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839Y1 -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6839Y1 KR200276839Y1 KR2020020007655U KR20020007655U KR200276839Y1 KR 200276839 Y1 KR200276839 Y1 KR 200276839Y1 KR 2020020007655 U KR2020020007655 U KR 2020020007655U KR 20020007655 U KR20020007655 U KR 20020007655U KR 200276839 Y1 KR200276839 Y1 KR 2002768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 terminal
- terminal body
- present
- camera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 통화 또는 VOD 시청시 사용자가 카메라 또는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하기 적합한 위치에 단말기 본체가 놓여지도록 단말기 본체를 지지 고정할 수 있는 화상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 시청시에 단말기 본체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부가 형성하여 화상 단말기를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and fixing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terminal body is plac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the user to watch the camera or the LCD screen during a video call or VOD. The image terminal is constituted by additionally forming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상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통화 또는 VOD 시청시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하기 적합한 위치에 단말기 본체가 놓여지는 화상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terminal in which the terminal body is plac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a user to watch a digital camera or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during a video call or VOD viewing.
근래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처리속도 및 RF 주파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속도의 증가 등 데이터 전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단순한 통화 기능에서 양방간의 화면을 보면서 통화하는 화상 통화 또는 VOD(Video On Demand)방식의 영화, 드라마, 비디오 광고 서비스, 비디오 메일 서비스, 멀티미디어 교육 서비스 등의 동영상 시청, 그리고 AOD(Audio On Demand)방식의 각종 음악, 회화 등의 음성 청취가 가능한 화상 단말기로 대체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developed data transmission technologies such as data processing speeds and data transmission speeds using RF frequencies, video calls or VOD (Video On Demand) movies that make calls while viewing the screen between both parties are simple. It is being replaced by a video terminal capable of watching a video such as a drama, a video advertisement service, a video mail service, a multimedia education service, and listening to a variety of music and conversations using an audio on demand (AOD) method.
그러나, 이러한 화상 단말기는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 시청에 불편함이 있어왔다. 즉,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할 때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단말기 사용자가 주시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지지시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야 하나 종래 화상 단말기는 별다른 고정수단이 없어 대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손에 쥐고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such video terminals have been inconvenient for video calls or video viewing. In other words, when making a video call, the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should be support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the terminal user to avoid shaking. 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terminal does not have any fixing means. There is inconvenience to be done.
또한, VOD 등의 동영상 시청시에도 단말기 사용자가 액정 표시화면을 주시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지지시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나 하나 이 역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손에 쥐고 사용하여야 하는 등 사용에 있어 매우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watching a video such as VOD, the terminal user is supported by a position suitable for watch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so as not to be shaken, but it is also very inconvenient to use such that the terminal user has to use the terminal body in his hand. There is this.
이에 본 고안은 화상 통화 또는 VOD 시청시 사용자가 카메라 또는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하기 적합한 위치에 단말기 본체가 놓여지도록 단말기 본체를 고정할 수 있는 화상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terminal capable of fixing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terminal body is plac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the user to watch the camera or the LCD screen during a video call or VOD viewing.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단말기 본체에 카메라 및 액정표시화면이 구비되어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화상 단말기로서,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 시청시에 단말기 본체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부가 형성하여 화상 단말기를 구성한다.Therefor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terminal capable of viewing a video call or a video by providing a camera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on the terminal main body, and the terminal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a video call or video view. An image terminal is constituted by additionally forming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o be inclined.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일부 단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6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7 is a use state diagram of a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 단말기 본체 12 : 플립커버10: terminal body 12: flip cover
14 : 액정표시화면(LCD) 16 : 스피커 유닛14 LCD Screen 16 Speaker Unit
18 : 마이크 유닛 20 : 받침부재18: microphone unit 20: support member
30 : 승강공 40 : 경사 단차부30: elevator 40: inclined step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일부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상 단말기는 플립 타입의 화상 단말기로서, 이하에서 플립 타입의 화상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video terminal illustrated in FIGS. 1 and 2 is a flip type video terminal,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 flip type video termina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에 플립 커버(12)가 힌지 등의 회동 체결수단으로 결합되고, 단말기 본체의 전면으로 화상 통화시 상대방의 영상이 표시되거나 VOD 시청시 출력되는 동영상이 표시되는 액정표시화면 (LCD,14)및 음성 신호가 입출력되는 스피커 유닛(16) 및 마이크 유닛(18)이 형성된다.As shown,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ip cover 12 is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0 by a rotation fastening means such as a hinge, and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or watched VOD when the video call to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And a speaker unit 16 and a microphone unit 18 to which an audio signal is output and an audio signal is input and output.
그리고, 단말기 본체(10)의 전면 소정 위치에 화상 통화시 사용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camera 11 for capturing an image of a user during a video call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terminal body 10.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에 단말기 본체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놓여져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imag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ing member is formed in the terminal main body 10 so that the terminal main body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받침부재는 한글 자음 'ㄷ' 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양끝단(20a)이 단말기본체의 측면에 상하 수직하게 형성된 승강공(30)에 삽입 설치된 받침바(bar,20)이다.The support member is formed by bending the Hangul consonant 'c' shape, both ends (20a) is a support bar (bar, 20)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hole 30 formed vertically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그리고, 받침바의 양끝단(20a)이 승강공(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받침바의 양끝단에는 승강공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22)이 형성된다.Then, both ends 20a of the support bar are formed at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elevator hole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so that the ends 20a of the support bar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받침바의 중단(20b)에는 단말기 본체(10)를 지지할 때 받침바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드(24)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top 20b of the support bar forms a rubber pad 24 to prevent the support bar from being pushed when supporting the terminal body 10.
그리고, 단말기 본체(10)에는 승강공(22)의 하부에 근접되는 위치에 하향되게 경사 단차부(40)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body 1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tepped portion 40 downward in a position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hole 22.
여기서, 하향되게 경사 단차부(40)를 형성하는 것은 받침부재인 받침바(20)가 승강공(30)을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 도 2의 도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경사 단차부(40)에 걸려 받침바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으로 형성된 것이다.Here, the inclined stepped portion 40 is formed to be downwardly inclined stepped portion 40 while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of FIG. 2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bar 20, which is a supporting member, is lowered along the lifting hole 30. ) Is formed as a stopper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bar.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동작을 도2,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to 7.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에서 받침바의 승강 이동 및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이다.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lifting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support bar in the imag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imag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평상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바(20)를 단말기 본체(10)에 밀착시켜 보관한다.Referring to this, the imag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0 to the terminal body 10 as shown in FIG.
이때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바의 양끝단(20a)은 승강공(30)의 상부에 위치되고, 승강공의 양측벽에 받침바(20)가 안내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both ends (20a) of the support bar is located above the lifting hole 30, the support bar 20 is guided to both side walls of the lifting hol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화상 통화 또는 VOD 시청을 하기 위해 단말기 본체(10)가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바(20)를 뒤로 젖힌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bar 20 is flipped back so that the terminal body 10 is inclined to allow the user to hold a video call or watch a video on demand without holding the terminal body by hand.
이를 위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바(20)를 하측으로 잡아 당겨 받침바의 끝단(20a)이 승강공(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바를 단말기 본체(10)의 후측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다.To this end, first, as shown in FIG. 5, by pulling the support bar 20 downward, the end 20a of the support bar is lower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lifting hole 30, and in this state, illustrated in FIG. 6.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ar is rotated to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10 at a predetermined angle.
이때, 받침바(20)의 회전 각도는 받침바가 경사 단차부(40)에 접촉될 때까지 임의로 회전하는 각도이며, 받침바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단말기 본체(10)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놓여지는 각도가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bar 20 is an angle to rotate arbitrarily until the support bar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tep 40, the angle that the terminal body 1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bar. Is adjusted.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플립 커버가 구비된 플립 커버 타입의 화상 단말기를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플립 커버가 구비된 화상 단말기 이외에 폴더가 구비된 폴더 타입의 화상 단말기에도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a flip cover type video terminal provided with a flip cover. However, the folder type video terminal provided with a folder is not depart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can be applied within the limi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받침바가 형성되어 있어 화상 통화 또는 VOD 시청시 단말기 본체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놓여진다.As described above, the vide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bar is formed so that the terminal body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a video call or VOD viewing.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 통화 또는 VOD 시청을 위해 단말기 본체를 손으로 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또한 받침바의 회전 각도로 일정 범위 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어 화상 통화시 카메라의 영상 촬영에 최적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VOD 시청시 영상이 출력되는 액정 표시화면을 사용자가 주시하기에 최적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hold the terminal body by hand for a video call or VOD viewing is eliminat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bar can be adjusted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the optimal position for taking a video of the camera during the video call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optimal position adjustmen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look 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that the video is output when watching VO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7655U KR200276839Y1 (en) | 2002-03-15 | 2002-03-15 |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7655U KR200276839Y1 (en) | 2002-03-15 | 2002-03-15 |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6839Y1 true KR200276839Y1 (en) | 2002-05-25 |
Family
ID=7307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7655U KR200276839Y1 (en) | 2002-03-15 | 2002-03-15 |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6839Y1 (en) |
-
2002
- 2002-03-15 KR KR2020020007655U patent/KR20027683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33722B2 (en) | Portable device | |
EP1773031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isplay positionable at an angle | |
EP1968285A2 (en) | Mobile terminal | |
EP1773094A2 (en) | 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US20040185878A1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in wireless mobile terminal | |
KR100866232B1 (en) | Handheld terminal | |
JPH0758814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KR200276839Y1 (en) |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 |
KR100651520B1 (en) |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JP2005175777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KR100700567B1 (en) | Handheld terminal | |
EP0785685B1 (en) | Audio and vide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uch as a videophone system | |
KR100709586B1 (en) | Slide and Rotation Type Handheld Terminal | |
KR20040051651A (en) | Terminal for portable image information | |
JP2006352882A (en) | Device for hands-free operation cum remote control of mobile terminal | |
KR100376573B1 (en) | Mobile phone suitable seating on table | |
KR200314197Y1 (en) | Folder type cellular phone with wide screen | |
KR100703484B1 (en) |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200321575Y1 (en) | Folder 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peaker at outside of terminal case | |
KR101168091B1 (en) |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display-data selectively according to be opened and closed of prop and Method thereof | |
KR10052539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Video | |
JP2002320018A (en) | Placing plate for portable radio equipment | |
KR10065159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311950Y1 (en) | A handphone for image conversation by telephone | |
JP2006157317A (en) | Mobile inform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