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950Y1 -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 Google Patents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950Y1
KR200276950Y1 KR2020020007465U KR20020007465U KR200276950Y1 KR 200276950 Y1 KR200276950 Y1 KR 200276950Y1 KR 2020020007465 U KR2020020007465 U KR 2020020007465U KR 20020007465 U KR20020007465 U KR 20020007465U KR 200276950 Y1 KR200276950 Y1 KR 200276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outlet
movable block
iron co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4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경옥
Original Assignee
민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옥 filed Critical 민경옥
Priority to KR2020020007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95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950Y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기 겸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걸림 및 해제의 반복적인 동작이 가능한 푸시-풀 타입의 원웨이 스위치와 이것과 연계적으로 동작가능한 전자석 타입의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콘센트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과부하시 콘센트의 모든 극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센트의 사용과 관련하여 전기제품이나 전선에 절연불량으로 누전이나 합선이 발생하는 등의 각종 안전사고나 화재 발생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단기 겸용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for a combined circuit breaker, and selects a power source of the outlet by using a push-pull one-way switch that can repeatedly engage and release, and an electromagnet type on / off switch tha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it. It is possible to control all the poles of the outlet in case of overload and to completely cut off all the poles of the outlet in case of overload.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breaker-compatible outlet that would radically reduce the risk.

Description

차단기 겸용 콘센트{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Breaker combined outlet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본 고안은 차단기 겸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풀 타입의 원웨이 스위치 및 전자석 타입의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과, 과부하시 콘센트 스위치의 모든 극을 순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단 등을 포함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를 제공함으로써, 콘센트의 사용과 관련한 각종 안전사고나 화재 발생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단기 겸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sing a push-pull one-way switch and an electromagnet type on / off switch, and all poles of the outlet switch in case of overload. By providing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including a means for instantaneous blocking, it relates to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that can fundamentally reduce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or fir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outlet.

일반적으로 산업용 및 가정용 등에 많이 사용되는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제품, 예를 들면 TV, 라디오, 커피포트, 전기난로 등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전기제품에 내장된 스위치는 대부분 1극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류는 스위치 접점에 의해 차단되었으나, 전압은 충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기제품이나 전선에 절연불량으로 누전이나 합선이 발생하면 대부분 콘센트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In general, when a power outlet such as a TV, a radio, a coffee pot, an electric stove, or the like is used by using an electrical outlet, which is commonly used in industrial and home use, most of the switches inclu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use 1 pole. Because of this, the current is cut off by the switch contact, but the voltage is charged. Therefore, if a short circuit or short circuit occurs due to poor insul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or wires, a fire occurs through the outlet. There is.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걸림 및 해제의 반복적인 동작이 가능한 푸시-풀 타입의 원웨이 스위치와 이것과 연계적으로 동작가능한 전자석 타입의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콘센트의 전원을 선택적으로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과부하시 콘센트의 모든 극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센트의 사용과 관련하여 전기제품이나 전선에 절연불량으로 누전이나 합선이 발생하는 등의 각종 안전사고나 화재 발생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단기 겸용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by using a push-pull one-way switch capable of repeated operation of latching and releasing and an electromagnet type on / off switch which can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it.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outlet and completely blocking all the poles of the outlet in case of overload, various kinds of safety such as short circuit or short circuit occurs due to poor insul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or wires related to the use of the outlet.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outlet for both breakers that can fundamentally reduce the risk of an accident or fir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기계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펄스신호를 이용한 1회의 순간적인 전원공급만으로 콘센트의 온 작동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쉽게 오프 작동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센트의 장시간 작동시에도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콘센트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무전원 방식으로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차단기 겸용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chanically control the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outlet, so that the on-state operation of the outlet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or easily switched off by only one instant power supply using a pulse sig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even when the outlet is operated for a long time, and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combined outlet to minimize the vibration noise generated from the outlet in a non-powered man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겸용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겸용 콘센트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겸용 콘센트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cking state of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겸용 콘센트의 통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ergized state of the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겸용 콘센트에서 과부하시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cking state when overloaded in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입력측 고정단자 11 : 출력측 고정단자10: fixed input terminal 11: fixed output terminal

12 : 상부 케이스 13 : 가동단자12: upper case 13: movable terminal

14 : 가동블럭 15 : 가동철심14: movable block 15: movable iron core

16 : 리턴 스프링 17 : 전원용 단자16: return spring 17: power supply terminal

18 : 하부 케이스 19 : 코일18: lower case 19: coil

20 : 절연블럭 21 : 고정철심20: insulation block 21: fixed iron core

22 : 원웨이 스위치 23 : 유도홈22: one-way switch 23: induction groove

24 : 스프링 25 : 체결캡24: spring 25: tightening cap

26 : 체결핀 27 : 유도돌기26: fastening pin 27: guide protrusion

28 : 바이메탈 안전장치 29 : 외부 출력단자28: bimetal safety device 29: external output termina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입력측 고정단자(10)와 출력측 고정단자(11)를 갖는 상부 케이스(12)와, 적어도 2열의 가동단자(13)를 가지면서 상부 케이스(12)상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가동블럭(14)과, 가동블럭(14)의 저부에 조립되어 함께 움직이는 가동철심(15) 및 이것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16)과, 전원용 단자(17)를 갖는 코일(19) 및 이것을 지지하는 절연블럭(20)과, 코일(19)의 전원공급과 동시에 자화되면서 가동철심(15)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고정철심(21) 및 이것을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18)와, 상기 가동블럭(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서로 접촉되면서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반복 설정하여 각고정단자(10),(11)와 가동단자(13)를 접속 또는 단락시켜주는 원웨이 스위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case 12 having an input side fixed terminal 10 and an output side fixed terminal 11, and a movable block 14 movable up and down on the upper case 12 while having at least two rows of movable terminals 13. And a movable iron core 15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movable block 14 and moving together, a return spring 16 elastically supporting it, a coil 19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17, and an insulating block supporting it. 20 and a fixed iron core 21 for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iron core 15 while being magnetized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supply of the coil 19, a lower case 18 for accommodating the same, and one side of the movable block 14 Arranged and contacted with each other to sequentially set the rising position and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core 15 in order to connect or short-circuit each fixed terminal 10, 11 and the movable terminal 13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one-way switch (22).

특히, 과부하에 따른 팽창력으로 원웨이 스위치(22)를 면방향으로 젖혀주면서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하강위치 구속을 해제하여 전원의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바이메탈 안전장치(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bimetal safety device 28 to release the restrained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core 15 by releasing the one-way switch 22 in the plane direction by the expansion force due to the overload, thereby enabling the power of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출력측 고정단자(11)는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를 접속시킬 수 있는 콘센트의 외부 출력단자(29)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side fixed terminal 11 of the upper case 1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29 of the outlet for connecting the power cord of the electrical appliance.

또한, 상기 원웨이 스위치(22)는 한쪽면에 돌기의 일방향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유도홈(23)과, 상부 케이스(12)상에 상단 지지를 위한 체결캡(25) 및 체결핀(26)과, 체결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을 위한 스프링(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ne-way switch 22 is a predetermined guide groove 23 for guiding the one-way progression of the projection on one side, the fastening cap 25 and the fastening pin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n the upper case 12 ( 26) and a spring 24 for flow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fastening portion as a support point.

또한, 상기 가동블럭(14)과 원웨이 스위치(22) 간의 접촉을 위한 수단은 블럭의 측면에 구비되는 유도돌기(27)와, 이 유도돌기(27)의 진행을 안내하는 스위치의 유도홈(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ans for contact between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one-way switch 22 is an induction projection 27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lock, and the induction groove of the switch for guiding the progress of the induction projection 27 ( 23)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원웨이 스위치(22)의 유도홈(23)은 하단구간에 유도돌기(27)의 걸림을 위한 안착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duction groove 23 of the one-way switch 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portion for locking the induction projection 27 in the lower section.

또한, 상기 코일(19)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은 푸시버튼 또는 리모콘 유무선 원격제어수단을 이용하여 펄스파를 인가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coil 19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se wave is applied by using a push button or a remote control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 means.

또한, 상기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위한상하작동은 가동블럭(14)의 상단 돌출부위의 누름조작을 통한 수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 and down operation for the rising position and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iron core 15 is characterized in that possible by the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pper projection of the movable block 14. .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와 하부 케이스(18)는 상하 결합되어 소정의 하우징을 구성하게 되고, 그 내측에는 상하 이동가능한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과 이것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고정철심(21)이 위아래 배치되며, 고정철심(21)에는 전원공급이 가능한 코일(19)이 배속되어 코일(19)의 전원유무에 따라 자화되면서 가동철심(15)을 끌어 당길 수 있게 된다.1 and 2, the upper case 12 and the lower case 18 are coupled up and down to form a predetermined housing,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core 15 which can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reof. And a fixed iron core 21 for inducing the movement thereof are disposed up and down, and the movable iron core 15 is magneti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wer of the coil 19 to the fixed iron core 21 to which the power supply coil 19 is assigned. ) Can be pulled.

또한, 상기 가동철심(15)과 고정철심(21)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16)과 절연블럭(20)이 배치되어 가동철심(15)에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또 철심 간에 절연을 가능하게 해준다.In addition, a return spring 16 and an insulating block 20 are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core 15 and the fixed core 21 to impart a restoring force to the movable core 15 and to insulate between the cores. Let's do it.

상기 상부 케이스(12)와 가동블럭(14)에는 서로 접속 및 단락이 가능한 다수의 입력측 고정단자(10) 및 출력측 고정단자(11)와 가동단자(13)가 구비된다.The upper case 12 and the movable block 14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side fixed terminals 10, an output side fixed terminal 11, and a movable terminal 13 that can be connected and shorted to each other.

이때의 출력측 고정단자(11)는 외부 출력단자(29)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를 외부 출력단자(29)에 접속시키면 입력측 고정단자(10) →가동단자(13) →출력측 고정단자(11)를 통하여 전기제품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output side fixed terminal 1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29. Accordingly, when the power cord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29, the input side fixed terminal 10 → the movable terminal 13 → the output side of the fixed terminal (11) can be supplied with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여기서, 본 고안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에서는 1개의 외부 출력단자만을 보여주고 있지만, 입출력측 고정단자의 수를 늘리거나 또는 1개의 출력측 고정단자와 여러 개의 외부 출력단자를 병렬로 연결하면 하나의 콘센트로 여러 전기제품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Her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external output terminal is shown, but when the number of fixed input / output side terminals is increased or one output side fixed terminal and multiple external output terminals are connected in one, It is also possible to use several electrical appliances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콘센트에서 온/오프 상태를 의미하는 가동철심(15)와 고정철심(21) 간의 접속/단락은 코일(19)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철심(21)의 자화여부에 의해 그 접속/단락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실질적으로 온/오프 상태의 유지는 원웨이 스위치(2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The connection / short between the movable iron core 15 and the fixed iron core 21 which means an on / off state in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such a basic component generates magnetic force by the power supplied to the coil 19. The magnetization of the fixed core 21 is performed for the connection / short circuit is made, the maintenance of the on / off state is substantially made by the one-way switch (22).

이를 위하여, 상기 원웨이 스위치(22)는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한쪽면에 돌기의 일방향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유도홈(23), 상부 케이스(12)상에 상단 지지를 위한 체결캡(25) 및 체결핀(26), 체결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을 위한 스프링(24) 등을 포함하게 된다.To this end, the one-way switch 22 serves to restrain the rising position and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iron core 15 sequentially and repeatedly to induce one-way progression of the projection on one side. The predetermined guide groove 23 for the top, the fastening cap 25 and the fastening pin 26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n the upper case 12, the spring 24 for the flow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the fastening portion as a support point, etc. It will include.

상기 가동블럭(14)과 원웨이 스위치(22) 간의 접촉을 위하여, 가동블럭(14)의 측면에는 유도돌기(27)가 형성되고, 이 유도돌기(27)가 원웨이 스위치(22)의 유도홈(23)을 따라 안내를 받아 진행되면서 소정의 위치에 구속되면, 가동블럭(14) 전체의 상승위치 또는 하강위치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make contact between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one-way switch 22, an induction protrusion 2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induction protrusion 27 is guided by the one-way switch 22. If it is guided along the groove 23 and constrai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rising position or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entire movable block 14 can be determined.

즉, 가동블럭(14)의 유도돌기(27)가 원웨이 스위치(22)의 유도홈(23)이 갖는 하단의 요홈구간에 안착되면 가동블럭(14)은 하강위치에 있게 되고, 그 이외에는 상승위치에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induction protrusion 27 of the movable block 14 is seated in the recess of the lower end of the induction groove 23 of the one-way switch 22, the movable block 14 is in the lowered position. Will be in position.

또한, 본 고안에서는 코일(19)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수동조작방식의 푸시버튼이나, 또는 리모콘 유무선 원격제어수단을 이용하여 펄스파를 인가하는방식을 채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push button of a manual operation method or a method of applying a pulse wave using a remote control wired / wireless remote control means as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coil 19 side.

예를 들면, 작업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코일(19)측으로 1회 펄스파 전원이 인가되면, 가동철심(15)과 고정철심(21) 간의 1회 접촉작용 후 곧바로 분리된다.For example, when the pulse wave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9 side by the operator's remote control operation, it is separated immediately after the one-time contact action between the movable iron core 15 and the fixed iron core 21.

그러나, 이렇게 가동철심(15)과 고정철심(21)이 분리된 경우라도 콘센트는 위의 원웨이 스위치(22)의 작동에 의해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However, even when the movable iron core 15 and the fixed iron core 21 are separated in this way, the outlet can be maintained in an on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one-way switch 22.

특히, 본 고안의 콘센트에서는 과부하시 전원을 완벽하게 차단해주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afety device that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when overloaded.

이를 위하여, 출력측 고정단자(11)와 함께 접점을 이루면서 원웨이 스위치(22)측의 하단에 근접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바이메탈 안전장치(29)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과부하시 바이메탈 안전장치(29)이 팽창하여 원웨이 스위치(22)의 하단을 면방향, 즉 케이스의 측면방향으로 젖혀주면, 원웨이 스위치(22)의 유도홈(23)으로부터 가동블럭(14)의 측면에는 유도돌기(27)가 벗어나면서 구속력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가동단자(13)를 포함하는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 전체가 리턴 스프링(16)의 힘을 받아 위로 상승하게 되므로, 입출력측 고정단자(10),(11) 간의 연결이 끊어짐과 동시에 콘센트의 모든 극이 끊어지면서 콘센트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다.To this end, there is provided a bimetallic safety device 29 extending downward so as to be dispos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one-way switch 22 side while forming a contact with the output side fixed terminal 11, whereby the bimetallic safety device 29 in case of overload When the expansion and the lower end of the one-way switch 22 is folded in the surface direction, that is, the side direction of the case, the induction projection 27 on the side of the movable block 14 from the induction groove 23 of the one-way switch 22. As the restraint force is released while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iron core 15 including the movable terminal 13 are lifted up by the force of the return spring 16, the fixed input / output side terminal ( 10), (11) is disconnected and at the same time all the poles of the outlet is cut off the power of the outlet is completely cut off.

이에 따라, 콘센트를 통한 누전이나 합선 등의 각종 안전사고나 화재 발생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solve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a short circuit or a short circuit through the outlet or a fire.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cking state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는 리턴 스프링(16)의 힘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있게 되고, 이때의 가동블럭(14)은 원웨이 스위치(22)에 의한 구속없이 상승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iron core 15 are raised by the force of the return spring 16, and the movable block 14 at this time is the one-way switch 22. The rising posi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restrained by.

이에 따라, 입력측 고정단자(10)와 출력측 고정단자(11)를 연결하는 가동단자(13)가 이것들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면서 콘센트의 차단상태가 유지된다.Thereby, the movable terminal 13 which connects the input side fixed terminal 10 and the output side fixed terminal 11 is located away from these, and the interruption | blocking state of an outlet is maintaine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통전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ergized state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등을 이용한 유무선 원격제어수단을 통한 펄스신호(수초 이하의 전압전류 파형)를 인가하면, 전원용 단자(17)를 통해 코일(19)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시에 가동철심(15)은 고정철심(21)측으로 당겨저 붙게 되고, 이와 함께 가동블럭(14)도 아래로 당겨지면서 각각의 입출력측 고정단자(10),(11)와 가동단자(13)가 동시에 붙게 되므로, 각 단자 간의 접속에 의한 콘센트의 통전상태가 유지된다.As shown in Fig. 4, when a pulse signal (voltage current waveform of several seconds or less) is appli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 means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power is supplied to the coil 19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17 and simultaneously operated. The iron core 15 is pulled to the fixed iron core 21 side, and the movable block 14 is also pulled down so that each of the input and output fixed terminals 10, 11 and the movable terminal 13 can be simultaneously attached. Therefore, the energized state of the outlet by the connection between each terminal is maintained.

이때의 가동블럭(14)은 그 유도돌기(27)를 통해 원웨이 스위치(22)에 의한 구속을 받아 하강위치에서 고정된다.The movable block 14 at this time is fixed in the lowered position by being constrained by the one-way switch 22 through the guide protrusion 27.

이때, 가동철심(15)과 고정철심(21)은 전원상실에 따라 초기(차단상태)의 간격만큼 떨어져 있어야 하지만, 위의 가동블럭(14)의 하강위치 유지에 따라 약간의 간격만 유지한 상태로 떨어져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able iron core 15 and the fixed iron core 21 should be separated by the interval of the initial (blocking state) according to the power loss, but only a slight interval is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lowered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14 above. You are away.

즉, 가동철심(15)과 고정철심(21)의 접속/단락 작동은 원터치 방식(예를 들면, 펄스신호에 따라 전원이 순간적으로 1회 공급되어 가동철심과 고정철심이 한번붙었다 떨어지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움직임만을 발생시키게 되며, 콘센트의 통전상태는 실질적으로 원웨이 스위치(22)의 구속작용을 이용한 가동블럭(14)의 하강위치 유지작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necting / shor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re 15 and the fixed core 21 is performed in a one-touch method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the power is instantaneously supplied once according to the pulse signal and the movable core and the fixed core are attached and dropped once). It is made b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core 15 is generated only, the energized state of the outlet is substantially in the lowering position maintenance of the movable block 14 using the restraining action of the one-way switch 22 Can be maintained.

이러한 작동원리는 종전과 같이 전자석 수단, 즉 가동철심(15)과 고정철심(21)의 지속적인 온 상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전력소모 등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배선조합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This operation principle does not require the continuous on state of the electromagnet means, that is, the movable iron core 15 and the fixed iron core 21 as bef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 efficient wiring combination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또한, 콘센트의 통전상태에서 차단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리모콘 등을 조작하여 펄스신호에 의한 전원을 한번 더 인가하면, 가동철심(15)이 고정철심(21)측으로 한번 붙었다 떨어지면서 가동블럭(14)을 살짝 아래로 당겼다 놓아주게 되고, 이에 따라 원웨이 스위치(22)의 반복적인 일방향 구속 및 해제작용에 의해 가동철심(15)을 포함하는 가동블럭(14)이 상승위치로 복귀되므로, 가동블럭(14)의 상승과 동시에 이것의 가동단자(13)와 케이스상의 입출력측 고정단자(10),(11) 간의 분리에 의해 콘센트는 차단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witch from the energized state of the outlet to the interrupted state, if the power by the pulse signal is applied once more by operat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he movable iron core 15 is stuck once to the fixed iron core 21 side and falls off and the movable block 14 By slightly pulling down and releasing, the movable block 14 including the movable iron core 15 is returned to the lifted position by the repeated one-way restraining and releasing action of the one-way switch 22, so that the movable block ( At the same time as the rise of 14, the outlet can be switched to the blocking state by separation between the movable terminal 13 and the input / output side fixed terminals 10, 11 on the case.

이러한 콘센트의 작동은 위와 같은 리모콘 등을 통해 전원을 인가하는 가동철심(15)과 고정철심(21) 간의 접속/단락 작동에 의존하지 않고도 가동블럭(14)의 상단 돌출부를 누름조작하는 수동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동블럭(14)의 수동조작시에도 콘센트의 작동상태는 자동조작시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outlet is a manual operation of pressing the upper protrusion of the movable block 14 without relying on the connection / short operation between the movable iron core 15 and the fixed iron core 21 for supplying pow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let can be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utomatic operation even in the manual operation of the movable block 14.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과부하시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cking state when the overload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이나 전선에 절연불량으로 누전이나 합선 등에 의해 바이메탈 안전장치(28)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이때에는 바이메탈 안전장치(29)의 팽창작용에 의해 원웨이 스위치(22)의 하단이 젖혀지면서 유도돌기(27)와 유도홈(23) 간의 구속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가동단자(13)를 포함하는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 전체가 리턴 스프링(16)의 힘을 받아 위로 상승하게 되므로, 입출력측 고정단자(10),(11) 간의 연결이 끊어짐과 동시에 콘센트의 모든 극이 끊어지면서 콘센트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다.As shown in FIG. 5, when an overload occurs in the bimetallic safety device 28 due to a short circuit or a short circuit due to a poor insulation of an electrical appliance or an electric wire, a one-way switch ( As the lower end of the cover 22 is retracted, the restraint state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27 and the guide groove 23 is released, so that the movable block 14 including the movable terminal 13 and the movable iron core 15 as a whole are return springs. The power of the outlet is completely cut off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 output side fixed terminals 10 and 11 is broken while all the poles of the outlet are disconnec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원웨이 스위치를 이용한 푸시-풀 타입의 스위치 수단과 전자석을 이용한 온/오프 타입의 스위치 수단을 채용하여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과부하시 자동으로 콘센트의 모든 극을 차단하여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를 제공함으로써, 콘센트의 온/오프 조작을 수동 및 원격제어를 통해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장시간 작동시에도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콘센트의 사용과 관련하여 전기제품이나 전선에 절연불량으로 누전이나 합선이 발생하는 등의 각종 안전사고나 화재 발생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push-pull type switch means using a one-way switch and an on / off type switch means using an electromagnet to perform power supply and interruption with a mechanical mechanism. By providing a circuit breaker with a circuit breaker that automatically cuts off all poles of the outlet and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in case of overload,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outlet can be done easily and conveniently through manual and remote control.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above all, the advantage of fundamentally reducing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or fires, such as short circuits or short circuits caused by poor insul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or electric wires,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electrical outlets. have.

Claims (8)

입력측 고정단자(10)와 출력측 고정단자(11)를 갖는 상부 케이스(12);An upper case 12 having an input side fixed terminal 10 and an output side fixed terminal 11; 적어도 2열의 가동단자(13)를 가지면서 상부 케이스(12)상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가동블럭(14);A movable block 14 movable up and down on the upper case 12 with at least two rows of movable terminals 13; 가동블럭(14)의 저부에 조립되어 함께 움직이는 가동철심(15) 및 이것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16);A movable iron core 15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movable block 14 and moving together and a return spring 16 that elastically supports it; 전원용 단자(17)를 갖는 코일(19) 및 이것을 지지하는 절연블럭(20);A coil 19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17 and an insulating block 20 supporting the coil 19; 코일(19)의 전원공급과 동시에 자화되면서 가동철심(15)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고정철심(21) 및 이것을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18);A fixed iron core 21 for inducing movement of the movable iron core 15 while being magnetized simultaneously with the power supply of the coil 19 and a lower case 18 accommodating the same; 상기 가동블럭(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서로 접촉되면서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반복 설정하여 각 고정단자(10),(11)와 가동단자(13)를 접속 또는 단락시켜주는 원웨이 스위치(22);Arrang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block 14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ising and lowering positions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core 15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set so that the fixed terminals 10 and 11 and the movable terminal are sequentially set. A one-way switch 22 which connects or shorts 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Combined outle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과부하에 따른 팽창력으로 원웨이 스위치(22)를 면방향으로 젖혀주면서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하강위치 구속을 해제하여 전원의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바이메탈 안전장치(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2. The bimetallic safet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metal safety is made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lowered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core 15 by turning the one-way switch 22 in the plane direction with the expansion force due to the overload. A combined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vice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출력측 고정단자(11)는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를 접속시킬 수 있는 콘센트의 외부 출력단자(29)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2.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fixed terminal (11) of the upper case (1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output terminal (29) of an outlet to which a power cord of an electric product can be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스위치(22)는 한쪽면에 돌기의 일방향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유도홈(23)과, 상부 케이스(12)상에 상단 지지를 위한 체결캡(25) 및 체결핀(26)과, 체결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을 위한 스프링(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ne-way switch 22 is a predetermined guide groove 23 for guiding one-way progression of the projection on one side, and the fastening cap 25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n the upper case 12 And a fastening pin 26 and a spring 24 for flow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fastening portion as a supporting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럭(14)과 원웨이 스위치(22) 간의 접촉을 위한 수단은 블럭의 측면에 구비되는 유도돌기(27)와, 이 유도돌기(27)의 진행을 안내하는 스위치의 유도홈(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The swi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contact between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one-way switch (22) comprises a guide protrusion (27) provided at the side of the block and a switch for guiding the progress of the guide protrusion (27). Combined outle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guide groove (23) of.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스위치(22)의 유도홈(23)은 하단구간에 유도돌기(27)의 걸림을 위한 안착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6.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4 or 5, wherein the guide groove (23) of the one-way switch (22) includes a seating portion for locking the guide protrusion (27) in a lower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9)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은 푸시버튼 또는 리모콘 유무선 원격제어수단을 이용하여 펄스파를 인가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to the coil (19) side is a combined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a pulse wave using a push button or a remote control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럭(14) 및 가동철심(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위한 상하작동은 가동블럭(14)의 상단 돌출부위의 누름조작을 통한 수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겸용 콘센트.2. The operation of claim 1, wherein the up and down operation for the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movable iron core 15 is made possible by a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pper projection of the movable block 14. A combined circuit breaker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20007465U 2002-03-13 2002-03-13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KR2002769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65U KR200276950Y1 (en) 2002-03-13 2002-03-13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65U KR200276950Y1 (en) 2002-03-13 2002-03-13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950Y1 true KR200276950Y1 (en) 2002-05-27

Family

ID=7311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465U KR200276950Y1 (en) 2002-03-13 2002-03-13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95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32A (en)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에릭테크 Electric leakage alarm concent operating an automatic cutout and reclosure using microproc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32A (en)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에릭테크 Electric leakage alarm concent operating an automatic cutout and reclosure using microproc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843B1 (en) Contactor-circuit breakerreverse current relay
CN100433224C (en) Grounded failure circuit break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function
KR101016212B1 (en) Micro switch
US8717718B2 (en) Electrical load control with fault protection
US20130063231A1 (en) Solenoid-actuated contactor
JP2010062140A (en) Relay
CN108172469B (en) Electrical device for breaking an electric current
CN108061838B (en) Electric leakage test method for ensuring normal electricity consumption of user
CN103871779A (en)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MXPA04004825A (en) Noise-free low-power consumption wide voltage range dc and ac contactor.
KR200276950Y1 (en) A combination breaker and outlet
CN212676128U (en) Maintenance electrician short circuit device
KR100430895B1 (en) Electromagnetic switch
KR100430896B1 (en) Multifunction circuit breaker
KR200275712Y1 (en) Electromagnetic switch
JP3920963B2 (en) Earth leakage breake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function
CN102610456A (en) Thermomagnetic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KR100549850B1 (en) Voltage trip attachment of circuit breaker
CN112908779B (en) Time relay with connection combined structure
CN215678471U (en) Quick switching operation mechanism for secondary circuit of current transformer
CN214797228U (en) Dual-power isolating switch-off lock device
JP4301132B2 (en) Remote control circuit breaker
CN211654632U (en) Wall switch with overcurrent protection function
CN209641595U (en) A kind of push rod component and its nonpolarity contactor
KR100558387B1 (en) GFCI receptacles with auto trip function if damaged circuit and/or no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