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586Y1 -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 Google Patents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586Y1
KR200276586Y1 KR2020020005174U KR20020005174U KR200276586Y1 KR 200276586 Y1 KR200276586 Y1 KR 200276586Y1 KR 2020020005174 U KR2020020005174 U KR 2020020005174U KR 20020005174 U KR20020005174 U KR 20020005174U KR 200276586 Y1 KR200276586 Y1 KR 200276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caricature
recorded
group
commem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1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언상
Original Assignee
이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언상 filed Critical 이언상
Priority to KR2020020005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58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586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앨범의 수록면에 사진과 그에 상응하는 캐리커처를 함께 수록하므로써, 상기 캐리커처의 연상작용에 의해 그 당시의 좋은 추억을 보다 생생하게 회상할 수 있게하며, 그에 따라 앨범을 자주 연람하게 되어 앨범이 오랜 기간에 걸쳐 소중한 기념품으로 남을 수 있도록 한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y recording the photos and the corresponding caricatures on the recording surface of the album together, it is possible to recall the good memories of the time more vividly by the association of the caricatures, accordingly the album is frequently read It is about the editing structure of a commemorative album using caricatures that can remain as a valuable souvenir for a long time.

이같은 본 고안은, 개인사진, 두명 이상의 그룹사진, 단체사진 등이 다수장의 앨범 수록면(P)에 수록되는 기념앨범에 있어서; 수록되는 상기 사진(11)들 주연에 그 주인공과 상응하도록 제작한 캐리커처(14)를 함께 수록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subject innovation is in a commemorative album in which individual photographs, two or more group photographs, group photographs, etc. are recorded on a plurality of album recording surfaces 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icature 14 produced to correspond to the main character on the periphery of the photographs 11 recorded.

이러한 본 고안의 기념앨범에 의해, 기념앨범의 당사자는 상기 캐리커처를 통한 연상효과로 인해 앨범에 게재된 관련 인물들의 기억 내지는 그들과의 추억을 보다 생생하게 되살릴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기념앨범을 열람하는 제 3 자들은 기존의 틀에박힌 형태를 벗어나 색다른 느낌의 앨범을 접하게 됨에 따라 매우 흥미감을 느끼면서 앨범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By the commemorative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y of the commemorative album can relive the memories or memories of the relevant persons published in the album more vividly due to the association effect through the caricature, and also read the commemorative album As the third party encounters an album with a different feeling beyond the conventional stereotype, it is possible to read the album with a very interesting feeling.

Description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Commemorative album editing structure using caricatures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본 고안은 기념앨범의 편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앨범의 수록면에 사진과 그에 상응하는 캐리커처를 함께 수록하므로써, 상기 캐리커처의 연상작용에 의해 그 당시의 좋은 추억을 보다 생생하게 회상할 수 있게하며, 그에 따라 앨범을 자주 연람하게 되어 앨범이 오랜 기간에 걸쳐 소중한 기념품으로 남을수 있도록 한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commemorative album, and more specifically, by recording the photo and the corresponding caricature together on the recording surface of the album, the good memories of the time can be recalled more vividly by the association of the caricature. It is about the structure of commemorative albums using caricatures, whereby the albums are frequently viewed and the albums remain valuable souvenirs fo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각 학교에서는 학교를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사전 제작된 졸업앨범을 나누어주므로써 학창시절의 소중한 추억들을 간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졸업앨범에는 졸업생들의 개인사진, 각 학급의 단체사진, 축제나 각종 행사의 장면들을 담은 기념사진들이 다량 수록된다. 또한, 이렇게 학교에서 제작되는 졸업앨범 외에도, 기업체나 각종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개개인의 가정에 이르기까지 기념할 만한 사건이 있을 경우 기념앨범을 제작하여 그 당시의 기쁨을 오래도록 간직하려는 경향이 있다. 일예로 웨딩앨범을 생각할 수 있겠다.In general, each school distributes pre-made graduation albums to students who graduate from the school so that they can have precious memories of their school days. These graduation albums contain a large number of commemorative photos of graduates' personal photos, group photos of each class, and scenes of festivals and event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graduation album produced in this school, if there are events that can be commemorated, not only for businesses, various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for individual homes, there is a tendency to create a memorial album for a long time and retain the joy of that time. For example, you can think of a wedding album.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념앨범은 사진 외에 별다르게 수록한 것이 없었고, 이러한 사진을 통해서는 사진인물의 당시 얼굴을 떠올리는 정도지 옛추억을 되살리게 하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즉, 기념앨범은 열람하면서 그 당시의 추억을 회상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가 있다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으로 제작되는 기념앨범들은 단순하게 사진을 보면서 특정인의 얼굴이나 특정장소를 한번 더 쳐다보는 정도였으며, 옛추억을 회상하게 하는 별다른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memorial album did not include anything other than a photograph, and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reviving the old memories as much as it reminded the face of the photographic person through the photograph. In other words, the memorial album can be said to have true meaning only when you can read it and recall the memories of that time. However, commemorative albums produced in the conventional way were simply looking at a face or a place of a person while looking at a picture, and did not have a special function to recall old memories.

졸업앨범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겠는데, 학창시절에는 급우들의 별명, 독특한 행동, 신체적인 특징 등이 대단한 흥미거리였고, 이는 좋은 추억으로 간직되게 된다. 그러나, 시일이 경과되면서 이러한 소중한 추억들은 점차 잊혀질 수 밖에 없는 것이지만, 사진 만이 수록된 종래 졸업앨범을 통해 이러한 추억을 되살리는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따랐다.Graduation albums are a good example of this. During school days, classmates' nicknames, unique behavior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of great interest, and this is a good memory. However, as time went by, these precious memories were inevitably gradually forgotten, but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revitalizing these memories through the conventional graduation album containing only pictures.

또한, 종래의 기념앨범은 여러장의 수록면에 사진을 나열하는 정도였고, 대부분의 기념앨범들이 이러한 획일적인 방식으로 제작됨에 따라, 단순히 앨범을 열람하게 되는 제3자는 물론이고 앨범의 당사자들 역시도 주변에서 줄곧 보아온 형태의 앨범에 매우 식상함을 느끼는 것이었다. 이같은 단조로움을 탈피하기 위하여 수록된 사진 주변에 꽃이나 기타 장식적인 그림을 첨가하여 제작한 앨범이 제공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나열된 사진에 단순한 미적요소를 부가시킨 것에 지나지 않아 기존의 앨범과 비교하여 별다르게 차별화되지 못하였다.In addition, conventional commemorative albums were arranged to arrange photographs on several pages, and as most commemorative albums were produced in such a uniform manner, not only the third party who viewed the album but also the parties to the album I was very fed up with the albums I had seen all the time. In order to escape this monotony, albums made with flowers or other decorative paintings were provided around the recorded photos, but this was only a simple aesthetic element added to the listed photographs, and wa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lbums. It didn't work.

따라서, 이렇게 판에 박힌듯한 형태의 기념앨범에 대해 주변 사람들은 물론이고 당사자들도 별다른 흥미나 애착을 가지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기념앨범은 그 제작 당시에 일시적인 열람이 이루어진 후, 서재나 서랍 등에 장기간 그대로 방치되는 것을 흔히 목격할 수 있다. 이는 적지 않은 제작비를 들여 제작 및 구입하게 되는 기념앨범이 별다른 효용가치를 지니지 못한체 무용화됨을 의미하므로 경제적인 낭비와도 직결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eople around us as well as those around us did not have any interest or attachment to this memorable album. Accordingly, the commemorative album can often be witnessed as being left unchanged for a long time in a library or drawer after a temporary reading at the time of its production. This means that the commemorative album, which is produced and purchased with a small production cost, is rendered ineffective without any useful value, which is directly linked to economic wast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진과 사진주인공의 캐리커처를 함께 수록하여, 앨범 열람시 특정인의 얼굴과 더불어 그 사람의 독특했던 특징들이 연상됨에 따라 옛추억에 대한 회상효과가 극대화되는 기념앨범의 편집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hotograph and the caricature of the main character are included together, and the recall effect on the old memories as the unique features of the person are associated with the face of the specific person when the album is rea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ditorial structure of a commemorative album that maximizes

또한, 본 고안은 수록된 사진속의 인물과 그에 상응하는 캐리커처를 통해서, 앨범의 당사자들은 물론이고 단순하게 열람하는 주변 사람에게 다양한 대화소재를제공하게 되므로써, 흥미감 유발과 그에 따른 앨범 열람시의 즐거움이 수반되어 앨범에 대해 애착을 가지도록 하는 기념앨범의 편집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conversational materials not only to the parties of the album but also to those who are simply browsing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photographs and the corresponding caricatures, so that interest and accompanying enjoyment of the album are accompanied.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n editorial structure for a commemorative album that will make you feel attached to the album.

본 고안은 또한, 제작 당시를 지나 많은 시일이 경과한 후에도 잦은 열람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기념 용도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앨범이 일회성의 기념품에 그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낭비가 방지되도록 한 기념앨범의 편집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enables frequent reading after many days have passed since the time of production, thereby maximizing commemorative use, and preventing economic waste by preventing the album from being a one-time souvenir. Another aim is to provide an editorial structure for a commemorative album.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앨범의 수록면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recording surface of the album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앨범 수록면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2 to 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album recording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앨범의 수록면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recording surface of the album produc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앨범 수록면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album surface produc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P,P': 수록면 11,21,51,61,71,81: 사진 12,22,32,42,52: 사진군 13,23,33,43,53,62: 캐리커처군 25: 주소록 14,24,54,64,74,84: 캐리커처P, P ': Recorded pages 11, 21, 51, 61, 71, 81: Photo 12, 22, 32, 42, 52: Photo group 13, 23, 33, 43, 53, 62: Caricature group 25: Address book 14 , 24,54,64,74,84: carica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개인사진, 두명 이상의 그룹사진, 단체사진 등이 다수장의 앨범 수록면에 수록되는 기념앨범에 있어서; 수록되는 상기 사진들 주연에 그 주인공과 상응하도록 제작한 캐리커처를 함께 수록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commemorative album that is recorded in a plurality of albums, such as individual photos, two or more group photos, group photos;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caricatures produced to correspond to the main character in the main picture is recorded.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사진들은 하나 이상의 사진군을 이루면서 상기 수록면에 배치되고, 상기 사진군의 일측으로 그에 해당하는 캐리커처군이 수록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graphs are arranged on the recording surface while forming one or more photographic groups, and the caricature groups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photographic group are recorded.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캐리커처는 수록되는 사진들마다 그 일측에 함께 수록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icature is recorded together on one side of each recorded picture.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캐리커처가 수록면 한 페이지에 전체적으로 배열되면서 수록되고, 상기 캐리커처를 수록한 수록면과 포개지는 반대쪽 수록면에는 그에 해당하는 사진들이 수록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icature is recorded as being arranged on one page as a whole, the recording surface containing the caricature and the other side of the overlapped recor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is recorded.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의 기념앨범에 의해, 앨범의 수록면에 사진 및 사진 주인공의 특징을 희화한 캐리커처가 상호 간에 다양한 조합 또는 배열을 이루며 함께 수록되는 것이므로, 기념앨범의 당사자는 상기 캐리커처를 통한 연상효과로 인해 앨범에 게재된 관련 인물들의 기억 내지는 그들과의 추억을 보다 생생하게 되살릴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기념앨범을 열람하는 제 3 자들은 기존의 틀에박힌 형태를 벗어나 색다른 느낌의 앨범을 접하게 됨에 따라 매우 흥미감을 느끼면서 앨범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By the commemorative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aricatures that caricature the features of the photo and the photo character are recorded together in various 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n the recording surface of the album, so that the parties of the commemorative album are associated with the caricatures. Because of the effect, the memories of the relevant people in the album or memories with them can be revived more vividly. Also, the third parties who read the commemorative album are exposed to the album with a different feeling than the conventional form. As a result, the album can be browsed with great interes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설명에 앞서서 후술되는 실시예들은 졸업앨범을 기준한 것이고, 이는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본 고안은 졸업앨범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기념앨범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based on a graduation album, which is an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graduation album. Note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commemorative albums.

본 고안의 기념앨범은, 사진 및 캐리커처가 수록되는 다수장의 수록면과, 이같은 수록면을 감싸 보호하는 표지로 이루어져, 그 외형면에서 통상적인 기념앨범과 별 차이가 없도록 하면 될 것이고, 이같은 앨범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은 생략하였다.The commemorative alb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ording surfaces containing photographs and caricatures and a cover that covers and protects such a recording surface,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commemorative album does not differ from the ordinary commemorative album in appearance. The drawing which shows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수록면에 개인사진, 두명 이상의 그룹사진, 단체사진 등이 규칙적이거나 또는 자유로운 상태로 배열되고, 이렇게 수록된 사진들 주연에 그 주인공들의 캐리커처가 상기 사진들과 적절하게 매칭되면서 수록된다.Individual photographs, two or more group photographs, group photographs, and the like are arranged in a regular or free state on the recording surface, and the caricatures of the protagonists are recorded while the photographed images are appropriately matched with the photograph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앨범의 수록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앨범 수록면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recording surface of the album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album recording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의 실시예는, 여러장의 사진(11)을 조합하여 형성한 사진군(12)이 상기 수록면(P)에 하나 이상으로 수록되고, 이같은 사진군(12) 일측에 각 사진들의 주인공들을 희화한 캐리커처군(13)이 수록되는 형태를 표현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1, at least one photo group 12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hotographs 11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surface P, and the protagonists of the respective photographs are located at one side of the photo group 12. It expresses the form in which the caricature group 13 which diluted was recorded.

이때, 상기 캐리커처군(13)의 각 캐리커처(14)는 상기 사진군(12)의 사진(11) 배열과 관계없이 자유롭게 수록하여도 무방하겠지만, 그보다는 상기 사진과(11) 캐리커처(14)가 동일한 배열 형태를 이루며 수록되도록 하므로써, 앨범 열람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each of the caricature 14 of the caricature group 13 may be freely record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of the picture 11 of the picture group 12, but rather the picture and 11 of the caricature 14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album viewing to proceed more effectively by making the same arrangement form.

즉,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사진군이 수록면의 상하부에 상반되게 배치된체 수록되고, 이같은 사진군의 일측에 캐리커처군이 수록되되, 상기 사진군의 각 사진과 상기 캐리커처군 각 캐리커처가 동일한 배열을 이루도록 하였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groups of photographs are recorded opposite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cording surface, and the caricature groups are stored on one side of the group of photographs, and each photograph of the group of photographs is the same as each caricature group. Arrangement was made.

또한, 도 2 내지 도 6에 표현된 실시예는 상기 도 1의 실시예를 기준하여 약간씩 변형된 형태를 표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 to 6 represents a slightly modified form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먼저, 도 2의 실시예는 사진군(22)과 캐리커처군(23)의 수록위치 및, 이러한 사진군(22)과 캐리커처군(23)의 각 사진(21)과 캐리커처(24) 간의 배열이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사진군(22)과 캐리커처군(23)의 일측에 주소록(25)이 첨가되는 형태를 표현한 것이다.First,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photograph group 22 and the caricature group 23, and the arrangement between the photographs 21 and the caricature 24 of the photograph group 22 and the caricature group 23 are different. 1 and the address book 25 is added to one side of the photo group 22 and the caricature group 23.

도 3은 사진군(32)이 수록면(P)의 일측을 가득 메우는 하나의 사진군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이같은 사진군(32)이 격자형의 사각 배열을 이루도록 하고, 이렇게 사각 배열의 사진군(32)을 수록한 수록면의 타측에 상기 사진군(32)과 매칭되는 캐리커처군(33)이 세로방향 배열되는 형태를 표현하였다.3 is a group of pictures 32 to form a single group of pictures to fill one side of the recording surface (P), such a group of pictures 32 to form a grid-like square arrangement, such a rectangular group of photos The form in which the caricature group 33 matching the photo group 32 is vertically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ording surface containing (32) is represented.

도 4는 격자형의 사각 배열을 이루는 하나의 사진군(42)이 수록면의 일측에 수록됨은 도 3과 동일하며, 이같은 사진군(42)의 반대편에 캐리커처군(43)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수록되는 형태를 표현하였다.4 is the same as FIG. 3 in which one photographic group 42 having a lattice-shaped rectangular array is recorded on one side of the recording surface, and the caricature group 43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hotographic group 42. As the recorded form was expressed.

도 5는 하나의 사진군(52)이 수록면(P) 일측에 수록되고, 이같은 사진군(52)의 반대측에 캐리커처군(53)이 수록되되, 상기 사진군(52)과 캐리커처군(53)의 각 사진(51)들과 캐리커처(54)들이 상기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비해 보다 자유롭게 배열되는 형태를 표현하였다.FIG. 5 shows one photographic group 52 recorded on one side of the recording surface P, and the caricature group 53 is recor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hotographic group 52, and the photographic group 52 and the caricature group 53 are recorded. Each of the photographs 51 and caricature 54 in FIG. 1 is more freely arranged than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도 6은 다수개의 캐리커처(64)가 일렬로 배열되어 띠 형태의 캐리커처군(62)을 이루면서 상기 수록면(P)의 사진(61)들 사이로 수록되는 형태이다.FIG. 6 shows a plurality of caricatures 64 arranged in a row to form a band-shaped caricature group 62 while being recorded between the photographs 61 of the recording surface P. FIG.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띠형의 캐리커처군(62)이 상기 수록면(P)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수록되는 형태를 표현하였고, 또한 상기 띠형 캐리커처군(62)이 수록면(P)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러한 띠형 캐리커처군(62)의 상하부로 사진(61)이 수록되도록 하였다. 이는 하나의 실시형태이며, 상기 띠형 캐리커처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록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그 위치 역시 상부나 하부에 배치하는 등 자유롭게 변형 실시할 수 있겠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uch a band-shaped caricature group 62 is recorded while crossing the recording surface P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and-shaped caricature group 6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cording surface P. FIG. The photo 61 was recor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nd-shaped caricature group 62 so as to be positioned.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band-shaped caricature group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reely deformed by arrang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ording surface or by arranging the position thereof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thereof.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표현된 수록면들은, 상기 사진군과 캐리커처군 외에도 학교를 대표하는 건물이나 단체사진 또는 졸업생들의 소감을 담을 짧은 글 등이 함께 수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recording surface represented in Figures 1 to 6, in addition to the photographic group and the caricature group may be recorded together with buildings representing the school, a group photograph or a short article containing the impressions of graduates.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앨범 수록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록면(P)에 수록되는 각각의 사진(71)들마다 그에 상응하는 캐리커처(74)가 바로 옆에 인접되어 수록된 형태이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사진(71)과 캐리커처(74)를 용이하게 비교하면서 앨범을 열람할 수 있어 졸업생 개개인들에 대한 추억을 회상하는데 효과적이겠다.And,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lbum record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caricature 74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hotos 71 recorded on the recording surface (P) is adjacently recorded adjacent Form. This configuration makes it easy to compare the photos 71 and the caricature 74, while viewing the album, it would be effective to recall the memories of the individual graduates.

그리고, 도 7의 실시예에 표현된 수록면(P)들 역시도, 그 사진(71)과 캐리커처(74) 외에도 학교를 대표하는 건물이나 단체사진 또는 사진주인공들의 소감을 담을 짧은 글 등이 함께 수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recording surface (P) expressed in the embodiment of FIG. 7 also includes the photograph 71 and the caricature 74, together with a short post containing a testimonial of a building, a group photograph, or a photographic character representing the school. Of course it can be.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앨범 수록면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표현한 것으로써, 상호 반대되도록 위치하여 앨범의 접음시 그 면이 포개어지는 한 쌍의 수록면(P,P')에 사진(81)과 캐리커처(84)를 각기 수록한 형태이다. 즉, 수록면 한 페이지는 사진(81)이 집중되어 수록되는 수록면(P')을 이루고, 그 반대측 페이지의 수록면(P)에 상기 사진(81)에 상응하는 캐리커처(84)들이 집중되어 수록된 형태이다.FIG. 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n album record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ositioned so as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photo 81 is arranged on a pair of recording surfaces P and P ′ which are folded when the album is folded. And caricature 84, respectively. That is, one page of the recording surface forms a recording surface P 'on which the photograph 81 is concentrated, and the caricatures 84 corresponding to the photo 81 are concentrated on the recording surface P of the opposite page. The form is listed.

이렇게 수록면을 구성하므로써, 사진(81)과 캐리커처(84) 중 어느 한 쪽을 집중적으로 열람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By constituting the recording surface in this way, it becomes easy to intensively browse either the photograph 81 or the caricature 84.

또한, 본 실시예 표현된 앨범 수록면(P,P') 역시 수록되는 각각의 사진(81)들과 캐리커처(84)들이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진(81)과 캐리커처(84)를 자유롭게 배열한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겠다. 그리고, 상기 사진(81)과 캐리커처(84) 외에도 학교를 대표하는 건물이나 단체사진 또는 졸업생의 소감을 담을 짧은 글 등이 함께 수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lbum recording surfaces P and P ′ represen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arranged such that each of the photographs 81 and the caricatures 84 recorded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and the photo 81 and the caricature 84 are arranged. May be arranged freely. In addition to the photo 81 and the caricature 84, a building or a group photo representing a school or a short article containing a testimony of graduates may be included.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에 의하여, 사진과 그에 상응하는 캐리커처를 함께 비교하면서 앨범을 열람하게 되어, 캐리커처의 연상작용에 의해 그 당시의 추억을 매우 효과적으로 회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앨범에 대한 애착이 커질 뿐만아니라 자주 열람하게 되어 앨범이 오랜 시간 동안 추억에 남는 기념품으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the memorial album editing structure using the caric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bum is browsed while comparing the photo and the corresponding caricature together, by the associative action of the caricature Memories of the time can be recalled very effectively, and as a result, the attachment to the album is not only increased, but also frequently read, and the album plays a sufficient role as a memorable souvenir for a long time.

그리고, 이렇게 애착이 가는 앨범을 소중히 간직함에 따라, 고비용으로 제작된 앨범이 일회성의 열람에 그친체 방치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며, 이는 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하는 결과로 이어진다.In addition, by cherishing the attached album, the phenomenon in which the album produced at a high cost is left alone in a one-time view is effectively suppressed, which leads to economic waste.

또한, 앨범 당사자를 포함하여 주변 사람들도 독특한 형태로 제공되는 앨범에 대해 상당한 즐거움을 가지면서 열람하게 되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rrounding people, including the album party, also have a great amount of enjoyment about the album, which is provided in a unique form, thereby providing satisfaction to many people.

Claims (5)

개인사진, 두명 이상의 그룹사진, 단체사진 등이 다수장의 앨범 수록면에 수록되는 기념앨범에 있어서;In the commemorative album in which individual photographs, two or more group photographs, group photographs, etc. are recorded on a plurality of albums; 수록되는 상기 사진들 주연에 그 주인공과 상응하도록 제작한 캐리커처를 함께 수록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Compilation of a commemorative album using a carica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icatures produced corresponding to the main characters are included together in the main pi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진들은 하나 이상의 사진군을 이루면서 상기 수록면에 배치되고, 상기 사진군의 일측으로 그에 해당하는 캐리커처군이 수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The photographs are arranged on the recording surface while forming one or more photo groups, and a caricature group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photo group is record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진군과 캐리커처군은 동일한 배열을 이루면서 수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The photo album and the caricature group is memorized album editing structure using a caricature, characterized in that recorded in the same arrange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리커처는, 수록되는 사진들마다 그 일측에 함께 수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The caricature is a commemorative album editing structure using a carica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rded pictures are recorded together on one 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리커처가 수록면 한 페이지에 전체적으로 배열되면서 수록되고, 상기 캐리커처를 수록한 수록면과 포개지는 반대쪽 수록면에는 그에 해당하는 사진들이 수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커처를 이용한 기념앨범 편집구조.The caricature is recorded while being arranged on a page as a whole, and the recording surface of the caricatur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nested on the other side recording the corresponding album is recorded using a caricature.
KR2020020005174U 2002-02-21 2002-02-21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KR2002765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74U KR200276586Y1 (en) 2002-02-21 2002-02-21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74U KR200276586Y1 (en) 2002-02-21 2002-02-21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586Y1 true KR200276586Y1 (en) 2002-05-24

Family

ID=7311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174U KR200276586Y1 (en) 2002-02-21 2002-02-21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58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tchen Snapshots: Art history and the ethnographic turn
Miller Points of View: Herbert Bayer’s Exhibition Catalogue for the 1930 Section Allemande
Skelly The uses of excess in visual and material culture, 1600–2010
KR200276586Y1 (en) Commemorative Album be recorded Caricature
Kirstein Walker Evans: American Photographs
Zuromskis Ordinary pictures and accidental masterpieces: Snapshot photography in the modern art museum
KR200375664Y1 (en) The editing composition of a graduation album
Lifson et al. Photophilia: A Conversation about the Photography Scene
Engelke Andy Warhol’s Reigning Queens and the Deconstruction of the Royal Portrait in Modern Times
KR200395716Y1 (en) a graduate album
Baskind et al. Art History
Langford Photographic Acts and Arts of Memory
Reinoza The Island within the Island: Remapping Dominican York
Rawlings Brook Andrew: archives of the invisible
Bann The Word in Form: The art historian Stephen Bann looks back over fifty years of making connections between words and forms, places and their associations.
Sheynfeld Themes of Death in Andy Warhol: Revelation at the Brooklyn Museum
Mraz Cuban photography: Context and meaning
Spence Van Gogh in Alabama, 1936
amily iS an endUring CornerStone culture. The closeness of families even when they span
Snow Digital illusions in frames of reality
Sussman Victorian Types, Victorian Shadows: Biblical Typology in Victorian Literature, Art, and Thought
Lewis A Document that Transcends Itself: Between Abstraction and Reality
Cole Media: Why Are There No Great Black Critics?.
Mossack A Street Photographer’s Toolbox: Techniques and Technologies in 20th Century American Street Photography
Finkel Victorian photography and carte de visite albums, 1860-188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