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29Y1 -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 Google Patents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29Y1
KR200276129Y1 KR2020020004359U KR20020004359U KR200276129Y1 KR 200276129 Y1 KR200276129 Y1 KR 200276129Y1 KR 2020020004359 U KR2020020004359 U KR 2020020004359U KR 20020004359 U KR20020004359 U KR 20020004359U KR 200276129 Y1 KR200276129 Y1 KR 200276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power supply
digital door
receiving pl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3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 filed Critical 이철
Priority to KR2020020004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2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29Y1/en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 자체에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전원연결체를 구성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보다 안정적인 전원 수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락의 설치 과정에서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변형 및 훼손이 방지되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ower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the digital door lock itself, so that the digital door lock can maintain a more stable power supply and at the same time,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structure including the door is prevent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door 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enables a reduction in working time and cost reduction.

이같은 본 고안은, 도어(1)에 고정되는 도어락 본체(10)와, 도어틀(2)에 고정되는 받이판(22) 및, 상기 도어락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24)으로 로킹 동작하는 전기정(20)을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전기정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띠(26)와; 외부 전원과 접속된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정의 삽입시에 상기 한 쌍의 전극띠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32)와; 상기 각 전극띠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전기정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or lock body 10 fixed to the door 1, a receiving plate 22 fixed to the door frame 2, and a locking groove 24 of the receiving plate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body. In the digital door lock including an electric lock 20 to operate the locking; A pair of electrode strips 26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cha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power supply terminals 32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ontacting the pair of electrode strips when the electric tablet is inserted; And a rechargeable battery 36 embedded in the door lock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electrode strips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tablet.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 자체에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전원연결체를 구성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보다 안정적인 전원 수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락이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훼손 없이 외부전원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a power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the digital door lock itself, the digital door lock can maintain a more stable power supply and at the same time, the door lock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without deformation or damage to a structure including a door, thereby reducing work time and reducing costs.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종전의 키를 이용한 수동식 도어락의 허술한 보안기능을 개선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전자카드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키버튼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지문이나 안구 등을 인식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생체인식의 첨단방식에 이르기까지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digital door locks are widely used to improve the poor security of manual door locks using conventional keys and to provide users with more convenience. Such a digital door lock is typically a method of inputting a password using an electronic card or a key button, and recently, it is gradually spreading to a biometric advanced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door is opened or closed by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or eyeball. There is a trend.

이같은 디지털 도어락의 보편적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general configuration of such a digital door lock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디지털 도어락은 크게, 도어(100)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락 본체(104)및, 도어틀(102)에 상기 도어락 본체(104)와 대응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받이판(10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본체(104)의 내측에 전기정(108)이 설치되며, 이같은 전기정(108)은 상기 도어락 본체(104) 내측으로 설치되는 전기정 구동수단(110)에 그 내측 단부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10)의 일 예로, 모터(112) 및 상기 모터(112)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랙(114)과 피니언(116) 형태를 들 수 있겠다. 또한,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10)을 포함한 도어락 본체(104)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선(118)을 통해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이판(106)에는 로킹홈(106a)이 형성된다.The digital door lock is largely composed of a door lock body 104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100, and a receiving plate 106 fixedly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door lock body 104 at the door frame 102. In addition, an electric well 108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body 104, and the electric well 108 is coupled to an inner end of the electric well driving means 110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body 104. An example of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10 may include a form of a rack 114 and a pinion 116 connected to the motor 112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112.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is made to the door lock body 104 including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10 through a wire 118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receiving plate 106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106a.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모터(112) 구동시 그와 연동되는 상기 랙(114)과 피니언(116)의 작용을 통해서 상기 전기정(108)은 도어락 본체(104)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전기정(108)이 상기 받이판(106)의 로킹홈(104a)으로 끼워지면서 도어(100)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electric well 108 protrudes out of the door lock body 104 through the action of the rack 114 and the pinion 116 interlocked with the motor 112 when driven. As the 10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04a of the receiving plate 106, the door 100 is lock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설치상의 어려움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문제점을 노출하였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has exposed various problems including installation difficulties.

즉,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도어락 본체(104)와 연결되는 전선(118)이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상 좋치 않으므로, 도어(100)에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구멍(120)을 천공하고, 이렇게 천공된 구멍(120)을 통해 전선(118)을 도어(100) 내측으로 인입하여 상기 도어락 본체(104)와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때, 상기 도어(100)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전선(118)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형의 힌지관(122)을 사용하기도 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since the electric wire 118 connected to the door lock main body 104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may not look good, so that the hole 120 is drilled in the door 100 using a tool such as a drill. The wire 118 was introduced into the door 100 through the hole 12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oor lock body 104. In this case, the corrugated hinge tube 122 may be used to prevent the wire 118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00.

이러한 방법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함에 따라, 그 설치 과정에서 도어의 일부분을 훼손시키게 되는 현상이 초래되며, 또한 도어(100)에 구멍(120)을 천공하는 작업 뿐만아니라 이렇게 천공된 구멍(120)을 통해 전선(118)을 인입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작업이 용이치 못해 작업상에 큰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예비전원을 가지지 않는 형태이므로, 정전시나 단선 등의 이유로 전원공급이 중단될 시에 그 기능이 완전히 정지될 수 있는 문제가 상존하였다.As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in this manner, a part of the door may be damag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drilling holes 120 may be formed as well as the holes 120 may be drilled in the door 100. Through the wire 118 through the wire to the digital door lock is not easy to work with the external power it was difficult to work involved. In addition, since the digital door lock does not have a reserve power source, there is a problem that its function may be completely stopped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due to power failure or disconnection.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의 내측에 배터리(124)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배터리(124)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외부전원과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매우 한정적인 전원이 사용되는 관계로 전원 소모의 최소화를 위해 기능이 대폭 축소될 수 밖에 없었고, 배터리(124)를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배터리(124)가 완전하게 방전되는 시기를 파악할 수 없는 것이므로, 외출후 귀가시나 그밖의 정전사고와 같은 불시의 전원공급 중단시를 대비하여 비상수단이 요구되는 것이었다.In addition, a digital door lock using a battery 12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has been provided. However, the digital door lock using the battery 124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while a very limited power source is used, so the function is greatly reduc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ere was no choice but to reduce, followed by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lace the battery 124 frequently. In addition, sinc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n the battery 124 is completely discharged, an emergency means is required in case of an unexpected power supply interruption such as returning home or other power failure after going ou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락 자체에 외부전원과의 통전을 위한 전원연결체를 구성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훼손없이 외부전원과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는 동시에, 그로 인한 설치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figuring a power connector for energiz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in the digital door lock itself,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without damaging the structure including the doo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ower supply for a digital door lock, which can simultaneously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reduce costs.

또한, 본 고안은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기능을 병행하게 되는 내장형 충전지가 항시 충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정전과 같은 외부상황의 변화에 관계없이 디지털 도어락의 정상적인 작동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which is a function of the main power supply and the backup power at the same time is always charged, the 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so tha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is always maintained regardless of external circumstances such as power failure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feeder.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에 항상 풍부한 전원수급이 가능하게 되므로써, 디지털 도어락이 도어를 로킹하는 기본기능 외에도 매우 다양한 부가기능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abundant power supply and supply are always possible for the digital door lock,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so that the digital door lock can have a wide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locking the door.

도 1은 종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도 2는 종래 디저털 도어락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digital door lock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structure of a digital door lock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door lock power supp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digital door lock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도어 2: 도어틀 10: 도어락 본체 12: 전기정 구동수단 14: 모터 16: 랙 18: 피니언 20,60: 전기정 22,50: 받이판 24,52: 로킹홈 26,61a,62a: 전극띠 28,34,61b,62b: 절연체 30: 가이드홈부 32,51: 전원공급단자 36: 충전지 61,62: 단위전기정DESCRIPTION OF SYMBOLS 1: Door 2: Door frame 10: Door lock main body 12: Electric drive drive means 14: Motor 16: Rack 18: Pinion 20,60: Electric drive 22,50: Support plate 24,52: Locking groove 26,61a, 62a: Electrode strip 28,34,61b, 62b: Insulator 30: Guide groove 32,51: Power supply terminal 36: Rechargeable battery 61,62: Unit electrostati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 본체와, 도어틀에 고정되는 받이판 및, 상기 도어락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으로 로킹 동작하는 전기정을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전기정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띠와; 외부 전원과 접속된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정의 삽입시에 상기 한 쌍의 전극띠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각 전극띠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전기정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lock body fixed to a door, a receiving plate fixed to the door frame, and an electric tablet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body to lock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In a door lock; A pair of electrode stri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tablet; A pair of power supply terminal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 lock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air of power supply terminals being in contact with the pair of electrode strips when the electric tablet is inserted; And a rechargeable battery embedded in the door lock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electrode strips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tablet.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도어 개방시에도 상기 전극띠와의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정의 이동 간격이 보상되는 길이를 가진체 상기 로킹홈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groove having a length that is compensated for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electrical well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electrode strip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It is done.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극띠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한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받이판 내면에 탄설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strip is made in the form of a rail formed with a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to be elastically fitted to the guide groove. .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로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ure 5 is a view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3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locking state.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전원 공급장치가 적용된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은 하나의 실시 형태에 지나지 않으며, 그밖에도 다양하게 제공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본 고안의 전원 공급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which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just one embodiment, and it is further noted that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ly provided digital door locks.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락 본체(10), 전기정 구동수단(12), 전기정(20), 받이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digital door lock includes a door lock main body 10, an electric well driving means 12, an electric well 20, and a receiving plate 22.

상기 도어락 본체(10)는 도어(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전기정(2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정 구동수단(1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은 여러가지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4) 및 상기 모터(14)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랙(16)과 피니언(18)으로 구성하였다.The door lock main body 10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1, and the inside of the door lock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2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electric well 2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2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as composed of a rack 16 and a pinion 18 connected to the motor 14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14. .

그리고, 이러한 도어락 본체(10)의 내측으로 상기 전기정(20)이 설치된다.이같은 전기정(20)은 그 일단이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전기정(20)은 상기 랙(16)의 단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전기정(20)은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직선으로 연동하게 되는 랙(16)에 의해서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외부로 돌출 또는 수용되는 것이다.The electrostatic well 2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main body 10. The electrostatic well 20 has one end thereof coupled to the electrostatic well driving means 12,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static well 2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ack 16. That is, the electrostatic tablet 20 is protruded or accommodated in and out of the door lock body 10 by the rack 16 to be interlocked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14.

그리고, 전술한 받이판(22)이 상기 도어락 본체(10)와 인접되도록 도어틀(2)에 고정 설치된다. 이같은 받이판(22)은,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락 본체(10)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전기정(2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로킹홈(24)을 형성하고 있다.The receiving plate 22 is fixed to the door frame 2 so as to be adjacent to the door lock body 10. The receiving plate 22 forms a locking groove 24 so that one side of the electric well 2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oor lock main body 10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well driving means 12.

이렇게 구성된 디지털 도어락으로 설치되는 본 고안의 전원 공급장치를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digital door loc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전기정(20)의 일면에 한 쌍의 전극띠(26)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한 쌍의 전극띠(26)는 그 일측 단부를 후술되는 충전지(36)에 각각 접속하게 되며, 상기 충전지(36)는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극띠(26)는 절연체(28)에 의해 상기 전기정(20)과 절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The pair of electrode strips 26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tablet 20, so that the pair of electrode strips 26 connect one end thereof to the rechargeable battery 36 to be described later. 36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body 1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de strip 26 is configured to be insulated from the electric tablet 20 by the insulator 28.

그리고, 상기 받이판(22)의 로킹홈(24) 내면에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32)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단자(32)는 외부전원과 접속되게 된다. 이같은 전원공급단자(32)는 상기 전기정(20)의 삽입시 그 전극띠(26)와 각각 접속되어지며, 이러한 전원공급단자(32) 역시 절연체(34)에 의해 상기 받이판(50)과 절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a pair of power supply terminals 32 ar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24 of the receiving plate 22, so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s 32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se power supply terminals 3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rip 26 when the electric tablet 20 is inserted,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is also insulated from the receiving plate 50 by the insulator 34.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it.

또한, 상기 전극띠(26)와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보다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띠(26)를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부(30)가 형성된 레일형 구조로 제작하고, 이같은 레일형의 전극띠(26)에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전원공급단자용 절연체(34)를 내측에 수용공간이 제공되도록 절곡하여 형성하고, 이같은 절연체(34)의 수용공간에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탄설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상기 전극띠(26)의 가이드홈부(30)에 보다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strip 26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in order to maintain a more stable connection state, the electrode strip 26 is manufactured in a rail-shaped structure formed with a guide groove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rail-shaped electrode strip 26.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terminal insulator 34 is formed to be bent to provide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insulator 34 so that the power supply is provided. The terminal 32 may be configured to be in closer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30 of the electrode strip 26.

그리고, 상기 한 쌍으로 제공된 전극띠(26)가 그 일측 단부를 각각 접속하게 되는 전술한 충전지(36)는, 도어락 본체(10) 내측에 구비되는 전기정 구동수단(12)과 접속되어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rechargeable battery 36, in which the electrode strips 26 provided as the pair connect one end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2 provided inside the door lock main body 10 to drive the electrostatic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means 12.

또한, 전술한 받이판(22)의 일측에 DC아답터(38)를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은 DC아답터(38)는 상기 받이판(22)의 전원공급단자(32)와 접속되어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공급단자(32)에 인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C adapter 38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late 22 described above. The DC adapter 38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of the receiving plate 22 so that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받이판(22)의 전원공급단자(32)에 외부전원을 접속하므로써, 상기 전기정(20)의 로킹 동작에 따라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을 포함한 도어락 본체(10)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다시 말해,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매우 간편해지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of the receiving plate 22, the door lock main body 10 including the electrostatic driving device 12 in accordance with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well 20. Will be powered. In other words, the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becomes very simp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어(1)가 잠겨있는 경우, 전기정(20)은 받이판(22)의 로킹홈(24)에 삽입되어 그 전극띠(26)를 상기 받이판(22)의 전원공급단자(32)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전극띠(26)로 통전되면서 도어락 본체(10)에 내장된 충전지(36)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when the door 1 is locked, the electrostatic tablet 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 of the receiving plate 22 to insert the electrode strip 26 into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of the receiving plate 22. Keep in contact. Accordingly, while the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is energized to the electrode strip 26, the rechargeable battery 36 embedded in the door lock body 10 is charged.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를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도어락 본체(10) 내측의 전기정 구동수단(12)이 작동되면서 상기 전기정(20)을 도어락 본체(10)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하면, 상기 소정의 신호 입력시 상기 도어락 본체(10) 내부의 모터(14)가 상기 전기정(20)을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14)의 구동축에 연결된 피니언(18)이 회전하면서 그와 맞물린 랙(16)을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정(20)은 상기 받이판(22)의 로킹홈(24)에서 빠지면서 상기 도어락 본체(10) 내측으로 인입된다.When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signal to open the door 1 in such a state, the electric lock driving means 12 inside the door lock main body 10 is operated to move the electric lock 20 toward the door lock main body 10. Pu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the motor 14 inside the door lock main body 10 rotates i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ell 20, and thus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14. As the pinion 18 rotates, the rack 16 engaged with the pinion 18 is pull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door lock body 10. Accordingly, the electrostatic well 20 is drawn into the door lock body 10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24 of the receiving plate 22.

이렇게 전기정(20)이 로킹홈(24)에서 빠져 나오면서 전기정(20)의 상기 전극띠(26)와 받이판(22)의 상기 전원공급단자(32) 간의 접속은 해제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한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으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충전지(36)는 도어(1)의 개방 전에, 다시 말해 도어(1)의 닫힘 상태에서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인 것이다.As the electric well 2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24,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strip 26 of the electric well 20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32 of the receiving plate 22 is released, thereby supplying the power. Power supply to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2 through the terminal 32 is stopped. At this time, the rechargeable battery 36 is completely charged before the door 1 is opened, that is,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1.

이러한 충전지(36)를 통해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으로 지속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개방된 도어(1)를 닫게 되면 상기 모터(14)가 도어(1) 개방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랙(16)을 밀어내어 상기 전기정(20)은받이판(22)의 로킹홈(24)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도어(1)의 닫힘시 디지털 도어락이 자동적으로 로킹됨은 디지털 도어락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the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2 through the rechargeable battery 36, when the open door 1 is closed, the motor 14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hen the door 1 is opened. While pushing the rack 16, the electrostatic tablet 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 of the receiving plate (22). At this time, since the digital door lock is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1 is clo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충전지(36)가 완전히 방전되기 전까지는 외부전원의 공급이 없더라도 디지털 도어락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같은 충전지(36)는 예비배터리의 기능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is possible even without supply of external power until the rechargeable battery 36 is completely discharged, such a rechargeable battery 36 also has a function of a spare battery.

이렇게 충전지(36)가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에 대한 주전원의 기능 및 예비전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은 정전시나 그밖의 전원공급 중단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항상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Thus, since the rechargeable battery 36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main power supply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to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2 at the same time,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12 always operates normally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or other interruption of power supply. It will work.

또한, 도어(1)의 개방을 위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는, 카드를 인식시키는 방법, 키버튼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내지는 지문인식 방법 등 여러가지 형태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inputting a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to open the door 1, various forms such as a method of recognizing a card, a method of inputting a password through a key button, or a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may be used. Of course.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판(50)의 전원공급단자(51)가 도어락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되어, 도어(1)의 개방시에도 전기정(20)의 전극띠(26)가 상기 전원공급단자(51)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받이판(50)의 로킹홈(52)으로 로킹동작하는 상기 전기정(20)의 이동간격을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단자(51)는 상기 전기정(20)의 로킹해제 위치에서도 상기 전극띠(26)와의 접속이 확보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게 설치된다.Meanwhile, FIGS. 6 and 7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51 of the receiving plate 5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lock body 10 as shown. It is provided so that, even when the door 1 is opened, the electrode strip 26 of the electrostatic tablet 20 can maintain the state connected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51. That is, the power supply terminal 51 is also in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electric well 20 so as to compensate for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electric well 20 that is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52 of the receiving plate 50. It is provided to extend to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with the electrode strip 26 is secured.

상기한 구성에 의해, 도어(1)의 닫힘시를 포함하여 개방시에도 디지털 도어락으로는 외부전원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디지털 도어락에 내장된 충전지(36)는 순수하게 예비전원의 기능 만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the door 1 is closed and open, the digital door lock can continuously supply external power. Therefore, the rechargeable battery 36 built in the digital door lock functions as a spare power source. You can only do it.

또한, 전기정(60)을 상호 독립된 한 쌍의 단위전기정(61,6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단위전기정(61,62)은 도어락 본체(10)의 전기정 구동수단에 각각 결합되며, 이같은 단위전기정(61,62)의 일면에 전극띠(61a,62a)를 절연체(61b,62b)로 절연시켜 설치하는 형태이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well 60 may be constituted by a pair of unit electrostatic wells 61 and 62 which are mutually independent. That is, the pair of unit electrostatic wells 61 and 62 are coupled to the electrostatic well driving means of the door lock body 10, respectively, and the electrode strips 61a and 62a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unit electrostatic wells 61 and 62. And 62b).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자체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설치시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변형이나 훼손없이 간편한 작업에 의해 외부전원을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향상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도어락의 설치후 정전 등에 의한 작동 중지사유가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온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s, by the 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gital door lock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tself, including the doo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The external power can be easily supplied by simple operation withou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structure, and thus,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cost reduction are brought. In addition, the reas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due to power failur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door lock is prevented in advance, resulting in the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the product.

또한, 디지털 도어락으로 항상 충분한 전원수급이 가능함에 따라, 도어락의 기본기능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부가기능을 무리없이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보안과 방범 기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된다.In addition, since sufficient power supply is always possible with the digital door lock,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the door lock without difficulty, thereby maximiz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enhancing security and security functions. .

Claims (4)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 본체와, 도어틀에 고정되는 받이판 및, 상기 도어락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으로 로킹 동작하는 전기정을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A digital door lock including a door lock body fixed to a door, a receiving plate fixed to a door frame, and an electric well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body to lock into a lock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상기 전기정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띠와;A pair of electrode stri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tablet; 외부 전원과 접속된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정의 삽입시에 상기 한 쌍의 전극띠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와;A pair of power supply terminal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air of power supply terminal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pair of electrode strips when the electric tablet is inserted; 상기 각 전극띠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전기정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A rechargeable battery embedded in the door lock main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electrode strips, and configured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electric table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terminal, 도어 개방시에도 상기 전극띠와의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정의 이동 간격이 보상되는 길이를 가진체 상기 로킹홈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out of the locking groove body having a length that is compensated for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electrical well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electrode strip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띠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한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받이판 내면에 탄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The electrode strip is formed in the form of a rail forming a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to be elastically fitted to the guid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기정은,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에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전기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전기정의 일면에 전극레일이 각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공급 장치.The electric well, the 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of unit electrostatically coupled to the electrostatic driving means, each electrode rail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each unit electrical well.
KR2020020004359U 2002-02-09 2002-02-09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KR20027612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59U KR200276129Y1 (en) 2002-02-09 2002-02-09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59U KR200276129Y1 (en) 2002-02-09 2002-02-09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29Y1 true KR200276129Y1 (en) 2002-05-21

Family

ID=7307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359U KR200276129Y1 (en) 2002-02-09 2002-02-09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29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60B1 (en) * 2005-12-07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lock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1492963B1 (en) 2013-06-17 2015-02-13 두알산업 주식회사 Ordinary power supply for digital door locking system
KR101966600B1 (en) * 2018-11-02 2019-04-05 김길수 Digital door lock
WO2020091169A1 (en) * 2018-11-02 2020-05-07 김길수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60B1 (en) * 2005-12-07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lock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1492963B1 (en) 2013-06-17 2015-02-13 두알산업 주식회사 Ordinary power supply for digital door locking system
KR101966600B1 (en) * 2018-11-02 2019-04-05 김길수 Digital door lock
WO2020091169A1 (en) * 2018-11-02 2020-05-07 김길수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2970B2 (en) Lock arrangement and a method of providing power to a lock
KR20060104982A (en) Electronically openable lock fitting for a motor vehicle
KR200276129Y1 (en)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KR100838657B1 (en) Digital door lock for breaking standby power and method thereof
US20210217260A1 (en) Method for unlocking fingerprint recognition lock and zipper lock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KR200484038Y1 (en) 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CN211201453U (en) Intelligent lockset based on spring bolt power supply
KR100473888B1 (en) Device for door lock
KR100953227B1 (en) Open-Close Management System Of A Lock
JP4588466B2 (en) Electronic key and battery-driven electric lock using the same
KR200353557Y1 (en) A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for auto door-locking system
CN210976966U (en) Lock cylinder and padlock
CN220795920U (en) Remote control laboratory door lock
KR200295657Y1 (en) Device for door lock
KR102552880B1 (en) Power supply system for smart door lock
CN217326841U (en) Passive wireless intelligent lock
KR100341117B1 (en) Power Supply for Electronic Door Lock and Method
CN220889813U (en) Emergency unlocking structure and intelligent lock
KR20020035201A (en) Electronic Door Control System
CN108868321A (en) A kind of smart lock low-power consumption safety device
KR102471594B1 (en) Emergency power supply for furniture door locks
CN220247972U (en) Rolling gate lock layout structure
KR200223470Y1 (en) Power transfer for electronic door
CN215108152U (en) Distribution box controlled by single chip microcomputer system and locked by single chip microcomputer system
CN215332038U (en) Intelligent panel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