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347Y1 - 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347Y1
KR200279347Y1 KR2019990012140U KR19990012140U KR200279347Y1 KR 200279347 Y1 KR200279347 Y1 KR 200279347Y1 KR 2019990012140 U KR2019990012140 U KR 2019990012140U KR 19990012140 U KR19990012140 U KR 19990012140U KR 200279347 Y1 KR200279347 Y1 KR 200279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support
pedestal
proje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1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01659U (en
Inventor
강승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2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347Y1/en
Publication of KR20010001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65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347Y1/en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원고 또는 용지를 각각 최적의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불필요한 점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급지 프레임에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소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용지 받침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받침대의 좌우 측벽면에는 돌기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홈부 및 상기 돌기부에 저항을 가하는 저항부로 이루어지는 돌기 고정부를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돌기부와 저항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탄성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stand mounting structure of an office equipment that can reduce unnecessary space by allowing each of different types of originals or sheets of different sizes to be optimally supported. In the paper pedestal mounting structure of the office equipment, wherein the rail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paper pedestal is slidably installed,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paper pedestal, respectively. A plurality of protrusion fixing parts including a groove part into which the protrusion part is inserted and a resistance part that applies resistance to the protrusion part are formed, 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part and the resistance part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용지 받침대의 인출양을 사용자의 의지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원고 또는 용지를 각각 최적의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점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paper suppor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paper support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so that various types of originals or papers of different sizes can be optimally supported, so that unnecessary space is occupied. Can be reduced.

Description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본 고안은 원고 또는 용지를 지지하도록 급지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원고 또는 용지를 각각 최적의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불필요한 점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stand mounting structure of an office equipment that is slidably installed in a paper feed frame to support an original or paper, and more specifically, to support various types of originals or papers of different sizes in an optimal state. It relates to a paper stand mounting structure of an office equipment to reduce unnecessary occupied space by making it possibl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무기기라 함은 팩시밀리, 프린터, 복합기 등을 말하는바, 이들 사무기기에는 용지 또는 원고를 한장씩 급지하기 위한 급지장치(ASF : automatic sheet feeder)가 구비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office equipment refers to a facsimile machine, a printer, a multifunction printer, and the like, which are equipped with an automatic sheet feeder (ASF) for feeding paper or originals one by one.

상기 급지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프레임(102)과, 도시하지 않은 픽업 롤러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 작동되도록 스프링을 개재하여 급지 프레임(102)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급지판과, 급지 프레임(10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 받침대(104)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aper feeding device 102 is provided with a paper feeding frame 102 and an unshown paper feeding plate installed in the paper feeding frame 102 via a spring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rotation of a pickup roller (not shown). And a paper holder 104 slidably mounted to the paper feeding frame 102.

여기에서, 상기 용지 받침대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급지 프레임(102)에는 용지 받침대(10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06)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되어 있고, 급지 프레임(102)의 상측부에는 용지 받침대(104)의 슬라이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스토퍼(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용지 받침대(104)의 하측부에는 스토퍼(108)에 걸려지는 후크(110)가 형성되어 있다.Here, looking a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aper support, the paper feed frame 102 is formed with a guide rail 106 for slidably supporting the paper support 104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ide, a pair of stoppers 108 are formed to fix the slide position of the paper support 104, and a hook 110 that is hooked to the stopper 108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per support 104. .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108)와 후크(110)는 용지 받침대(104)의 슬라이드량을 제한하는 역할도 병행한다.Here, the stopper 108 and the hook 110 also serve to limit the amount of slide of the paper support 104.

상기와 같이 설치된 용지 받침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aper support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용지 받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110)가 스토퍼(108)에 걸려지도록 용지 받침대(104)를 최대한 인출하여 용지의 하부면이 용지 받침대(104)에 지지되도록 하고, 용지 받침대(10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받침대(104)의 하단부가 급지 프레임(102)의 하측부에 맞닿을 때까지 최대한 수납한다.First, in the case of using the paper support, as shown by the solid line, the paper support 104 is pulled out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hook 110 is caught by the stopper 108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aper is supported by the paper support 104. When the paper support 104 is not used, it is accommodated as much as possible until the lower end of the paper support 104 abuts on the lower side of the paper feeding frame 102 as shown by the dotted lin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에 의하면, 용지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용이 스토퍼 및 스토퍼와 맞물리는 후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지 받침대의 사용시에는 용지 받침대를 최대한 인출해야 하며, 용지 받침대를 약간만 인출한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per support installa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ction for maintaining the use state of the paper support is performed by the stopper and the hook engaged with the stopper, the paper support should be pulled out as much as possible. It could not be used when the paper support was pulled out slightly.

따라서, 용지 받침대를 약간만 인출한 상태에서 충분히 지지가 가능한 용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용지 받침대를 필요없이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용지 받침대가 불필요한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even when using a paper that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paper support is pulled out slightly, the paper support should be used in a state where the paper support is pulled out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paper support occupies a lot of unnecessary occupied space.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원고 또는 용지를 각각 최적의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불필요한 점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provides a paper st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office equipment to reduce unnecessary occupied space by being able to support different types of originals or paper of different sizes in the optimum state, respectively For the purpos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showing a paper pedestal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Figure 2 is a view for showing a paper pedesta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2 : 용지 받침대 14 : 탄성 돌기12: paper support 14: elastic projection

16 : 급지 프레임 18 : 가이드 레일16: feeding frame 18: guide rail

20 : 돌기 고정부 20a : 저항 리브20: projection fixing portion 20a: resistance rib

20b : 주 삽입홈 20b' : 보조 삽입홈20b: Main insertion groove 20b ': Auxiliary insertion gro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는, 급지 프레임에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소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용지 받침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사무기기의 용지받침대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받침대의 좌우 측벽면에는 돌기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홈부 및 상기 돌기부에 저항을 가하는 저항부로 이루어지는 돌기 고정부를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돌기부와 저항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탄성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per pedestal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offic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guide rails are form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paper feed frame, the guide rail is formed by sliding the paper pedestal of the office equipment In the paper support mounting structure, th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paper support, respectively, and the guide rai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 fixing portions consisting of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and a resistance portion applying resistance to the projec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otrusion and the resistanc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n elastic body.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지 받침대의 최대 인출시에 상기 돌기부가 위치되는 최상측의 돌기 고정부와 상기 용지 받침대의 최대 수납시에 상기 돌기부가 위치되는 최하측의 돌기 고정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홈부는 주 삽입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최상측 및 최하측의 돌기 고정부 사이의 돌기 고정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홈부는 상기 주 삽입홈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보조 삽입홈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the uppermost projection fixing portion where the projection is located at the time of maximum withdrawal of the paper support and the lower projection fixing portion at which the projection is positioned during maximum storage of the paper support Each groove portion is formed as a main insertion groove, and each groove portion provided in the projection fixing por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projection fixing portions is formed as an auxiliary insertion groov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main insertion groove.

이에 따라, 상기 용지 받침대의 인출 위치를 사용자의 의지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paper support according to the user's will.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aper pedesta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용지 받침대(12)의 좌우 측벽면에는 탄성 돌기(1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급지 프레임(16)에는 용지 받침대(1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18)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18)에는 저항 리브(20a) 및 홈(20b 또는 20b')으로 이루어지는 돌기 고정부(20)가 다수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aper pedesta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rotrusions 14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paper pedestal 12, respectively, the paper pedestal 16 is a paper pedestal A pair of guide rails 18 into which the 12 is slidably inserted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guide rails 18 include protrusion fixing portions formed of resistance ribs 20a and grooves 20b or 20b '. A plurality of (20) are formed in succession.

여기에서, 상기 돌기(14)를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은 돌기가 저항 리브(20')를 통과할 때 탄성 변형되도록 하므로써 용지 받침대(12)의 슬라이드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forming of the protrusions 14 with an elastic body is to enable the slide operation of the paper support 12 by allowing the protrusions to elastically deform when passing through the resistance ribs 20 '.

그리고, 용지 받침대(12)의 최대 인출 위치와 최대 수납 위치에 형성된 돌기 고정부의 홈은 주 삽입홈(20b)으로 형성되어 있고, 용지 받침대의 최대 인출 위치와 최대 수납 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 고정부의 홈은 보조 삽입홈(20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 삽입홈(20b)은 보조 삽입홈(20b')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grooves of the protrusion fixing portions formed at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s and the maximum storage positions of the paper holder 12 are formed as main insertion grooves 20b,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between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s and the maximum storage positions of the paper holder 12. The groove of the projection fixing part is formed of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20b ', and the main insertion groove 20b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20b'.

상기와 같이 주 삽입홈과 보조 삽입홈의 직경을 다르게 구성한 것은 주로 사용되는 주 삽입홈의 직경을 크게 하므로써 돌기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돌기부의 고정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ifferent diameters of the main insertion grooves and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s a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minimize the stress applied to the projections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main insertion grooves used mainly, and to maintain the fixed state of the projections. .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용지 받침대(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돌기(14)가 하측의 주 삽입홈(20b)에 삽입되도록 용지 받침대(12)를 최대한 수납한다.First, when the paper support 12 is not used, as shown by the dotted line, the paper support 12 is stor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elastic protrusion 14 is inserted into the lower main insertion groove 20b.

이 상태에서 용지 받침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양(예를 들어, 탄성 돌기가 보조 삽입홈중 하나에 삽입되는 정도 또는 탄성 돌기가 상측의 주 삽입홈에 삽입되는 정도)만큼 용지 받침대를 인출한다.When using the paper support in this state, as shown by the solid lin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per, different amounts (for example, the degree to which the elastic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one of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s or the elastic protrusions on the upper side) are shown. Pull out the paper support as much as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이러한 용지 받침대의 인출시에 탄성 돌기(14)는 고압축(저항 리브 통과시)과 복원 또는 저압축(주 삽입홈 또는 보조 삽입홈 삽입시)을 반복하게 된다.The elastic protrusions 14 repeat high compression (when passing through the resistance ribs) and restoring or low compression (when inserting the main insertion groove or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when the sheet holder is taken out.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용지를 사용할 때에도 용지 받침대를 최대한 인출해야 하는 종래의 불합리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점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unreasonable problem of pulling out the paper support as much as possible even when using a small size paper can be eliminated,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occupied space.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주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지 받침대 설치 구조에 의하면, 용지 받침대의 인출양을 사용자의 의지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원고 또는 용지를 각각 최적의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점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per pedesta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drawers of the paper pedestal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will, so that different types of originals or papers of different sizes can be supported in an optimal state. This can reduce unnecessary occupied space.

Claims (2)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급지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 받침대로 이루어진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구조에 있어서,In the paper pedestal mounting structure of the office equipment consisting of a paper feed frame formed by a pair of guide rail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aper support is slidably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용지 받침대의 좌우 측벽에는 외향되게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paper support opposite to the guide rails, respectively, so as to face outwardly.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홈부 및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여 저항하는 저항부로 이루어지는 돌기 고정부가 다수 개 형성되고,The guide rai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 fixing portion consisting of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and a resistance portion that resists by pressing the projection, 상기 홈부는 상기 용지 받침대가 최대 인출되는 위치와 최대 수납되는 위치에 가장 크게 형성되며,The groove portion is formed largest in the position where the paper support is drawn out and the maximum storage position, 상기 돌기부는 상기 용지 받침대의 좌우 측벽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홈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받침대 설치구조.And the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groove by the elasticity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paper pedestal itself. 삭제delete
KR2019990012140U 1999-06-30 1999-06-30 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KR2002793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140U KR200279347Y1 (en) 1999-06-30 1999-06-30 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140U KR200279347Y1 (en) 1999-06-30 1999-06-30 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59U KR20010001659U (en) 2001-01-26
KR200279347Y1 true KR200279347Y1 (en) 2002-06-24

Family

ID=5476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140U KR200279347Y1 (en) 1999-06-30 1999-06-30 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347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36B1 (en) * 2001-09-26 2003-10-08 주식회사 웰텍시스템 Paper tray for automatic post sea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59U (en)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3409A (en) Device for supporting a paper cassette
KR200279347Y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paper stack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US7591461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having a sheet-lifting mechanism
JP2012155096A (en) Manuscript clamping plate opening/closing device, and office machine with the same
US6302362B1 (en) Paper holder
KR100259764B1 (en) Sheet feed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516376B2 (en) Drawer
KR100422004B1 (en) Paper cartridge for printer
KR970061532A (en) Paper feed pressure regulator
JP3472412B2 (en) Paper tray drawer
JPH07441Y2 (en) Paper storage device holding structure for paper feeder
US20080079212A1 (en) Object loading apparatus having pressing cam for controlling inclination of object loading plat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object loading apparatus implemented therein
KR100234279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for printing device
JP3717994B2 (en) Paper cassette
KR100474444B1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pparatus for ragulating elevation of knock-up plate of paper feeding cassette
CN220975625U (en) Material pushing device with anti-jump function
CN220075982U (en) Reusable data file fixing clamp
KR200235600Y1 (en) Apparatus for feeding paper of image forming device
JP3277950B2 (en) Paper feeder
KR100263054B1 (en) Pick-up force control device for universal cassette
KR930005738Y1 (en) Cartridge installing apparatus in a copier
JP3512995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paper cassette
JP2000007168A (en) Sheet feeding device
JPH09194051A (en) Paper feeding device for image forming device
KR200151922Y1 (en) Feeding device having special paper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