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560Y1 -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 Google Patents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560Y1
KR200279560Y1 KR2020020007395U KR20020007395U KR200279560Y1 KR 200279560 Y1 KR200279560 Y1 KR 200279560Y1 KR 2020020007395 U KR2020020007395 U KR 2020020007395U KR 20020007395 U KR20020007395 U KR 20020007395U KR 200279560 Y1 KR200279560 Y1 KR 200279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shape
candlestick
b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호특수
장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호특수, 장성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호특수
Priority to KR2020020007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560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긴 원통형으로 내측에 심지가 장착된 통상의 초에 있어서, 초의 하단부 외측면을 내측으로 깍아 외주연 지름을 줄인 끼움단부와, 몸체가 원기둥형상으로 초의 끼움단부 외주연과 동일한 내주연을 갖는 끼움요부가 상단에서 수직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몸체 외주연 일측에 바형상의 승강바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체결이동구와, 몸체는 가는 봉체로 형성되어 하단은 둥글게 원형상으로 절곡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다시 받침부 중심 상측에서 체결이동구의 외형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고 나선형상으로 상측으로 감겨 올라가는 나선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다시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하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감기는 손잡이부를 갖는 촛대몸체 및 외주연이 상측으로 절곡된 원형의 그릇형상으로 촛대몸체의 받침부 중심에 고정되어 초에서 낙하되는 촛농이 담겨지는 촛농받이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free-height candlestick}
본 고안은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의 결합시 부러질 염려가 없고 외력에 의해 초가 쓰러질 염려가 전혀 없으며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용량에 따라 초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촛대(candle stick)는 초를 세우고 불을 켜는 등구(燈具)의 총칭으로, 이동식(可動式)과 고정식이 있다. 서양에서는 밀랍이 일찍부터 이집트인 ·그리스인에 알려져 BC 3세기에는 초가 있었다고 하므로 촛대도 그리스시대 말기에 발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로마시대에도 수는 적었으나 촛대가 있었음이 확실하며, 황제 티투스의 개선문에 부조된 7개의 촛대나 폼페이의 유물 등에서 당시의 촛대를 알 수 있다.
구조는 지주(支柱) 끝에 몇 개의 부리 모양의 가지가 있는 촛대, 잔대(盞臺) 중앙에 못이 있는 촛대, 초를 그대로 끼울 수 있는 통형(筒形)의 촛대 외에, 나부(裸婦)나 장사를 본뜬 장식적인 촛대도 있는데, 모두 청동으로 되어 있다. 초를 많이 사용한 것은 중세 촛대를 사용하였다. 르네상스기에는 초를 여러 개 켜는 다등가(多燈架)도 있었고, 대리석제 대형 촛대도 있었다. 17∼18세기부터 궁정 등에서는 은으로 만든 촛대를 사용하였으나 도자기 ·청동제의 촛대도 제작되어, 실내장식의 역할도 하였다.
중국에는 BC 3세기에 초가 있었고, 전국시대 말기의 것으로 인정되는 촛대가 분묘에서 출토되었으며, 한대(漢代)의 분묘에서도 출토되었다.
한국에서는 낙랑(樂浪)시대에 사용하였음을 입증하는 유물이 고분에서 출토되었는데, 청동으로 만든 촛대로 잔대 중앙에 초를 꽂는 못이 있다. 당시 사용된 초는 중국에서 수입한 밀랍인데, 귀중품이었으므로 대궐 ·절 등에서 사용되었을 뿐 일반화되지는 못하였다.
전기가 발전된 이후로 촛대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인테리어 소품이나 제례의식의 소품 정도로 이동될 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는 실정이다.
이런, 촛대 긴 원형의 바형상으로 저면에는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단은 끝이 뾰족한 지지축으로 형성되며 지지축의 상단부에는 촛물받침대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지지축 상단의 뽀족한 부위에 초의 중심을 관통시켜 형성된 통공을 억지로 끼워서 초를 촛대에 고정시킨 다음 초의 심지에 불을 붙여서 촛불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구조의 종래 촛대는 초의 통공을 지지축의 상단에 고정시킬 때 초가 잘 부러져 지지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촛대의 지지축에 초의 하단 일부만이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외력에 의해 촛대나 초가 잘 쓰러지게 되어 인화물에 쓰러질 경우에는 대형 화재를 일으킬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초와 함께 촛대를 잡고 이동하기가 어려워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의 결합시 부러질 염려가 없고 외력에 의해 초가 쓰러질 염려가 전혀 없으며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용량에 따라 초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긴 원통형으로 내측에 심지가 장착된 통상의 초에 있어서;
초의 하단부 외측면을 내측으로 깍아 외주연 지름을 줄인 끼움단부와;
몸체가 원기둥형상으로 초의 끼움단부 외주연과 동일한 내주연을 갖는 끼움요부가 상단에서 수직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몸체 외주연 일측에 바형상의 승강바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체결이동구와;
몸체는 가는 봉체로 형성되어 하단은 둥글게 원형상으로 절곡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다시 받침부 중심 상측에서 체결이동구의 외형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고 나선형상으로 상측으로 감겨 올라가는 나선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다시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하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감기는 손잡이부를 갖는 촛대몸체 및
외주연이 상측으로 절곡된 원형의 그릇형상으로 촛대몸체의 받침부 중심에 고정되어 초에서 낙하되는 촛농이 담겨지는 촛농받이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시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촛대 10 : 촛대몸체
12 : 받침부 14 : 나선가이드부
16 : 손잡이부 20 : 촛농받이
30 : 체결이동구 32 : 끼움요부
34 : 승강바 40 : 초
42 : 끼움단부 44 : 심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시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촛대(1)는 촛대몸체(10)와, 체결이동구(30)와, 촛농받이(20)와, 초(40)로 구성되는 데, 촛대몸체(10)는 다시 하측의 받침부(12)와, 중간측의 나선가이드부(14)와, 상측의 손잡이부(16)로 구성된다.
촛대몸체(10)는 대략 지름이 6mm정도인 금속재질의 심재로, 하단부에 둥글게 원형상으로 절곡시킨 받침부(12)가 형성되고, 받침부(12)에서 중심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동일 지름을 갖는 나선형상으로 감기는 나선가이드부(14)가 형성되며, 상측에서는 일측으로 수평 연장되어 끝단이 하향 내측으로 감기는 손잡이부(16)가 형성된다.
촛대몸체(10) 나선가이드부(14)의 내측 지름은 후술하는 체결이동구(30)의 외측 지름보다 약간 큰 정도면 된다.
촛농받이(20)는 촛대몸체(10)의 받침부(12) 중심에 고정되어 끝단이 상향으로 절곡된 원형접시 타입으로, 촛대몸체(10)의 나선가이드부(14) 내측에 위치된 초(40)에서 흘러내리는 촛농을 받아 모으게 된다.
체결이동구(30)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단에는 하측으로 끼움요부(32)가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바형상의 승강바(34)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런체결이동구(30)는 원기둥형상의 목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마찰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승강바(34)는 체결이동구(30)를 촛대몸체(10)의 나선가이드부(14) 내에서 마찰력으로 초(40)가 결합된 체결이동구(30)를 위치 고정시켜 하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마찰력이 뛰어난 나무재질이 바람직하나, 마찰력이 뛰어나다면 합성수지재질 등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심지(44)를 갖는 초(40)는 하단부에 체결이동구(30)의 끼움요부(32)에 끼워지는 끼움단부(42)를 형성하여 체결이동구(30)의 슬라이딩 이동시 체결이동구(30)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지(44)를 갖는 초(40)의 하단에 끼움단부(42)를 형성시킨 후, 끼움단부(42)를 체결이동구(30)의 끼움요부(32)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시키고, 이렇게 상단에 초(40)가 결합된 체결이동구(30)를 촛대몸체(10)의 나선형상의 나선가이드부(14) 내주연에 위치시킨다.
이때, 초(40)가 결합된 체결이동구(30)의 승강바(34)는 촛대몸체(10)의 나선가이드부(14) 상에서 자체 마찰력으로 인해 체결이동구(3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초(40)의 심지(44)에 불을 밝혀 촛대(1)를 사용하다가 촛대(1)의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촛대몸체(10)의 상단에 위치한 손잡이부(16)를 잡고 촛대(1)를 이동시키면 된다.
촛대(1)의 나선가이드부(14) 상에서 초(40)가 타면서 촛농을 아래로 떨어뜨리면 촛농은 하측의 촛농받이(20) 내측에 수납된다.
오랜 시간 동안 초(40)를 밝혀두면 초(40)의 길이는 점차로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초(40)가 결합된 체결이동구(30)의 승강바(34)를 촛대몸체(10)의 나선가이드부(14) 외주연을 따라 상측으로 나선방향으로 돌리면서 상승시키면 된다.
이때, 초(40)가 결합된 체결이동구(30)는 촛대몸체(10)의 나선가이드부(14) 상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승강바(34)에 의해 그 위치가 완강히 고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초(40)의 길이에 따라 승강바(34)를 잡고 체결이동구(30)를 점차로 승강시키면서 체결이동구(30) 상단에 결합된 초(40)의 길이가 아주 작아질 때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체결이동구(30)의 상단에 고정된 초(40)는 촛대몸체(10)의 나선가이드부(14)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초(40)가 촛대몸체(10)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될 염려가 없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초의 결합시 부러질 염려가 없고 외력에 의해 초가 쓰러질 염려가 전혀 없으며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용량에 따라 초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긴 원통형으로 내측에 심지(44)가 장착된 통상의 초(40)에 있어서;
    초(40)의 하단부 외측면을 내측으로 깍아 외주연 지름을 줄인 끼움단부(42)와;
    몸체가 원기둥형상으로 초(40)의 끼움단부(42) 외주연과 동일한 내주연을 갖는 끼움요부(32)가 상단에서 수직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몸체 외주연 일측에 바형상의 승강바(34)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체결이동구(30)와;
    몸체는 가는 봉체로 형성되어 하단은 둥글게 원형상으로 절곡되는 받침부(12)가 형성되고 다시 받침부(12) 중심 상측에서 체결이동구(30)의 외형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고 나선형상으로 상측으로 감겨 올라가는 나선가이드부(14)가 형성되며 다시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하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감기는 손잡이부(16)를 갖는 촛대몸체(10) 및
    외주연이 상측으로 절곡된 원형의 그릇형상으로 촛대몸체(10)의 받침부(12) 중심에 고정되어 초(40)에서 낙하되는 촛농이 담겨지는 촛농받이(2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KR2020020007395U 2002-03-13 2002-03-13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KR200279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95U KR200279560Y1 (ko) 2002-03-13 2002-03-13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95U KR200279560Y1 (ko) 2002-03-13 2002-03-13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560Y1 true KR200279560Y1 (ko) 2002-06-24

Family

ID=7305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395U KR200279560Y1 (ko) 2002-03-13 2002-03-13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5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39Y1 (ko) * 2008-09-10 2011-04-04 윤지영 양초의 불꽃 열을 이용한 암염 방향제 훈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39Y1 (ko) * 2008-09-10 2011-04-04 윤지영 양초의 불꽃 열을 이용한 암염 방향제 훈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3239A (en) Candle holder
US6267584B1 (en) Prayer candle device
KR200279560Y1 (ko) 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촛대
KR101514993B1 (ko) 양초등
US6270339B1 (en) Prayer candle device
KR20120138420A (ko)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양초등
KR200376132Y1 (ko) 장식용 촛대
KR200200373Y1 (ko)
CN216113964U (zh) 一种外形可变的陶瓷蜡烛灯罩
CN210921031U (zh) Led花心台灯
CN207539868U (zh) 组合蜡烛
JPS6344884Y2 (ko)
JPS6230736Y2 (ko)
CN216716162U (zh) 一种耐燃烧蜡烛
CN217952159U (zh) 一种镂空的手提陶瓷灯罩
KR200172510Y1 (ko) 바람막이 기능을 갖는 촛대
CN208605974U (zh) 一种陶瓷灯具
CN213872443U (zh) 一种多功能灯饰
RU19309U1 (ru) Ручной подсвечник
CN208138948U (zh) 一种金属五角星台灯
WO2006107625A3 (en) Candle finial
JP3141542U (ja) 小型ろうそく用ろうそく立て
DE202004019197U1 (de) Teelichthalter in Kerzenform
CN2558857Y (zh) 烛具定位座
CN205782786U (zh) 工艺蜡烛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