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984Y1 - 굴토용 삽 - Google Patents

굴토용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984Y1
KR200276984Y1 KR2020020004894U KR20020004894U KR200276984Y1 KR 200276984 Y1 KR200276984 Y1 KR 200276984Y1 KR 2020020004894 U KR2020020004894 U KR 2020020004894U KR 20020004894 U KR20020004894 U KR 20020004894U KR 200276984 Y1 KR200276984 Y1 KR 200276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shovel
tip
ground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일
Original Assignee
박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일 filed Critical 박양일
Priority to KR2020020004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984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작업시 굴토가 용이하고 땅속에 엉겨있는 뿌리나 줄기등을 쉽게 제거 할 수 있도록 하여 굴토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도중 무거운 돌등을 쉽게 파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는 금속재 파이프로 구성하고 삽판의 선단부에는 웨이브형 예인부를 구성한 굴토용 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예인부는 삽의 선단부의 양측에 일정폭과 일정길이로 구성된 웨이브형 요철부를 구비하고 그 선단면을 α각도로 절삭하므로서 웨이브형 연부를 얻는다.
상기 예인부는 단면이 웨이브지고 그 선단은 역시 웨이브형의 연부로 이루어져 있어 굴토작업이 용이 할 뿐 아니라 땅속의 각종 목근이나 줄기등이 쉽게 절단되며 또한 굴토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손잡이가 금속재로 구성된 것이므로 땅속에 묻혀있는 무거운 돌등을 쉽게 이동 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토용 삽{shovel}
본 고안은 특히 조경작업에 알맞는 굴토용 삽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상술하면 삽의 선단부에 목근이나 줄기의 절삭용 웨이브형 예인부를 구성하여 굴토시 땅속에 엉겨 있는 목근이나 줄기 덤불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굴토용 삽에 관한 것이다.
특히 조경작업에 사용되는 굴토용삽은 땅을 파거나 땅속에 엉겨 있는 나무 뿌리나 줄기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의 굴토용 삽으로는 땅속에 엉겨있는 나무뿌리나 줄기등을 쉽게 제거하지 못하여 굴토작업에 적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간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경작업시 굴토가 용이하고 땅속에 엉겨있는 뿌리나 줄기등을 쉽게 제거 할 수 있도록 하여 굴토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도중 무거운 돌등을 쉽게 파 낼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는 금속재 파이프로 구성하고 삽판의 선단부에는 웨이브형 예인부를 구성한 굴토용 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예인부는 삽의 선단부의 양측에 일정폭과 일정길이로 구성된 웨이브형 요철부를 구비하고 그 선단면을 α각도로 절삭하므로서 웨이브형 연부를 얻는다.
상기 예인부는 단면이 웨이브지고 그 선단은 역시 웨이브형의 연부로 이루어져 있어 굴토작업이 용이 할 뿐 아니라 땅속의 각종 목근이나 줄기등이 쉽게 절단되며 또한 굴토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손잡이가 금속재로 구성된 것이므로 땅속에 묻혀있는 무거운 돌등을 쉽게 이동 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 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설명
10 : 삽판 20 : 손잡이
30 : 용접부 11 : 중앙부
12,12a : 요철부 13,13a: 연부
14,14a ; 예인부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 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예인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예인부의 확대 종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20)와 삽판(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20)는 금속재로 구성하여 삽판(10)과는 용접부(30)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삽판(10)은 선단부(10a)의 중앙부(11)가 일정각(θ)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부(11)의 양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웨이브형 요철부(12)(12a)를 각각 형성하고 그 선단을 역시 웨이브형 연부(13)(13a)로 구성하며, 삽판(10)의 전면 즉 연부(13) (13a)와 중앙부(11)를 걸쳐 α각의 예인부(14)(14a)를 구성한다.
상기 α각 예인부는 삽판(10)을 프레스가공할 시 삽판의 선단부 일측에 웨이브형 요철부(12)(12a)를 구성한 다음 도 3도시와 같이 삽판의 선단부를 α각도로 절삭 가공하므로서 얻어진다.
이와같이 웨이브형 요철부를 구성한 다음 α각도로 절삭하므로서 요철부(12) (12a)의 선단이 웨이브형 연부(13)(13a)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삽판(10)의 손잡이(20)가 금속재파이프로 구성되고 삽판과는 용접부로 결합되므로 작업도중 무거운 하중에 견딜 수 있어 무거운 돌등을 옮기기가 용이하며, 삽판의 선단부가 예인부로 구성되고 선단부 일부는 웨이브형 요철부로 구성되며 그 연부가 웨이브형의 예인부로 구성되어 있어 땅속에 엉겨있는 목근이나 줄기등이 쉽게 파절되며 그러므로 굴토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삽판의 선단 연부는 웨이브형의 요철부로 구성되고 그 선단에 예각이 구성된것이므로 삽의 선단이 마모되어도 웨이브형의 예인부는 변화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하여도 예인부의 변형이 없어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굴토용 삽은 굴토작업이 용이하고 땅속의 목근이나 줄기등을 쉽게 파절시킬 수 있어 정토작업이 용이하고, 손잡이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거운 돌등을 쉽게 옮길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손잡이(20)와 삽판(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20)는 금속재로 구성하여 삽판(10)과는 용접부(30)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삽판(10) 선단부(10a)의 중앙부(11)가 일정각(θ)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부(11)의 양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웨이브형 요철부(12)(12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 역시 웨이브형 연부(13)(13a)로 구성되어 삽판(10)의 전면 즉 연부(13)(13a)와 중앙부(11)를 걸쳐 α각의 예인부(14)(14a)를 구성하여서 된 굴토용 삽
KR2020020004894U 2002-02-19 2002-02-19 굴토용 삽 KR200276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94U KR200276984Y1 (ko) 2002-02-19 2002-02-19 굴토용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94U KR200276984Y1 (ko) 2002-02-19 2002-02-19 굴토용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984Y1 true KR200276984Y1 (ko) 2002-05-30

Family

ID=7311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894U KR200276984Y1 (ko) 2002-02-19 2002-02-19 굴토용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9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88Y1 (ko) * 2008-07-11 2011-04-27 주충열 도끼 겸용 삽
KR101305530B1 (ko) 2012-04-23 2013-09-06 이정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88Y1 (ko) * 2008-07-11 2011-04-27 주충열 도끼 겸용 삽
KR101305530B1 (ko) 2012-04-23 2013-09-06 이정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0071A (en) Gardening tool having diverging prongs and straight prongs
US20170107765A1 (en) Portable power rotary device provided with drill having earthwork and cut-off functions
US3531161A (en) Back hoe saw attachment
KR200276984Y1 (ko) 굴토용 삽
FR2530397A3 (fr) Outil de jardinage a usages multiples
US2243127A (en) Weeding and cultivating tool
US4377211A (en) Multi-purpose garden hoe
US1888170A (en) Digging implement
AU719998B2 (en) Blade, in particular for blade-carrying chassis
CN202406491U (zh) 一种宽幅链刀式开沟机
CN205755287U (zh) 一种带支撑板后掠式仿形深松铲
US20140190043A1 (en) Tree stump excavation tool
CN107864701A (zh) 一种切土刃口具有仿生函数锯齿结构的手工锄头
CN205883855U (zh) 园林多功能工具铲
US3011562A (en) Lawn edger
CN2329146Y (zh) 抛垡开沟犁
CN214430188U (zh) 一种割草刀片及使用该割草刀片的茶园割草机
CN211721001U (zh) Led组合锄头
CN214545510U (zh) 一种适用于硬质土壤的开沟刀
CN208821154U (zh) 用于沙地植被种植的多功能土耙
CN101422895A (zh) 两用锄、斧
CN214545392U (zh) 一种适用于硬质土壤的防缠草旋耕刀
CN2318269Y (zh) 一种带三角锥体的推土铲
KR200444577Y1 (ko) 양 날부로 이루어진 농기구
CN2488257Y (zh) 开沟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