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924Y1 - flag-pole - Google Patents

flag-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924Y1
KR200277924Y1 KR2020020008392U KR20020008392U KR200277924Y1 KR 200277924 Y1 KR200277924 Y1 KR 200277924Y1 KR 2020020008392 U KR2020020008392 U KR 2020020008392U KR 20020008392 U KR20020008392 U KR 20020008392U KR 200277924 Y1 KR200277924 Y1 KR 200277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pole
housing
protrusion
present
ser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3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강영
Original Assignee
구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강영 filed Critical 구강영
Priority to KR2020020008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9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924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깃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원기, 국기 등과 같은 응원도구를 모자, 가방, 안경 등에 부착할 수 있는 깃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p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gpole that can be attached to a hat, bag, glasses, etc. cheering tools, such as pompoms, flags.

본 고안의 깃대는 일단에 다수 개의 톱니형 돌기가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는 깃대와, 상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깃대의 일단이 수납되고,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깃대의 위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깃대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수단을 포함한다.In the flag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gpole having a plurality of serrated protrusions at one end thereof is formed into an arc, and one end of the flagpole formed with the toothed protrusions is housed in elastic contact with a groove between the toothed protrusions. It includes an elastic projection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mounting means attached to the housing for mounting the flagpole in a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Description

깃대{flag-pole}Flagpole {flag-pole}

본 고안은 깃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원기, 국기 등과 같은 응원도구를 모자, 가방, 안경 등에 부착할 수 있는 깃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p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gpole that can be attached to a hat, bag, glasses, etc. cheering tools, such as pompoms, flags.

일반적으로 야구, 축구, 농구, 배구 등과 같은 각종 운동경기를 관전하는 동안 관중들이 응원을 할 때 깃발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응원기, 국기 등과 같은 응원도구를 관중이 손으로 잡고 흔들어서 응원을 하였었다.In general, while watching sports, such as baseball, soccer, basketball, volleyball, etc., the crowd uses flags to cheer. In the related art, cheering tools such as cheering flags and national flags were held by the audience by hand and cheered.

그러나 관중이 손으로 응원기 등을 들고 응원을 하는 경우 응원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응원기 등을 계속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응원기 등을 계속 흔들어야 하기 때문에 응원을 하는 관중이 쉽게 지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audience cheers with their hands, they have to keep holding the cheers even while not cheering. .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응원기, 국기 등과 같은 응원도구를 모자, 가방, 안경 등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관중이 응원도구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는 깃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ttachment of the rooting supporters, such as the rooting supporters, flags, etc. to hats, bags, glasses, etc. so that the crowd does not have to hold the rooting supporters by hand To provid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깃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응원기, 국기 등과 같은 응원도구가 모자, 안경 등에 부착되어 있을 때 제멋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응원도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응원효과와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깃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cheering device, such as a pompom, flag, etc. when attached to the hat, glasses, etc. It is to provide a flagpole to increase the effect and fu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깃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gpo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장착수단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mounting means.

도 3은 깃대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lagpole.

도 4에 톱니형 돌기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oothed projection.

도 5는 하우징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ousing.

도 6은 본 고안의 깃대를 모자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flag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ap.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깃대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gp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국기봉 2 : 깃대1: flag pole 2: flagpole

3 : 체결수단 4 : 장착수단3: fastening means 4: mounting means

5 : 하우징 6 : 지지대5 housing 6 support stand

7 : 패드 8 : 고정수단7: pad 8: fixing mean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깃대는 일단에 다수 개의 톱니형 돌기가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는 깃대와, 상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깃대의 일단이 수납되고,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깃대의 위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깃대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ag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gpole having a plurality of serrated protrusions formed in an arc shape at one end thereof, and one end of the flagpole formed with the serrated protrusions is accommodated therebetween. It includes a housing for elastically contacting the groove of the housing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in a certain direction, and a mounting means attached to the housing for mounting the flagpole in a desired position.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안은 일단에 다수 개의 톱니형 돌기가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는 깃대와, 상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깃대의 일단이 수납되고,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깃대의 위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는 하우징과, 기역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단에 깃대를 안경다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안경다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g po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rrated protrusions at one end, and one end of the flagpole is formed with the serrated protrusions, between the toothed projections It has an elastic protrusion that elastically contacts the groove of the housing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in a certain direction, and has a bent shape in translator shape, one end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flagpole fixed to the other end And a pad on which a fixing means is mounted, and a pad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glasses from slipping.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깃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gpo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깃대는 국기봉(1), 깃대(2), 체결수단(3), 장착수단(4), 하우징(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lag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g pole 1, a flagpole 2, a fastening means 3, a mounting means 4, and a housing 5.

상기 국기봉(1)은 무궁화 꽃 모양 등으로 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에만 부착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할 수도 있다.The flag pole (1) may be in the shape of a rose of sharon and the like, and may be removable so that it can be attached only when necessary.

상기 깃대(2)는 국기, 응원기 등 응원도구가 부착되는 것으로 깃대(2)의 중간에 국기 등을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을 뚫어 놓을 수도 있다.The flagpole 2 is to be attached to the rooting tool, such as a flag, a pompom, may be a hole for fixing the flag, etc. in the middle of the flagpole (2).

상기 깃대(2)의 일단에는 다수 개의 톱니형 돌기가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flagpole 2, a plurality of serrated protrusions are formed in an arc shape.

상기 체결수단(3)은 상기 깃대(2)와 장착수단(4)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도 1에서는 리벳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리벳일 필요는 없으며, 볼트와 너트로도 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3) is to combine the flagpole (2) and the mounting means (4) shown in Figure 1 as an example of a rivet, but not necessarily a rivet, it may also be a bolt and nut.

상기 장착수단(4)은 깃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서는 집게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기 장착수단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unting means 4 is to allow the user to mount the flagpole in a desired position, but in Figure 1 as an example tongs, the mounting mean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하우징(5)은 상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깃대의 일단이 수납되고,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깃대의 위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한다.The housing 5 has one end of the flagpole on which the serrated protrusion is formed, and has an elastic protrusion elastically contacting the groove between the sawtooth protrus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in a certain direction.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 스프링으로 만들 수 있다.The elastic protrus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spring including a protrusion bent to protrude to one side so as to elastically contact the groove between the toothed protrusion.

여기서는 상기 탄성돌기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case where the elastic protrusion is composed of a leaf spring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2는 장착수단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mounting means.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장착수단(4)이 집게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상기 장착수단(4)이 반드시 집게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장착수단이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ounting means 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forceps, but the mounting means 4 need not necessarily be forcep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unting means may be employ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수단(4)은 통상의 집게의 한 쪽 손잡이를 상기 하우징(5)과 결합할 수 있도록 변형한 것으로 집게의 손잡이 대신 고정용 리벳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는 금속판을 사용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mounting means 4 is modified so that one handle of the conventional forceps can be coupled with the housing 5, and a hole into which a fixing rivet can be inserted instead of the handle of the forceps is drilled. Metal plate is used.

도 3은 깃대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lagpo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깃대(2)는 양 끝 부근에 국기, 응원기 등을달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국기봉 쪽에는 국기봉을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집게 쪽에는 상기 하우징(5)에 결합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이 구멍이 깃대가 회전할 때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3, the flagpole 2 has a hole for attaching a flag, a cheering device, etc. near both ends thereof, and a flag rod can be inserted into the flag pole, and a housing 5 is provided on the tongs side. There is a hole that can be coupled to the hole, which serves as the axis of rotation when the flagpole rotates.

그리고 상기 깃대(2)가 상기 장착수단(4)과 결합되는 쪽에는 일정 방향으로 깃대를 고정하기 위해 다수 개의 톱니형 돌기가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을 상기 하우징(5)의 탄성돌기가 밀어줌으로써 깃대의 위치가 고정된다.On the side where the flagpole 2 is coupled to the mounting means 4, a plurality of serrated protrusions are formed in an arc shape to fix the flagpo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is fixed by pushing the groove between the toothed protrusions and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housing 5.

도 4에 상기 톱니형 돌기의 세부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이 5개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홈의 수는 깃대의 크기, 응원도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errated protrusion. In FIG.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five grooves between the toothed protrusions,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groove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lagpole and the type of the rooting tool.

도 5는 하우징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ous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에는 상기 깃대(2) 및 상기 장착수단(4)과 결합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으며, 상기 깃대(2)의 일단에 형성된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과 결합하여 깃대를 일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housing 5 has a hole for engaging with the flagpole 2 and the mounting means 4, and a groove between the toothed protrusions formed at one end of the flagpole 2; Combination is formed with an elastic projection for fixing the flagpole at an angle.

도 6은 본 고안의 깃대를 모자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flag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ap.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깃대를 모자에 부착하는 경우 깃대를 여러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할 수 있는데 도 6에서는 모자 앞쪽을 0°로 한 경우 0°, 45°, 90°, 135°, 180°로 깃대를 고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When the flag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cap as shown in Figure 6 it can be fixed by rotating the flagpole in various directions in Figure 6 0 °, 45 °, 90 °, 135 ° when the front of the hat at 0 ° , The flagpole can be fixed by 180 °.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집게에 부착된 깃대가 모자에 적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집게가 부착된 깃대는 가방, 안경 등에도 부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In FIG. 6, the flagpole attached to the to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lagpole to which the to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may be attached to a bag or glasse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깃대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gp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 예에서는 집게와 같은 장착수단을 사용하여 깃대를 안경에 부착하는 경우 깃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제1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수단(4)을 안경의 다리에 깃대를 부착시키기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였다.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flagpole is not stably fixed when the flagpole is attached to the glasses using a mounting means such as a forceps, the mounting means 4 is suitable for attaching the flagpole to the legs of the glasses in the first embodiment. Modified to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깃대는 국기봉(1), 깃대(2), 체결수단(3), 하우징(5), 지지대(6), 패드(7), 고정수단(8)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7, the flagpo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g pole (1), flagpole (2), fastening means (3), housing (5), support (6), pad (7), fixed Means (8).

도 7에서 국기봉(1), 깃대(2), 체결수단(3), 하우징(5) 등의 구조는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FIG. 7, the structures of the flag pole 1, the flagpole 2, the fastening means 3, and the housing 5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대(6)는 기역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일단에는 상기 고정장치가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5)과 결합된다.The support 6 is a metal plate or a plastic plate that is bent in the shape of a translator and the fixing device is mount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housing 5.

도 7에서는 상기 지지대(6)와 상기 하우징(5)이 리벳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볼트와 너트와 같은 다른 체결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FIG. 7, it is assumed that the support 6 and the housing 5 are fixed using rivets. However, the support 6 and the housing 5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othe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may be used.

상기 패드(7)는 상기 하우징(5)의 한 측면에 부착된 것으로 깃대를 안경다리에 고정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ad 7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5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flagpole is fixed to the glasses legs.

상기 고정수단(8)은 안경다리를 깃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서는 손잡이가 달린 볼트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xing means (8) is for fixing the glasses leg to the flagpole, but in Figure 7 described for example with a bolt with a handl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모자, 가방, 안경 등에 국기, 응원기 등과 같은 응원도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운동경기 등을 관전하는 관중이 용이하게 응원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장식용 도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eering tool such as a flag or a cheering instrument can be easily fixed to a hat, a bag, glasses, etc., so that a crowd watching an athletic game can be easily used as a cheering tool.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decorative tool.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refore contemplated that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일단에 다수 개의 톱니형 돌기가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는 깃대와,A flag pole having a plurality of serrated protrusions formed in an arc shape at one end thereof, 상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깃대의 일단이 수납되고,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깃대의 위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는 하우징과,A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flagpole on which the serrated protrusion is formed and to have an elastic protrusion elastically contacting the groove between the sawtooth protrus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깃대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수단Mounting means attached to the housing for mounting the flagpole in a desired positio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톱니형 돌기가 균일한 각도로 피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The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shaped projections form a pitch at a uniform ang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The elastic protrusion is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pring including a protrusion bent to protrude to one side so as to elastically contact the groove between the toothed proj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착수단은 집게의 한쪽 손잡이로 고정용 리벳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는 금속판을 사용한 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The mounting means is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ngs using a metal plate having a hole in which a fixing rivet can be inserted into one handle of the tongs. 일단에 다수 개의 톱니형 돌기가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는 깃대와,A flag pole having a plurality of serrated protrusions formed in an arc shape at one end thereof, 상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깃대의 일단이 수납되고, 상기 톱니형 돌기 사이의 홈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깃대의 위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는 하우징과,A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flagpole on which the serrated protrusion is formed and to have an elastic protrusion elastically contacting the groove between the sawtooth protrus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gpo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기역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단에 깃대를 안경다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지지대와,The support is bent in the shape of a translator, one end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equipped with a support means for fixing the flagpole to the glasses legs,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Pad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prevent slidin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2020020008392U 2002-03-21 2002-03-21 flag-pole KR2002779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392U KR200277924Y1 (en) 2002-03-21 2002-03-21 flag-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392U KR200277924Y1 (en) 2002-03-21 2002-03-21 flag-p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924Y1 true KR200277924Y1 (en) 2002-06-14

Family

ID=7308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392U KR200277924Y1 (en) 2002-03-21 2002-03-21 flag-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92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75A (en)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그루 Clamp for moving optical fiber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75A (en)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그루 Clamp for moving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319052B1 (en) 2019-09-05 2021-10-29 주식회사 인터커넥트 Clamp for moving optical fiber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547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AU662897B2 (en) Track ball mounted on keyboard
US8162280B2 (en) Adjustable joint
US20060196902A1 (en) Holst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50105257A1 (en) Display apparatus
DE60130526D1 (en) Cutting head for a thread cutter
JP2006173848A (en) Stand for liquid television and stand for display device
KR200277924Y1 (en) flag-pole
US20060213030A1 (en) Hinge
US5577964A (en) Golf ball tee device
US7036403B2 (en) Articulated wrench
JP2002327893A (en) Universal supporting tool
US20080191109A1 (en) Angle-adjustable display holder
JP2005188961A (en) Wrist watch
US6386785B1 (en) Engaging post for a heat-dissipating device
ATE329960T1 (en) HEAT CONDUCTIVE CURTAINABLE LIQUID POLYMER COMPOSITION AND SEMICONDUCTOR PRODUCED WITH SUCH COMPOSITION
US807274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JP2661565B2 (en) Thumb screw holding structure
JP6183595B2 (en) Band linkage structure and watch
US20060279931A1 (en) CPU heat sink mount attachment structure
US20090065539A1 (en) Adjustable clamp device
US7298563B1 (en) Supporting member for portable digital video disk player
CN212700257U (en) Barbell
JP4718915B2 (en) Linear fixtures and ball game machines
TWM381100U (en) Fan mounting apparatus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