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445Y1 -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445Y1
KR200279445Y1 KR2020020007682U KR20020007682U KR200279445Y1 KR 200279445 Y1 KR200279445 Y1 KR 200279445Y1 KR 2020020007682 U KR2020020007682 U KR 2020020007682U KR 20020007682 U KR20020007682 U KR 20020007682U KR 200279445 Y1 KR200279445 Y1 KR 200279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crew
cover
full box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6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이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만 filed Critical 이영만
Priority to KR2020020007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4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445Y1/en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풀박스 본체에 나사로써 장착된 덮개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나사를 완전히 풀지 않고도 수행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덮개를 장착할 수도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장에 에 매설된 풀박스 본체에 덮개를 장착하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mounting structure of a full box, and in particular, to remove the cover mounted with screws on the body of the full box can be carried out without loosening the screw completely, and the cover can be remounted in such a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mounting structure of a full box that can easily and quickly perform a task of attaching or detaching a cover to a full box body embedded in a wall or a ceiling.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마련된 다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홀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나사에 의해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덮개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홀은 상기 체결홀에 나사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덮개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1구멍과,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덮개가 근접된 상태에서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덮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머리보다는 작으며 나사의 몸체보다는 큰 지름으로 상기 제1구멍의 일측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제2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멍의 주변에는 상기 제2구멍 내에 나사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멍 내에 나사가 위치되도록 상기 덮개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머리와 접촉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and is attached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ver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by screws. Each of the through holes may include a first hole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head of the screw to close the cover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screw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pull box. It is formed to connect to one side of the first hole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o that the cover can be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while the cover is close 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cover is configured as a second hole, and the lid is positioned around the first hole such that the screw is located in the first hole while the screw is located in the second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crew to prevent the flow.

Description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 {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본 고안은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풀박스의 덮개를 장착 또는 분리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mounting structure of a full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mounting structure of a full box to facilitate and quickly perform the task of mounting or detaching the cover of the full box.

일반적으로 풀박스(pull-box)는 전기선 및 통신선에 연결되는 분기배선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분기 및 배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그 내측 또는 외측에 매설된다.In general, a pull-box is for branching and wiring branch wirings connected to an electric line and a communication line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re buried inside or outside of a concrete pouring of a building.

도 1a, 1b,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상기와 같은 풀박스는 우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되는 풀박스 본체(11)와,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풀박스 본체(11)의 개방부에 나사(S)에 의해 장착되는 덮개(21)로 구성된다.Figure 1a, 1b,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such a full box is first formed in a square shape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as shown in Figure 1a is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t consists of a full box body 11 embedded in the cover, and a cover 21 formed in a panel shape and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11 by screws S.

여기에서 상기 풀박스 본체(11)는 전면의 상, 하측에 체결홀(12A)이 마련된 체결부(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21)는 풀박스 본체(1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체결홀(12A)과 대응하는 각 부위에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상기 풀박스 본체(11)의 전면에 덮개(21)를 덮은 후 체결홀(12A)과 관통홀(22)을 일치시킨 다음 나사(S)를 관통홀(22)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체결홀(12A)에 결합시키면 상기 덮개(21)는 풀박스 본체(11)에 장착된다.Here, the full box body 11 is formed with a fastening portion 12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12A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cover 21 when the cover 21 is mounted on the full box body 11 Through holes 22 are formed in respecti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12A to cover the cover 2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ull box body 11, and then the fastening holes 12A and the through holes 22 are aligned. Next, when the screw S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2A, the cover 21 is mounted to the full box body 11.

그러나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덮개(21)에 형성된 관통홀(22)의 지름이 나사(S)의 머리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풀박스 본체(11)에 장착된 덮개(21)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나사(S)를 체결홀(12A)로부터 완전히 풀어야만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아울러 나사(S)를 완전히 풀기 위한 상당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로 풀어 보관한 나사(S)를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22 formed in the cover 21 is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FIG. 1A has a cover 21 mounted on the full box body 11. If you want to remove the screw (S) from the fastening hole (12A) completely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cause the work is cumbersom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completely loosen the screw (S), as well as unintentionally loosened by the op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ly lost one screw (S) occurs.

또한 풀박스 본체(11)로부터 분리된 덮개(21)를 다시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풀어 보관하였던 나사(S)를 체결홀(12A)에 일일이 결합시켜야하므로 이 역시 작업이 번거롭고 상당 시간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21 separated from the full box body 11 is to be remounted, the screw S, which has been released and stored, must b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2A one by one, which is also cumbersome and requires considerable time. .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a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a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덮개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상만이 상이하다.It is shown in Figure 1b to solve the problem of Figure 1a as described above, compared with Figure 1a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but only the shape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cover is different.

즉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풀박스 본체(13)에 형성된 체결부(14)의 체결홀(14A)과 대응하는 덮개(23)의 관통홀(24A)(24B) 중 도면에서 보아 상측의 관통홀(24A)은 도 1a의 관통홀(22)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하측의 관통홀(24B)은 덮개(23)의 인접하는 모서리와 한쪽 끝이 통하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 1B, one of the through holes 24A and 24B of the cover 23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14A of the fastening portions 14 formed in the full box body 13 is seen through the upper side. The hole 24A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through hole 22 in FIG. 1A, whereas the lower through hole 24B is formed in a slot shape through which an adjacent edge and one end of the cover 23 pass.

따라서 하측의 체결홀(14A)에 나사(S)의 몸체 일부를 결합시킨 후 나사(S)의 몸체 중에 결합되지 아니한 부위에 하측의 관통홀(24B)을 끼워 풀박스 본체(13)의 개방부에 덮개(23)를 근접시킨 다음 상측의 체결홀(14A)과 상측의 관통홀(24A)을일치시켜 나사(S)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결합시키면 상기 덮개(23)는 풀박스 본체(13)에 장착된다.Therefore, after coupling a part of the body of the screw (S) to the lower fastening hole (14A), the lower through hole (24B) is inserted into the unjoined portion of the body of the screw (S) opening part of the full box body 13 The cover 23 is brought into close proximity and then the fastening hole 14A on the upper side and the through hole 24A on the upper side coincide with each other to insert the screw S, and the cover 23 is the full box body 13. Is mounted on.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종래 기술도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상측의 관통홀(24A)이 나사(S)의 머리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의 관통홀(24A)에 삽입되어 체결홀(14A)에 결합된 나사(S)를 완전히 풀어야만 풀박스 본체(23)로부터 덮개(23)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shown in FIG. 1B is also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hole 24A and fastened because the upper through-hole 24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similarly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ver 23 is separated from the full box body 23 only by loosening the screw S coupled to the hole 14A.

다시 말해 상측의 관통홀(24A)에 삽입되어 체결홀(14A)에 결합된 나사(S)는 완전히 풀고 하측의 관통홀(24B)에 삽입되어 체결홀(14A)에 결합된 나사(S)는 일부만 풀은 다음 덮개(23)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나사(S)에 끼워진 하측의 관통홀(24B)을 빼내면 풀박스 본체(23)로부터 덮개(23)의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도 1a의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작업성이 다소 향상되기는 하나, 반드시 상측의 관통홀(24A)에 삽입된 나사(S)는 완전히 풀어야하기 때문에 이 역시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상당하는 작업 시간이 소요되며 완전히 풀은 나사(S)를 실수에 의해 분실할 염려가 있는 것은 마찬가지인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crew S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24A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4A is completely loosened, and the screw S inserted into the lower through hole 24B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4A is After removing the cover 23, the lid 23 is moved upward to remove the lower through-hole 24B fitted to the screw S, so that the cover 23 is separated from the pull box main body 23. Although the workability is somewhat improved compared to the above, the screw S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24A must be completely loosened, which is also cumbersome and requires a corresponding time, and the screw S is completely loosened. It is the same that there is a risk of losing it by mistake.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a, 1b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b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덮개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상만이 상이하다.It is shown in Figure 1c to solve the problems of Figures 1a, 1b as described above, compared to Figure 1b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but only the shape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cover is different.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박스 본체(15)에 형성된 체결부(16)의 체결홀(16A)과 대응하는 덮개(25)의 관통홀(26A)(26B) 중에 도면에서 보아 하측의 관통홀(26B)은 도 1b에 도시된 하측의 관통홀(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대하여 상측의 관통홀(24B)은 나사(S)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구멍과 나사(S)의 머리보다 작고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구멍이 상호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C, one of the through holes 26A and 26B of the lid 25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6A of the fastening part 16 formed in the full box body 15 is lower than that shown in the drawing. The through-hole 26B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through-hole 22 shown in FIG. 1B, whereas the upper through-hole 24B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and the screw S. FIG. Hole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and larger than the body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하측의 체결홀(16A)에 나사(S)의 몸체 일부를 결합시킨 후 나사(S)의 몸체 중에 결합되지 아니한 부위에 하측의 관통홀(26B)을 끼워 풀박스 본체(13)의 개방부에 덮개(23)를 근접시킨 다음 상측의 체결홀(14A)과 상측의 관통홀(24A) 중 지름이 작은 구멍과 일치시켜 나사(S)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결합시키면 상기 덮개(23)는 풀박스 본체(13)에 장착된다.Therefore, after coupling a part of the body of the screw (S) to the lower fastening hole (16A), the lower through-hole 26B is inserted into a portion that is not engaged in the body of the screw (S) to open the full box body (13) When the cover 23 is brought close to the part, and the screw 23 is inserted into the upper fastening hole 14A and the upper through hole 24A to match the smaller diameter hole, the cover 23 is combined. It is mounted to the full box body 13.

그러나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풀박스 본체(15)에 장착된 덮개(25)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각 체결홀(16A)에 결합된 나사(S)를 일부만 풀고 상측의 관통홀(26A) 내에 나사(S)의 몸체가 위치되도록, 즉 상측으로 덮개(25)를 이동시켜 상측의 관통홀(26A) 중에 지름이 큰 구멍을 통하여 상측의 관통홀(26A)로부터 나사(S)를 빼냄과 아울러 하측의 관통홀(26B)의 덮개(25)의 모서리와 통하는 부위를 통하여 나사(S)를 빼내면 되는데, 이러한 작업이 번거롭고 힘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FIG. 1C, when the cover 25 mounted on the full box body 15 is to be separated, only a part of the screw S coupled to each of the fastening holes 16A is loosened, and the upper through hole 26A is disposed. The cover 25 is moved upward so that the body of the screw S is located in the upper side, and the screw S is removed from the upper through hole 26A through the large diameter hole in the upper through hole 26A.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w (S) is pulled out through a por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edge of the cover 25 of the lower through hole 26B, which is troublesome and requires a lot of forc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측의 관통홀(26B)의 길이보다 상측의 관통홀(26A)의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덮개(25)를 상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키더라도 나사(S)가 하측의 관통홀(26B)에서 완전히 빼낸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먼저 손으로 덮개(25)의 상측을 잡아 덮개(25)를 휘면서 상측의 체결홀(16A)에 결합된 나사(S)로부터 상측의 관통홀(26A)을 빼냄과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시켜 하측의 체결홀(16A)에 결합된 나사(S)로부터 하측의 관통홀(26B)을 빼내 풀박스 본체(15)로부터 덮개(25)를 분리시켜야 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diameter of the upper through hole 26A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through hole 26B, so that the screw S penetrates the lower side even if the cover 25 is completely moved upward. Since it is not completely pulled out of the hole 26B, first grasp the upper side of the cover 25 by hand and bend the cover 25, and the upper through hole 26A from the screw S coupled to the upper fastening hole 16A. ) And the cover 25 is removed from the pull box main body 15 by removing the lower through-hole 26B from the screw S coupled to the lower fastening hole 16A and moving upward.

물론 상측의 관통홀(26A) 중에 지름이 큰 구멍을 하측의 관통홀(26B)과 같이 길게 형성하면 문제가 해소되기는 하나, 만약 체결홀(16A)이 풀박스 본체(15)의 가장자리가 아닌 중앙 부위에 위치되었다고 가정한다면 하측의 관통홀(26B)의 길이는 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하여야 할 것이고, 또한 상측의 관통홀(26A) 중 지름이 큰 구멍 역시 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풀박스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Of course, the problem is solved by forming a large diameter hole in the upper through hole 26A like the lower through hole 26B, but if the fastening hole 16A is not the edge of the full box body 15, If the position is assumed to be located in the area of the lower through-hole 26B should be formed correspondingly long, and also the hole of the large diameter of the upper through-hole 26A should also be formed correspondingly long, so It may not be desirab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전술한 덮개(25)의 휘어짐에 의해 덮개(25)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장착 및 분리가 곤란해지거나 덮개(25)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될 것이다.In addition, the cover 25 may be deformed or broken due to the warpage of the cover 25, thus making it difficult to install and remove the cover 25, or the cover 25 may no longer be used.

한편 도 1a, 1b, 1c가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1A, 1B, and 1C have the following problems in common.

도 1a, 1b, 1c에서는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벽면에 매설되는 풀박스를 예로 들어 종래 기술을 기술하였으나, 만약 조명기구에 전기선을 분기시키기 위해 건축물의 천장에 매설되는 풀박스 본체에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덮개를 장착하고자 한다면 그 작업은 매우 까다로울 것이다.1A, 1B and 1C, the prior art is described by taking a full box embedded in a relatively light wall, but a cover that is relatively heavy on a full box body embedded in a ceiling of a building to branch an electric wire to a lighting fixture. If you want to install it, the task will be very tricky.

즉 도 1a, 1b의 경우 작업자는 한 손으로 덮개를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근접되도록 지지하되 체결홀과 관통홀을 일치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나사를 관통홀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체결홀에 결합시켜야하므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많은 힘이 소요되고 작업능률도 매우 저하되는 것이다.1a and 1b, the operator supports the cover with one hand so as to be close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but keeps the fasten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coincident with the other hand and uses a screwdriver with the other hand to insert the screw into the through hole. In addition to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it takes a lot of power to perform the work and the work efficiency is also very low.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업은 통상 2인을 1조로 구성하여 한 사람은 덮개를 지지하고 다른 한 사람은 나사로써 덮개를 장착하는데, 이는 곧 인력의 낭비이므로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Therefore, such a work is usually composed of two people in one set, one person to support the cover and the other person to install the cover with screws, which is a waste of manpower will not be desirable.

그리고 도 1c의 경우 도 1a, 1b의 경우와는 달리 혼자 작업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힘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로워 작업이 극히 비효율적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1C, unlike the case of FIGS. 1A and 1B, the work can be performed alon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work is extremely inefficien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된 목적은 풀박스 본체에 나사로써 장착된 덮개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나사를 완전히 풀지 않고도 수행 가능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덮개를 장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풀박스 본체에 덮개를 장착하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ain object is to perform without having to completely unscrew the screw to remove the cover mounted as a screw on the full box body, in this state again Since the cover can be mounted, the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to attach or remove the cover to the full box bod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천장에 매설된 풀박스 본체에 무게가 무거운 덮개를 혼자서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ver mounting structure of a full box that can be easily mounted or separated by a heavy cover on the full box body embedded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lon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서 가장자리가 아닌 다른 부위에 체결홀이 형성되어도 체결홀에 대응하여 덮개의 어느 부위라도 관통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mounting structure of a full box that can easily form a through hole in any portion of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even if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edge in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To provide.

도 1a, 1b,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1a, 1b,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주요 부위가 도시된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및 정면도,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가 순차적으로 표현된 도면,5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이 천장에 매설되는 풀박스에 적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ull box embedded in the ceil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 풀박스 본체 52 : 체결부51: full box body 52: fastening portion

52A : 체결홀 61 : 덮개52A: fastening hole 61: cover

62 : 관통홀 62A : 제1구멍62: through hole 62A: first hole

62B : 제2구멍 62B' : 내측구멍62B: second hole 62B ': inner hole

62B" : 외측구멍 63 : 걸림돌기62B ": Outer hole 63: Locking protrusion

S : 나사S: scre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마련된 다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홀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나사에의해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덮개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홀은 상기 체결홀에 나사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덮개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1구멍과,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덮개가 근접된 상태에서 상기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덮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머리보다는 작으며 나사의 몸체보다는 큰 지름으로 상기 제1구멍의 일측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제2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멍의 주변에는 상기 제2구멍 내에 나사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멍 내에 나사가 위치되도록 상기 덮개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머리와 접촉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is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by screws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ver, each of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hol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o that the cover is close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in a state that a part of the screw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And one side of the first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to mount the cover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while the cover is close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And a second hol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crew being positioned in the first hole in a state where the screw is located in the second hole around the first hole. So that the cover is made possible by the locking projection being formed group is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crew to prevent the flow.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 부위가 도시된 확대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는 풀박스 본체(51)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61)가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장착된다.2 and 3, the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ver 6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front of the full box body 51,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51 Is mounted on.

상기와 같은 풀박스는 양자간에 나사(S)에 의해 장착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풀박스 본체(51)는 개방부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중앙 부위에 체결홀(52A)이 마련된 다수개의 체결부(52)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61)는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를 덮어 폐쇄시켰을 때 상기 체결홀(52A)과 대응하는 각부위마다 관통홀(62)이 형성된다.The full box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by the screw (S) between the bar, for this purpose, the pull box body 51 is projected vertically inwardly from the edge of the opening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2A is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The fastening part 52 is formed, and the cover 61 has a through hole 62 formed at each part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52A when the cover 61 closes the open part of the full box body 51.

이때 상기 관통홀(62)은 상기 나사(S)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1구멍(62A)과, 상기 나사(S)의 머리보다 작고 나사(S)의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상기 제1구멍(62A)의 일측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제2구멍(62B)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62 has a first hole 62A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and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 It consists of the 2nd hole 62B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hole 62A may pass through.

이러한 관통홀(62)의 제1구멍(62A)이 나사(S)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것은 체결홀(52A)에 나사(S)의 일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구멍(62A)에 체결홀(52A)에 결합된 나사(S)를 관통시킴으로써 덮개(61)를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근접시키기 위함이다.The first hole 62A of the through hole 62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head of the screw S so that a part of the screw S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in the first hole 62A. This is to close the cover 61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51 by penetrating the screw 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그리고 상기 제1구멍(62A)과 제2구멍(62B)이 서로 연이어 통하는 것은 체결홀(52A)에 결합된 나사(S)를 제1구멍(62A)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2구멍(62B) 내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서다.In addition, the first hole 62A and the second hole 62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second hole 62B in a state where the screw 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is penetrated through the first hole 62A. To move it within.

또한 상기 제2구멍(62B)이 나사(S)의 머리보다 작고 나사(S)의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것은 체결홀(52A)에 결합된 나사(S)를 조여 나사(S)의 머리가 제2구멍(62B)의 주변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덮개(61)가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econd hole 62B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 so that the head of the screw S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screw 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The cover 61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51 by pressing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hole 62B.

여기에서 유의할 사항으로는 상기 제2구멍(62B)이 도면에서 보아 모두 상측으로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었는데, 상측이 아닌 다른 어느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은 무관하나, 반드시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cond holes 62B are all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upper side as seen in the drawing, but they are not necessarily formed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ny direction other than the upper side, but they must all be connected in the same direction. Is that.

그리 하여야 상기 체결홀(52A)에 결합된 나사(S)를 제1구멍(62A)에서 제2구멍(62B)으로, 또는 반대의 경우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crew 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can be moved from the first hole 62A to the second hole 62B, or vice versa.

한편 상기 관통홀(62) 중 상기 제1구멍(62A)의 주변 양측에는 걸림돌기(63)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돌기(63)는 관통홀(62)의 제2구멍(62B) 내에 나사(S)의 몸체가 위치된 상태에서 나사(S)의 머리와 접촉됨으로써 제1구멍(62A) 내에 나사(S)의 몸체가 위치되도록 덮개(61)가 이동되어, 즉 도면에서 보아 덮개(61)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풀박스 본체(51)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locking protrusions 63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hole 62A around the through hole 62, and the locking protrusions 63 are screwed into the second hole 62B of the through hole 62. The cover 61 is moved so that the body of the screw S is located in the first hole 62A by contacting the head of the screw S while the body of S) is positioned, that is, the cover 61 as seen in the drawing. Is moved upward to prevent the separation from the full box body 51.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 부위인 관통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관통홀과 비교하였을 때 기타 구성요소는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제2구멍의 구성만이 상이하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hrough hol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different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hole when compared with the through hole shown in FIG. 3.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62)의 제2구멍(62B)은 길이 방향을 따라 2단으로 형성되는 바, 내측구멍(62B')은 도 3과 같이 나사(S)의 머리보다 작고 나사(S)의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외측구멍(62B")은 제2구멍(62B) 내에 나사(S)의 몸체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1구멍(62A) 내에 나사(S)의 몸체가 위치되도록 상기 덮개(6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S)의 머리와 접촉되는 지름으로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hole 62B of the through hole 6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in two stag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inner hole 62B ′ is a screw as shown in FIG. 3. It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S)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 and the outer hole 62B "is the first hole 62A with the body of the screw S being located in the second hole 62B. The cover 61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crew S to prevent the cover 61 from flowing so that the body of the screw S is positioned therein.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상기 걸림돌기(63)와 외측구멍(62B")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locking projection 63 and the outer hole 62B ″ shown in FIG. 3 play the same rol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가 순차적으로 표현된 도면으로서, 도 5를 참조하여 풀박스의 덮개 장착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5 is a view showing the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referring to the cover mounting order of the full box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풀박스 본체(51)에 형성된 각 체결부(52)의 체결홀(52A)에 나사(S)의 일부를 결합시키되 결합된 나사(S)의 머리와 몸체가 접하는 부위에서 체결홀(52A)까지의 간격이 덮개(61)의 두께와 돌기(63)의 돌출된 길이를 합산한 거리보다 크도록 한다.(도 4의 A 참조)First, a part of the screw S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of each fastening part 52 formed in the full box body 51, but the fastening hole 52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head and the body of the screw 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istance up to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cover 61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jection 63. (See FIG. 4A)

다음 덮개(61)에 형성된 각 관통홀(62)의 제1구멍(62A)을 통하여 체결홀(52A)에 결합된 나사(S)가 관통될 수 있도록 덮개(61)를 이동시킴으로써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덮개(61)를 근접시킨다.(도 4의 B 참조)Next, by moving the cover 61 through the first hole 62A of each through hole 62 formed in the cover 61 so that the screw 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can pass through the full box body ( The cover 61 is brought close to the opening of 51. (See FIG. 4B)

이때 나사(S)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관통홀(62)의 제1구멍(62A)에 의해 풀박스 본체(51)의 체결홀(52A)에 나사(S)가 결합된 상태로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덮개(61)를 근접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ull box in which the screw S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of the full box body 51 by the first hole 62A of the through hole 6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The cover 61 can be brought close 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51.

그 다음 덮개(61)를 도면에서 보아 하측 방향으로, 즉 관통홀(62)의 제2구멍(62B) 내에 체결홀(52A)에 결합된 나사(S)의 몸체가 위치되도록 이동시킨다.(도 4의 C 참조)Then, the lid 61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the body of the screw 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is positioned in the second hole 62B of the through hole 62. 4, see C)

이때 덮개(61)를 도면에서 보아 전방으로, 즉 풀박스 본체(51)로부터 덮개(61)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나사(S)의 머리보다 작고 나사(S)의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2구멍(62B)에 의해 나사(S)의 머리에 제2구멍(62B)의 주변 부위가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방지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ver 61 is moved forward in the drawing, that is, in a direction for separating the cover 61 from the full box body 51, the cover 61 is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 The peripheral part of the 2nd hole 62B is caught by the head of the screw S by the formed 2nd hole 62B, and further movement is prevented.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풀박스 본체(5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매설되었을 경우 제1구멍(62A)의 주변 양측에 형성된 돌기(63)가 나사(S)의 머리와접촉되어 제1구멍(62A) 내에 나사(S)가 위치되도록 덮개(61)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충격에 의해 덮개(61)가 이동되어 풀박스 본체(5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Also, in the above state, when the full box body 51 is embedded in the ceiling as shown in FIG. 6, the protrusions 6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le 62A are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crew S. Since the lid 61 is prevented from being moved so that the screw S is located in one hole 62A, the lid 61 is prevented from being moved from the pull box body 51 by the impact.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나사(S)를 조이게 되면 나사(S)의 전진하는 힘에 의해 나사(S)의 머리가 제2구멍(62B)의 주변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덮개(61)는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견실하게 장착된다.(도 4의 D 참조)Finally, when the screw (S) is tightened by using a screwdriver in the above state, the head of the screw (S) is pressed agains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hole (62B) by the forward force of the screw (S). ) Is firmly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51 (see FIG. 4D).

한편 상기와 같은 순서로 장착된 덮개(61)를 풀박스 본체(5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상기의 순서에서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61 mounted in the above-described order is to be separated from the full box body 51, the cover 61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이상에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만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용 중에 상이한 사항은 걸림돌기의 역할을 외측구멍이 수행하는 것밖에 없기 때문이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ly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and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 Because there is nothing to do.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는 나사의 머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나사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1구멍 및 상기 제1구멍에 관통된 상태의 나사로써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덮개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나사의 머리보다 작고 나사의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상기 제1구멍의 일측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제2구멍으로 관통홀이 구성되기 때문에 풀박스 본체의 체결홀에 나사가 결합된 상태로 풀박스 본체로부터 덮개를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first hole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o that the head of the screw can penetrate and the screw of the state of the full box body through the first hole. Since the through hole consists of a second hole formed to connect to one side of the first hole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o that the cover can be attached to the opening,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ull box body. Can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full box body in a combined state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그리고 상기와 같이 덮개가 장착 및 분리되는 것에 의하여 나사를 체결홀로부터 완전히 풀어 분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나사를 분실할 염려가 해소되는 효과가 파생된다.And since the cover is mounted and detach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need to completely remove the screw from the fastening hol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losing the screw.

또한 건축물의 천장에 매설된 풀박스 본체의 개방부에 무게가 무거운 덮개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을 풀박스 본체의 체결홀에 나사를 결합시킨 후 결합된 나사의 머리에 관통홀의 제2구멍을 통하여 덮개를 걸어놓은 다음 나사를 조이는 순서로 행하거나, 또는 그 역순으로 행하면 혼자서도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ttaching and removing the heavy weight cover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embedded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ull box body through the second hole of the through hole in the head of the combined screw Hanging the cover and then tightening the screws, or in the reverse ord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mounting and detachment alone.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2인 1조로 작업을 수행한 것에 대하여 1명만으로도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므로 인건비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이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since only one person can perform work for performing work in pairs of two, labor costs are, of course, reduced.

또한 상기와 같이 천장에 매설된 풀박스 본체에 결합된 나사에 덮개를 걸어놓은 상태에서는 제1구멍 내에 나사가 위치되게 덮개가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제1구멍의 주변에 나사의 머리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기(또는 외측구멍)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해 덮개가 유동되어 풀박스 본체로부터 덮개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screw coupled to the full box body embedded in the ceiling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ver does not flow so that the screw is located in the first ho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crew around the first hole Since the protrusion (or the outer hole) is formed, the cover flows due to the external impact,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full box body.

그리고 이로 인하여 천장에 매설된 풀박스 본체에 장착된 덮개가 낙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And because of this, the cover mounted on the full box body buried in the ceiling can fal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한편 도 1b,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하측에 형성된 관통홀과는 달리 덮개의 가장자리가 아닌 어느 부위라도 각 관통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ure 1b, 1c has the advantage that each through-hole can be easily formed at any portion other than the edge of the cover.

Claims (2)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마련된 다수개의 체결부(52)에 형성된 체결홀(52A)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관통홀(62)이 형성되어 나사(S)에 의해 상기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덮개(61)의 장착구조에 있어서,Through-holes 62 are formed in respectiv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52A formed 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52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51, and the full box body (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lid 61 mounted on the opening of 51, 상기 각 관통홀(62)은 상기 체결홀(52A)에 나사(S)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덮개(61)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S)의 머리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1구멍(62A)과, 상기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덮개(61)가 근접된 상태에서 상기 풀박스 본체(51)의 개방부에 덮개(61)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S)의 머리보다 작고 나사(S)의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상기 제1구멍(62A)의 일측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제2구멍(62B)으로 구성되고,Each of the through holes 62 has the screw S so as to bring the cover 61 close to the opening of the full box body 51 with a part of the screw 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52A. 62A of the first hole formed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of the head), and the cover 61 in the open portion of the full box body 51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61 is close to the open portion of the full box body 51. It is composed of a second hole (62B) formed so as to communicate in one side of the first hole (62A)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 so that it can be mounted, 상기 제1구멍(62A)의 주변에는 상기 제2구멍(62B) 내에 나사(S)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멍(62B) 내에 나사(S)가 위치되도록 상기 덮개(6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S)의 머리와 접촉되는 걸림돌기(6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The lid 61 is moved around the first hole 62A such that the screw S is positioned in the first hole 62B while the screw S is positioned in the second hole 62B. Cover mounting structure of the full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63)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crew (S) so as to prevent 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관통홀(62)의 제2구멍(62B)은 2단으로 형성되어 내측구멍(62B')은 상기 나사(S)의 머리보다 작고 나사(S)의 몸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외측구멍(62B")은 상기 제2구멍(62B) 내에 나사(S)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멍(62B)내에 나사(S)가 위치되도록 상기 덮개(61)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S)의 머리와 접촉되는 지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박스의 덮개 장착구조.The second hole 62B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62 is formed in two stages, and the inner hole 62B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crew S and larg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 The hole 62B "can prevent the cover 61 from being moved so that the screw S is located in the first hole 62B while the screw S is located in the second hole 62B. Cover structure of the full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contact the head of the screw (S) diameter.
KR2020020007682U 2002-03-15 2002-03-15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KR2002794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682U KR200279445Y1 (en) 2002-03-15 2002-03-15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682U KR200279445Y1 (en) 2002-03-15 2002-03-15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445Y1 true KR200279445Y1 (en) 2002-06-24

Family

ID=7307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682U KR200279445Y1 (en) 2002-03-15 2002-03-15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44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2357B1 (en) Ceiling-buried type air conditioner
KR200279445Y1 (en)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pull-box
KR20080103393A (en) Guard-fence connector
KR200399792Y1 (en) cable fixture
KR200337635Y1 (en) A structure for mounting of catchtype-full box
JP5992083B1 (en) Fall-out prevention fitting for lighting equipment and fall-off prevention method
US20100032181A1 (en) Installation construction for electrical box
KR200242769Y1 (en) structure of a terminal box
KR20150044769A (en) Structure of connecting for assembly member
JPH0643916U (en)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lighting
JPH1136451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unit
CN113629616B (en) Shaped steel light current engineering crane span structure system
KR200320764Y1 (en)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concent bundle
CN217753895U (en) Back door tail lamp fixed knot constructs and has its vehicle
CN210224873U (en) Junction cassette
KR0120561Y1 (en) Cable branching device for electric pole
KR20080004310U (en) Exposed box for electro communication
KR20100005084U (en) Hanger for pipe
KR200320783Y1 (en) clamp for cable rack
KR200334666Y1 (en) A structure for mounting cover of catchtype-full box
KR200250964Y1 (en) Nut assembly
KR200144056Y1 (en) Pulley mounting device for transmission wire laying
KR960009083Y1 (en) Clinging device for terminal box of telephone wire
JP4114268B2 (en) Fixing device
KR200355926Y1 (en) A lamp safety protector for temporary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