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73Y1 - Airing Cap - Google Patents

Airing 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73Y1
KR200280773Y1 KR2020020009652U KR20020009652U KR200280773Y1 KR 200280773 Y1 KR200280773 Y1 KR 200280773Y1 KR 2020020009652 U KR2020020009652 U KR 2020020009652U KR 20020009652 U KR20020009652 U KR 20020009652U KR 200280773 Y1 KR200280773 Y1 KR 200280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opper
vent
wat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조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철 filed Critical 조병철
Priority to KR2020020009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73Y1/en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마개의 완전한 개봉 없이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용기 내외를 통기시킬 수 있는 통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기용 마개는 중앙 상부에 통기부재를 형성시키고, 상기 통기부재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통기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통기부재에는 상기 승강캡의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밀폐구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밀폐구를 이격하여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밀폐구의 하부에는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ur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nd to a ventilation plug that can ventil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the complete opening of the closure. Such a ventilation plug is formed in the central upper ventilation member, and comprises a lifting cap which is coupled to the ventilation member to be selectively ventilated, the ventilation membe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vent of the lifting cap A seal is provided at the top, and a suppor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al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o separate the seal.

Description

통기용 마개{Airing Cap}Ventilation cap {Airing Cap}

본 고안은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전한 개봉없이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용기 내외를 통기시킬 수 있는 통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ur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plug that can be ventilated in and out of the container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a complete opening.

일반적으로 물통과 같은 용기에는 중간의 손잡이 양측으로 두개의 마개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용기에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토록 하여 용기에 담겨진 액체성 내용물의 배출시 출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general, a container such as a bucket is provided with two stoppers,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middle handle, which is intended to prevent the slack when the liquid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re allowed to flow in and out of the container.

하지만 두개의 마개를 모두 개봉시킬 경우 어느 하나의 마개를 분실할 염려가 있으며 한쪽의 마개만을 개봉하여 배출하는 것이 통상적이다.However, when opening both plugs there is a risk of losing any one stopper, it is common to open only one stopper to discharge.

그러다보니 배출시 상기에서 언급된 출렁거림 현상으로 내용물의 일부가 정확한 위치에 낙하하지 못하고 일부가 외부로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part of the contents do not fall to the correct position due to the above-mentioned slack phenomenon when discharged, and part of the outward.

아울러 만일 내용물이 휘발성의 유류일 경우 배출시 안전사고의 우려까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용기의 내외부를 통기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마개 구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ents are volatile oil, there may be a risk of safety accident during discharge, and thus,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topper structure that can facilitate the flow of air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more easily.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용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나 유류 같은 액체성 내용물의 배출시 출렁거림 등과 같은 통기의 부재로 인한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absence of aeration, such as slack when discharge of liquid contents such as water or oil contained in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phenomenon is to provide a vent plug for easier discharge can be made.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양측에 구비된 마개를 모두 개봉시키지 않더라도 중앙에 구비된 승강캡을 잡아당기면 통기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의 통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the secon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is to provide a ventilation plug of the structure to enable the realization of ventilation by pulling the lifting cap provided in the center without opening all the plugs provided on both sides.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용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입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마개에 있어서,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opper of the plastic material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to be fasten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inlet formed on each side of the container,

상기 마개는 상기 출입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한 체결에 따라 상기 출입구의 안측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이 일정깊이로 하향연장되어 안측으로 형성되는 속마개와,The stopper is an inner stopper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extended downward to a certain depth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entrance and sealed according to the fasten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trance,

상기 속마개가 결합된 상기 용기 내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속마개의 중앙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통기부재와,A hollow ventilation member protruding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fastener so that air can flow into and out of the container to which the fastener is coupled;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수밀링이 상기 통기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기부재에 결합되는 승강캡을 포함하며;And a lift cap protru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o form a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center so that air can selectively flow in and ou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nt member.

상기 통기부재는 상기 승강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폐구와,The vent member is a sealing opening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vent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elevating cap and sealed;

상기 밀폐구의 하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승강캡의 하강에 따라 상기 수밀링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 변형으로 상기 수밀링의 진행이 극복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캡의 상부 안측에 형상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갈수록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losing ho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rogress of the water milling ring can be overcome by the elastic deformation relative to the water milling ring according to the lowering of the lifting cap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ifting cap The flange is formed into a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upwards.

상기 플랜지를 극복한 수밀링의 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에 대한 밀폐구의 선택적인 밀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밀링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중공의 연결부와,The water-tight ring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tight ring so that the lowering of the water-tight ring that overcomes the flange is not disturbed. With hollow connection to guide the lifting of the

각 일단은 상기 밀폐구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각각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플랜지 및 연결부의 내주연예 걸쳐 연결되며, 각 사이마다 소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밀폐구가 상기 플랜지의 중앙 상부로 이 격되도록 밀폐구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Each end is connect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closure, and each other end is connected over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and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between so that the closure is the A plurality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closure to be spaced atop the center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상기 속마개의 상부 중앙부위가 소정높이까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승강캡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밀링 이하의 승강캡 내주연 하부가 외주연에 상호 밀착 결합되는 중공의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fastener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milling ring, and as the lifting cap descends,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evating cap below the water milling ring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It is achieved by a ventilating plu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is made of a hollow close contact.

여기서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Here, the stopper is more preferab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tegrally protru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그리고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확장되고 하향 절곡되어형성되는 보강턱이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is furth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inforcing jaw is formed extending and bent downwar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outer peripher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n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 member is closed in the vent cap;

도 5는 상기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 member is opened in the vent cap;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용상태도이다.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ven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according to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통기부재 11: 밀폐구10: vent member 11: sealing opening

12: 지지대 13: 플랜지12: support 13: flange

14: 연결부 15: 밀착부14: connecting portion 15: close contact

20: 승강캡 21: 수밀링20: lifting cap 21: water milling

22: 통기구 30: 속마개22: vent 30: fastener

40: 돌출부 50: 보강턱40: protrusion 50: reinforcement jaw

100: 통기용 마개 200: 용기100: ventilation plug 200: container

210: 제 1입구 220: 손잡이210: first entrance 220: handle

230: 제 2입구230: second entrance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ven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for venti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100)는 용기(200)(도 6에 도시됨)의 제 2입구(230) 외주연에 내주연의 나사산이 체결되면서 안측에 일체로 형성된 속마개(30)가 상기 제 2입구(230)의 안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2 and 3, the stopper 100 is in the inner side while the thread of the inner circumference is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inlet 230 of the container 200 (shown in Figure 6) An integrally formed inner plug 3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inlet 230.

이 때 제 2입구(230)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시 마개(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통기구(22)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통기부재(10) 및 상기 통기부재(10)에 결합되어 승강하면서 선택적으로 밀폐 및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캡(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vent member 10 and the vent member 10 formed integrally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through the vent hole 22 in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100 is coupled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through the second inlet 230. It is coupled to the lifting is made up to include a lifting cap 2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이러한 상기 마개(100)는 전반적인 형상이 원형으로 폴리에틸렌이 재질이며 승강캡(20)을 제외하곤 모두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에 편리하도록 외주연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6개의 돌출부(40)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stopper 100 is made of polyethylene in a circular shape as a whole, except for the lifting cap 20 is all made of a single piece. And six protrusions 4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easily held and rot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마개(100)에는 외주연 하단이 수평으로 확장되고 다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부에는 상기 각 돌출부(40)의 하단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외경 약 80mm 정도의 보강턱(5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100 has a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y extend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downward again, and an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jaw 50 having an outer diameter of about 80 mm is commonly formed in which the lower ends of the protrusions 40 are commonly connected. .

아울러 상기 속마개(30)는 상기 마개(100)의 상부면이 약 14mm 정도의 깊이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다가 하단부위는 급작스렇게 외경이 줄어드는 형상을 취하여 제 2입구(230)의 안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plug 30 is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100 downward to a depth of about 14 mm, and extends to a constant diameter while the lower end suddenly takes a sha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abruptly.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230.

이 때 상기 속마개(3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마개(100)가 제 2입구(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출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부 직경이 약 약 12mm 정도이고, 높이가 약 15mm정도인 중공의 통기부재(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upper center of the stopper 30, the bottom diameter is about 12mm, and the height is about 15mm in order to enable the flow of air in the state in which the stopper 100 is coupled to the second inlet 230; The hollow ventilation member 10 is formed to protrude.

이러한 상기 통기부재(10)는 하부의 밀착부(15)와, 상부의 플랜지(13) 및 밀폐구(11)와, 상기 밀착부(15)와 플랜지(13)를 연결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밀폐구(11)는 상기 플랜지(13)의 상부 중앙에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14)의 내주연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4개의 지지대(12)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The ventilation member 10 is a lower contact portion 15, the upper flange 13 and the sealing opening 11, the contact portion 15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 for connecting the flange (13) The seal 11 is spaced apart by four supports 12 extending up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in the upper center of the flange (13). have.

여기서 상기 밀착부(15)는 상기 속마개(30)의 상단면 중앙이 약 7mm 정도 상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직경이 일정하게 연장되다가 상단부위는 상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중공축 형상을 취한다.Here, the close contact portion 15 is the center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astener 30 extends about 7mm upwards, the diameter of which is uniformly extended, and the upper end portion has a hollow shaft shap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upward.

그리고 상기 연결부(14)는 상기 밀착부(15)의 상부 내주연이 일정한 외경으로 상향 연장된 것으로, 결국 상기 밀착부(15)의 최소 내경과 상기 연결부(14)의 외경이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14 is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5 is extended upward to a constant outer diameter, it can be said that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5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14 is almost the same. have.

또한 상기 플랜지(13)는 상기 연결부(14)의 상단 테두리가 확장 형성된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취하며 중앙 상부에는 일정한 높이차를 두고 상기 플랜지(13)의 내경이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원형의 밀폐구(11)가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13 is formed as the upper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is expanded, the outer diameter is increased toward the lower side and has a constant height difference in the central upper portion relative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lange 13 is relatively The circular sealing opening 11 of small outer diameter is located.

상기 밀폐구(11)는 외경이 약 7mm 정도의 원판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14)의 내주연 상부에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지지대(12)에 의해 떠받쳐져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에 의해 상기 밀폐구(11)와 상기 플랜지(13) 사이에는 상기 각 지지대(12)에 의해 등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sealing opening 11 is supported by the four support 12 exten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in the shape of a disc of about 7mm outer diameter is spaced apart, the sealing opening 11 ) And the flange 13 is formed a space equally divided by the respective support (12).

이러한 상기 각 지지대(12)는 상호 약 90°정도의 각도마다 1개씩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연결부(14)의 내주연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밀폐구(11)의 하부 테두리에 일체로 연결된다.Each of the support 12 is formed one by one for each angle of about 90 degrees, the lower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and the upper portion is integral to the lower edge of the closure (11) Leads to.

한편 상기 승강캡(20)은 높이가 약 15mm 정도이고 내경이 약 13mm 정도의 원형으로 상부면이 완만하게 솟아올라 있으며 그 중앙에는 상기 밀폐구(11)가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통기구(22)가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손으로 잡기에 용이하도록 상부 테두리가 확장되어 있다.Meanwhile, the elevating cap 20 has a height of about 15 mm and an inner diameter of about 13 mm in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cap 20 is gently raised, and the sealing hole 11 is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to be sealed. The vent 22 is formed through, and the upper edge thereof is extended to be easily grasped by hand.

이러한 상기 승강캡(20)의 내주연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중간정도에 수밀링(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밀링(21)은 상기 승강캡(20)이 상기통기부재(10)의 상부를 통해 하강하면서 결합하게 되면 우선 상기 플랜지(13)에 밀착하여 걸리게 되다가 가압하면 결국 이를 극복하여 연결부(14)에 도달하게 된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evating cap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water-tight ring 21 in the middle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water-tight ring 21 is the elevating cap 20 is the ventilation member 10 When combined while descend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 close to the flange 13 is caught and pressurized eventually to overcome this to reach the connecting portion (14).

이 때 상기 승강캡(20)을 더욱 가압하게 되면 상기 플랜지(13)의 상단에 상기 승강캡(20)의 상부 안측면이 밀착되면서 통기부재(10)에 상기 승강캡(20) 전체가 결합 고정된다.At this time, if the lifting cap 20 is pressed further,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ifting cap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lange 13 and the entire lifting cap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ventilation member 10. do.

그런데 상기 연결부(14)의 외경은 상기 수밀링(21)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수밀링(21)은 연결부(14)에 의해 가이드되어 승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밀폐구(11)는 상기 통기구(22)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milling ring 21, the water milling ring 21 may be guided and lifted by the connecting part 14, and thus the sealing opening 11 is provided. )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vent 22.

만일 공기의 유출입이 필요할 경우 상기 승강캡(20)을 들어올려 상기 수밀링(21)이 상기 연결부(14)의 상부 외주연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밀폐구(11)는 상기 승강캡(20)의 상승에 따라 통기구(22)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각 지지대(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통기구(22)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다.If air is required to flow in and out, the lifting cap 20 is lifted and the water-tight ring 21 comes 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posi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Since the air is separated from the vent 22 according to the ris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22 may flow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upports 12.

또한 공기의 유출입을 제한하려면 상기 승강캡(20)을 하강시켜 상기 플랜지(13)의 상단에 상기 승강캡(20)의 상부 안측을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통기구(22)에 상기 밀폐구(11)가 삽입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limit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air by lowering the lifting cap 20 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ifting cap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lange 13, the sealing opening 11 to the vent 22 Can be inserted to completely block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1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서 통기부재(1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 member 10 is closed in the vent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 member 10 is opened in the vent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재(10)에 승강캡(20)이 하강하면서 씌워지게 되면, 우선 승강캡(20)의 수밀링(21)이 통기부재(10)의 플랜지(13)에 접촉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lifting cap 20 is covered with the ventilation member 10 while descending, first, the water sealing ring 21 of the lifting cap 20 is flanged to the ventilation member 10. It comes into contact with (13).

이러한 접촉시 더 힘을 가하면 상기 수밀링(21) 및 플랜지(13)가 상대적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수밀링(21)이 플랜지(13)를 극복하여 연결부(14)에 도달한다.When further force is applied during this contact, the water milling ring 21 and the flange 13 are relatively elastically deformed while the water milling ring 21 overcomes the flange 13 to reach the connecting portion 14.

이 때 다시 힘을 가하여 상기 승강캡(20)이 하강하면 상기 플랜지(13)의 상단이 상기 승강캡(20)의 상부 안측에 밀착되고, 통기구(22)에는 밀폐구(11)가 삽입결합되어 통기부재(10)에 유입되는 모든 공기가 차단된다.At this time, when the lifting cap 20 is lowered by applying force again, the upper end of the flange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ifting cap 20, and the air vent 22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the sealing hole 11. All air flowing into the vent member 10 is blocked.

아울러, 상기 승강캡(20)이 다시 상승토록 하면 상기 수밀링(21)은 상기 연결부(14)의 외주연에 의해 가이드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이 자유롭게 되고, 상기 통기구(22)에서부터 상기 밀폐구(11)가 이탈되면서 상기 밀폐구(11)를 지지하는 각 지지대(12)의 사이로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fting cap 20 is raised again, the water-tight ring 21 is guided by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to freely move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airtight opening 22 from the airtight opening ( As 11) is separated, air may flow in and out between each support 12 supporting the closure 11.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의 사용상태도이다.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ven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로서 물이 담겨있어 주로 물통으로서 기능하는 용기(200)에는 상부 양측에 손잡이(220)를 사이에 두고 제 1입구(210) 및 상기 제 1입구(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제 2입구(230)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ainer 200, which contains water as a content and mainly functions as a bucket, has a handle 220 between the upper sides thereof with a first inlet 210 and the first inlet 210.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inlet 230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is formed to protrude.

만일 상기 용기(200)에 담겨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려면, 상기 제 1입구(210)를 개봉시키고 상기 제 2입구(230)에 결합된 통기용 마개(100)에서 통기부재(10)에 결합된 승강캡(20)을 들어올려 밀폐구(11)를 통기구(22)로부터 이탈시킨다.In order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0 to the outside, the first inlet 210 is opened and the ventilation member 10 coupled to the vent member 10 coupled to the second inlet 230. Lift the combined lifting cap 20 to separate the sealing opening 11 from the vent 22.

그러면 상기 통기구(22)로부터 밀폐구(11)를 지지하는 지지대(12)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결국 개봉된 상기 제 1입구(210)까지 통기될 수 있어 출렁거림 없이 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Then, air flows from the vent 22 to the support 12 supporting the opening 11, and thus can be vented to the first inlet 210 that is opened,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without rumble.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100)에서, 물이 담겨지는 물통으로서 언급된 용기(200)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에, 주류, 유류 등과 같이 액성물질이 내부에 담겨지는 모든 종류의 용기(200)가 포함된다.In the vent ca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200 referred to as a bucket containing water is only one embodiment, in addition to all the liquid material is contained therein, such as alcohol, oil, etc. A kind of container 200 is included.

아울러 상기 통기부재(10)와 승강캡(20)의 재질은 동일한 폴리에틸렌 이외에, 서로 다른 이종의 합성수지재를 재질로 할 수 있으며, 목재,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ABS등과 같은 합성수지 중에서 택일하여 재질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vent member 10 and the lifting cap 20 may be made of different kinds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same polyethylene, and may be used as a material by selecting among synthetic resins such as wood, polypropylene, acrylic, ABS, and the like. Can be.

또한 상기 통기용 마개(100)는 상기에서 언급된 용기(200) 이외에, 통기가 간헐적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각종 산업용품 또는 가정용품 등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 cap 100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container 200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o the various industrial products or household items that the ventilation should be made intermittently or selectively.

더불어 상기에서 제시된 수치상 크기는 일실시예로서 언급된 것이며, 용기의 크기나 규모 및 용도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크기 또한 달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erical size set forth above is mentioned as an example,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may also vary according to the size, size, and use of the container.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용 마개에 의하면, 배출시킬 곳의 마개만 완전히 개봉시키고 다른 쪽 입구에 구비된 통기용 마개에서는 승강캡을 들어올려 통기하게 되면, 출렁거림없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venting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ly the plug of the place to be discharged completely and in the venting plug provided at the other inlet to lift the lifting cap to ventilate, easy to discharge the contents There are features that can be made.

아울러 승강캡을 제외하곤 일체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제작 및 생산이 용이하며, 물통 뿐만 아니라 용이한 통기를 필요로 하는 각종 용기에는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formed integrally except the lifting cap,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produ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containers that require easy ventilation as well as a bucket.

Claims (3)

용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입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내 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마개에 있어서,In the stopper of the plastic material is threaded on the inner periphery to be fasten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inlet formed on each side of the container, 상기 마개는 상기 출입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한 체결에 따라 상기 출입구의 안측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이 일정깊이로 하향 연장되어 안측으로 형성되는 속마개와,The stopper is an inner plug which is formed inwardly with an upper surface extending downwar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entrance and sealed according to the fasten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trance; 상기 속마개(30)가 결합된 상기 용기 내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속마개(30)의 중앙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통기부재와,A hollow vent member protruded integrally with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inner plug 30 so that air may flow into and out of the container to which the inner plug 30 is coupled;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수밀링이 상기 통기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기부재에 결합되는 승강캡을 포함하며;And a lift cap protru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o form a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center so that air can selectively flow in and ou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nt member. 상기 통기부재는 상기 승강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폐구와,The vent member is a sealing opening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vent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elevating cap and sealed; 상기 밀폐구의 하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승강캡의 하강에 따라 상기 수밀링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 변형으로 상기 수밀링의 진행이 극복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캡의 상부 안측에 형상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losing ho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rogress of the water milling ring can be overcome by the elastic deformation relative to the water milling ring according to the lowering of the lifting cap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ifting cap With the flange formed into a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upwards. 상기 플랜지를 극복한 수밀링의 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통기구에 대한 밀폐구의 선택적인 밀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밀링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중공의 연결부와,The water-tight ring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with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tight ring so that the lowering of the water-tight ring that overcomes the flange is not disturbed. With hollow connection to guide the lifting of the 각 일단은 상기 밀폐구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각각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플랜지 및 연결부의 내주연에 걸쳐 연결되며, 각 사이마다 소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밀폐구가 상기 플랜지의 중앙 상부로 이 격되도록 밀폐구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Each end is connect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closure, and each other end is connected over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and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each of the closure is the flange A plurality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a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상기 수밀링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상기 속마개의 상부 중앙부위가 소정높이까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승강캡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밀링 이하의 상기 승강캡 내주연 하부가 외주연에 상호 밀착 결합되는 중공의 밀 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fastener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milling ring, and as the lifting cap descends,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p of the elevating cap below the water milling ring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Ventilation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The stopper is a vent plug,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urther protruded integrally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개에는 외주연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확장되고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턱이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용 마개.The stopper for a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urther formed integrally with a reinforcing jaw is formed extending and bent downwar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outer periphery.
KR2020020009652U 2002-03-30 2002-03-30 Airing Cap KR2002807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52U KR200280773Y1 (en) 2002-03-30 2002-03-30 Airing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52U KR200280773Y1 (en) 2002-03-30 2002-03-30 Airing C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73Y1 true KR200280773Y1 (en) 2002-07-13

Family

ID=7307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52U KR200280773Y1 (en) 2002-03-30 2002-03-30 Airing C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7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68B1 (en) 2008-11-28 2011-03-11 김인수 An air conditioning valve of a liquid courage co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68B1 (en) 2008-11-28 2011-03-11 김인수 An air conditioning valve of a liquid courage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914B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7100790B2 (en)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AU2002322675B2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EP0369559B1 (en) Closure assembly with pouring spout and measuring cup
RU2112725C1 (en) Device for closing hole in container neck
US3589545A (en) Vented closure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4869390A (en) Spill proof cup
RU2254275C2 (en) Pouring apparatus and cap with built-in pouring apparatus
US6523724B2 (en) Container
US20060249521A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5433338A (en) Demountable cap for disposable containers of liquid
US20050087571A1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assembly
CA2469942A1 (en) Two-part closure system and nozzle with groove
KR200280773Y1 (en) Airing Cap
EP0215756A2 (en)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US3220619A (en) Metered liquid dispensing closure
IE54299B1 (en) Self-venting flexible pouring spouts for containers
KR200295694Y1 (en) Bottle-cap assembly
CN213921983U (en) Powder storehouse mixed structure is pressed to bottom
KR200365965Y1 (en) A cap of liquid bottle
KR20160002482U (en) Lid for lizuid container
CA2652952C (en) Can
KR200446598Y1 (en) Cap for a liquid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