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979Y1 -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 Google Patents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979Y1
KR200277979Y1 KR2020020000265U KR20020000265U KR200277979Y1 KR 200277979 Y1 KR200277979 Y1 KR 200277979Y1 KR 2020020000265 U KR2020020000265 U KR 2020020000265U KR 20020000265 U KR20020000265 U KR 20020000265U KR 200277979 Y1 KR200277979 Y1 KR 200277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djustment
movie
vehicle
cei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김재윤
(주)애드터치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윤, (주)애드터치모빌 filed Critical 김재윤
Priority to KR2020020000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979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운전석을 분리하는 전면패널, 사이드패널, 바닥패널, 천정패널, 후면패널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의 적정 위치에 각도조절장치로써 각도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각종 영상기록을 빛으로 조사하는 영상시스템; 상기 전면패널 측의 상기 천정패널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권취되고, 상기 영상시스템의 영상기록이 조사되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장치;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다단식으로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좌석으로 이루어진 관람석; 및 상기 후면패널의 출입문 하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문을 통하여 관객들이 출입하는 출입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 내부에 영화 상영에 필요한 장비 및 인테리어를 완벽하게 갖추게 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영화를 접할 수 있게 되어 문화의 질을 높이게 되었으며, 또한 차량의 특성상 폭 넓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각종 소형 영상교육 및 홍보이벤트 등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SHOW A MOVIE POSSIBLE VEHICLES}
본 고안은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외부에 영화 상영에 필요한 영상 및 음향시스템, 조명시스템, 관람석, 스크린, 인테리어 등을 완벽하게 갖추게 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영화를 접할 수 있게 되어 문화의 질을 높이게 되었으며, 또한 차량의 특성상 폭 넓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각종 영상교육 및 홍보이벤트 등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상영은 주로 극장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만 가능하게 됨으로써 문화 혜택을 많이 받지 못하는 지방이나 소도시 등에서는 이를 쉽게 접하기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 전용 극장이 생겨나 그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기는 하였으나, 이는 넓은 주차장에 대형 스크린과, 자동차 내부의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음향이 제공되는 것으로, 제대로 된 영화 관람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차량 내외부에 영화상영에 필요한 각종 장비 및 인테리어 등을 완벽하게 갖추게 됨으로써, 즉 소극장 타입으로 차량의 내외부를 꾸미게 됨으로써 차량의 특성상 원하는 장소로 쉽게 찾아가 영화를 접하게 되었으며, 또한 각종 소형 영상교육 및 홍보이벤트 등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화상영이 가능한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운전석을 분리하는 전면패널, 사이드패널, 바닥패널, 천정패널 및 후면패널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의 적정 위치에 각도조절장치로써 각도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각종 영상기록을 빛으로 조사하는 영상시스템; 상기 전면패널 측의 상기 천정패널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권취되고, 상기 영상시스템의 영상기록이 조사되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장치;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다단식으로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좌석으로 이루어진 관람석; 및 상기 후면패널의 출입문 하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문을 통하여 관객들이 출입하는 출입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영상시스템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스크린장치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출입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에서 영화가 상영되는 상태도.
도 11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패널 12 : 사이드패널
14 : 바닥패널 16 : 천정패널
17 : 출입문 18 : 후면패널
20 : 영상시스템 21 : 각도조절장치
22,23 : 제 1,2조절공 24 : 조절브라켓
25 : 통공 26 : 고정브라켓
30 : 체결부재 31 : 나사부
32 : 고정너트 34 : 조절너트
50 : 스크린장치 52 : 하우징
54 : 스크린 60 : 관람석
62 : 단차부 64 : 좌석
78 : 소음차단부재 80 : 유입공82 : 커버 83 : 안내홈84 : 안내레일 86 : 출입계단86a : 안내롤러 86b : 경사부88 : 괘정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영상시스템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동작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스크린장치 동작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의 출입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동작상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에서 영화가 상영되는 상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은 운전석을 분리하기 위한 전면패널(10), 사이드패널(12), 바닥패널(14), 천정패널(16) 및 출입문(17)이 구비된 후면패널(18)로 이루어진 실내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실내공간에는 영상 및 음향시스템(20)(40), 조명시스템(45), 스크린장치(50) 및 관람석(60)이 구비된다.
상기 영상시스템(20)은 천정패널(16)의 적정위치에 스크린장치(60)로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각도조절장치(21)로써 설치된다. 이때, 영상시스템(20)은 DVD에 저장된 영상기록을 빛으로 스크린장치(60)로 조사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장치(21)는 영상시스템(20) 일면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제 1,2조절공(22)(23)이 관통된 조절브라켓(24)과, 조절브라켓(24)의 제 1,2조절공(22)(23)과 대응되게 통공(25)이 관통된 고정브라켓(26)과, 조절브라켓(24)의 제 1,2조절공(22)(23)과 고정브라켓(26)의 통공(25)을 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브라켓(26)을 천정패널(16)에 고정시키고, 고정브라켓(26)으로부터 조절브라켓(24)을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조절브라켓(24)의 제 1,2조절공(22)(23)과 고정브라켓(26)의 통공(25)을 통하여 삽입되고, 그 타단이 천정패널(16)에 고정되며, 외경에 나사부(31)가 형성된 체결부재(30)와, 체결부재(30)의 나사부(31)에 체결되어 천정패널(16)에 고정브라켓(26)을 고정시키도록 고정브라켓(26) 하부에 밀착되는 고정너트(32)와, 고정브라켓(26)으로부터 조절브라켓(24)을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체결되고, 조절브라켓(24)의 상부에 밀착되는 조절너트(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향시스템(40)은 사이드패널(12) 및 천정패널(16)의 적정 위치에 입체적으로 설치되어 영상시스템(20)에 저장된 영상기록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명시스템(45)은 천정패널(16)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관객들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그 빛이 하방으로 조사된다.
상기 스크린장치(50)는 운전석과 분리되는 전면패널(10) 측의 천정패널(16)에 수직으로 고정된 하우징(52)과, 하우징(52) 내부에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권취된 스크린(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람석(60)은 바닥패널(14)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다단식으로 형성된 단차부(62)와, 단차부(62)에 설치되는 다수의 좌석(6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단차부(62)는 스크린장치(50)의 스크린(54)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다단식으로 형성되어 좌석(64)이 배치된다..
한편, 관람석(60)을 경사지게 경사면(68)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68)에 좌석(64)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관람석(60)의 단차부(62)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관람석(60)의 좌석(64)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정도의 고정식과, 안마기능이 구비되는 반자동식과, 영상기록에 따라 자동으로 진동이 발생되고,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완전 자동식 등으로 이루어져 관객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천정패널(16)에는 냉,온방장치(70) 및 환기장치(74)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전,후면패널(10)(18), 사이드패널(12), 천정패널(16)의 내측면에는 내부의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음차단부재(78)가 설치된다. 즉, 전,후면패널(10)(18), 사이드패널(12), 천정패널(16)에는 소음차단부재(78)가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내부의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면패널(18)의 출입문(17) 하부에는 관객들이 출입문(17)을 통하여 출입하기 위한 출입수단이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출입수단은 출입문(17) 하부에 형성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82)로써 은폐되는 유입공(80)과, 유입공(80) 양단 내측으로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대향되게 설치되고, 안내홈(83)을 갖는 한쌍의 안내레일(84)과, 안내레일(84)의 안내홈(83)을 따라 이동되어 인출입되는 출입계단(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입계단(86)의 일단에는 안내레일(84)의 안내홈(83)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안내롤러(86a)가 회전 가능한 구비되고, 타단에는 지면과 면접촉되는 경사부(86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80)의 양 외측에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괘정구(88)를 설치하여 커버(82)의 닫힘을 유지시키게 된다. 즉, 커버(82)를 회동시켜 유입공(80)을 은폐시킨 다음, 괘정구(88)를 이동시켜 커버(82)의 닫힘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출입수단의 출입계단(86)을 자동화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안내레일(84) 내부에 보관시키고, 필요시 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외부 일측에는 영화 상영에 필요한 영상 및 음향시스템(20)(40), 조명시스템(45), 냉,온방장치(70), 환기장치(74)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는 소형발전기(미도시)가 보관된다.
그리고, 천정패널(16)은 음향시스템(40)의 효과를 최대로 살리기 위하여 라운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즉, 양측 사이드패널(12)로부터 중앙 영역을 최대 정점으로 라운딩으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차량에는 위성 안테나를 설치하여 위성에서 송출하는 각종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영화상영 및 교육자료의 취지에 알맞는 영상기록이 저장된 DVD를 선택한 다음, 이를 천정패널(16)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영상시스템(20)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패널(10)의 천정패널(16)에 고정된 스크린장치(50)의 하우징(52) 내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권취된 스크린(54)을 하방으로 인출시킨 다음, 영상시스템(20)을 동작시켜 영상시스템(20)에서 빛으로 조사되는 영상기록이 정확하게 스크린장치(50)의 스크린(54)에 일치되는 지를 점검하게 된다.
이때, 영상시스템(20)의 영상기록이 스크린장치(50)의 스크린(54)에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게 조사될 경우에는 영상시스템(2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천정패널(16)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6)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영상시스템(20) 일면에 고정된 조절브라켓(24)의 상하면에 밀착되고, 체결부재(30)의 나사부(31)에 체결된 조절너트(34)의 체결력을 해제시켜 느슨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영상시스템(20)을 상하부로 적절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일면에 영상시스템(20)이 고정된 조절브라켓(24)의 제 1,2조절공(22)(23)이 체결부재(30) 외경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브라켓(24) 상하부의 조절너트(34)를 완전히 조이게 되면, 스크린장치(50)의 스크린(54)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영상시스템(20)이 상하부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후면패널(18)의 출입문(17)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80) 양측의 괘정구(88)를 일방으로 이동시켜 유입공(8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82)의 닫힘력을 해제시킨 다음, 커버(82)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유입공(80)을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입공(80)의 내부로 사용자가 손을 넣은 다음, 출입계단(86)을 외측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출입계단(86)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안내레일(84)의 안내홈(83)에 삽입된 안내롤러(86a)가 안내레일(84)의 안내홈(8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고, 타단에 형성된 경사부(86b)가 지면에 면접촉으로 안정되게 닫게 된다. 따라서, 관람객들이 안전하게 출입계단(86)을 타고 올라와 출입문(17)을 통하여 내부로 입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장이 완료된 관객들은 바닥패널(14) 양측으로 다단식으로 형성된 관람석(60)의 단차부(62)에 고정된 좌석(64)에 안전하게 착석을 하게 된다. 이때, 좌석(64)이 다단식으로 형성된 단차부(62)에 설치됨으로써 스크린장치(50)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높게 배치되어 뒷승객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단차부(64)를 경사지게 경사면(68)을 형성한 다음, 이 경사면(68)에 좌석(64)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람석(60)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좌석(64)을 배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되게 된다.
또한, 관람석(60)의 좌석(64)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정도의 고정식과, 안마 기능이 구비되는 반자동식과, 영상기록에 따라 자동으로 진동이 발생되고, 자유롭게 이동되는 완전 자동식 등으로 이루어져 관객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면패널(18)의 출입문(17)을 닫은 다음, 미리 각도가 조절된 영상시스템(20)을 동작시켜 영화 및 각종 교육관련 영상기록을 스크린(64)으로 조사시켜 관객들이 감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영상기록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사이드패널(12) 및 천정패널(16)의 적정 위치에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음향시스템(40)에 의해 효과를 극대화시켜 송출이 된다. 그리고, 천정패널(16)이 라운딩으로 형성되어 음향시스템(40)의 효과를 최대로 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관람석(60)의 좌석(64)이 영상기록의 음향에 따라 에 따라 자동으로 진동이 발생되고, 자유롭게 이동되어 관객들의 편의성을 극대로 제공하여 재미를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후면패널(10)(18), 사이드패널(12), 천정패널(16)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소음차단부재(78)가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영화 관람이 완료되고 나면 천정패널(16)의 적정 위치에 설치된 조명시스템(45)을 동작시켜 좁은 실내의 하방으로 비추게 됨으로써 내부에서 관객들이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차량의 외부 일측에는 영화 상영에 필요한 각종 영상 및 음향시스템(20)(40), 조명시스템(45), 냉,온방장치(70), 환기장치(74)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형발전기(90)가 보관된다.
또한, 차량에는 위성 안테나를 설치하여 위성에서 송출하는 각종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 내외부에 영화 상영에 필요한 영상 및 음향시스템, 조명시스템, 관람석, 스크린, 인테리어 등을 완벽하게 갖추게 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영화를 접할 수 있게 되어 문화의 질을 높이게 되었으며, 또한 차량의 특성상 폭 넓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각종 소형 영상교육 및 홍보 이벤트 등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운전석을 분리하는 전면패널, 사이드패널, 바닥패널, 천정패널 및 후면패널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16)의 적정 위치에 각도조절장치(21)로써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각종 영상기록을 빛으로 조사하는 영상시스템(20);
    상기 전면패널(10) 측의 상기 천정패널(16)에 고정된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 내부에 수직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권취되고, 상기 영상시스템(20)의 영상기록이 조사되는 스크린(54)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장치(50);
    상기 바닥패널(14)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다단식으로 형성된 단차부(62)와, 상기 단차부(62)에 설치되는 다수의 좌석(64)으로 이루어진 관람석(60); 및
    상기 후면패널(18)의 출입문(17) 하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문(17)을 통하여 관객들이 출입하는 출입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21)는
    상기 영상시스템(20)의 일면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제 1,2조절공(22)(23)이 관통된 조절브라켓(24);
    상기 조절브라켓(24)의 제 1,2조절공(22)(23)과 대응되게 통공(25)이 관통된 고정브라켓(26); 및
    상기 조절브라켓(24)의 제 1,2조절공(22)(23)과 상기 고정브라켓(26)의 통공(25)을 통하여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천정패널(16)에 고정되며, 외경에 나사부(31)가 형성된 체결부재(30)와, 상기 체결부재(30)의 나사부(31)에 체결되어 상기 천정패널(16)에 상기 고정브라켓(26)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브라켓(26) 하부에 밀착되는 고정너트(32)와, 상기 고정브라켓(26)으로부터 상기 조절브라켓(24)을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조절브라켓(24)의 상부에 밀착되는 조절너트(3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패널(10)(18), 상기 사이드패널(12) 및 상기 천정패널(16)의 내측면에는 소음차단부재(7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은
    상기 후면패널(18)의 출입문(17) 하부에 형성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82)로써 은폐되는 유입공(80)과,
    상기 유입공(80) 양단 내측으로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대향되게 설치되고, 안내홈(83)을 갖는 복수의 안내레일(84)과,
    상기 안내레일(84)의 안내홈(83)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롤러(86a)가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에는 지면과 면접촉되는 경사부(86b)가 형성된 출입계단(86)과,
    상기 유입공(80)의 양 외측에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82)의 닫힘을 유지시키는 괘정구(8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KR2020020000265U 2002-01-04 2002-01-04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KR200277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65U KR200277979Y1 (ko) 2002-01-04 2002-01-04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65U KR200277979Y1 (ko) 2002-01-04 2002-01-04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471A Division KR20030059728A (ko) 2002-01-04 2002-01-04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979Y1 true KR200277979Y1 (ko) 2002-06-14

Family

ID=7311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265U KR200277979Y1 (ko) 2002-01-04 2002-01-04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9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44B1 (ko) * 2014-01-06 2015-05-18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픽쳐스 이동형 3d 멀티디스플레이 기반의 실감형 교육 서비스 제공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44B1 (ko) * 2014-01-06 2015-05-18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픽쳐스 이동형 3d 멀티디스플레이 기반의 실감형 교육 서비스 제공 차량
WO2015102476A1 (ko) * 2014-01-06 2015-07-09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픽쳐스 이동형 3d 멀티디스플레이 기반의 실감형 교육 서비스 제공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2754A1 (en) Producing a recording from sound source data based on a sound profile
EP0688924B1 (en) Domed image theatre
EP2523824B1 (en) Vehicle for entertainment and method for entertaining
CA2565128C (en) Conversion of cinema theatre to a super cinema theatre
US4964671A (en) Interior bus configuration
US11111678B2 (en) Overlay cover and tensioning mechanism for a modular wall overlay system
EP0778380B1 (en) Theatre
KR20030059728A (ko)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WO2014130461A1 (en) Immersive sound system
KR200486362Y1 (ko)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KR200277979Y1 (ko) 영화 상영이 가능한 차량
DE2834929C2 (de) Autokino
US20080024686A1 (en) Audio Visual Surface Assembly
US4332113A (en) Video room
KR900004112Y1 (ko) 자동차를 이용한 이동식 미니 극장
Appleton et al. Auditoria
KR102491810B1 (ko) 드라이브-스루형 vr 시네마 시스템
RU138268U1 (ru) Вагон-кинотеатр
Schlanger Motion-Picture System From Camera to Viewer
Foley et al. Auditoria
Guyer et al. An Introduction to Design of Theatres and Concert Halls
UA30039U (uk) Автовідеокінотеатр
JP2007191881A (ja) ホームシアター室ユニット
RU43392U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размещаемая в салон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ettinger On the Acoustics of Control R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