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424Y1 - 좌욕기 - Google Patents

좌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424Y1
KR200278424Y1 KR2020020006499U KR20020006499U KR200278424Y1 KR 200278424 Y1 KR200278424 Y1 KR 200278424Y1 KR 2020020006499 U KR2020020006499 U KR 2020020006499U KR 20020006499 U KR20020006499 U KR 20020006499U KR 200278424 Y1 KR200278424 Y1 KR 200278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ose
toilet seat
seat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락
Original Assignee
최봉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락 filed Critical 최봉락
Priority to KR2020020006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42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좌변기의 내 뚜껑 좌대 위에 안치되게 한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좌변기 위에 안치되게 한 여러 가지 종류의 좌욕기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좌욕기는 좌변기의 내뚜껑을 연 다음 좌변기 몸체 위에 안치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함으로 열려진 내 뚜껑이 인체의 등에 접속되는 비위생적인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욕조 내에 담긴 온수에 공기 방울을 발생시킴에 있어서는 통상의 수동 파장 펌프를 이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압력이 약하여 맛사지 효율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쉬이 손목에 피로감을 느끼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좌욕기 몸체(1)의 상부에는 좌판부(1-1)와 안치턱(1-2)이 형성되고, 주면에는 통공(1-3) 및 통기공(1-4)과 배수공(1-5)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욕조(2)를 형성하되, 이의 저면에는 하향 돌출된 끼움부(2-2)를 형성하여 좌변기의 내뚜껑 좌대의 트임부 내에 끼움되게 하고, 이 욕조(2)의 내저면에는 걸림부(2-1)를 형성하여, 호스(4)의 선단부(4-1)가 걸림되게 하되, 이 호스(4)의 후단부에는 "T"형 이음구(4a)를 개재하여 그 일측에는 통상의 비데와 밸브(4b)를 개재한 온수관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통상의 체크 밸브(3-2)를 개재한 기포(공기방울) 발생기(3)의 호스를 연결한 것으로 이를 사용할 시는 몸체(1)의 좌판부(1-1)에 형성된 안치턱(1-2)을 통상의 좌변기(5)의 내 뚜껑(5-1)의 좌대 위에 안치하면 욕조(2)의 저면에 돌출된 끼움부(2-2)는 좌변기의 내뚜껑의 트임부에 끼움되어 안치 상태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욕조(2) 내저면에 형성된 걸림부(2-1)에 통상의 기포 발생기(3) 및 비데의 온수관과 연결된 호스(4)의 선단부(4-1)를 끼워서 걸림되게 한 다음 비데의 온수관 또는 별도 가온된 온수를 욕조에 알맞게 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환부가 온수에 담기게 한 후 기포 발생기(3)를 ON시키면 욕조(2) 내저면에 끼움 걸림된 호스(4)의 선단부(4-1)에서 무수한 공기 방울이 발생되면서 질부 및 항문부 위에 있는 환부를 맛사지 치료할 수 있게 한 곳이다.

Description

좌욕기{A sitting bath}
본 고안은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좌욕기는 출산 후 산욕 치료를 요하는 경우와 치질 환자의 온욕 치료를 요하는 경우 및 각종 세균성 병원균에 의해 발생되는 질부나 항문 부위의 습진 등의 피부 질병 치료의 경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치료를 할 때는 그 대부분이 통상적으로 살균 처리된 정수를 적정 온도로 가열시켜 좌욕조에 공급한 다음 이 온수에 환부를 담궈서 찜질 처리를 행함과 동시 온수 내에서 일정 시간 기포를 발생시켜 환부의 맛사지 효과를 받도록 하는 것이어서 이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전열기를 이용하고 있는 관계로 부주위할 시는 감전 쇼크를 받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목적으로 통상의 좌변기의 내뚜껑을 열고 좌변기 몸체의 트임부 위에 좌욕기 몸체를 얹어 놓고 외부에서 온수를 공급한 후 체크 밸브가 부착된 파장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 바울이 발생되게 한 간이 좌욕조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는 좌변기의 내뚜껑을 열고 좌변기 몸체 위에 좌욕기를 안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므로 이때 열어진 내 뚜껑에 사용자의 등 부위가 접하는 비위생적인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 파장 펌프는 공기압이 약해서 충분한 맛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쉬이 손목에 피로감을 느끼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통상의 좌변기의 내 뚜껑 위에 바로 안치할 수 있게 좌욕기 몸체의 주연 상부에는 좌판부와 안치턱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욕조를 형성하되, 이의 저면을 하향 돌출시켜 좌변기의 내 뚜껑 트임부에 끼움되는 끼움부가 되게 하고, 이의 내 저면에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이 걸림부에는 통상의 전기식 기포(공기방울) 발생기와 연결된 호스의 선단부가 끼움 걸림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1-1. 좌판부 1-2. 안치턱 1-3. 통공
1-4. 통기공 1-5. 배수공 2. 욕조 2-1. 걸림부
2-2. 끼움부 3. 기포 발생기 3-1. 스위치 3-2. 체크 밸브4. 호스 4a. "T"형 이음구 4b. 밸브 4c. 온수관4-1. 선단부 5. 좌변기 5-1. 내 뚜껑 5-2. 외 뚜껑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상부에는 좌판부(1-1)와 안치턱(1-2)이 형성되고, 주면에는 통공(1-3) 및 통기공(1-4)과 배수공(1-5)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욕조(2)의 저면에는 하향 돌출된 끼움부(2-2)를 형성하고 내저면에는 걸림부(2-1)를 설치하여 이에 호스(4)의 선단부(4-1)가 끼움 걸림되게 하고, 호스(4)의 후단부에는 "T"형 이음구(4a)를 연결하되, 이 이음구(4a)의 일측에는 밸브(4b)를 개재한 비데의 온수관(4c)이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통상의 체크 밸브(3-2)를 개재한 기포(공기방울) 발생기(3)의 호스를 연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좌욕기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를 사용할 때는 통상의 좌변기(5)의 내 뚜껑(5-1)의 좌대 위에 몸체(1)의 좌판부(1-1) 저면에 형성된 안치턱(1-2)을 안치하면 욕조(2) 저면에 돌출된 끼움부(2-2)는 좌변기(5)의 내 뚜껑(5-1) 트임부에 끼움되어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T"형 이음구(4c)에 연결된 호스(4)의 선단부(4-1)를 몸체(1)의 주연부(1-1)에 형성된 통공(1-3)으로 관통시킨 후 욕조(2) 내저면에 형성된 걸림부(2-1)에 끼워서 걸림시킨 다음 "T"형 이음구(4a)에 연결된 비데의 온수관(4c)의 밸브(4b)를 이용하거나, 별도로 가온된 온수를 욕조(2) 내에 사용상 알맞게 채운 후 이 욕조(2)에 항문 부위를 담기게 한 상태에서 기포 발생기(3)의 스위치(3-1)를 ON시키면 기포 발생기(3)에서 발생된 기포는 호스(4)에 의해 이송된 후 호스 선단부(4-1)에서 욕조(2) 내에 담긴 온수 속에 많은 양의 공기 방울이 발생되면서 환부를 맛사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좌욕기 몸체(1)의 좌판부(1-1)는 좌변기(5)의 내뚜껑(5-1) 좌대 위에 안치되어 있어 사용상 편리하고, 내 뚜껑(5-1)에 의해 오손되는 비위생적인 폐단이 없고, 또한 전기식 기포 발생기(3)를 이용하게 됨으로 힘들이지 않고 편안한 자세에서 환부 맛사지 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 과정 온수가 과다할 때에는 과다한 양의 온수가 배수공(1-5)을 통해 좌변기(5) 내로 유입되고, 사용 후는 호스(4)의 선단부(4-1)를 걸림부(2-1)에서 수거한 후 좌욕기 몸체(1)를 좌변기(5)의 내뚜껑(5-1)에서 밖으로 들어내면 보관상 간편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몸체(1)의 좌판부(1-1)의 저면에 형성된 안치턱(1-2)을 좌변기(5)의 내 뚜껑(5-1)의 좌대 위에 안치하면 욕조(2)의 저면에 하향 돌출된 끼움부(2-2)는 좌변기(5)의 트임부에 끼움되어지므로 안전성이 있고, 또한 통상의 전기식 기포 발생기(3) 및 통상의 비데의 온수관(4c)에 연결된 "T"형 연결구(4a)를 개재한 호스(4)의 선단부(4-1)는 욕조(2)의 내저면에 설치된 걸림부(2-1)에 끼움 걸림되어 있어 욕조(2) 내의 온수로 부터 변동 수압을 받아도 호스(4)의 선단부(4-1)가 탈리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량의 공기 방울이 발생되게 하였기 때문에 이 공기방울의 충격에 의한 환부 맛사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는 달리 좌욕기 몸체(1)의 좌판부(1-1)는 좌변기(5)의 내뚜껑(5-1)의 좌대 위에 안치되게 하였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좌변기(5)의 내뚜껑(5-1)이 열려 있음으로 해서 발생된 사용자의 혐오감과 의복 등이 오손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이다.

Claims (1)

  1. 몸체(1)의 주면에는 호스 통공(1-3)과 통기공(1-4) 및 배수공(1-5)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욕조(2)가 형성되어진 것에 있어서 몸체(1)의 상부에는 좌판부(1-1)와 안치턱(1-2)을 형성하여 좌변기 내 뚜껑(5-1)의 좌대 위에 안치되게 하고, 욕조(2)의 저면에 하향 돌출된 끼움부(2-2)는 통상의 좌변기 내 뚜껑(5-1)의 트임부에 끼움되게 하고, 욕조(2)의 내저면에 형성된 걸림부(2-1)에는 통상의 "T"형 이음구(4a)를 개재하여 비데 온수관(4c) 및 기포 발생기(3)와 연결된 호스(4)의 선단부(4-1)가 끼움 걸림됨을 특징으로 한 좌욕기.
KR2020020006499U 2002-03-06 2002-03-06 좌욕기 KR200278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499U KR200278424Y1 (ko) 2002-03-06 2002-03-06 좌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499U KR200278424Y1 (ko) 2002-03-06 2002-03-06 좌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424Y1 true KR200278424Y1 (ko) 2002-06-20

Family

ID=7311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499U KR200278424Y1 (ko) 2002-03-06 2002-03-06 좌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4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52B1 (ko) 2008-10-13 2011-05-24 김도완 기포수 발생장치
KR101159166B1 (ko) 2010-02-12 2012-06-22 고유삼 좌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52B1 (ko) 2008-10-13 2011-05-24 김도완 기포수 발생장치
KR101159166B1 (ko) 2010-02-12 2012-06-22 고유삼 좌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784B1 (ko)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101292178B1 (ko)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자동 목욕장치
CN102166109A (zh) 一种设在座便器盖上的清洗下体装置
KR200278424Y1 (ko) 좌욕기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20130106239A (ko) 다기능 좌훈좌욕기
CN206101963U (zh) 卧床病人专用洗浴装置
KR200446530Y1 (ko) 족욕이 가능한 다기능 좌훈좌욕기
CN2925464Y (zh) 坐浴熏疗器
CN109010002A (zh) 坐浴椅
JP3131608U (ja) 身体装着用の足湯器具又は腰湯器具
KR200359879Y1 (ko) 좌변기용 좌욕기
CN208974564U (zh) 一种坐浴椅
KR200244235Y1 (ko) 좌욕기
KR101445178B1 (ko) 근적외선기가 구비된 좌욕기
CN202136260U (zh) 一种清洗下体的座便器盖
CN209301682U (zh) 一种妇科阴部浸泡熏蒸护理用具
CN103720402A (zh) 带有盖的家用泡澡保健盆
KR200406633Y1 (ko) 족욕기용 가열관
KR200148318Y1 (ko) 좌욕기
CN217162604U (zh) 康复用洗脚熏蒸盆
KR20080092598A (ko) 좌변기에 장착되는 좌훈기
CN217137825U (zh) 一种可自动消毒的按摩浴缸
CN216652124U (zh) 直入式单盖薰蒸喷淋冲浪浴缸
CN213219049U (zh) 抑菌型坐浴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