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311Y1 - 회전입간판 - Google Patents

회전입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311Y1
KR200276311Y1 KR2020020005552U KR20020005552U KR200276311Y1 KR 200276311 Y1 KR200276311 Y1 KR 200276311Y1 KR 2020020005552 U KR2020020005552 U KR 2020020005552U KR 20020005552 U KR20020005552 U KR 20020005552U KR 200276311 Y1 KR200276311 Y1 KR 200276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color
base
support
ligh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륭
Original Assignee
애드문피오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문피오피(주) filed Critical 애드문피오피(주)
Priority to KR2020020005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311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입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이 다색으로 미려하여 표출될 수 있고, 회전광고부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수직형 회전구조 또는 수평형 회전구조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입간판은,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명기구(200)와; 상기 조명기구의 외부를 감싸면서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 외주면에 외접기어(310)가 설치된 다색광투과회전통(300)과;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내주면에 내접기어(410)가 설치된 회전광고부(400)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외접기어 및 상기 내접기어와 동시에 치합되는 피니언(520)이 축(5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 및 회전광고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500)와; 그리고, 상기 회전광고부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회전하는 다색광투과회전통을 투과하면서 다색으로 조사되는 조명을 회전광고부 외부로 분산광투과시킴으로써 그 색상경계를 없앰과 아울러 조사각도에 따라 다색조사광의 색상을 변화시켜 입체영상으로 나타내는 렌티큘러 시트(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입간판{ROTATABLE STANDING SIGNBOARD}
본 고안은 회전입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조명이 다색으로 변화하면서 미려하여 표출될 수 있는 회전입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고정형 입간판은 광고문안표시가 된 부분쪽을 바라다 보아야만 표시된 광고문안을 볼 수 있으므로 그 만큼 광고효과가 감소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어느 방향에서 바라다 보아도 표시된 광고내용을 볼 수 있도록 광고표시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입간판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회전입간판들중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1996-27667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17043호 등에 개시된 것들을 들 수 있다. 이 선행기술의 입간판들은 모터 등의 회전수단을 통 형상으로 된 회전광고부의 하단부 내에 설치하여 회전광고부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회전광고부의 회전에 의하여 입간판 외부의 어느 위치에서도 회전광고부에 표시된 광고내용을 바라다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회전입간판들에 있어서는, 회전광고부의 하단부 내에 회전수단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회전광고부의 크기가 증가된다.
한편, 회전수단을 회전광고부의 상단부쪽에 설치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려는 시도들이 행해져 왔다. 그 대표적인 회전입간판으로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1999-33373호 등에 개시된 것들을 들 수 있다. 이 회전입간판은 지면에 놓이는베이스 위로 입설되는 조명기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상부에 모터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축을 상기 지지수단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통 형상으로 된 회전광고부의 상부마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모터를 구동하면 회전광고부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의 회전입간판에 있어서는, 모터의 축이 회전광고부의 상부마개부 저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결합구조가 복잡하고 결합작업도 힘들고, 또한 조명기구 지지수단 및 회전광고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도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조명기구로부터 단색의 빛이 회전광고부로 직접 조사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색상이 다양하게 변하는 광고를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조명이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면서 표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2675호로 회전입간판이 제안되었다. 이 회전입간판은, 조명기구의 외부를 감싸는 다색광투과케이스와, 상기 다색광투과케이스의 상부에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다색광투과케이스 및 모터를 감싸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광고부와, 그리고 상기 광고표시부의 내면에 접합되어 다색광투과케이스를 투과한 다색조사광을 회전광고부 외부로 분산광투과시킴으로써 다색조사광의 색상경계를 없앰과 아울러 조사각도에 따라 다색조사광의 색상을 변화시켜 입체영상으로 나타내는 렌티큘러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상기 회전입간판에 있어서는, 구조의 단순화 및 미려한 조명에 의한 광고효과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으나, 회전광고부의 회전속도가 느리고 다색광투과케이스가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다색조사광의 색상경계를 완전히 없애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회전광고부를 수직으로 배치하지 않고 예컨대 수평으로 배치하여 회전시키도록 회전입간판을 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전광고부를 통하여 외부로 확산되는 조명이 다색으로 변화하면서 색상경계없이 미려하여 표출될 수 있는 회전입간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광고부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회전광고부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회전시키는 것 이외에 회전광고부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입간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동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입간판을 구성하는 회전광고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회전입간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제1지지부,
120 : 제2지지부, 130 : 제1지지블록,
140 : 제2지지블록, 150 : 장식부재,
170 : 제3지지블록, 200 :조명기구,
300 : 다색광투과회전통, 310 : 외접기어,
400 : 회전광고부, 410 : 내접기어,
422 : 천정부, 450 : 렌티큘러 시트,
500 : 모터, 510 : 모터축,
520 : 피니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입간판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명기구와; 상기 조명기구의 외부를 감싸면서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 외주면에 외접기어가 설치된 다색광투과회전통과;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설치된 회전광고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외접기어 및 상기 내접기어와 동시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 및 회전광고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그리고, 상기 회전광고부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회전하는 다색광투과회전통을 투과하면서 다색으로 조사되는 조명을 회전광고부 외부로 분산광투과시킴으로써 그 색상경계를 없앰과 아울러 조사각도에 따라 다색조사광의 색상을 변화시켜 입체영상으로 나타내는 렌티큘러 시트(lenticular shee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평형 회전입간판을 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의 양단부에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차례로 위로 돌출설치되고, 이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서로 대응하는 면에는, 상기 회전광고부를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회전광고부의 양단에 차례로 삽입됨과 아울러 조명기구의 양단부를 차례로 지지하는 제1지지블록 및 제2지지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블록에 모터가 지지됨과 아울러 다색광투과회전통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예에 있어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바깥쪽 면에는 회전광고부의 천정부 역시 특정홍보/광고목적으로 형상화한 장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는 예컨대, 축구공의 절반을 형상화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직형 회전입간판을 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의 상부에는 제3지지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제3지지블록의 중앙에 조명기구의 하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다색광투과회전통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의 상면 중앙에 회전광고부의 천정부 중앙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모터의 축은 제3지지블록을 위로 관통하고, 상기 축의 상단에 다색광투과회전통의 외접기어 및 회전광고부의 내접기어에 동시에 치합하는 피니언이 설치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회전광고부의 천정부 역시 특정홍보/광고목적으로 형상화한 장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입간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입간판은 회전광고부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의 회전입간판은,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명기구(200)와, 상기 조명기구(200)의 외부를 감싸면서 베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 외주면에 외접기어(310)가 설치된 다색광투과회전통(300)과,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내주면에 내접기어(410)가 설치된 회전광고부(4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상기 외접기어(310) 및 상기 내접기어(410)와 동시에 치합되는 피니언(520)이 축(5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300) 및 회전광고부(4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500)와, 그리고 상기 회전광고부(400)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회전하는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을 투과한 다색조사광을 회전광고부(400) 외부로 분산광투과시킴으로써 조사각도에 따라 조사광의 색상을 변화시켜 입체영상을 나타내는 렌티큘러 시트(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0)는 미도시된 전원공급수단이 설치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는 사각박스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00)의 양단부에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가 차례로 위로 돌출설치되며,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의 위로 돌출된 부분중 서로 대응하는 면에는 제1지지블록(130) 및 제2지지블록(140)이 차례로 설치된다. 이 지지블록들(130, 140)은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지지블록(130)의 중앙에는 지지돌기(132)가 돌출형성되고, 이 지지돌기(132)에는 조명기구(2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노치부(134)가 형성된다. 조명기구(200)의 타단부(즉, 조명기구(200)의 소켓(210))는 제2지지블록(140)에 지지됨으로써 조명기구(200)가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조명기구(200)에는 베이스(100)의 내부공간, 제2지지부(120) 및 제2지지블록(140)을 통하여 배선되는 것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블록(130)중 지지돌기(132)의 둘레의 부분에는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환형의 회전지지홈(136)이 형성되며, 따라서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은 제1지지블록(130) 및 제2지지블록(140) 사이에서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블록(130) 및 제2지지블록(140)의 둘레에 회전광고부(400)의 양단부가 차례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회전광고부(400)가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블록(130)에 모터(500)가 지지되는데, 피니언(520)은 제1지지블록(130) 밖으로 돌출된 모터(500)의 축(510)에 설치되어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의 외접기어(310) 및 회전광고부(400)의 내접기어(410)와 동시에 치합된다. 따라서, 모터(500)의 구동에 따라 다색광투과회전통(300) 및 회전광고부(4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모터(500)에 대한 전원공급은 베이스(100)의 내부공간, 제1지지부(110) 및 제1지지블록(130)을 통하여 배선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홍보목적이나 특수광고목적에 따라 홍보/광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의 외면에는 그 목적에 맞는 내용을 형상화한 장식부재(150)가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월드컵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장식부재(150)는 축구공의 절반을 형상화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에 상기 각 장식부재(150)가 지지블록(130 또는 140)과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은 조명기구(200)가 삽입되는 중공을 가지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기구(200)의 조사광을 다색으로 광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은 조명기구(200)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투명내부회전통(320)과, 상기 투명내부회전통(320)의 외주면에 적층되는다색광투과층(330)을 구비한다. 상기 다색광투과층(330)은 예컨대, 다색필름, 다색페인트층 또는 다색인쇄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색광투과층(330)의 색상들은 길이방향의 스트라이프구조, 빗살무늬구조, 원주방향의 스트라이프 구조 등 광고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다양한 색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조명기구(200)의 조명을 다색으로 광투과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광고내용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광고부(400)는, 광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제1지지블록(130) 및 제2지지블록(140)이 양단에 삽입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투명외부회전통(420) 및 상기 투명외부통의 외주면에 적층되는 광고표시층(430)을 구비한다. 상기 광고표시층(430)은 투명외부회전통(420)의 외주면에 적층되는 광고용 필름, 페인트층 또는 인쇄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광고표시층(430)은 광고문안(도형이나 그림을 포함하는 의미임)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을 통과한 다색조사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광투과부(실질적으로 투명외부회전통(420) 부분임) 및 이 광투과부를 제외한 영역의 광불투과부(실질적으로 불투명 광고용 필름, 페인트층 또는 인쇄층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다색으로 형성될 수 있음)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회전광고부(400)의 내부에 적층되는 렌티큘러 시트(450)는 회전광고부(40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적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광고부(400)의 광고표시층(430)을 이루는 광투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만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렌티큘러 시트(450)는 투명 합성수지재로 된 반원형의 미세한 렌즈의 잡합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예컨대 파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렌티큘러 시트(450)의 렌즈들을 통한 다양한 광반사각도에 의하여 다색조사광의 색상경계를 유연하게 없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광고부(400) 외부에서 회전광고부(400)를 보는 각도에 따라 다색조사광이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게 되며, 평면구조의 영상이 입체효과, 동적효과 또는 모핑(morphing) 효과가 부여되어 마치 입체영상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입간판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입간판을 광고를 요하는 실내 또는 실외의 지면에 놓고, 전원을 공급한 다음 미도시된 스위치를 온조작하면, 조명기구(200)가 점등됨과 동시에 모터(5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520)과 치합된 외접기어(310) 및 내접기어(410)에 의하여 다색광투과회전통(300) 및 회전광고부(400)가 수평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조명기구(200)의 조사광은 회전광고부(40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을 거치면서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의 색상배열에 다라 다색조사광으로 바뀌어 확산되고, 이 다색조사광은 렌티큘러 시트(450) 및 회전광고부(400)의 광고표시층(430)의 광투과부를 통과하여 회전광고부(400)의 외부로 조사된다.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을 거쳐 발생하는 다색조사광에는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의 다색배열에 따라 색상경계가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회전광고부(400)의 회전속도는 증가하지 않는 반면에 다색광투과회전통(300) 및 회전광고부(4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효과에 의하여 색상경계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을 거친 다색조사광이 렌티큘러 시트(450)를 거치면서 다양한 광반사각도에 의하여 그 색상경계가 유연하게 없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광고부(400) 외부에서 광고표시층(430)을 보는 각도에 따라 다색조사광이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게 되며, 평면구조의 영상이 입체효과, 동적효과 또는 모핑(morphing) 효과가 부여되어 마치 입체영상처럼 표현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회전광고부(400) 외부에서 광고표시층(430)을 바라다 볼 때, 회전입간판 외부로 조사되는 다색조사광에 의한 광고영상이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경계없이 다양한 색상으로 입체적으로 나타나므로, 소비자의 호기심을 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내용이 소비자의 뇌리에 깊게 각인될 수 있다.
또한, 특정홍보/광고목적으로 형상화된 장식부재(150)에 의하여 홍보/광고효과도 덩달아 상승되는 이점도 있다.
<실시예 2>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회전입간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1과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편의상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회전입간판은 실시예 1과는 달리 회전광고부(400)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수직형 회전입간판을 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100)는 미도시된 전원공급수단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제3지지블록(170)이 설치된다.
상기 제3지지블록(170)의 상면 중앙에는 조명기구(200)의 하단(즉, 조명기구(200)의 소켓(21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72)이 형성되고, 제3지지블록(170)의 상면중 상기 지지홈(172)의 둘레부분에는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홈(17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의 상면 중앙에는 회전광고부(400)의 천정부(422) 저면 중앙에 돌출된 지지축(424)이 회전가능하게 지지삽입되는 회전지지홈(3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100)에 설치된 모터(500)의 축(510)은 제3지지블록(170)을 위로 관통하고, 상기 모터(500)의 축(510) 상단에 다색광투과회전통(300)의 외접기어(310) 및 회전광고부(400)의 내접기어(410)에 동시에 치합하는 피니언(520)이 설치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회전광고부(400)의 천정부(422) 역시 특정홍보/광고목적으로 형상화한 장식부재(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회전입간판을 광고를 요하는 실내 또는 실외의 지면에 놓고, 전원을 공급한 다음 미도시된 스위치를 온조작하면, 조명기구(200)가 점등됨과 동시에 모터(5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520)과 치합된 외접기어(310) 및 내접기어(410)에 의하여 다색광투과회전통(300) 및 회전광고부(400)가 수직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작용은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입간판에 있어서는, 다색광투과회전통 및 회전광고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다색광투과회전통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다색조사광이 회전광고부의 외부로 조사될 때, 색상경계를 없애는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미려한 색상으로 3차원적 입체영상을 표출할 수 있으므로 광고효과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회전광고부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회전시키는 것은 물론 회전광고부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회전입간판의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특정홍보/광고목적을 위하여 형상화한 장식부재의 채용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특정홍보/광고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가 상기한 광고효과의 상승과 더불어 상승되는 이점이 도모된다.

Claims (5)

  1.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명기구(200)와;
    상기 조명기구의 외부를 감싸면서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 외주면에 외접기어(310)가 설치된 다색광투과회전통(300)과;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내주면에 내접기어(410)가 설치된 회전광고부(400)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외접기어 및 상기 내접기어와 동시에 치합되는 피니언(520)이 축(5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 및 회전광고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500)와; 그리고,
    상기 회전광고부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회전하는 다색광투과회전통을 투과하면서 다색으로 조사되는 조명을 회전광고부 외부로 분산광투과시킴으로써 그 색상경계를 없앰과 아울러 조사각도에 따라 다색조사광의 색상을 변화시켜 입체영상으로 나타내는 렌티큘러 시트(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간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는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가 차례로 위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서로 대응하는 면에는, 상기 회전광고부를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회전광고부의 양단에 차례로 삽입됨과 아울러 조명기구의 양단부를 차례로 지지하는 제1지지블록(130) 및 제2지지블록(140)이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블록에 모터가 지지됨과 아울러 다색광투과회전통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간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바깥쪽 면에는 특정홍보/광고목적으로 형상화한 장식부재(150)가 각각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간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제3지지블록(170)이 설치되고;
    상기 제3지지블록의 중앙에 조명기구의 하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다색광투과회전통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다색광투과회전통의 상면 중앙에 회전광고부의 천정부(422) 중앙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모터의 축은 제3지지블록을 위로 관통하고, 상기 축의 상단에 다색광투과회전통의 외접기어 및 회전광고부의 내접기어에 동시에 치합하는 피니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간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광고부의 천정부(422)는 특정홍보/광고목적으로 형상화한 장식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간판.
KR2020020005552U 2002-02-25 2002-02-25 회전입간판 KR200276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52U KR200276311Y1 (ko) 2002-02-25 2002-02-25 회전입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52U KR200276311Y1 (ko) 2002-02-25 2002-02-25 회전입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311Y1 true KR200276311Y1 (ko) 2002-05-18

Family

ID=7311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552U KR200276311Y1 (ko) 2002-02-25 2002-02-25 회전입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3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088A (ko) 2017-07-25 2019-02-08 최상무 회전구동 광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088A (ko) 2017-07-25 2019-02-08 최상무 회전구동 광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5808A1 (en) Illuminated revolving lamp device
US5685097A (en) Illuminated colored display device
US5416674A (en) Black light display device
JP2007026827A (ja) 電飾装置
JP2014500596A (ja) 偏光照明システム
KR200276311Y1 (ko) 회전입간판
KR200265192Y1 (ko) 회전입간판
KR102361176B1 (ko) 인피니티미러 이미지표시장치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KR100359974B1 (ko) 렌티큘러의 입체 효과를 이용한 광고판
KR200325451Y1 (ko) 회전식 광고판
JPH11184414A (ja) 広告用看板の演出方法及びその演出装置
KR200385949Y1 (ko) 광고장치
KR200197784Y1 (ko) 렌티큘러의 입체 효과를 이용한 광고판
KR101802611B1 (ko) 입체 광고가 가능한 조명등
KR101578858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되는 조명장치
KR200355494Y1 (ko) 양면 회전 광고판
JP2007065231A (ja) 表示装置
KR100320046B1 (ko) 조명장치가 내장된 삼각기둥회전 광고판
JP3009524U (ja) 回転看板
KR200168322Y1 (ko) 회전식 광고장치
KR100198279B1 (ko) 화면장치
CN2610434Y (zh) 图文显示装置
KR200359552Y1 (ko) 광고장치
KR200249926Y1 (ko) 색상이 가변되는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