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948Y1 -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 Google Patents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948Y1
KR200278948Y1 KR2020020008314U KR20020008314U KR200278948Y1 KR 200278948 Y1 KR200278948 Y1 KR 200278948Y1 KR 2020020008314 U KR2020020008314 U KR 2020020008314U KR 20020008314 U KR20020008314 U KR 20020008314U KR 200278948 Y1 KR200278948 Y1 KR 200278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cap
regular hexagonal
soccer b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원 filed Critical 배수원
Priority to KR2020020008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948Y1/ko
Priority to PCT/KR2002/000767 priority patent/WO2003092420A1/en
Priority to AU2002308824A priority patent/AU2002308824A1/en
Priority to AU2002307718A priority patent/AU2002307718A1/en
Priority to PCT/KR2002/000794 priority patent/WO200309242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8Hats; Caps; Hoods made from a flat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Abstract

본 고안은 가장자리 변에 끼워맞춤수단을 구비한 5각형 판재와 6각형 판재 등을 조립하여 축구공의 형상을 갖는 모자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시 인접하는 적절한 판재를 찾아 조립하도록 하여 조립과정에서 퍼즐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조립후에는 축구장 같은 장소에서 경기를 관전하면서 태양 빛을 차단하는 모자로 사용하고 동시에 판재의 표면에 태극기, 명승지, 전통그림 등을 표시하여 자연스럽게 사용자로 하여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랑거리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축구공 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각 변에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정오각형판재(11)와, 상기 정오각형판재(11)의 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가장자리 변에 인접하는 판재와 끼워맞출 수 있게 하는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는 정육각형판재(12a)(12b)(12c)(12d)(12e)를 조립하여 축구공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10)의 전방에 조립되는 차양부(20)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CAP AND PUZZL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SOCCER BALL}
본 고안은 축구공 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장자리에 끼워맞춤수단을 구비한 5각형 판재와 6각형 판재 등을 조립하여 축구공의 형상을 갖는 모자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시 인접하는 적절한 판재를 찾아 조립하도록 하여 조립과정에서 퍼즐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조립후에는 축구장 같은 장소에서 경기를 관전하면서 태양 빛을 차단하는 모자로 사용하고 동시에 판재의 표면에 태극기, 명승지, 전통그림 등을 표시하여 자연스럽게 사용자로 하여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랑거리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축구공 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2002년 월드컵이 국내에서 개최되는 관계로 국내에는 축구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축구열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축구공의 형상을 이용한 퍼즐게임은 더한층 축구열기를 고조시키면서 축구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즐겁게 할 것이다. 그리고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이나 지방을 방문하는 타지방의 국내인에게 한국 및 그 지방자치단체의 특색 및 명승지 등을 선전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상품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끼움맞춤방식의 퍼즐은 평면적 판상으로 되어 있어서 그 조립과정이 고도의 신경을 쓰지 않고도 쉽게 조립할 수 있어서 나이 어린 유아 이외에는 그다지 흥미를 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축구장에서 축구경기를 관전할 때에는 태양 빛이 강렬하기 때문에 일회용 모자나 신문지로 간이모자를 만들어 착용하는데 이러한 모자는 통상적인 것이기 때문에 주위의 시선을 끌지 못하여 주위의 시선을 끌고자 하는 신세대의 젊은이에게는 그다지 강렬한 매력을 느끼게 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구장내에서 경기 시작 전에 퍼즐게임을 즐기면서 축구공형상의 모자를 조립하도록 하고, 조립후에는 모자로 착용하여 태양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표면에 태극기, 명승지, 전통그림을 표시하여 자연스럽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선전할 수 있게 하는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각 변에 수 끼워맞춤부 또는 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정오각형판재와, 상기 정오각형판재의 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가장자리 변에 수 끼워맞춤부 또는 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정육각형판재를 조립하여 축구공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전방에 조립되는 차양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 선으로 절단한 본 고안의 퍼즐모자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본 고안의 퍼즐모자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의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퍼즐 모자를 전개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퍼즐 모자의 구성요소인 정오각형 판재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퍼즐 축구공의 구성요소인 정육각형 판재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퍼즐 축구공의 구성요소인 하나의 정오각형 판재와 하나의 정육각형 판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a: 수 끼워맞춤부 b: 암 끼워맞춤부
a1: 돌출부 b1: 슬롯
10: 머리부 11: 정오각형 판재
12a, 12b, 12c, 12d, 12e: 정육각형 판재
12ea: 걸이부 20: 차양부
21: 중앙차양부 22: 측방차양부
30: 조절구 31: 끼움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 선으로 절단한 본 고안의 퍼즐모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본 고안의 퍼즐모자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 모자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의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퍼즐 모자를 전개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퍼즐 모자의 구성요소인 정오각형 판재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퍼즐 축구공의 구성요소인 정육각형 판재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퍼즐 축구공의 구성요소인 하나의 정오각형 판재와 하나의 정육각형 판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각 변에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정오각형판재(11)와, 상기 정오각형판재(11)의 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가장자리 변에 인접하는 판재와 끼워맞출 수 있게 하는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는 정육각형판재(12a)(12b)(12c)(12d)(12e)를 조립하여 축구공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10)의 전방에 조립되는 차양부(20)로 이루어져있다.
실제의 축구공은 12개의 정오각형 조각과 20개의 정육각형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퍼즐모자의 머리부(10)는 축구공의 반구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6개의 정오각형 판재(11)와 14개의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도면의 간단화를 위하여 정오각형 판재(11) 및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가장자리 변에 형성되는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를 도시하지 않았는데, 그 대신에 수 끼워맞춤부(a)가 형성되는 변은 'O' 으로 표시하였고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는 변은 '△'으로 표시하였다.
머리부(10)와 차양부(20)를 형성하는 각종 부재의 재질은 지류 또는 합성수지류이다.
6개의 정오각형판재(11)는 각 변에 암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다.
정육각형판재(12a)는 각 변에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으나, 정육각형 판재(12b)의 최외측단 가장자리변은 모자의 끝단을 형성하므로 끼워맞춤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방에 있는 2개의 정육각형 판재(12c)의 최외측단 가장자리변에도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차양부(20)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측방차양부(2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정육각형 판재(12d)(12e)는 3개의 가장자리 변에 수 끼워맞춤부(a)가 형성되어 있고 머리부(10)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한 부분의 3개의 가장자리 변에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정육각형 판재(12d)(12e)는 그 중간부분에 점선으로 표시한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후 착용시에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관계없이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육각형 판재(12e)는 고무줄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절구(30)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걸이부(12ea)가 형성되어 있다. 걸이부(12ea)는 정육각형 판재(12e)에 C 자형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이 부분을 외측 또는 내측으로 굴곡시켜 양측 걸이부(12ea)사이에 고무줄 또는 조절구(30)를 연결하여 머리부(10)의 하단둘레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착용자의 머리둘레크기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조절구(30)는 정육각형 판재(12)의 걸이부(12ea)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다수의 끼움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20)는 중앙차양부(21)와 측방차양부(22)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앙차양부(21)는 머리부(10)의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정오각형 판재(11) 및 정육각형 판재(12c)에 끼워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차양부(20)의 좌우부분의 2개의 측방차양부(22)는 머리부(10)의 전방 좌우에 있는 정육각형 판재(12c)와 일체로 되어 있다. 중앙 차양부(21)와 측방차양부(22)사이에도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6에서 접선으로 표시한 것은 굴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나타낸다. 중앙차양부(22)는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에서 약간 굴곡시켜 실제의 차양과 유사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 끼워맞춤부(a)는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으나,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육각형 판재(12a)의 가장자리 변 중앙에서 외향으로 일정폭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고 양측에 각각 돌출부(a1)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본체와 수 끼워맞춤부(a)의 사이는 접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재질이 지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구부릴 수 있으며, 재질이 합성수지류인 경우에는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본체와 수 끼워맞춤부(a)의 경계선을 얇게 형성하고 있다.
암 끼워맞춤부(b)는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오각형판재(11) 또는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가장자리변에서 외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고 정오각형판재(11) 또는 정육각형 판재와의 경계선 바로 외측에 상기 수 끼워맞춤부(a)의 일정폭의 길이만큼의 슬롯(b1)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정오각형판재 또는 정육각형 판재의 본체와 암 끼워맞춤부(b)의 사이도 접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정오각형판재와 정육각형 판재의 재질이 지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구부릴 수 있으며, 재질이 합성수지류인 경우에는 정오각형판재 또는 정육각형 판재의 본체와 암 끼워맞춤부(b)의 경계선을 얇게 형성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끼워맞춤부(a)를 암 끼워맞춤부(b)의 슬롯(b1)에 집어넣으면 수 끼워맞춤부(a)의 돌출부(a1)에 의하여 그 결합관계가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정오각형 판재(11)와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수 끼워맞춤부(a)와 암 끼워맞춤부(b)의 개수 및 위치는 단지 일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끼워맞춤부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정오각형 판재(11)와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끼워맞춤부의 개수 및 위치가 다른 것이 많을수록 조립의 난이도가 높고 끼워맞춤부의 개수 및 위치가 다른 것이 적을수록 조립의 난이도가 낮다.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퍼즐 게임을 즐기면서 조립한 후에는 태양빛을 차단하는 모자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축구장 같은 운동경기장에서 구입하여 축구경기가 시작하기 전에 퍼즐 게임을 즐기면서 조립하고 조립후에는 모자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정육각형 판재 및 정육각형 판재의 표면에 각종 모양을 형성하여 그 모양을 완성하면서 조립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조립된 상태의 표면에 태극기, 명승지, 관광지 또는 각종 전통그림이 나타나도록 한 후 그 그림을 완성하면서 조립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퍼즐게임을 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국인에게 태극기, 명승지 등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숙지시키는 효과도 볼 수 있다.
그리고 6개의 정오각형판재(11)와 14개의 정육각형 판재(12a)(12b)(12c)(12d)(12e)의 표면에 각각 월드컵에 참가하는 국가의 국기를 표시할 수 도 있고, 국내 명승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그 지방의 전통그림이나 명승지를 표시하면 자연스럽게 국내인이나 외국인에게 그 지방을 알리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단순히 퍼즐 게임만을 즐기게 하는 것이 아니고 조립후에는 모자로 사용하게 하고 또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선전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조립하여 모자로 사용한 후에 실내에 배치하여 장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퍼즐 모자는 조립후 축구공의 형상을 갖는 모자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축구장이나 축구경기가 열리는 도시의 관광지 등에서 여유 시간을 활용하여 그 축구분위기를 느끼면서 조립하며 퍼즐게임을 즐기게 하고, 조립후에는 모자로 활용하여 태양빛을 차단함과 동시에 주위로부터 강렬한 시선을 끌게 하며, 그 표면에 태극기, 명승지, 전통그림을 표시하여 착용자 또는 주위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선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것이다.

Claims (3)

  1. 각 변에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정오각형판재(11)와, 상기 정오각형판재(11)의 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가장자리 변에 인접하는 판재와 끼워맞출 수 있게 하는 수 끼워맞춤부(a) 또는 암 끼워맞춤부(b)가 형성되어 있는 정육각형판재(12a)(12b)(12c)(12d)(12e)를 조립하여 축구공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10)의 전방에 조립되는 차양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형 판재(12e)는 고무줄을 연결하거나 또는 조절구(30)의 끼움구멍(31)에 삽입할 수 있는 걸이부(12e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육각형 판재(12d)(12e)는 그 중간부분에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모자.
KR2020020008314U 2002-03-20 2002-03-20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KR200278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314U KR200278948Y1 (ko) 2002-03-20 2002-03-20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PCT/KR2002/000767 WO2003092420A1 (en) 2002-03-20 2002-04-25 Cap and puzzl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soccer ball
AU2002308824A AU2002308824A1 (en) 2002-03-20 2002-04-25 Cap and puzzl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soccer ball
AU2002307718A AU2002307718A1 (en) 2002-03-20 2002-04-29 Cap and puzzl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soccer ball
PCT/KR2002/000794 WO2003092421A1 (en) 2002-03-20 2002-04-29 Cap and puzzl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soccer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314U KR200278948Y1 (ko) 2002-03-20 2002-03-20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971A Division KR20030076144A (ko) 2002-04-17 2002-04-17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948Y1 true KR200278948Y1 (ko) 2002-06-21

Family

ID=2939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314U KR200278948Y1 (ko) 2002-03-20 2002-03-20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78948Y1 (ko)
AU (2) AU2002308824A1 (ko)
WO (2) WO20030924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1994A (en) * 1990-10-31 1992-03-03 Delane Louis A Three-way hat
US5343567A (en) * 1993-02-16 1994-09-06 Zumbiel Michael W Simulated baseball cap
JPH0665433U (ja) * 1993-03-01 1994-09-16 正春 田中 帽 子
JP3019826U (ja) * 1995-04-12 1996-01-12 株式会社タカテック 組立て式ボール
KR200246459Y1 (ko) * 2001-06-25 2001-10-17 박호걸 운동경기 응원용 모자
KR200254501Y1 (ko) * 2001-08-22 2001-11-24 윤영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92421A1 (en) 2003-11-13
AU2002308824A1 (en) 2003-11-17
AU2002307718A1 (en) 2003-11-17
WO2003092420A1 (en) 200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732B1 (en) Character toy
JP2004528128A (ja) スポーツ記念品および展示方法
KR200278948Y1 (ko)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US20050073095A1 (en) Novelty device
KR20030076144A (ko)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KR200404164Y1 (ko) 입체퍼즐용 타일
CN212998387U (zh) 一种立体拼接式玩具
US5927959A (en) Replica flame
KR101044965B1 (ko) 조립식 입체 탈
US8257132B2 (en) Doll kit
WO2017173724A1 (zh) 一种手工益智组合玩具
KR200231991Y1 (ko) 조립식 상모놀이용 모자
CN200984441Y (zh) 多功能的立体拼图
US20100048094A1 (en) Simulated eye for use in toy
KR200282385Y1 (ko)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US5810357A (en) Stackable three-dimension toy assembly
KR200279836Y1 (ko) 퍼즐 축구공
US20050071910A1 (en) Neck warmer
KR200167652Y1 (ko) 장식용 축구공
KR102418877B1 (ko) 애니메이션 플립 완구
KR20030083952A (ko) 축구공형상을 갖는 퍼즐모자
KR200264383Y1 (ko) 응원용 조끼
JP3217482U (ja) ボードゲーム
KR200348169Y1 (ko) 확대된 모조 손모양 신호기구
KR20030057333A (ko) 퍼즐 축구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