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752Y1 - A work indicator - Google Patents

A work 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752Y1
KR200277752Y1 KR2019990001469U KR19990001469U KR200277752Y1 KR 200277752 Y1 KR200277752 Y1 KR 200277752Y1 KR 2019990001469 U KR2019990001469 U KR 2019990001469U KR 19990001469 U KR19990001469 U KR 19990001469U KR 200277752 Y1 KR200277752 Y1 KR 200277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display device
stand member
construction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4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6487U (en
Inventor
김고도
Original Assignee
김고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고도 filed Critical 김고도
Priority to KR2019990001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752Y1/en
Publication of KR20000016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4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752Y1/en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사표시장치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그리고 지면에 세워지는 스탠드 부재와, 스탠드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리고 안전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부재 및 스탠드 부재상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리고 표시 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되, 스탠드 부재는 적어도 3개의 러그들과, 러그들이 힌지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표시 부재는 홀딩 부재에 장착되는 고정바와, 고정바에 결합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중심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바와, 표지가 부착되는 그리고 수직바와 수평바에 펼친 상태로 부착되는 시트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unfolded for easy portability and stand member standing on the groun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tand member and safety A member for displaying a cover and a member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stand member and for holding the display member, the stand member having at least three lugs and a head to which the lugs are hinged, The fixed bar is mounted to the holding member, the vertical bar coupled to the fixed bar, the horizontal bar hinged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bar, the cover is attached and is attached to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is attached to the unfolded state.

Description

공사표시장치{A WORK INDICATOR}Construction display device {A WORK INDICATOR}

본 고안은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site.

우리 주위에는 아파트 공사, 도로공사, 맨홀을 열고 작업을 하는 하수구 및 전화회선 공사 등의 각종 공사 현장들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공사현장에는 그곳을 지나가는 행인이나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안전표시장치가 설치된다.Around us, there are various construction sites such as apartment construction, road construction, manhole opening work and telephone line construction. Various construction sites such as these are installed with safety indicators to warn pedestrians and drivers passing ther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그러나 종래 안전표시장치는 높이가 너무 낮아 행인이나 운전자들의 시야에 잘 들어오지 않고, 또한 중량이 가볍워 표시판이 바람의 영향에 의해 쉽게 쓰러지는 등 안전표시기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afety display device is too low to enter the vision of passers-by or drivers, and the weight is light, and thus the display panel is easily collaps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ind.

그리고, 기존의 안전표시장치의 표시판은 쉽게 찌그러지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손되는 경우가 아주 많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안전표시장치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panel of the conventional safety display device is made of aluminum material which is easily crushed, it was very often damaged. In general, the safety display device is integ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move and store.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고, 운전자 또는 행인들의 눈에 잘 띄도록 하며,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공사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nstruction display device that can be built more stably, to be visible to the driver or pedestrian, and to be easy to move and store. It i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표시장치의 외관도;1 is an external view of a constru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공사표시장치의 배면도;2 is a rear view of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접혀진 공사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4A and 4B show a folded construction display device;

도 5는 공사표시장치의 사용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도 6은 공사표시장치의 제 2 사용상태도;6 is a second use state diagram of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사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7 is a rear view of a constru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스탠드 부재14,16,18 : 러그들12 stand member 14, 16, 18 lugs

20 : 헤드22 : 홀20: head 22: hole

30 : 홀딩 부재32 : 슬라이딩 부분30 holding member 32 sliding part

34 : 꽂이 부분36 : 클램프 나사34: mounting part 36: clamp screw

40 : 표시 부재42 : 고정바40 display member 42 fixed bar

44 : 수직바46 : 수평바44: vertical bar 46: horizontal bar

48 : 시트52 : 표지48: sheet 52: cover

70 : 깃발72 : 깃대70 flag 72: flagpole

76 : 고무 밴드80 : 모래주머니76: rubber band 80: sand ba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공사표시장치에 있어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그리고 지면에 세워지는 스탠드 부재와; 상기 스탠드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리고 안전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부재 및; 상기 스탠드 부재상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표시 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 부재는 적어도 3개의 러그들과, 상기 러그들이 힌지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홀딩 부재에 장착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중심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바와, 표지가 부착되는 그리고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에 펼친 상태로 부착되는 시트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structio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and member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for easy portability and built on the ground; A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stand member and displaying a safety sign; A member mounted on said stand member to be movable and for holding said display member; The stand member includes at least three lugs, a head to which the lugs are hinged, and the display member includes a fixed bar mounted to the holding member,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fixed bar, and a hinge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bar. A horizontal bar to be joined, and a sheet to which the cover is attached and attached to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in an unfolded state.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는 부착되는 상기 시트의 사이즈에 맞추어 그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is made of a multi-stage to adjust the length to fit the size of the sheet to be attach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표시 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깃발을 달아맬 수 있는 적어도 깃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a flagpole hinged to the display member and capable of hanging a flag.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공사 표시장치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 부재의 헤드에 설치되는 그리고 스탠드 부재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한 중량물을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weight to be installed on the head of the stand member and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and member so that the stand member can be more stably erect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표시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공사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constru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공사표시장치(10)은 크게 스탠드 부재, 표시 부재 그리고 홀딩 부재로 이루어진다.1 to 3,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stand member, a display member and a holding member.

상기 스탠드 부재(12)는 지면에 세워지는 부분으로,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스탠드 부재(12)는 3개의 러그들(14,16,18)과, 헤드(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제 2 러그(14,16)는 상기 헤드(2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3 러그(18)는 상기 헤드(2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헤드(20)에는 상기 러그들(14,16,18)이 120도 간격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The stand member 12 is a part that stands on the ground,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for easy portability. Looking at the structure, the stand member 12 is composed of three lugs (14, 16, 18) and the head (20). The first and second lugs 14 and 16 ar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20 and the third lug 18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d 20. For example, the lugs 14, 16, and 18 are hinged to the head 20 at 120 degree intervals.

상기 홀딩 부재(30)는 상기 제 3 러그(18) 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홀딩 부재(30)는 상기 러그(18)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분(32)과 상기 표시 부재(40)의 일부분이 꽂혀지는 부분(34) 그리고 클램프 나사(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 나사(36)는 상기 슬라이딩 부분(3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홀딩 부재(30)를 원하는 상기 제 3 러그(18)상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 예컨대, 상기 홀딩 부재(30)는 상기 1 러그(14) 또는 제 2 러그(16)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holding member 30 is installed on the third lug 18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he holding member 30 includes a sliding portion 32 installed on the lug 18, a portion 34 into which a portion of the display member 40 is inserted, and a clamp screw 36. The clamp screw 36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portion 32 and is required to fix the holding member 30 to the desired position on the third lug 18. For example, the holding member 3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lug 14 or the second lug 16.

한편, 상기 표시 부재(40)는 고정바(42), 수직바(44), 수평바(46) 그리고 시트(48)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바(42)는 상기 홀딩 부재(30)의 꽂이부분(34)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수직바(44)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상기 고정바(4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평바(46)는 상기 수직바(44)의 중심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시트(48)에는 안전, 위험 표지(52) 등이 부착되며, 그 표지(52)는 필요(사용용도)에 따라 체인지 할 수 있다. 상기 시트(48)는 기존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에 비하여 파손 가능성이 적고, 또한 제작비가 저렴하며 중량이 가볍다. 상기 시트(48)는 마름모형으로 각 모서리에는 상기 수직바(44) 및 수평바(46)의 양단을 끼울 수 있는 주머니(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48)의 상하 주머니에는 상기 수직바(44)의 양단이 끼워지고, 상기 시트(48)의 양측 주머니에는 수평바(46)의 양단이 끼워진다. 상기 수직바(44)와 수평바(46)는 상기 주머니(50)들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탄성)을 갖는다. 예컨대, 본 고안에서는 마름모형의 시트를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시트는 3, 5,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시트는 사각형 보다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는 마름모형으로 되어 있고 특히, 상기 수직바(44)와 수평바(46)가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시트(48)에 다수의 구멍들을 형성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member 40 includes a fixing bar 42, a vertical bar 44, a horizontal bar 46, and a sheet 48. The fixing bar 42 is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34 of the holding member 30. The vertical bar 44 is fixed to the fixed bar 42 by bolts and nuts. The horizontal bar 46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bar 44. Safety and danger signs 52 and the like are attached to the sheet 48, and the signs 52 can be changed as necessary (use). The sheet 48 is less likely to break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luminum plate, and is also cheap in manufacturing cost and light in weight. The sheet 48 has a rhombus shape and a pocket 50 is formed at each corner thereof to fit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44 and the horizontal bar 46.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44 are fitted into upper and lower pockets of the sheet 48,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46 are fitted into both pockets of the sheet 48. The vertical bar 44 and the horizontal bar 46 have a degree of flexibility (elasticity) that can be fitted to the pockets 50.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rhombus sheet as an example, the sheet may be formed in a polygon or a circle such as 3, 5, and the like. The sheet has a rhombus shape that is less wind resistant than a quadrangle, and in particular, since the vertical bar 44 and the horizontal bar 46 are flexible, they are not easily collapsed by the influence of the wind. For example,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sheet 48 can be more effectively affected by the wind.

한편, 도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수직바(44')와 수평바(46')는 부착되는 큰 사이즈의 시트(48') 또는 작은 사이즈의 시트(48')에 맞추어 그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도록 2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트의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그 사이즈에 맞게 상기 수직바(44')와 수평바(46')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vertical bars 44 'and the horizontal bars 46' of the display device have their lengths matched to the large size sheet 48 'or the small size sheet 48' to which the display device is attached. It can be made of two stages to adjust the elasticity. Accordingly, even if the size of the sheet is changed, the length of the vertical bar 44 'and the horizontal bar 46' may be adjusted to suit the size.

이와 같이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공사표시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설치된다.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상에 상기 러그들(14,16,18)을 펼쳐 상기 스탠드 부재(12)를 세운다. 그리고, 상기 홀딩 부재(30)를 제 3 러그(18)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클램프 나사(36)를 사용하여 상기 제 3 러그(18)에 상기 홀딩 부재(30)를 고정시킨다. 상기 시트(48)에 부착된 표지(52)가 전방(도 1에 도시된 'A'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표시 부재(40)의 고정바(42)를 상기 홀딩 부재(30)의 꽂이 부분(34)에 끼운다. 상기 시트(48)는 상기 수직바(44)와 수평바(46)에 의해 지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표시장치(10)는 상기 홀딩 부재(30)의 꽂이 부분(34)에 끼워지는 상기 표시 부재(40)의 방향에 따라서 표지(52)를 전,후,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 부재(40)를 좌측으로 돌린 후 상기 꽂이 부분(34)에 끼우면 상기 표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전방에서 좌측방향(도 1에 도시된 'B: 방향)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것이다.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lugs 14, 16, and 18 are spread out on the ground to be installed, and the stand member 12 is raised. Then, the holding member 30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third lug 18, and then the hold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third lug 18 using the clamp screw 36. Inserting the fixing bar 42 of the display member 40 into the holding member 30 so that the front cover 52 attached to the sheet 48 faces the front ('A' direction shown in FIG. 1). Insert in (34). The sheet 48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bar 44 and the horizontal bar 46. Construction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rear, left, left,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member 40 is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34 of the holding member 30, Can be directed in either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member 40 is turned to the left and then inserted into the holder 34,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ver can be easily changed from the front to the left ('B: direction' shown in FIG. 1).

상기 표시 부재(40)를 높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러그들(14,16,18)의 펼침 각도를 적게 하고, 상기 홀딩 부재(30)를 제 3 러그(18)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키면 된다.(도 5참조) 그리고 상기 표시 부재(40)를 낮게 설치하고 싶을 때에는 반대로 상기 러그들(14,16,18)의 펼침 각도를 넓게 하고 상기 홀딩 부재(30)를 제 3 러그(18)의 하단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공사표시장치(10)는 설치되는 지형적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표시 부재(40)가 위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 6참조)In order to install the display member 40 high, the unfolding angle of the lugs 14, 16, and 18 may be reduced, and the holding member 30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lug 18.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member 40 is to be installed low, the unfolding angle of the lugs 14, 16, and 18 is widened, and the holding member 30 is placed on the lower end of the third lug 18. You just need to position it. In this way,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in which the display member 40 is located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position to be installed (see Fig. 6).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운전자 또는 행인의 눈 높이에 맞게 표시 장치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안전표시기의 기능을 극대화시 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display device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eye height of the driver or pedestrian, thereby maximizing the function of the safety indicator.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공사표시장치(10)에는 상기 스탠드 부재(12)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 부재(12)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한 모래주머니(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에는 상기 모래주머니(80)와 연결된 고리(82)가 끼워질 수 있는 홀(22)이 형성된다. 예컨대, 모래주머니 외에도 공사현장에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벽돌 등도 그 사용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sand bag 80 for grasp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and member 12 so that the stand member 12 can be reliably erected on the ground. Can be. The head 20 is formed with a hole 22 into which the ring 82 connected to the sand bag 80 can be fitted.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sand bag,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rick that is commonly encountered in the construction site.

한편, 상기 표시 부재(40)에는 고무 밴딩(76)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깃대(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깃대(72)는 상기 표시 부재(40)의 수직바(44) 상단부분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그 힌지 결합된 부분의 상단에는 돌기(78)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78)는 상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한쌍의 깃대(72)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깃대(72)에 깃발(70)을 부착하면, 운전자 또는 행인이 멀리서도 깃대(72)에 달린 깃발(70)을 보고 공사의 위험을 보다 빨리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ember 4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flagpoles 72 connected by rubber banding 76. The flagpole 72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44 of the display member 40. And the projection 78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hinged portion. As shown in FIG. 4, the protrusion 78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air of flagpoles 72 pivoted upward. As shown in FIG. 4, when the flag 70 is attached to the flagpole 72, a driver or a pedestrian can recognize the danger of construction earlier by looking at the flag 70 attached to the flagpole 72 even from a distance. will be.

여기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러그들의 펼침각도와 홀딩 부재의 고정위치에 따라 표시 부재의 높낮이를 2중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있다.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member can be adjusted twice according to the unfolding angle of the lugs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holding member.

본 고안의 다른 구조적인 특징은 스탠드 부재와 표시 부재로 분리되고 또 각각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다는데 있다.Another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separated into a stand member and a display member, and each of them can be folded for easy portability.

공사현장에서 공사표시기를 철수할 때에는 도 4a 및 도 4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먼저 스탠드 부재(12)에서 표시 부재(40)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부재(12)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제 1 내지 제 3 러그들(14,16,18)을 접는다. 한편, 상기 표시 부재(40)는 상기 시트(48)의 양측 주머니에 끼워져 있는 상기 수평바(46)의 양단을 빼낸 다음 상기 수평바(46)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시트(48)를 둘둘 말아서 부직포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도 4b에 도시됨) 이와 같이, 상기 공사표시기(10)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스탠드 부재(12)와 표시 부재로 각각 분리하여 접어놓을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시에 편리하며, 또한 그 조립이 쉽다.When the construction indicator is withdrawn from the construction sit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display member 40 is first separated from the stand member 12. The stand member 12 folds the first to third lugs 14, 16, and 18 so as to be easily carried.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ember 40 removes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46, which is fitted to both side pockets of the sheet 48, and then rotates the horizontal bar 46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eet 48 is rolled up and secured using a nonwoven fabric (shown in FIG. 4B).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indicator 10 is separately folded and folded into a stand member 12 and a display member for easy portability. It can be placed for convenient storage and transport, and easy to assemble.

상술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unc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탠드 부재와 표시 부재로 분리되고 다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First, it is easy to store and carry because it can be separated into a stand member and a display member and folded back.

둘째, 설치되는 지형적 위치를 고려하여 표시 부재의 높낮이를 2중으로 조절하여 운전자 또는 행인에게 공사의 위험을 빨리 인지시키므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Secon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isplay member to double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ic location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quickly recognizing the danger of construction to the driver or pedestrian.

셋째,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설치된다.Third,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more stably.

넷째, 수직바와 수평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사이즈의 시트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since the length of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can be adjus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common in the sheet of various sizes.

Claims (4)

공사표시장치에 있어서:In the construction display device: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그리고 지면에 세워지는 스탠드 부재와;A stand member which can be folded and unfolded for easy carrying and stands on the ground; 상기 스탠드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리고 안전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부재와;A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stand member and displaying a safety sign; 상기 스탠드 부재상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표시 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부재 및;A member mounted on the stand member to be movable and for holding the display member; 상기 스탠드 부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 부재의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리고 스탠드 부재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한 중량물을 포함하되;A heavy weight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ead of the stand member to hold the stand member more stably on the ground and for grasp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and member; 상기 스탠드 부재는 적어도 3개의 러그들과, 상기 러그들이 힌지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하고,The stand member has at least three lugs and a head to which the lugs are hinged,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홀딩 부재에 장착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는 그리고 시트의 사이즈에 맞추어 그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중심에 힌지 결합되는 그리고 시트의 사이즈에 맞추어 그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 수평바와, 표지가 부착되는 그리고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에 펼친 상태로 부착되는 시트 및 상기 수직바에 힌지결합되고 깃발을 달아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깃대를 구비하여,The display member includes a fixed bar mounted to the holding member,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fixed bar and capable of stretch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at, hinged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bar, It has a horizontal bar that can stretch and adjust length, a sheet to which the cover is attached, and is attached to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in an extended state, and at least one flagpole hinged to the vertical bar and capable of hanging a flag. 휴대가 용이하고 표시 부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표시장치.Construc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sy to carry and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isplay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9990001469U 1999-02-02 1999-02-02 A work indicator KR2002777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69U KR200277752Y1 (en) 1999-02-02 1999-02-02 A work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69U KR200277752Y1 (en) 1999-02-02 1999-02-02 A work ind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87U KR20000016487U (en) 2000-09-25
KR200277752Y1 true KR200277752Y1 (en) 2002-06-15

Family

ID=5475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469U KR200277752Y1 (en) 1999-02-02 1999-02-02 A work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75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99B1 (en) 2012-05-10 2014-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ortable safety marker devices for access to the manh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99B1 (en) 2012-05-10 2014-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ortable safety marker devices for access to the manh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87U (en)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732B2 (en) Humanoid profile safety sign
US4694601A (en) Portable collapsible highway sign
US4548379A (en) Compact sign and stand
US4980984A (en) Highway signs and flags capable of being rolled up
US5829178A (en) Portable collapsible sign and stand
US4817318A (en) Demountable road sign
CA1208013A (en) Slit-tube sign stand
US7007420B2 (en) Barricade sign
US6003827A (en) Universal sign holder
US4183317A (en) Versatile all purpose barricade structures
US20030029066A1 (en) Message displaying apparatus
JP3213742U (en) Standing signboard
KR200277752Y1 (en) A work indicator
US3590506A (en) Emergency vehicle signs
KR200447206Y1 (en)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US3080139A (en) Folding warning flag stands
KR20210011888A (en) Warning device
KR200432854Y1 (en) A tripod
GB2158630A (en) Stabilising frame for a portable sign
KR101528622B1 (en) safety sign apparatus
CN219261951U (en) Portable protective fence
KR101263722B1 (en) multipurpose indicator
US20220307209A1 (en) Mobile spread-out separating and protecting barrier
KR101208125B1 (en) License plate holder with emergency tripod for vehicle
JP3027807U (en) Stands for standing sig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