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03Y1 - Apparatus for vibrating ma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ibrating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03Y1
KR200280703Y1 KR2020020006859U KR20020006859U KR200280703Y1 KR 200280703 Y1 KR200280703 Y1 KR 200280703Y1 KR 2020020006859 U KR2020020006859 U KR 2020020006859U KR 20020006859 U KR20020006859 U KR 20020006859U KR 200280703 Y1 KR200280703 Y1 KR 200280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at
support plate
spr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8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미선
이충일
김현익
한창호
Original Assignee
박미선
이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선, 이충일 filed Critical 박미선
Priority to KR2020020006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03Y1/en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에 적층되는 매트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매트 사이에서 복수의 위치에 개재되는 복수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매트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상기 케이싱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며,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mat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late, a mat stacked on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casings interpo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mat, and received in the casing to vibrate the ma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and a buffer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asing. As a result, not only the durability is excellent, but al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improve the massage effec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floor surface.

Description

진동매트장치{APPARATUS FOR VIBRATING MAT}Vibration Mat Device {APPARATUS FOR VIBRATING MAT}

본 고안은, 진동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정이 수월하고, 또한,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진동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ma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has excellent durability, but also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makes the manufacturing process easier, and reduces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and transmits vibration and noise to the floor surface. It relates to a vibration mat device that can reduce the.

일반적으로 매트는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의 주변에서도 침대라는 형태로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각기 그 크기에 따라 싱글, 혹은 더블 등으로 불리고 있을 만큼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매트는 단지, 잠자리를 위해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경기, 예를 들어 높이뛰기나 뜀틀, 혹은 마루운동 등에 설치되어 선수의 부상을 방지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병원 등에서는 이동가능한 침대본체에 설치하여 환자의 편안한 투병생할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In general, mats are commonly used in the form of beds in our surrounding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each has various forms such as single or double, depending on the size. These mats are not only used for sleeping, but are used to prevent athletes' injuries by being installed in athletics, for example, high jumps, skipping frames, or floor exercises. It is to assist the comfortable life of the sick.

이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매트는, 내부에 스폰지 혹은, 겹겹의 천을 이용하여 단순히 쿠션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특히, 환자의 보조적인 간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매트 자체가 소정의 진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욕창 등을 방지하는 효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As such, the mat used for various purposes may simply perform a function of a cushion by using a sponge or a layer of cloth inside, but in particular, in the recent years, the mat may serve as an assistant for the patient. The mat itself is able to achieve a predetermined vibration, and is widely used as an effect of preventing bedsores and the like of a patient.

이러한 종래의 진동매트장치는, 주로 공기압을 이용하여 콤프레셔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는 형태를 반복하여 매트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과, 혹은 수압을 이용하여 매트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 있으며, 그리고, 매트의 하단에 다수의 캠을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상사점과 하사점의 높이차에 의해 매트가 진동될 수 있도록 한 것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vibration mat device is to repeat the form of injecting or bleeding air through the compressor mainly using air pressure to give vibration to the mat, or to give vibration to the mat using water pressure, and the mat Various types are known, including those in which a plurality of cams ar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cam to rotate the cam by a motor, thereby allowing the mat to be vibrat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동매트장치에 있어서는, 콤프레셔, 물저장탱크, 모터 및 캠 등을 설치해야만 매트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과정이 난해할뿐더러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증대하여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긴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기압 및 수압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는 매트일 경우에는, 바늘이나 날카로운 물건 등에 의해 공기 및 물이 샐 수 있는 약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공기압 및 수압이 줄어들 수밖에 없으므로 내구성이 그만큼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매트장치에 진동 발생시, 매트장치의 저부면이 접촉하는 바닥면으로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ibrating mat device, the compressor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a water storage tank, a motor, and a cam to provide vibration to the mat. Therefor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difficult, and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There is a drawback to the economic burden. In addition, when the mat imparts vibration by air pressure and water pressure, air and water may leak due to a needle or a sharp object, and as a result, air pressure and water pressure naturally decrease as time passes, so durability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weak. In addition,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mat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vibration and noise are transm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 devi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며,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진동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mat device that is not only excellent in durability, but also simple in structure, easy to manufacture, improve massage effect, and reduc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floor surfa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매트장치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ma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도 1의 진동발생부 및 케이싱의 결합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and the casing of FIG.

도 4는 도 3의 진동발생부 및 케이싱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and the casing of FIG. 3;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매트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bration ma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진동매트장치 11 : 지지판10: vibration mat device 11: support plate

13 : 수용부 15 : 매트13: accommodating part 15: mat

21 : 케이싱 31 : 진동발생부21: casing 31: vibration generating unit

33 : 코일부 35 : 진동바아33: coil part 35: vibration bar

41 : 완충지지부 43 : 브래킷41: buffer support 43: bracket

51 : 스프링 53 : 스프링 체결볼트51: Spring 53: Spring Tightening Bolt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진동매트장치에 있어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에 적층되는 매트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매트 사이에서 복수의 위치에 개재되는 복수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매트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상기 케이싱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매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in the vibration mat device, a support plate, a mat stacked on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casings interpo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mat, and housed in the casing It is achieved by a vibration mat device comprising a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for vibrating the mat, and a buffer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asing.

여기서,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기 진동발생부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진동발생부의 진동이 상기 지지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상기 브래킷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uffer support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a spring for buffer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plate,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spring to the bracket.

또한, 상기 스프링은 고무,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ring is preferably made of any one of rubber, metal.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매트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매트장치(10)는, 지지판(11)과, 지지판(11) 상에 적층되는 매트(15)와, 지지판(11)과 매트(15) 사이에서 복수의 위치에 개재되는 복수의 케이싱(21)과, 케이싱(21) 내에 수용되어 매트(15)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31)와, 진동발생부(31)를 케이싱(21)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지지부(41)를 가진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ma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vibration ma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support plate 11, the mat 15 stacked on the support plate 11, between the support plate 11 and the mat 15 A plurality of casings 21 interpo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31 accommodated in the casing 21 to vibrate the mat 15, and a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31 with respect to the casing 21. It has a buffer support part 41 which elastically supports.

지지판(11)은, 전체적인 매트장치(10)의 하단부분을 형성하며, 지면 혹은 침대 등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매트장치(10)를 거의 평탄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판(11)은, 지면, 혹은 열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하단에 내열성 절연층 등을 포함한 단열층 등을 개재시킬 수 있으며, 또한, 판상의 철판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고, 쟈가드천 등의 복합재료층을 겹겹으로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밀도 스폰지를 사용하고 있다.The support plate 11 forms a lower end portion of the overall mat device 10 and is installed on a frame such as the ground or a bed to support the mat device 10 almost flat. The support plate 11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layer including a heat resistant insulating layer or the like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11 to prevent damage to the ground or heat, and may also be provided with a plate-shaped iron plate member, such as a jacquard cloth. The composite material layer can be produced by laminating layer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density sponge is used.

지지판(11)의 판면에는, 케이싱(21)이 형상맞춤되게 삽입가능하도록 판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복수의 수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13)들은 지지판(11)의 판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수용부(13)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수용부(13)의 수는 매트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며, 그 단면형상 또한, 원형의 단면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The plat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using portions 13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so that the casing 21 can be inserted into a shape. The receiving portions 13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1, the receiving portion 13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ere, the number of the receiving portions 13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t,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also be replaced with a shape other than the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지지판(11)의 판면방향 상측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접촉되는 매트(15)는, 판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복합재질을 갖는 복합재료층, 예를 들어, 쟈가드천, 카본층, 부직포, 고밀도 스폰지, 내열성 절연층, 옥세라믹층, 맥반석세라믹층, PU코팅층 등 중 적어도 몇몇 가지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상호 조합 등에 의해서도 구성이 가능하며, 또한, 제조비용을 현격히 낮추기 위해 단지 고밀도의 스폰지만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The mat 15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1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ncludes a composite material layer having a plurality of composite materials along the plate surface direction, for example, a jacquard cloth, a carbon layer, a nonwoven fabric, At least some of a high density sponge, a heat resistant insulating layer, an ox ceramic layer, an agglomerate ceramic layer, and a PU coating layer can be used in combination, and can also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them. Only high density sponges can be used.

또한, 지지판(11)과 매트(15) 사이에는 진동발생부(3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매트(15)의 상단으로 방출되어 인체에 투여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의 차단판(17)이 마련되어 있다. 차단판(17)은 전해동 박판, 또는 마그네슘 필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차단판(17)은 지지판(11)과 매트(15)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ate-shaped blocking plate 17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1 and the mat 15 to prevent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from being em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t 15 to be administered to the human body. . The blocking plate 17 is preferably an electrolytic copper thin plate or a magnesium film, and the blocking plate 17 may be selectively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late 11 and the mat 15.

한편, 차단판(17)과 지지판(11) 사이에는, 지지판(11)의 판면에 형성된 수용부(13)에 형상맞춤되게 끼워지는 케이싱(21)이 개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blocking plate 17 and the support plate 11, a casing 21 fitted to fit the receiving portion 13 form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 is interposed.

케이싱(2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지지판(11)의 수용부(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상을 가진다. 케이싱(21)의 내측에는 후술할 진동발생부(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 자 형상의 수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21)은 진동발생부(31)를 둘러싸게 되므로, 진동발생부(31)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지지판(11)의 저부면, 즉 바닥면을 향해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케이싱(21)은, 금속재질로도 형성가능하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판 등을 포함한 함성섬유 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로도 대체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casing 21 has an upper end opening, and has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of the support plate 11. An inner side of the casing 21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23 having a substantially '+' shape so as to accommodate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to be described later. As such, since the casing 21 surrounds the vibration generator 3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vibration generator 31 is opera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 that is, the bottom surface. It becomes possible. Here, the casing 2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but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 casing 21 may be replaced with a synthetic fiber material and a plastic material including an acrylic plate.

진동발생부(31)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코일부(33)와, 코일부(33)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왕복운동하며 차단판(17)에 접근 및 이격되는 진동바아(35)를 가진다.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31 is a coil part 33 in which coils are wound, and a vibration bar 35 reciprocating by electromagnetically interacting with the coil part 33 and approaching and separating the blocking plate 17. Has

코일부(33)는 관상체의 형상을 가지며, 코일이 권선되어 있다.The coil part 33 has the shape of a tubular body, and the coil is wound.

진동바아(35)는 코일부(33)로부터 전자기력을 받아 차단판(17)을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상체의 형상을 가진다. 진동바아(35)는 코일부(33)의 내주면에 수용되며, 진동바아(35)의 외주면은 코일부(33)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진동바아(35)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진동바아(35)의 상부측에는 캡(37)이 캡체결볼트(38)에 의해 결합되며, 진동바아(35)의 하부측에는 진동바아 레벨조정볼트(39)가 결합된다. 진동바아(35)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캡(37)은 진동바아(35)의 왕복운동을 차단판(17)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캡(37)은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으며, 캡(37)은 제조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바아(35)의 하부측에 결합되는 진동바아 레벨조정볼트(39)는 후술할 지지스프링(49)에 의해 코일부(33) 내의 진동바아(35)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진동바아(35)와 진동바아 레벨조정볼트(39) 사이에는 지지스프링(49)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판상의 스프링지지부(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스프링지지부(40)에는 지지스프링(49)이 결합되는 결합공(4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진동바아 레벨조정볼트(39)에는 스프링지지부(40)와 진동바아(35)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쌍의 스페이서(36)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부(33)로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부(33)는 진동바아(35)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진동바아(35)를 지지판(11)측을 향해 끌어당기거나 혹은 밀침으로써, 소정의 진동을 유발시키게 되며, 이 진동은 캡(37) 및 차단판(17)을 경유하여 매트(15)에 고르게 퍼질 수 있게 된다.The vibration bar 35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receive the electromagnetic force from the coil part 33 and flow toward the blocking plate 17, and has a tubular shape. The vibration bar 35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portion 3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bration bar 35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portion 33.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bration bar 35, and a cap 37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bar 35 by a cap fastening bolt 38, and a vibration bar level adjustmen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vibration bar 35. Bolt 39 is engaged. The cap 37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bar 35 transmit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ibration bar 35 to the blocking plate 17. Here, the cap 37 may be optionally interposed, the cap 37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injection molding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the vibration bar level adjusting bolt 39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vibration bar 35 adjusts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bar 35 in the coil part 33 by the support spring 49 to be described later. Then, between the vibration bar 35 and the vibration bar level adjustment bolt 39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spring support portion 40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support spring 49, the spring support portion 40, the support spring (49) The coupling hole 40a to which this is coupled is formed. In addition, the vibration bar level adjustment bolt 39 is coupled to a pair of spacers 36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spring support 40 and the vibration bar 35. According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il part 33, the coil part 33 pulls or pushes the vibration bar 35 toward the support plate 11 side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vibration bar 35. As a result, a predetermined vibration is caused, which can be spread evenly on the mat 15 via the cap 37 and the blocking plate 17.

완충지지부(41)는, 진동발생부(31)를 지지하는 브래킷(43)과, 진동발생부(31)의 진동이 지지판(11)의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하는 스프링(51)과, 스프링(51)을 브래킷(43)에 결합하는 스프링 체결볼트(53)로 이루어진다.The buffer support part 41 includes a bracket 43 for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31, a spring 51 for buffer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3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1, and a spring. It consists of a spring fastening bolt 53 for coupling the 51 to the bracket 43.

브래킷(43)은, 코일부(33)를 둘러싸는 하부커버(45)와, 하부커버(45)의 상측에 마련되어 진동바아(35)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통과공(47a)이 형성된 판상의 상부커버(47)를 가진다. 하부커버(45)의 상측은 케이싱(21)의 수용홈(23)의 형상에 대응하여 '+' 자 형상을 가지며, 상부커버(47) 또한 '+' 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하부커버(45) 및 상부커버(47)의 각 가장자리 영역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후술할 스프링체결볼트(53)가 관통하는 관통공(45b, 4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커버(45)의 하부영역에는 진동바아(35)의 왕복운동거리를 제한하는 한쌍의 지지스프링(49)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스프링(49)의 일단부는 하부커버(45)의 걸림홈(45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진동바아 레벨조정볼트(39)에 결합된다.The bracket 43 has a lower cover 45 surrounding the coil part 33 and an upper plate-shaped upper portion formed with a passage hole 47a so that the vibration bar 35 can reciprocate. It has a cover 47.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45 has a '+'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23 of the casing 21, the upper cover 47 also has a '+' shape. In the edge regions of the lower cover 45 and the upper cover 47, through holes 45b and 47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rough which the spring fastening bolts 53 to be described later pass. In addition, a pair of support springs 49 are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ower cover 45 to limit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vibration bar 35. One end of the support spring 49 is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45a of the lower cover 45,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vibration bar level adjustment bolt 39.

스프링(51)은 하부커버(45)와 케이싱(21)의 수용홈(23)의 저부면 사이에 개재되며, 하부커버(45)의 각 관통공(45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스프링(51)은 코일형상을 가지며, 스프링 체결볼트(53)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다.The spring 51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over 4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3 of the casing 21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through hole 45b of the lower cover 45. The spring 51 has a coil shape and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ring fastening bolt 53.

스프링 체결볼트(53)는 하부커버(45) 및 상부커버(47)의 각 관통공(45b, 47b)과 스프링(51)을 관통 결합하고, 스프링 체결볼트(53)의 말단부는 너트(55)에 의해 체결된다. 스프링 체결볼트(53)는 너트(55)와의 체결에 의해 스프링(51)의 진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51)은 브래킷(43)의 하부커버(45)에 스프링 체결볼트(53)에 의해 결합되어, 진동발생부(31)의 진동이 지지판(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하게 된다. 여기서, 스프링(51)은 고무,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능력이 우수한 고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fastening bolt 53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s 45b and 47b of the lower cover 45 and the upper cover 47 and the spring 51, and the distal end of the spring fastening bolt 53 is a nut 55. Is fastened by. The spring fastening bolt 53 can adjust the amplitude of the spring 51 by fastening with the nut 55. Accordingly, the spring 51 is coupled to the lower cover 45 of the bracket 43 by the spring fastening bolt 53 to buffer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31 to be transmitted to the support plate 11. . Here, the spring 51 may be made of any one of rubber and metal, but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ability to absorb and attenuate vibration.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진동매트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발생부(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3)에 소정의 제어부(61)를 추가로 설치하여, 코일부(33)에 공급되는 전원을 소정의 시간주기에 맞추어 교번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61)는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변환기(65)를 통해 진동발생부(31)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폭 및 진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타이머(67)로 인해 정해진 시간만큼, 또는 정해진 시간에만 동작하도록 전원을 가변시킬 수도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ma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predetermined control unit 61 in the power supply unit 63 for supplying power 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The power supplied to the coil unit 33 can be turned on and off alternately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Here, the control unit 61 may adjust the vibration width and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through the frequency converter 65 for controlling the frequency, as well as a predetermined time due to the predetermined timer 67. 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power source to operate as much or only a predetermined tim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동매트장치(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y this configuration, i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a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원공급부(63)에 의해 진동발생부(31)의 코일부(33)로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부(33)는 진동바아(35)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진동바아(35)를 지지판(11)측을 향해 끌어당기거나 혹은 밀침으로써, 소정의 진동을 유발시키게 되며, 이 진동은 캡(37) 및 차단판(17)을 경유하여 매트(15)에 고르게 퍼지게 되어, 매트(15)에 앉아 있거나 누워있는 사람은 일정한 진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il unit 33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by the power supply unit 63, the coil unit 33 is a vibration bar 35 by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vibration bar 35. Is pulled or pushed toward the support plate 11 side to cause a predetermined vibration, which is spread evenly on the mat 15 via the cap 37 and the blocking plate 17, 15) The person sitting or lying down can get a constant vibration effect.

이 때, 지지판(11)의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완충지지부(41)의 스프링(51)에 의해 완충되어, 지지판(11)의 하부측, 즉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진동발생부(31)가 케이싱(21)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제어부(61)에서 코일부(33)로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변환시킴으로써, 진동바아(35)를 통해 매트(15)로 전달되는 진동의 폭 및 강약을 조절하는 또 다른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어부(61)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진동발생부(31)에 공급되는 주파수의 진동폭을 서로 다르게 공급했을 경우, 다음과 같은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1 is buffered by the spring 51 of the buffer support portion 4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 In addition, since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is surrounded by the casing 2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bottom surface. At the same time, by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61 to the coil unit 33, to perform another process of adjusting the width and strength of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at 15 through the vibration bar (35). It becomes possible. In order 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when the control unit 61 supplies different vibration widths of the frequencies su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ors 31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other effect may be obtained as follows.

일예로, 좌측에 배치된 진동발생부 보다 우측에 배치된 진동발생부에 공급되는 주파수의 진폭을 더 크게 했을 경우, 좌측 진동발생부의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매트(15)가 상승 및 하강 폭 보다는 우측 진동발생부의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매트(15)의 상승 및 하강 폭이 더 작아지게 된다. 이 때,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각 진동발생부(31)에 공급되는 주파수를 서로 반대로 공급하게 되면, 매트(15)상의 진동폭은 상기와는 반대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각 진동발생부(31)마다 공급되는 전원의 주기를 차별화하여 매트에 발생되는 진동이 물결파, 즉, 사인파 혹은 코사인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매트장치(10) 위에 몸이 불편한 사람 및 마사지를 원하는 사람이 누워 있을 경우, 서로 다른 위치로 작용하는 진동의 세기 및 폭에 의해 좀 더 효과적인 마사지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amplitude of the frequency su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or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larger than the vibration generator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mat 15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gion of the left vibration generator is on the right side rather than the rising and falling width. The rising and falling widths of the mat 15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g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become smaller. At this time, if the frequencies supplied to each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re suppli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vibration width on the mat 15 can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f the above. Thus, by virtue of differentiating the cycle of the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31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mat can be made of a wave wave, that is, sine wave or cosine wave. Therefore, when the person who is uncomfortable and the person who wants to massage lying on the mat device 10, it is possible to enjoy a more effective massage effect by the strength and width of the vibration acting in different positions.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지지판에 수용되는 진동발생부를 케이싱으로 둘러싸고, 진동발생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며,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enclos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late with a casing and providing a buffer supporting uni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not only the durability is excellent, bu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production is easy, and the massage effect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floor surface.

한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단일의 매트 뿐만 아니라 2단 이상으로 접철가능한 매트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석, 배게 및 발이 접촉되는 깔판 등에 사용되더라도 상기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a single mat, but also foldable mats in two or more steps, even if used in a cushion, pillows and pallets in contact with the foot can of course achieve the above effects.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진동발생부가 수용되는 케이싱의 수용홈이 '+' 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케이싱의 수용홈은 '+' 자 형상 이외에 'I'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ousing groove of the casing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s accommodated has a '+' shape, but the housing groove of the casing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n 'I' shape in addition to the '+' shape. It may b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며,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진동매트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bration mat device which is not only excellent in durability but also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manufacture, improves massage effect, and reduces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floor surface is provided. .

Claims (3)

진동매트장치에 있어서,In the vibration mat device, 지지판과,Support plate, 상기 지지판 상에 적층되는 매트와,A mat laminated on the support plate, 상기 지지판과 상기 매트 사이에서 복수의 위치에 개재되는 복수의 케이싱과,A plurality of casings interpo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mat,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매트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와,A vibration generating unit accommodated in the casing to vibrate the mat; 상기 진동발생부를 상기 케이싱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매트장치.Vibration ma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ffer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a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완충지지부는,The buffer support portion, 상기 진동발생부를 지지하는 브래킷과,A bracket for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상기 진동발생부의 진동이 상기 지지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하는 스프링과,A spring for buffer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스프링을 상기 브래킷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매트장치.Vibration mat device comprising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spring to the bracke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프링은 고무,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매트장치.The spring is a vibration ma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rubber, metal.
KR2020020006859U 2002-03-08 2002-03-08 Apparatus for vibrating mat KR2002807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859U KR200280703Y1 (en) 2002-03-08 2002-03-08 Apparatus for vibrating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859U KR200280703Y1 (en) 2002-03-08 2002-03-08 Apparatus for vibrating ma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471A Division KR20030073085A (en) 2002-03-08 2002-03-08 Apparatus for vibrating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03Y1 true KR200280703Y1 (en) 2002-07-13

Family

ID=7311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859U KR200280703Y1 (en) 2002-03-08 2002-03-08 Apparatus for vibrating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0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410A (en) Vibrating mattress
US4005703A (en) Vibratory massage therapeutic device
US4710655A (en) Resonant vibration-transmitting apparatus
US4326506A (en) Vibratile mat
US20080171954A1 (en) Vibration therapy device
KR200280703Y1 (en) Apparatus for vibrating mat
KR20030073085A (en) Apparatus for vibrating mat
CN109498361A (en) A kind of regular movements mattress group
US20060058713A1 (en) Massage cushion
KR20000049516A (en) Apparatus for vibrating mat
KR20170074720A (en) Multi-function mat
KR20170061650A (en) A Matress Having Vibrating Device For Bed
US3503389A (en) Vibration inducing apparatus and method
CN204231594U (en) Body phonosensitive case vibrator, body phonosensitive case, mattress, chair, quilt, cotton-padded mattress
CN104320728A (en) Vibrator for somatosensory speaker, somatosensory speaker, mattress, chair, quilt, cotton-padded mattress
KR200417940Y1 (en) medical bad
JP4666201B2 (en) bed
JP4710257B2 (en) bed
KR200320978Y1 (en) the multi function bed with A KNEADER
KR20080102711A (en) Mattress with vibration means
KR100719937B1 (en) Plate spring vibrator by use of electromagnet and massage apparatus therewith
KR20030087599A (en) the multi function bed with A KNEADER
KR200256706Y1 (en) A mat with massagist
KR20170033140A (en) A Matress Having Vibrating Device For Bed
KR200271849Y1 (en) The mate with mass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