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678Y1 -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 Google Patents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678Y1
KR200280678Y1 KR2020020004624U KR20020004624U KR200280678Y1 KR 200280678 Y1 KR200280678 Y1 KR 200280678Y1 KR 2020020004624 U KR2020020004624 U KR 2020020004624U KR 20020004624 U KR20020004624 U KR 20020004624U KR 200280678 Y1 KR200280678 Y1 KR 200280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upper plate
opening tab
top plat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명
Original Assignee
이원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명 filed Critical 이원명
Priority to KR2020020004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678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캔의 상판에 설치되는 개봉 편을 절취시켜 오픈시키는 개봉 탭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캔의 상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캔의 상판의 전부 또는 적정 일부에 호형으로 융출 또는 요입되는 탄발 작동부를 구성하여 상판을 캔에 결합시키기 전에는 상판에 설치된 개봉 탭이 상판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판이 캔과의 결합을 위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되는 각 상판이 상호 빈틈없이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여 상판결속공정에 불량이 초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판을 내용물이 용입된 캔에 밀봉 결합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른 캔 내부의 팽창압 또는 진공압을 통해 탄발 작동부가 변형되면서 개봉 탭의 파지부와 상판의 표면사이에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를 형성시키도록 한 것으로 취급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the upper plate of can with convenience structure for opening tap}
본 고안은 음료수 캔의 상판에 설치되는 개봉 편을 절취시켜 오픈시키는 개봉 탭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캔의 상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캔의 상판의 전부 또는 적정 일부에 호형으로 융출또는 요입되는 탄발 작동부를 구성하여 상판을 캔에 결합시키기 전에는 상판에 설치된 개봉 탭이 상판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판이 캔과의 결합을 위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되는 각 상판이 상호 빈틈없이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여 상판결속공정에 불량이 초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판을 내용물이 용입된 캔에 밀봉 결합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른 캔 내부의 팽창압 또는 진공압을 통해 탄발 작동부가 변형되면서 개봉 탭의 파지부와 상판의 표면사이에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를 형성시키도록 한 것으로 개봉 탭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들어 올려지도록 유도하여 캔의 오픈동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구조적 변형이나 추가 없이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적용이 매우 쉬워 실용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취급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음료나 주류와 같은 음용 가능한 액상의 내용물을 포장 유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종류의 캔 용기에는 캔 상부를 이루는 벽부 중 적정 크기의 부분을 절취개봉이 가능한 입구부로 구성하고, 그 일측에 상기 입구부를 압박 개봉시킬 수 있는 개봉 탭을 체결부로 부착 설치하여서 된 캔 개봉수단을 구비하여제작 사용하고 있다.
상기 캔 개봉수단은 상부 개봉부에 프레싱 공정으로 개봉용 할절선을 압형(壓形)하여 개봉 편을 구획 설치하고 이 개봉편에 둥근 고리가 형성된 개봉 탭을 리벳팅 하여 캔의 개봉 시 상기 개봉 탭의 파지부를 위로 잡아당기면 개봉 탭의 선단부가 하강되면서 개봉편 을 눌러 강제적으로 할절선을 절취시켜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캔을 개봉하여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때 종래에는 캔 상부의 표면과 틈새가 거의 없이 밀착된 상태로 캔 상부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개봉 탭 후단부와 캔 상부 표면사이로 손톱을 밀어 넣어 그 손톱의 힘으로 개봉 탭 후단부를 어느 정도 들어 올려서 개봉 탭 후단부와 캔 상부 표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한 후 그 틈새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개봉 탭을 완전히 제껴 올려 입구부가 개봉되게 하거나, 상기 틈새를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은 후 개봉 탭 보디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손가락을 걸고 잡아 당겨 캔을 개봉시키도록 해야 했으나 이는 파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개봉 탭을 일차적으로 들어 올려주기 위해서는 개봉 편의 할절선이 절취될 정도의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어 손톱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 따라서는 특히 손톱이 짧거나 약할 경우 위와 같은 캔 개봉작업이 매우 힘들게 되거나 손톱이 부러지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심하면 손가락에 부상을 입게 되는 일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개봉수단을 가진 종래의 일부 캔 용기 중에는 개봉탭의 후단부와 인접한 캔 상부 부위에 요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개봉 탭의 후단 일부를 약간 상향 절곡시킨 상태로 개봉 탭을 캔 상부에 부착 설치해 주는 방법으로 개봉 탭의 개봉조작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모한 것도 있으나, 이 경우 전자의 요홈 형성방식은 개봉 탭 후단부와 캔 상부 표면사이의 틈새가 충분한 크기로 마련되지 못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편 캔에 내용물을 용입시킨 후에는 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판을 캔에 결합하게 되는 바 각 상판은 일정한 라인을 타고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캔의 상부에서 정지되어 별도의 시링장치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이 자동으로 이송결합되기 위해서는 각 상판끼리 빈틈없이 완전히 밀착되는 상태로 이송되어야 하는 조건이 요구된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상판에서 개봉 탭이 돌출되는 관계로 상판의 연부끼리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되어 각 상판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 상판의 위치제어와 카운터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없어 캔의 자동 제조공정에 적용할 수 없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캔에 적용되기 이전에는 캔과의 결속공정에 불량이 없도록 개봉 탭이 상판에 밀착되도록 하고 내용물이 용입된 캔에 적용된 후에는 자동적으로 상판의 일부 또는 전체가 변형되면서 개봉 탭의 파지부와 상판의 표면사이에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캔의 오픈동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고 별도의 구조적 변형이나 추가 없이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캔의 상판 구조를 제시함에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캔의 상판의 전부 또는 적정일부에 호형으로 융출 또는 요입되는 탄발 작동부를 구성하여 상판을 캔에 결합시키기 전에는 상판에 설치된 개봉 탭이 상판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판을 내용물이 용입된 캔에 밀봉 결합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른 캔 내부의 팽창압 또는 진공압을 통해 탄발 작동부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로서 캔에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을 캔에 적용시킨 후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예로서 캔에 결합되기 전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를 캔에 적용시킨 후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 예로서 캔에 결합되기 전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을 캔에 적용시킨 후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캔 2: 상판
3: 캔 개봉수단 3A: 할절선
3B: 개봉편 3C: 개봉탭
3C': 압절부 3D: 파지부
3E: 리벳 고정편 3F: 리벳
10: 탄발 작동부
도 2는 본 고안의 상판(2)이 캔(1)에 결합되기 이전의 단면 예시도로서,
할절선(3A)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공을 구성하는 개봉 편(3B)과, 파지부(3D)를 구비하는 개봉 탭(3C)을 리벳 고정편(3E)에 결속되는 리벳(3F)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여 개봉 탭(3C)을 들어 올림 시 개봉 탭(3C) 선단부의 압절부(3C')가 상기 개봉 편(3B)을 눌러 할절선(3A)을 절취토록 하여 캔(1)의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지의 캔 개봉수단(3)을 포함하는 음료수 캔(1)의 상판(2)에 있어서,
상기 상판(2)의 상면부 전체를 중앙부를 향해 곡면을 유지하면서 하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호형으로 요입되는 탄발 작동부(10)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예로서, 상기 탄발 작동부(10)를 리벳(3F)의 고정부위를 포함하는 상태로 상판(2)의 일부에 호형으로 요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 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탄발 작동부(10)를 리벳(3F)의 고정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 상판(2)의 일부에 호형으로 융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상기에서 탄발 작동부(10)는 본 고안에서 소정의 작동 효과를 거두기 위해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서는 상판(2) 전체에 형성되며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입 구조를, 도 4에서는 상판(2)의 일부에 형성되며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입 구조를, 도 6에서는 상판(2)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용출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따라서, 본 고안의 탄발 작동부(10)의 구성 경계는 단지 상판(2)을 제조공정에서 인위적으로 만곡지게 오목하게 하거나 불룩하게 융출되는 구성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상판(2)의 전체에 요입 상태의 탄발 작동부(10)를, 다른 구성예인 도 4는 상판(2)의 일부에 요입 상태의 탄발 작동부(10)를 구성한 구조로서, 양자는 공히 내용물의 용입 후 팽창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종류의 내용물 즉 탄산가스 등이 함유되어 밀봉 시 캔의 내부에 팽창 압력이 형성되는 캔에 적용되는 것이며,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일 부분에 탄발 작동부(10)를 구성한 구조는 할절선(3A)부위의 형태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밀봉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도 6은 도 2 및 도 4와는 반대로 상판(2)의 일부에 위로 융출되는 탄발작동부(10)가 구성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쥬스 등과 같이 멸균을 의해 가열시킨 상태로 캔에 수용하며 밀봉 시 내용물의 냉각에 의해 캔의 내부에 진공흡입력이 발생되는 종류의 내용물에 적용되도록 한 것이다.
도 2 및 도 4, 도 6에 도시된 상판(2)은 캔(1)에 결합시키기 이전의 제조시에 구성되는 상태의 단면도로써 도 2 및 도 4의 탄발 작동부(10)는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며 도 6의 탄발 작동부(10)는 상향으로 융출되어 불룩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각 구성 예에 적용된 개봉 탭(3C)은 탄발 작동부(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개봉 탭(3C)과 탄발 작동부(10)의 사이에 빈틈이 없어 파지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캔(1)과의 결합을 위한 상판(2) 이송 시 개봉 탭(3C)이 타 상판(2)과 접촉되지 않아 상판끼리 틈새가 없이 밀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여 상판의 위치제어와 카운터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어 캔의 자동 제조공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캔(1)에 내용물이 용입되고 이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시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판(2)을 캔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시키면 캔의 내부에 팽창 압력을 발생시키는 내용물에 적용되는 도 2 및 도 4의 상판(2)은 팽창압력에 의해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요입되어 있던 탄발 작동부(10)가 반대로 위로 불룩하게 호형으로 솟아오르면서 개봉 탭(3C)이 위치되고 있던 부위의 형태를 상반되게 변경시켜줌으로써 탄발 작동부(10)상에 고정되어 있던 개봉 탭(3C)의 파지부(3D)와 탄발 작동부(10)의 표면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있는 공간부를 마련되어 개봉 탭(3C)의 파지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캔의 오픈동작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캔의 내부에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내용물에 적용되는 도 6의 상판(2)은 캔(1)의 내부에 진공 흡입력이 발생되더라도 탄발 작동부(10)의 범위 밖에 리벳(3F)의 고정부를 형성시킨 개봉 탭(3C)은 변동 없는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파지부(3D)쪽에 위치하고 있는 융출 상태의 탄발 작동부(10)는 도 7에서와 같이 반대로 밑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면서 개봉 탭(3C)의 파지부(3D)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게 되어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있는 공간부를 마련된다.
한편 도 3 및 도 5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파지부(3D)의 하부의 공간부를통해 손가락을 진입시켜 파지부(3D)를 안정되게 잡고 앞으로 잡아당겨 주면 압절부(3C')가 개봉편(3B)을 강제적으로 눌러 할절선(3A)을 절취시켜 캔을 개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캔에 적용되기 이전에는 캔과의 결속공정에 불량이 없도록 개봉 탭이 상판에 밀착되도록 하고 내용물이 용입된 캔에 적용된 후에는 내용물의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팽창 압 또는 진공 흡입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상판의 일부 또는 전체가 변형되면서 개봉 탭의 파지부와 상판의 표면사이에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캔의 오픈동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 질수 있고 별도의 구조적 변형이나 추가 없이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개봉 탭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캔의 오픈동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남녀, 노소 누구나 손쉽게 캔을 개봉할 수 있다.

Claims (3)

  1. 할절선(3A)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공을 구성하는 개봉 편(3B)과, 파지부(3D)를 구비하는 개봉 탭(3C)을 리벳 고정편(3E)에 결속되는 리벳(3F)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여 개봉 탭(3C)을 들어 올림 시 개봉 탭(3C) 선단부의 압절부(3C')가 상기 개봉 편(3B)을 눌러 할절선(3A)을 절취토록 하여 캔(1)의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지의 캔 개봉수단(3)을 포함하는 음료수 캔(1)의 상판(2)에 있어서,
    상기 상판(2)의 전체에 걸쳐 구성되며 캔의 내부 압력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중앙을 향해 호형으로 요입되는 탄발 작동부(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작동부(10)를 개봉 탭(3C)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3F)의 고정부위를 포함하는 상태로 상판(2)의 일 부위에 호형으로 요입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작동부(10)를 개봉 탭(3C)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3F)의 고정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 상판(2)의 일 부위에 호형으로 융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KR2020020004624U 2002-02-15 2002-02-15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KR200280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24U KR200280678Y1 (ko) 2002-02-15 2002-02-15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24U KR200280678Y1 (ko) 2002-02-15 2002-02-15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678Y1 true KR200280678Y1 (ko) 2002-07-13

Family

ID=7311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624U KR200280678Y1 (ko) 2002-02-15 2002-02-15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6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7866B2 (en) Closure system for containers
US20200239204A1 (en)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and a Single Pull tab
US3924777A (en) Non-detachable easy open flap and tab assembly
EP2800706B1 (en)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US20100096355A1 (en) Lever type easy pull crown cap
CN109219563B (zh) 可重封容器盖和配件,包括制造和使用方法
US10968009B2 (en)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opening of a beverage can
TWI566994B (zh) 具有開瓶器組件的非金屬混合式瓶蓋
JP6513829B2 (ja) 容器のための閉鎖システム
US6817819B2 (en) Easy-open container end
TWI617493B (zh) Non-metallic hybrid medical cap with bottle opener assembly
KR200280678Y1 (ko) 개봉 탭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캔의 상판 구조
US5699928A (en) Easy flip top tab lifter
EP3286098B1 (en) Closure system for containers
US9457930B1 (en) Flip-up pop-top can lid
US20110011755A1 (en) Container enabling mixing at least two substances therein
CN219172906U (zh) 瓶口密封膜开膜瓶盖
US63155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ining end panels of containers
KR100320633B1 (ko)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US3338460A (en) Containers
CN202038512U (zh) 防漏气易拉盖
JPH08104396A (ja) プルトップオープナー
KR20040017006A (ko) 음료용 캔의 개봉탭
JPH0144585B2 (ko)
JPH0648442A (ja) 飲料用缶の飲口開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