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02Y1 -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02Y1
KR200276102Y1 KR2020010027609U KR20010027609U KR200276102Y1 KR 200276102 Y1 KR200276102 Y1 KR 200276102Y1 KR 2020010027609 U KR2020010027609 U KR 2020010027609U KR 20010027609 U KR20010027609 U KR 20010027609U KR 200276102 Y1 KR200276102 Y1 KR 200276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ipe
formwork
curved
pip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10027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02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 매몰시켜서 배수로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배수로관(5)에서 만곡부위로 연결되는 엘보우관(11)의 조립부위인 융착대(6) 및 연결부(9)를 보강 하는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 공사등에서 오,폐수관, 배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매몰하여 사용하는 배수로관(5)의 만곡부위에서는 융착대(6) 및 연결부(9)로 연결시킨 엘보우관(11)을 사용하는바 이는 융착, 용접 등으로 열을 가열하여 조립시켜 주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배수로관(5)의 재질이 연결부위에서 노화 및 변형을 유도하여 파손되는 우려가 높은 현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보강용 거푸집(1)으로서 배수로관(5)의 만곡정도에 따라 만곡되도록 길이방향 또는 중앙부위에 요철로 구성되는 만곡대(4)를 형성하되 양측부위에는 배수로관(5)의 외측면에 고정시켜 주면서 투입공간(12)이 형성되도록 요홈대(2)(2')를 구성하여 주고 일측에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7)를 투입공간(12)에 투입되도록 다수개의 투입구(3)을 구성시켜준 제품으로서 시공현장에서 배수로관(5)에 먼저 씌워준 다음 엘보우관(11)을 배수로관(5)에 융착 또는 용접으로 연결작업이 형성되는 만곡부위에 본 발명의 거푸집(1)을 만곡대(4)로 만곡시켜 주면서 씌워주고 양측부위에서 요홈대(2)(2')에 형성된 조립공간(13)을 철심(10)으로 단단히 조여 준 다음 투입구(3)를 통하여 투입 공간(12)에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7)를 충진 시켜 주어 구성되는 발명으로 융착대(6) 또는 연결부(9) 뿐만 아니라 엘보우관(11) 전체 구간에도 보강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omitted}
본 고안은 배수로관용으로 널리 사용하는 배수로관에서 시공 현장의 지형에 따라 이송방향을 이동시켜 주는 만곡부위에서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관의 만곡공정으로는 배수로관을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융착 또는 용접시켜 주거나 별도의 엘보우관 등으로 연결하여 주도록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제품들은 융착 또는 용접 부위는 배수로관의 사용재질이 합성수지제 또는 철재이므로 융착 또는 용접할 경우에는 시공 현장이나 제조 업체에서 연결부위에 가열을 하여 융착하는데 이때 가열되는 열에 의하여 연결 부위가 노화되어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취약점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엘보우 등으로 연결하는 경우 엘보우 제조는 별도의 제조 과정을 필요하며 누수의 방지를 위하여서는 철저한 작업 관리가 요구하는바 이에 대한 비용의 상승요인이 되면서 제품의 수명에도 취약점이 노출되는 현실이다또 배수로관의 만곡부위의 보강을 위한 거푸집은 보강하려는 만곡부위를 외접하기 위해서는 배수로관의 외경에 맞추어 거푸집의 요홈대의 내경에 어느정도의 조립간격이 느슨하게 되어야 거푸집의 조립이 용이하나 이는 거푸집의 요홈대의 내경과 배수로관의 외경과의 조립된 간격에 형성된 틈새로 시멘트 몰탈을 투입공간에 충진하여 줄 경우 새어나와서 소기의 몰탈충진을 위해서는 거푸집의 요홈대와 배수로관의 외경에서의 단단히 조여서 묶어주는 구조의 제공이 필요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수도관과 같은 공급관인 경우에는 수압이 높아서 만곡부위에 충격이 높으며 이에 따른 만곡 부위나 연결부위의 보강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고안으로서 만곡 부위에 융착이나 용접 또는 엘보우 등으로 제조되어 연결되는 만곡부위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누수되는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시공 현장에서 간단히 일체로 보강이 용이한 제품제공을 위한 고안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품으로서 양측부위에 조임용 요홈대에 조립공간이 형성하고 중간부위 또는 길이 방향으로 만곡대가 형성된 거푸집의 일측에 시멘트 몰탈 투입구가 다수개 형성된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2은 본 고안의 제품에서 사용하는 배수로관에서 만곡부위 및 연결부위를 도시한 요부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품인 만곡부위 보강용 거푸집이 사용되는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4는 도1에서 조임용 요홈대의 실시예의 사시도 및 적용 상태의 일부 절개된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거푸집 2,2'. 요홈대 3,3'. 투입구 4. 만곡대
5. 배수로관 6. 융착대 7. 시멘트 몰탈 및 경질 발포체
8. 지지대 9. 연결부 10. 철심
11. 엘보우관 12. 투입공간 13. 조립공간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중 매몰시켜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배수로관(5)에서 지중 매몰시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지형에 따라 만곡되는 만곡부위의 연결관에 있어서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만곡부위에서 배수로관(5)을 만곡되도록 적절히 절단한 후 서로 조립시켜 주고 조립 부위를 융착 또는 용접으로 융착대(6)로 융착하여 연결 시켜준 엘보우관(11)을 배수로관(5)으로 연결부(9)로 융착시켜 사용하는바 이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융착대(6) 또는 연결부(9) 부위가 융착 또는 용접 공정에서 가열로 노화 및 변형이 진행되므로 내구성 등이 취약점으로 노출되는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주위 토양의 외토압 또는 윤압에 의하여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또 급수관인 수도관에서는 수압이나 수압에 의한 충격 등이 엘보우가 사용되는 만곡 부위가 높은 현실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반영구적인 보강을 간단히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만곡되도록 요철부위가 중앙부위 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만곡대(4)를 구성하되 양측부위에 배수로관(5)의 외측면 연결 부위에 조여 주면서 투입 공간(12)이 형성되도록 요홈대(2)(2')를 형성하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다수개의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7)의 투입구(3)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거푸집(1)이다이때 배수로관(5)과 만곡된 부위의 거푸집(1)을 조립할 경우에는 배수로관(5)의 외경과 거푸집(1)의 요홈대(2)(2')의 내경과의 간격이 어느정도 느슨한 간격이 형성되어야 조립작업이 용이하나 조립된 만곡부위의 거푸집(1)에서 시멘트 몰탈(7)을 투입구(3)을 통하여 투입공간(12)으로 충진하는 공정에서 시멘트 몰탈(7)의 유동성으로 요홈대(2)(2')와 배수로관(5)의 조립된 부위의 틈새가 없도록 단단히 조여줄 수 있도록 거푸집(5)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요홈대(2)(2') 부위에 조립공간(13)을 형성하여 구성된 거푸집(1)을 제공하는 고안이다따라서 본 고안을 현장 시공하는 사용공정에 대한 설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관(5)에 융착대(6)와 연결부(9)를 융착이나 용접으로 연결된 엘보우관(11)에 본 고안의 제품인 거푸집(1)의 양측부위에 형성된 요홈대(2)(2')에 철심(10)으로 조여서 엘보우관(11)과 연결부(9)가 거푸집(1)의 내부로 위치 되도록 배수로관(5)의 만곡 부위에 따라 만곡시켜 주면서 고정시켜 형성되는 투입공간(12)에다 투입구(3)로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7)로 충진시켜 주어 구성되는 제품으로서 배수로관(5)에 연결되는 연결부(9) 및 융착대(6) 부위가 일체로 보강되므로 외토압, 수압, 윤압 등에도 견고하면서 간혹 발생하는 융착대(6)의 누수 등을 완전히 해결 해주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 본 고안의 제품에서 요홈대(2)(2')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겉이 거푸집(1)을 중앙부위 또는 길이 방향으로 요철부위가 형성되어 만곡되도록 만곡대(4)를 형성하고 일측에 투입구(3')를 형성하되 양측의 고정하는 연결부위에 상기 설명된 양측부위의 요홈대(2)(2')를 별도의 지지대(8)로 조립시켜 고정하여 주고 또 배수로관(5)에 조립시켜 주면서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7)를 투입공간(12)에 투입구(3)를 통하여 충진시켜 주도록 구성된 제품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로관(5)에서 만곡부위의 융착대(6)와 연결부(9)로 조립된 엘보우관(11) 뿐만 아니라 배수관로 중에서 매몰시켜 주는 지반이 특히 연약 지반이나 외토압이 편중하중이 가해지는 지역에서도 간단히 보강되는 거푸집(1)이다
고로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에 형성된 요홈대(2)(2') 부위에 시공 현장의 악조건에서 배수로관(5)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공간(13)을 형성하여 주면 시공 현장의 악조건 하에서도 용이하게 본 고안의 제품인 거푸집(1)과 배수로관(5)이 서로 용이하게 조립 작업이 진행되며 이때 철심(10)으로 요홈대(2)(2')로 견고히 조립하여 주면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7)이 투입 공정에서 간단히 작업이 마무리된다
본 고안은 배수관로에 따라 연결되는 배수로관에서 지형 및 시공현장에 따라 사용되는 엘보우관의 융착대 및 연결부에서 간단히 조립되면서 만곡 각도에 따라 만곡대와 요홈대 조립으로 형성되는 투입공간에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의 충진으로 간단히 고정되면서 누수를 해결하여 주는 경제적이면서 시공 시간의 절약 등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배수로관의 만곡 부위에서 융착대(6) 또는 연결부(9)를 보강하기 위하여 일측에 간헐적으로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 발포체(7)를 투입하는 투입구(3)가 형성된 거푸집(1)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만곡대(4)를 형성하고 양측부위의 요홈대(2)(2')를 철심(10)으로 조여 주도록 구성된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요홈대(2)(2') 부위에 조립공간(13)을 구성한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거푸집(1)의 양측부위에 별도의 지지대(8)로 조립하여 주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투입구(3')로 구성된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KR2020010027609U 2001-09-08 2001-09-08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KR200276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09U KR200276102Y1 (ko) 2001-09-08 2001-09-08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09U KR200276102Y1 (ko) 2001-09-08 2001-09-08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912A Division KR100452309B1 (ko) 2001-09-06 2001-09-06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상,하수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02Y1 true KR200276102Y1 (ko) 2002-05-21

Family

ID=7306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609U KR200276102Y1 (ko) 2001-09-08 2001-09-08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063B1 (ko) * 2002-10-22 2006-02-16 (주)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및 도로공사에서 상하수관용 피이나선 이중벽관의 체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063B1 (ko) * 2002-10-22 2006-02-16 (주)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및 도로공사에서 상하수관용 피이나선 이중벽관의 체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84037A1 (fr) Materiau de reparation de canalisation, structure de reparation, et procede de reparation
KR200276102Y1 (ko) 배수로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100426405B1 (ko) 배수로관연결장치
KR100452309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상,하수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20010099581A (ko) 만곡성 보강 배수로관용 연결장치 및 거푸집
KR200249048Y1 (ko) 만곡성 보강 배수로관 연결용 거푸집
KR100592336B1 (ko) 상하수도관 연결부위용 보호장치
KR100445112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200288710Y1 (ko) 구조용 나선관
KR200274892Y1 (ko) 파이프의 연결조임장치
KR100518463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100441725B1 (ko) 토목공사용 상,하수로관의 거푸집
KR100653830B1 (ko) 토목 및 도로에서 상하수관용 구조 보강된 나선관
KR200252826Y1 (ko) 배수로관용 연결 장치
KR100434597B1 (ko) 수로관용 연결 장치
KR200268588Y1 (ko) 배수로관용 거푸집
KR200230671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200302175Y1 (ko) 피이 나선 이중벽관용 체결 장치
KR200248964Y1 (ko) 수로관용 연결 장치
KR200216052Y1 (ko) 만곡성 보강 배수로관용 거푸집
KR10047053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급,배수관의 연결장치
KR20040010989A (ko) 구조용 보강 나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