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674Y1 -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674Y1
KR200279674Y1 KR2020020004128U KR20020004128U KR200279674Y1 KR 200279674 Y1 KR200279674 Y1 KR 200279674Y1 KR 2020020004128 U KR2020020004128 U KR 2020020004128U KR 20020004128 U KR20020004128 U KR 20020004128U KR 200279674 Y1 KR200279674 Y1 KR 200279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appliance
control
overhead
sensitive means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중-쑹 웨이
Original Assignee
중-쑹 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쑹 웨이 filed Critical 중-쑹 웨이
Priority to KR2020020004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674Y1/ko

Links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에 연결되는 기계식 스위치와, 이 기계식 스위치에 매달려 있고 사용자가 당기면 상기 기계식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게 되어 있는 당김줄과, 이 당김줄에 연결되어 있는 광전 센서로, 사용자가 손으로 당김줄을 건드리거나 손을 광전 센서로 이동하는 경우에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그 광전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OVERHEAD ELECTRIC APPLIANCE COMBINATION CONTROL SWITCH ARRANGEMENT}
본 고안은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계식 스위치 및 광전 센서를 구비한 당김줄을 사용하여 오버헤드 전기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천장 팬 또는 천장 램프와 같은 오버헤드 전기 기구에는 작동 제어를 위해 제어 스위치와 이 제어 스위치에 매달려 있는 당김줄이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당김줄을 매개로 하여 오버헤드 전기 기구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당김줄을 통해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은 복잡하다. 제어 라인을 조작하는 경우, 이하의 네 가지 단계를 취한다.(도 1 내지 도 4 참조)
1. 당김줄로 손을 뻗기(도 1 참조);
2. 손으로 당김줄을 파지하기(도 2 참조);
3. 손을 아래쪽으로 움직여 당김줄을 잡아당기기(도 3 참조);
4. 당김줄에서 손을 떼기(도 4 참조).
전술한 순서는 단순한 듯하다. 그러나,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당김줄을 잡아당기기 전에, 사용자는 당김줄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파지하여야 한다. 또한, 당김줄을 잡아당길 때, 손은 수직으로 내려와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손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이동할 경우, 당김줄은 제어 스위치를 정확하게 전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김줄을 정확한 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또한, 당김줄을 급하게 잡아당기는 경우, 제어 스위치의 내부 기구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이와는 달리, 잡아당기는 힘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당김줄을 구동하여 제어 스위치를 전환시킬 수가 없다. 제어 조작 중에 사용자의 손이 당김줄로부터 미끄러지는 경우에는당김줄이 앞뒤로 흔들리며, 사용자가 당김줄을 다시 잡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또한, 전기 기구에 사용되는 다양한 키 입력식(key-entry type) 제어 장치 및 무선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보된 전기 기구 제어 장치는 복잡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배우지 않고서는 이들 진보된 전기 기구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몇몇 사람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인들이 진보된 키 입력식 장치 또는 무선 제어 장치의 작동법을 익히기는 어렵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기 기구의 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용자에게 알맞도록 인체에 적합하게 된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풀 스위치의 조작을 도시한다(단계 1).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풀 스위치의 조작을 도시한다(단계 2).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풀 스위치의 조작을 도시한다(단계 3).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풀 스위치의 조작을 도시한다(단계 4).
도 5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의 용례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당김줄
3 : 기계식 스위치
4 : 광전 센서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에 연결되어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계식 스위치와, 이 기계식 스위치에 매달려 있고 사용자가 당기면 상기 기계식 스위치를 구동하여 상기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게 되어 있는 당김줄과, 이 당김줄에 연결되어 있는 광전 센서로, 사용자가 손을 당김줄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광전 센서를 향해 손을 움직이는 경우에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그 광전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이루어져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는 기계식 스위치(3), 광전 센서(4), 당김줄(2)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당김줄(2)은 가요성 와이어로, 기계식 스위치(3)에 연결된 일단부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당김줄(2)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기계식 스위치(3)를 전환하여 이 기계식 스위치(3)에 연결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한다. 광전 센서(4)는 당김줄(2)에 연결되거나, 이 당김줄(2)에 직접 설치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당김줄(2)에 접촉하거나, 광전 센서(4)에 접근하는 경우 광전 센서(4)는 원하는 전환 기능을 야기한다.
사용자가 당김줄(2)을 건들거나, 손을 당김줄(2)을 향해 이동시킬 경우, 광전 센서(4)는 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그 제어 장치가 전기 기구를 조절하거나, 온/오프로 전환시킨다. 당김줄(2)을 잡아당김으로써 발생되는 제어 신호 및 손을 당김줄(2)에 접촉시키거나 이 당김줄에 손을 접근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제어 신호는 선택적으로 동작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당김줄(2)을 잡아당겨 기계식 스위치(3)가 전기 기구를 켜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당김줄(2)을 다시 잡아당기거나 손을 광전 센서(4)를 향해 이동시켜, 제어 장치가 전기 기구를 끄거나 조절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식 스위치(3)[또는 광전 센서(4)]가 양호하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여전히 광전 센서(4)[또는 기계식 스위치(3)]를 사용하여 전기 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2가지의 제어 방법의 조합(기계식 스위치를 통한 방법 및 광전 센서를 통한 방법)은 다양한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습관에 적합하며, 인체에 적합한 설계를 달성한다.
또한, 전기 기구에 대한 당김줄(2)의 제어 효과는 접촉 또는 접근의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당김줄(2)에 첫 번째로 손을 접촉시키거나 접근하였을 때, 천장 팬이 저속 모드로 전환되며, 첫 번째의 접촉 또는 접근 후의 한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가 당김줄(2)에 두 번째로 손을 접촉시키거나 접근하였을 때, 천장 팬은 중속 모드로 전환되며, 두 번째의 접촉 또는 접근 후의 한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가 당김줄(2)에 세 번째로 손을 접촉시키거나 접근하였을 때, 천장 팬은 고속 모드 전환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광전 센서는 정전기 형태, 축전기 형태, 저항 형태, 전류 형태, 압전기 형태, 진동 형태, 열감지 형태 또는 자기적 형태의 감응 수단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의 계획안은 첨부된 도 5의 특징을 갖도록 구성되었다. 앞서 논의한 특징을 모두 제공하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는 부드럽게 작동한다.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수정과 발전이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기계식 스위치 및 광전 센서를 구비한 당김줄을 사용하여 오버 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장치로, 2가지의 제어 방법의 조합(기계식 스위치를 통한 방법 및 광전 센서를 통한 방법)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 습관에 적합하며, 인체에 적합한 설계를 달성한다.

Claims (3)

  1. 오버헤드 전기 기구에 연결되어 이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계식 스위치와,
    상기 기계식 스위치에 매달려 있고, 사용자가 당기면 상기 기계식 스위치를 구동하여 상기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게 되어 있는 당김줄과,
    상기 당김줄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로, 사용자가 손을 당김줄에 접촉시키거나 손을 상기 센서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그 센서
    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전형 감응 수단, 정전형 감응 수단, 축전형 감응 수단, 저항형 감응 수단, 전류형 감응 수단, 압전형 감응 수단, 진동형 감응 수단, 감열형 감응 수단 및 자기형 감응 수단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은 봉 부재로 형성되는 것인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KR2020020004128U 2002-02-08 2002-02-08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KR200279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128U KR200279674Y1 (ko) 2002-02-08 2002-02-08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128U KR200279674Y1 (ko) 2002-02-08 2002-02-08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674Y1 true KR200279674Y1 (ko) 2002-06-26

Family

ID=7311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128U KR200279674Y1 (ko) 2002-02-08 2002-02-08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6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87B1 (ko) 2007-06-18 2007-10-08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의 절전형 실내전등시스템
CN110137018A (zh) * 2019-05-09 2019-08-1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一种使用方便的旁路开关操作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87B1 (ko) 2007-06-18 2007-10-08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의 절전형 실내전등시스템
CN110137018A (zh) * 2019-05-09 2019-08-1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一种使用方便的旁路开关操作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137018B (zh) * 2019-05-09 2024-03-0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一种使用方便的旁路开关操作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5642B (zh) 通用输入设备、操作方法及电路
US20040160713A1 (en) Intelligent line switch
JP4139108B2 (ja) 信号発生器と、信号発生器の信号を検知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
ATE328319T1 (de) Steuerkonsole für elektrische geräte
ATE285732T1 (de) Greifvorrichtung
JP2005534189A5 (ko)
KR200279674Y1 (ko) 오버헤드 전기 기구의 콤비네이션형 제어 스위치 장치
KR100619569B1 (ko) 지능형 라인 스위치
EP1315279A3 (en) Voltage-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induction motor
US6875939B2 (en) Suspensio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appliance
US20030111329A1 (en) Overhead electric appliance combination control switch arrangement
GB2382466A (en) Pull cord switch
CN109617470A (zh) 干发器的控制系统
CN210515056U (zh) 虚拟现实温度反馈系统、装置以及虚拟现实手套
JP3082888U (ja) 吊下げ型タッチ式スイッチ
AU764791B2 (en) Static induction device for activating switches
US7019239B2 (en) Suspensio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appliance
US20030079977A1 (en) Suspension cord pull switch
JP2003178658A (ja) 吊り引き式スイッチ
CN106057572A (zh) 磁力开关装置和使用该装置的坐便器控制装置及控制方法
SE0102680D0 (sv) Elektrisk anordning samt begränsningsförfarande
CN214019165U (zh) 一种操作便捷的游戏控制装置
CA2409147A1 (en) Suspension cord pull switch
KR100345231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구동 제어장치
KR200273790Y1 (ko) 스위치 작동용 정전 유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