 이하일때 제 1 또는 제 2 국부발진기(311)(418)에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의 주파수값이 가변되도록 하여 메인장치(300)와이어마이크로폰(400) 상호간의 교신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하되,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에 구성된 제어부중 먼저 국부발진주파수의 주파수값을 가변시킨 제어부는 상대측제어부에 변화시킨 국부발진주파수값을 알려주어 상대측에서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4. The first or second control unit (310) (417)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evel of the audio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or second level detector (309) (416)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frequency value of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output from the first or second local oscillator (311, 418) is varied so that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etween the main device (300) and the microphone (400) is variable, the main device (300) ) And the control unit configured to vary the frequency value of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among the controllers configured in the ear microphone 400 to inform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value changed to the counterpart control unit so that the counterpart can cope with it. Hands free devic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310)(417)는 가변 가능한 복수의 국부발진주파수값을 미리 저장하고, 일정주기마다 제 1 및제 2 국부발진기(311)(418)의 출력 주파수값을 순차적으로 가변시켜 메인장치(300)와 이어마이크로폰(400) 상호간의 교신채널이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first or second control unit (310) (417) stores a plurality of variabl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values in advance, and the first and second local oscillator (311)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Hands-free device with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varying the output frequency value of the 418 sequentially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main device 300 and the ear microphone 40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제어부(310)(417)는 각각 제 1 또는 제 3 음성변환부(413)(407)의 기준 주파수값을 변화시켜 도청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4.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first or second control unit 310, 417 changes the reference frequency values of the first or third voice conversion units 413 and 407, respectively, to prevent eavesdropping. Hands-free device with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300)에는, 휴대폰(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17)와,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신호로 변화시켜 접속부(201)와 대역필터(312)로 출력하는 제 1 마이크(3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메인장치(300)를 이용해서 기준음설정, 음성다이얼링, 통화등의 기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main unit 300, the speaker 317 for outputting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s caller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user's development by chang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nection unit ( 201) and a first microphone 315 which is output to the band filter 312, so that the user can freely implement functions such as reference sound setting, voice dialing, and call using the main device 300. Hands-free device with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20006716U 2002-03-07 2002-03-07 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KR2002810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16U KR200281074Y1 (en) 2002-03-07 2002-03-07 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16U KR200281074Y1 (en) 2002-03-07 2002-03-07 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074Y1 true KR200281074Y1 (en) 2002-07-13

Family

ID=7307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716U KR200281074Y1 (en) 2002-03-07 2002-03-07 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07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4168A1 (en) Headset with integrated radio and piconet circuitry
US588137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CN210724784U (en) Supra-aural intercom
KR200281074Y1 (en) Hands-freed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KR20010096618A (en) Wireless hand-free device for hand-phone
JPH10224449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nd-free device
KR100281628B1 (en) Cordless handsfree
KR100355080B1 (en) A hanger of partable phone handsfree
JP2002247173A (en) Charging rack for mobile phone
KR19990024223A (en) Wireless hands free equipment for mobile phones
KR200229538Y1 (en) The auxiliary system for hand-phone, which can be used both as a wireless earphone and a wireless hands-free
KR200249758Y1 (en) Wireless hand-free device for hand-phone
KR100367283B1 (en) Telephone that is dialed with electronic dialing tone-sound of a cellular phone
JP2983326B2 (en) Portable radio telephone equipment
KR200225634Y1 (en) Hand free apparatus by wireless and wire
KR200188050Y1 (en) Wireless headset apparatus for computer
KR100349098B1 (en) Sound understanding type hand-free device
KR200202242Y1 (en) Radio Transmission and Receiv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Phone
KR200203580Y1 (en) Hand free device for hamd phone
KR200213402Y1 (en) hand free kit
KR100375317B1 (en) hand free kit
KR200225115Y1 (en) Wireless hands-free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set
KR19980019647A (en) Hand-free Integrated Car Stereo
KR200197346Y1 (en)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wireless earphone / microphone
KR20010026667A (en) Method for setting lock function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