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85Y1 -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85Y1
KR200276185Y1 KR2020020005496U KR20020005496U KR200276185Y1 KR 200276185 Y1 KR200276185 Y1 KR 200276185Y1 KR 2020020005496 U KR2020020005496 U KR 2020020005496U KR 20020005496 U KR20020005496 U KR 20020005496U KR 200276185 Y1 KR200276185 Y1 KR 200276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oor lock
hole
fitt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박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순 filed Critical 박지순
Priority to KR2020020005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85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도어를 외부인이 쉽게 열수 없도록 설치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문 기술이 없이도 누구나가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의 고정로드를 개량 보완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몸체(100)와 내측몸체(200)를 도어(300)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도어(300)의 내,외측으로 설치되는 외측보조판(10)과 내측보조판(20)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의 고정로드(16)의 위치고정을 고정로드(16)로 끼워져 고정로드(16)에 반발력을 가하는 반발스프링(40)에 의해 고정유지시킬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A disital door lock that is easy to establishment}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도어를 외부인이 쉽게 열수 없도록 설치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문 기술이 없이도 누구나가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의 고정로드를 개량 보완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디지털 도어록을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한 디지털 도어록을 실용신안등록 제251119호( 이하 "선고안"이라 합니다)로 착안한바 있다.
상기의 선고안은, 전문기술 없이도 누구나가 쉽게 도어록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외측보조판(4)으로 고정되는 외측몸체(2)를 고정시키는 고정로드(5)의 위치 고정이 내측보조판(6)으로 고정되는 별도의 위치결정부재(7)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위치고정 작업에 번거러움이 있고, 위치결정부재(7)는 내측보조판(6)에 조립된 상태가 아니고 별도의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디지털 도어록 포장 출하시 위치결정부재(7)가 포장되어지지 않은 상태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염려가 있다.
따라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의 부품수를 줄임과 동시에 이원화되어 있는 부품을 단일화시켜 조립작업 및 포장 출하에 따른 포장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종래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을 보완 개량한 본 고안은, 고정로드의 끝단이 외측보조판의 테두리 홀로 항상 돌출되어질 수 있도록 고정로드가 반발 스프링의 반발력을 받게한 것으로, 고정로드를 별도의 위치결정부재 없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외측보조판에 외측몸체를 보다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포장 출하시 조립부품 누락포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신뢰도 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측보조판을 정면에서 본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 : 외측보조판 11 : 테두리
13 : 샤프트 16 : 고정로드
16a : 지지핀 내지 스냅링 17 : 랙크
18 : 피니언 20 : 내측보조판
21 : 테두리 22 : 나사구멍
24 : 구멍 40 : 반발스프링
41,41a : 가이드부재 100 : 외측몸체
101 : 고정홈 200 : 내측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외측몸체(100)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태로서 도어(300)에 면접촉되는 평탄부(12a)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몸체
(100)의 테두리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는 테두리(11)가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12a)의 중앙에는 실린더(1)의 키홈(1a)에 끼워지는 키샤프트가 관통 설치되어지는 키샤프트설치구멍(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키샤프트설치구멍(12) 양쪽에는 실린더(1)의 표준구멍(8)으로 끼워지는 샤프트(13)가 고정 설치되어 있되, 상기 샤프트(13)는, 평판부(12a)로 위치하는 단부로 외측몸체(100)의 상,하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홈
(1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부가 테두리(11)중 상,하로 형성된 홀(11a)에 위치하는 고정로드(16)의 랙크(17)와 치합되어 고정로드(16)를 이동시키는 피니언(1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조보판(10)와; 내측몸체(200) 테두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서 도어(300)에 면접촉되는 평탄부(25)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몸체(200)의 테두리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테두리(2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테두리(21)중 수직하는 양쪽의 테두리에 내측몸체(200)를 나사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22)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25)의 중앙에는 실린더(1)의 키홈(1a)에 끼워지는 키샤프트가 관통 설치되어지는 키샤프트설치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키샤프트설치구멍
(23) 양쪽에는 외측보조판(10)에 설치된 샤프트(13)가 끼워지는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보조판(20)으로 이루어진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16)에는 반발스프링(40)이 끼워져 끝단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는 지지핀 내지 스냅링(16a)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 단부가 소정 거리를 갖고 고정로드(16)의 양쪽으로 설치되어진 가이드부재(41)(41a)중 가이드부재(41)에 지지되어 고정로드(16)의 끝단이 항상 테두리(11)의 홀(11a)로 돌출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부재(41)(41a)에는 샤프트(13)의 피니언(18)과 고정로드
(1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체(42)가 나사못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측보조판을 정면에서 본 예시도 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이다.
본 고안의 디지털 도어록을 도어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도어(300)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구멍에 실린더(1)를 장착한다.
실린더(1)의 장착이 완료되어지면, 외측보조판(10)을 도어(300)의 외측으로위치시킨 다음 도어(300)의 장착구멍으로 설치되어진 실린더(1)의 표준구멍(8)에 샤프트(1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치 시킨다.
실린더(1)의 표준구멍(8)에 일치된 외측보조판(10)의 샤프트(13)를 밀어 넣어서 도어(300)의 외측면에 외측보조판(10)을 밀착시킨 후, 평판부(12a)의 네모서리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12b)에 직결나사(도시하지 않았음)를 끼워 드라이버를 이용해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300)의 외측면에 외측보조판(10)이 장착완료되어지면, 도어(300)의 내측으로 내측보조판(2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내측보조판(20)을 설치할 때에는 내측보조판(20)의 평판부(25)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키샤프트설치구멍(23)의 양쪽으로 형성된 구멍(24)이 외측보조판
(10)의 샤프트(13)에 끼워질 수 있게 일치시킨 다음 내측보조판(20)을 도어(300) 내측면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300)에 밀착되어진 내측보조판(20)을 내측보조판(20)의 평판부(25) 네모서리에 형성된 구멍(26)에 직결나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직결나사를 드라이버로 돌려 직결나사를 도어(300)에 체결함으로서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0)에 외측보조판(10)과 내측보조판(20)이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외측보조판(10)에 외측몸체(100)를 먼저 장착하게 된다.
외측보조판(10)에 외측몸체(100)를 장착시킬때에는, 외측보조판(10)의 테두리(11)에 외측몸체(100)의 테두리를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피니언(18)을 가지고 있는 샤프트(13)를 도3의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 테두리(11)의 홀(11a)로 돌출되어있는 고정로드(16)의 끝단을 삽입 위치시킨 후, 외측몸체(100)를 삽입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샤프트(13)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게되면, 고정로드(16)는 반발스프링(40)의 반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끝단이 외측몸체(100)의 고정홈(101)으로 끼워져 외측몸체(100)를 외측보조판(1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 설치되어진 외측몸체(100)의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배선되어진 전선을 실린더(1)가 장착되어진 장착구멍의 틈 사이로 끼어 넣어 전선을 도어(300) 내측으로 위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몸체(100)의 장착이 완료되어지면 내측보조판(20)에 내측몸체(200)를 장착한다.
내측몸체(200)를 내측보조판(20)에 장착하기 앞서 실린더(1)가 장착된 장착구멍으로 배선된 외측몸체(100)의 회로기판 전선과 내측몸체(200)의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배선된 전선을 먼저 연결한다.
전선의 연결이 완료되어지면, 내측몸체(200)의 테두리를 내측보조판(20)의 테두리(21)로 삽입시켜 도어(300)의 내측면으로 밀착시킨다.
내측몸체(200)가 도어(300)에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내측보조판(20)의 테두리중 수직하는 테두리 상,하로 형성된 나사구멍(22)과 일치되어진 내측몸체(200)의 테두리로 형성된 구멍(201)에 나사볼트를 끼워 나사체결함으로서 내측몸체(200)의 장착 역시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이사를 갈때에는 도어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을 분해해 가게되는데, 디지털 도어록을 분리할 때에는 내측보조판(20)의 수직하는 테두리의 나사구멍(22)으로 나사결합되어서 내측몸체(200)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볼트(도시하지 않았음)를 분리해낸다.
상기와 같이 나사볼트를 분리해 냄으로서 내측보조판(20)으로부터 내측몸체
(200)가 분리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내측몸체(200)를 분리해낸후, 샤프트(13)를 도3의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 외측몸체(100)의 고정홈(101)으로 끼워져 있던 고정로드(16)의 단부를 해정시켜서 외측보조판(10)으로부터 외측몸체(200)를 분리해 낸다.
상기에서와 같이 외측몸체(100)와 내측몸체(200)의 분리를 완료한 다음, 직결나사에 의해 도어로 고정된 내측보조판(20)과 외측보조판(10)을 분리해 냄으로서 디지털 도어록의 분리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은, 외측몸체
(100)와 내측몸체(200)를 도어(300)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별도의 외측보조판(10)과 내측보조판(20)을 이용하여 설치 하므로서 디지털 도어록 설치시 도어에 별도의 보조구멍을 타공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문기술 없이도 누구나가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디지털 도어록 설치에 따른 전문인력 없이도 설치가 가능함으로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 설치시 도어에 보조구멍이 타공되어지나 본 고안의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할때 보조구멍 없이도 설치되어지는 것이어서 이사를 할때 분리해갈 수 있고; 고정로드(16)를 별도의 위치결정부재 없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외측보조판에 외측몸체를 보다 쉽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 출하시 조립부품 미포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신뢰도 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외측몸체(100)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태로서 도어(300)에 면접촉되는 평탄부
    (12a)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몸체(100)의 테두리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는 테두리
    (11)가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12a)의 중앙에는 실린더(1)의 키홈(1a)에 끼워지는 키샤프트가 관통 설치되어지는 키샤프트설치구멍(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키샤프트설치구멍(12) 양쪽에는 실린더(1)의 표준구멍(8)으로 끼워지는 샤프트(13)가 고정 설치되어 있되, 상기 샤프트(13)는, 평판부(12a)로 위치하는 단부로 외측몸체
    (100)의 상,하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홈(1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부가 테두리
    (11)중 상,하로 형성된 홀(11a)에 위치하는 고정로드(16)의 랙크(17)와 치합되어 고정로드(16)를 이동시키는 피니언(1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조보판(10)와; 내측몸체(200) 테두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서 도어(300)에 면접촉되는 평탄부(25)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몸체(200)의 테두리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테두리(2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테두리(21)중 수직하는 양쪽의 테두리에 내측몸체(200)를 나사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22)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25)의 중앙에는 실린더(1)의 키홈(1a)에 끼워지는 키샤프트가 관통 설치되어지는 키샤프트설치구멍
    (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키샤프트설치구멍(23) 양쪽에는 외측보조판(10)에 설치된 샤프트(13)가 끼워지는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보조판(20)으로 이루어진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16)에는 반발스프링(40)이 끼워져 끝단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는 지지핀 내지 스냅링(16a)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 단부가 소정 거리를 갖고 고정로드(16)의 양쪽으로 설치되어진 가이드부재(41)(41a)중 가이드부재(41)에 지지되어 고정로드(16)의 끝단이 항상 테두리(11)의 홀(11a)로 돌출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부재(41)(41a)에는 샤프트(13)의 피니언(18)과 고정로드
    (1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체(42)가 나사못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2020020005496U 2002-02-25 2002-02-25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200276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96U KR200276185Y1 (ko) 2002-02-25 2002-02-25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96U KR200276185Y1 (ko) 2002-02-25 2002-02-25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85Y1 true KR200276185Y1 (ko) 2002-05-18

Family

ID=7311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96U KR200276185Y1 (ko) 2002-02-25 2002-02-25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88B1 (ko) 2006-04-20 2007-05-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88B1 (ko) 2006-04-20 2007-05-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352110A (zh) 殼體結構及採用該殼體結構之電子裝置
JP2007134506A (ja) 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KR200276185Y1 (ko)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US10095281B2 (en) Fixing mechanism and computer chassis
KR101860017B1 (ko) 인쇄회로기판 조립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
KR100415945B1 (ko)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CN103267053A (zh) 一种免用螺丝连接座
KR200276184Y1 (ko)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US20030229967A1 (en) Door hinge mount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KR100701232B1 (ko) 책상용 상판의 슬라이드 결합구조
CN203239708U (zh) 一种免用螺丝连接座
CN211184499U (zh) 交互智能平板及边框组件
KR200226143Y1 (ko) 캐비닛 마운팅용 브래킷
EP3629435A1 (en) Panel assembly and multigang panel
JPH0739276Y2 (ja) ラック式電子機器筐体の取付装置
JPH0542254Y2 (ko)
JP4630260B2 (ja) ファンユニット取り付け具
KR100491582B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판넬 조립구조
US20050263342A1 (en) Speaker fixture assembly
KR200284764Y1 (ko) 전자제품용 케이스
JPH04119208A (ja) 基板固定構造
JP2006156501A (ja) 筐体を備えた電子機器
JP6197296B2 (ja) 固定装置
KR950008572Y1 (ko) 가스보일러의 pcb 박스 구조
KR20040019165A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