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553Y1 -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 Google Patents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553Y1
KR200276553Y1 KR2020010035030U KR20010035030U KR200276553Y1 KR 200276553 Y1 KR200276553 Y1 KR 200276553Y1 KR 2020010035030 U KR2020010035030 U KR 2020010035030U KR 20010035030 U KR20010035030 U KR 20010035030U KR 200276553 Y1 KR200276553 Y1 KR 200276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h
head
parasol
parasols
beach para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택
Original Assignee
오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택 filed Critical 오정택
Priority to KR2020010035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553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치파라솔은 그 크기가 어떠하든 고정시키는 중앙 장대를 땅이나 테이블 등에 붙박아 놓고 사용하였다. 비치파라솔을 이용하는 가장 큰 목적이 피부에 해로운 일사광선을 막고자 하는 데 있다면 종전의 붙박이 비치파라솔은 이동시나 중앙지지대를 세울 수 없는 장소에서의 이용은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머리에 부담을 주지 않는 가벼운 재질의 소재(PP 등)로 차양카바, 공기튜브식 살대, 그리고 투구형태의 머리고정장치를 일체형으로 만들어 이동시에도 일사광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였다.
또 햇볕의 각도나 강도에 따라 1단이나 2단으로 접고 펼 수 있도록 하여 비록 크기가 작은 1인용 비치파라솔이지만 일반 비치파라솔 못지않은 차양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Mobile Beach Parasol}
본 고안은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비치파라솔을 사용하는 목적은 우리의 피부와 건강에 좋지않은 강렬한 일사광선을 막고자 하는 데 있다. 특히 해변에서처럼 일사광선이 강렬한 지역에서는 자외선 차단크림을 바르는 등 철저한 준비를 하지 않은 경우, 잠시만 햇볕에 노출되어도 피부에 심각한 손상을 준다. 비록 선탠을 목적으로 하거나 자외선 차단크림을 바르더라고 장시간 일사광선에 피부를 노출시킬 수는 없고 결국 비치파라솔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비치파라솔은 모두 붙박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크기에 상관없이 차양덮개를 고정적으로 지탱하게 해주는 막대 등을 세워서 한 곳에 붙박아 놓고 사용한다. 따라서 비치파라솔을 벗어나 활동하려해도 강렬한 직사광선 때문에 그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 이러한 종래의 붙박이 비치파라솔은 주위가 마음에 들지만 막대를 세울 수 없는 암석 위라든지 장대를 지지할 테이블 등이 없다면 비치파라솔을 이용하기가 불가능하다.
또 기존의 비치파라솔의 단점은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휴대하기가 불편하다는 것이다. 즉, 무게도 적지 않고 부피도 커서 가지고 다니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웬만큼 부지런하지 않으면 적지 않은 비용의 임대용 비치파라솔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비치파라솔이 가지고 있는 제약조건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념의 1인용 비치파라솔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이 새로운 개념의 비치파라솔이 제공하고자 하는 새로운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의 활동을 제약하는 붙박이 비치파라솔이 아니라 머리에 쓰게 함으로써 이동성(Mobile)을 갖출 수 있다.
둘째, 공기튜브식 살대와 가벼운 재질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머리에 부담을 주지 않고 또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셋째, 접이식 우산처럼 상황에 따라 1단에서 2단으로 펼 수 있어 일반형 비치파라솔 못지 않은 차양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품을 편 상태에서 올려다 본 내측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품을 펴거나 접어 놓은 상태의 외측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품을 펴거나 접은 상태에서 본 내측 평면도
도 4는 비치파라솔을 실제 착용했을 때를 가상한 단면도
도 5는 비치파라솔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을 분리한 구조도
도 6은 사용후 보관을 위하여 비치파라솔을 접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양카바(덮개) 2. 튜브식 공기살대
3. 공기살대(접혀지는) 4. 공기차단 접착포
5. 접착고정용 접착포 6. 공기주입부
7. 튜브식 머리고정장치 8. 튜브식 공기살대 외피
9. 튜브식 공기살대 내피 10. 주입된 공기
11. 공기차단 접착포
본 고안에 따르면, 1인용 이동식 비치파라솔의 구성은 우선 PP 와 같은 가벼운 재질의 소재로 만들어진 8각형 모양의 차양카바(도5-1 )와 공기를 주입시키는 튜브식 공기살대(도5-2), 여기에 연결된 튜브식 머리고정장치(투구형태)(도 1,도5-2)로 되어 있다. 또 우산의 접이식 기능을 적용(도3-1,도3-2, 도4-1, 도4-3)하여 햇볕의 각도와 강도에 따라 접고 펴는 방식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내용과 사용 실례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대표도로서 비치파라솔을 펴 놓은 상태에서 아래쪽으로부터 올려다 본 도면이다. 팔각형 형태의 차양카바(1)를 방사상의 공기튜브식 살대(2,3)가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팽창하여 우산 살대처럼 카바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역시 같은 튜브식으로 만든, 머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투구형태의 고정 장치(7)는 기존의 비치파라솔에 있어 중앙지지대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기살대에 붙어있는 접착포(5)는 차양카바의 일부를 접을 때 접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공기살대와 투구형태의 머리고정장치는 공기튜브로 일체화되어있어 투구부분에 달려있는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넣으면 동시에 공기 주입이 이루어진다. 이 공기주입구를 통해 입김 또는 공기를 주입시켜 공기살대가 팽창되도록 하고 그 팽창력에 의해 공기살대에 압착된 차양카바가 활짝 펴지게 되는데, 이 때 같이 팽창된 투구식 머리고정장치를 머리에 쓰면 1인용 비치파라솔이 된다.
도2는 본 고안품을 바깥쪽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다. 1인용 비치파라솔을 2단으로 편 상태(도21-1)와 1단으로 접은 상태(도2-2)로 나누어 도시하였다. 사용중 햇볕의 강도가 강해지거나 각도가 낮아지면 차양카바를 1단에서 2단으로 편 후, 추가로 공기를 주입시켜 사용하면 보다 넓은 신체부위를 햇볕으로부터 차단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2-2의 점선은 1단으로 접혀들어간 차양카바 부분을 가상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의 경우는 반대로 2단으로 펴거나(도3-1) 1단으로 접은 상태(도3-2)를 안쪽에서 본 평면도인데, 1단으로 접혀진 공기살대의 구조와 2단으로 편 상태의 공기살대의 구조는 상세도를 참조하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차양카바를 2단으로 펴고 공기를 주입시켰을 때의 공기살대구조(8,9,10)와 ,주입된 공기흐름의 모습(11), 그리고 1단으로 접었을 때의 공기살대구조(3-2)의 차이는 도3의 상세도를 통해 잘 도시되어 있다. 상세도의 10은 1단으로 접을 때 접혀진 부분을 고정시키는 접착포이다.
도4는 접거나 핀 상태의 비치파라솔을 머리에 실제 착용했을 때를 가상한 단면도이다. 도4-1과 4-3은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4-2는 1단으로 접은 상태의 비치파라솔을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5는 일인용 비치파라솔을 주요 부분으로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특히 5-2의 상세도는 머리에 쓰는 투구식 고정장치를 입체적으로 묘사한 도면이다.
도6은 일인용 비치파라솔을 사용한 후 보관하기 위하여 접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1단으로 접은 상태에서 본 1인용 비치파라솔은 정사각평의 형태를 띄므로 이때부터 대각선으로 접어나가면 삼각형 형태의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접히게 되므로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다. 따라서 사용이 끝나면 공기를 배출한 후 보자기처럼 접어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품은 붙박이가 아닌 이동식 비치 파라솔로서 강한 햇볕이 내리쬐는 계절이나 자외선이 강한 지역에서의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우선 이동식이기 때문에 기존의 비치파라솔이 가지고 있는 활동의 제약이란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둘째, 머리에 착용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기존의 양산과 비교할 때 양손이 자유롭고, 셋째 접이식 기능채택으로 모자에 비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범위를 크게 넓힐 수 있는 등, 기존의 차양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거의 극복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품은 갯벌체험학습 등 학생들의 야외에서의 학습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제품이며, 이외에도 일사광선이 강한 계절이나 지역에서 활동하는 모든 사람들, 즉 운동경기 관람객이나 관광객, 피서객 등에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본 고안품은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저렴한 재질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부담이 없는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수요확대를 도모하기가 쉽다. 또 사용법이 쉽고 단순하여 새로운 제품의 사용시 있을 수 있는 소비자들의 거부감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3)

  1. 튜브식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방사상의 공기살대와 같은 튜브식인 머리고정투구는 일체로 연결되어 동시에 공기주입이 가능하며, 그 위를 팔각형의 차양카바가 덮어 쓰고 있는 형태로, 이 차양카바는 접착포를 이용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식 접기 기능이 갖추어져 있는, 머리에 쓰는 1인용 이동식 비치 파라솔.
  2. 삭제
  3. 삭제
KR2020010035030U 2001-11-14 2001-11-14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KR200276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030U KR200276553Y1 (ko) 2001-11-14 2001-11-14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030U KR200276553Y1 (ko) 2001-11-14 2001-11-14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553Y1 true KR200276553Y1 (ko) 2002-05-24

Family

ID=7307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030U KR200276553Y1 (ko) 2001-11-14 2001-11-14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5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93Y1 (ko) * 2009-05-09 2009-09-01 서봉석 공기주입식 우산
KR200459875Y1 (ko) 2009-09-02 2012-04-20 박준서 에어 파라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93Y1 (ko) * 2009-05-09 2009-09-01 서봉석 공기주입식 우산
KR200459875Y1 (ko) 2009-09-02 2012-04-20 박준서 에어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5409A1 (en) Umbrella cov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8297295B2 (en) Multi-fold umbrella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 or cosmetic case
KR20110036035A (ko) 이동식 태양 및 기상 가리개
US6293292B1 (en) Sun shade
KR200276553Y1 (ko)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JP2007100459A (ja) 多目的携帯用テント
KR100740447B1 (ko) 차양막이 구비된 공기주입식 베게
US4621653A (en) Windshell
US20190069651A1 (en) Extendable umbrella apparatus
GB2346162A (en) Umbrella bathing tent
CN200987422Y (zh) 多功能伞
US20190110563A1 (en) Collapsible personal canopies
US6330889B1 (en) Face shade
KR200244335Y1 (ko) 모자 우산
KR200233782Y1 (ko) 케이스로 완전 밀폐되는 우산
KR101011804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장치
KR960003549Y1 (ko) 파라솔(PARASOL)로 사용할 수 있는 텐트(tent)
KR100453144B1 (ko) 모자우산
KR200158600Y1 (ko) 차광모 겸용 양산
KR200165481Y1 (ko) 신축식 우산 케이스
TWM633093U (zh) 結合有遮蔽結構之肩背單元
US20050077018A1 (en) Sunshade
KR200239261Y1 (ko) 보조차양이 구비된 모자
US20080128010A1 (en) Miniature canopy apparatus for shading head and neck of a sunbather
KR20050102891A (ko) 배낭용 차양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