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41Y1 -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941Y1
KR200275941Y1 KR2020020003299U KR20020003299U KR200275941Y1 KR 200275941 Y1 KR200275941 Y1 KR 200275941Y1 KR 2020020003299 U KR2020020003299 U KR 2020020003299U KR 20020003299 U KR20020003299 U KR 20020003299U KR 200275941 Y1 KR200275941 Y1 KR 200275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chamber
faucet
pip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2020020003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941Y1/ko

Links

Landscapes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챔버실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에어챔버실의 높이 길이를 짧게 하는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는 급수관 연결구와 수도꼭지 연결구, 에어챔버실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는 관이음쇠로, 관삽입구와 관로가 형성된 고정몸체를 관이음쇠 내측에 삽입 고정시켜고정몸체 살두께만큼 크게되는 단면적을 가진 에어챔버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이다.
상기와 같은 관이음쇠는 에어챔버실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현장에서 시공시 공기를 단축하고, 콘크리트 벽의 철근망에 지장을 받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Faucet-Joint Included Air-Chamber Made Of Plastic}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수도꼭지나 기기류에서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하도록 적당한 수압과 유량의 물이 항상 공급되어야 하고 이와같은 배관시스템을 위해 설계자나 시공자는 항상 노력을 하게 된다.
수도꼭지는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물을 공급받고 차단하게 되는데 사용하고 난 후 수도꼭지의 밸브를 닫게되면 관속에 충만하게 흐르고 있던 물은 갑작스럽게 막힌 벽으로 인하여 심한 압력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물의 압력파는 수도꼭지나 기기류 및 그 주위의 배관벽으로 전달되면서 큰소리의 소음과 진동을 유발한다.
이것을 수격작용이라고 하는 데,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화하면서 차단점으로부터 높은 압력파가 발생하여 관경이 큰 주관이나 입상관까지 충돌되는 지점간을 압력 충격파가 소멸 될 때까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소음과 진동을 일으키고 높은 압력파에 의해 배관과 접합부 파손, 행거나 써포트지지를 이완시키며 밸브, 계량기, 기기류 등을 조기에 파손시키므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주게된다.
수격작용에 대한 근본적으로 완전한 대처방안은 없지만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현장에서 수도꼭지와 연결하는 수전T자 관이음쇠에 상방향으로 관을 30cm 정도의 길이로 연장 연관 한 후 윗부분을 막는 식으로 제작하여 연장된 관의 내경용적을 공기주머니(에어챔버)로 하던가, 수전T자 관이음쇠의 상단에 상기 공기주머니 내용적과 비슷한 에어챔버실 몸체를 하나로 일체화시킨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기체의 압축성을 이용하여 충격파가 공기주머니의 공기를 밀면 공기가 압축하면서 충격완충역할의 일을 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의 공기주머니실을 30cm 정도로 하는 것은 소정규격의 수전T자 관이음쇠(예 15A)의 내경 단면적에서는 최소한 같은 규격의 관이 30cm 정도 길이로 된 관의 내용적 에어챔버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전T자 관이음쇠와 에어챔버는 건축공법상 거의 벽속에 매립되고 있기 때문에 에어챔버실 몸체가 길수록 콘크리트 철근망에 장애를 받아 철근의 배치를 조절해야 하고 벽돌을 쪼아 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짧은 에어챔버실 몸체일수록 공사비나 공기를 단축할 수가 있다.
근래 APT나 기타 공동주택에서 대다수가 사용하는 급수·급탕관 자재로는 배관이 쉽고,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관(폴리부틸렌관, 약칭PB관 : 15A, 외경 15.88Ø, 관두께 1.6t)인데, PB관과 PB관 이음쇠의 배관체결식은 도 6에서와 같이 배관접속구(A)는 외경에 캡과 체결되는 체결나사(B)와, 내경에는 실제 물이 흐르게되는 소정규격 관로(C)(12.6 )와 관로보다 크지만 PB관의 내경보다 같거나 근사한 규격이어서 PB관의 끝단을 지지하는 관지지환턱(D)과, 관이 끼워지는 관삽입구(E)(16.0)와 PB관을 PB관이음쇠의 이탈을 방지하는 그래브링, 와셔, 기밀을 유지시키는 오링이 내장되어 지지되도록 기물지지환턱(F)와 상기 기물들이 내장하는 기물내장구(G)(21.5 )로 구성되어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에 도 7과같이 수전T자 관이음쇠 상단에 에어챔버실 몸체를 하나로 일체화시킨 플라스틱 수전T자 관이음쇠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경우 관이음쇠 내경과 에어챔버실 내경의 지름등은 금형의 코아규격에서 결정되어 형성하는데, 금형의 코아는 금형틀내에서 끝이 열린 기물 내장구(G)에서 끝단이 막힌 에어챔버실로 삽입된 후, 사출성형이 끝나면 코아는 다시 기물 내장구(G)로 이탈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에따라 코아가 금형에서 빠지기 위해서는 기물내장구(G) 지름에 비해 상단 즉 에어챔버실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어야만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에어챔버실 내경지름은 관이음쇠 맨 끝부분인 관로(C) 지름과 동일하던가 작어야만 하기 때문에 관이음쇠에서 제일 적은 지름을 단면적으로 된 내용적의 에어챔버실로 형성하게되면 소정의 에어챔버실 내용적을 가지기 위해서는 에어챔버실 길이를 길게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소정의 같은 에어챔버실 내용적을 가지지만 에어챔버실 단면적 넓이는 크게하고 대신에 에어챔버실 몸체길이를 짧게하는 플라스틱 관용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T자 관이음쇠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측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체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체 확대 측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체 확대 측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플라스틱 관이음쇠 구조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참고되는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전관 이음쇠 2. 급수관 연결구
3. 에어챔버실 4. 금속 소켓
5. 수도꼭지 연결구 6. 기물 내장구
7. 내경부 8a,b. 단턱
9. 고정체 10. 외경부
11. 돌출환체 12. 관 삽입구
13. 관 지지턱 14. 관로
15. 유수구 16. 돌기부
본 고안은 동일한 체적의 에어챔버실을 가지는 효과를 얻기 위해 에어챔버실의 내경 단면적을 넓게 하고, 대신에 에어챔버실의 높이 길이를 짧게한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는 수전 관이음쇠(1) 일단이 관과 접속되는 급수관 연결구(2)가 되고, 급수관 연결구에 수평한 상방향으로 소정길이로 형성하여 끝단이 막힌 몸체부를 에어챔버실(3)로 형성하며, 급수관 연결구(2)의 상측이며 에어챔버실(3) 하측 사이에 돌출되어 암나사가 형성된 금속 소켓(4)이 결합된 몸체부가 수도꼭지와 연결하는 수도꼭지 연결구(5)로 형성하여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화되어 하나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된다.
상기의 수전 관이음쇠(1)는 급수관 연결구(2) 내주가 플라스틱 파이프와 배관되도록 호환되는 기물내장구(6) 지름을 소정길이만큼 가진 후, 소정길이 이후부터 에어챔버실(3) 상단부까지 관삽입구(12) 지름보다 크게 되고, 같은 규격의 지름으로 된 내경부(7)를 가지도록 하는데, 이 때 기물내장구(6)와 내경부(7) 사이는 지름차에 의해 단턱(8a)이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물내장구(6)와 내경부(7)에는 기물내장구(6) 단턱(8a)에 지지되어 에어챔버실(3) 하단까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체(9)가 형성하게 된다.
도 2와 도 3과 같은 고정체(9)의 외경부(10) 지름이 에어챔버실(3)의내경부(7) 지름과 거의 동일하고, 하단에는 급수관 연결구(2)의 기물내장구(6)의 지름과 거의 동일한 돌출환체(11)가 형성하는데 돌출환체(11)의 지름과 외경부(10) 지름차에 의해 단턱(8b)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되며, 내주는 소정 지름과 길이의 관삽입구(12)가, 상기 관삽입구(12) 끝단에 관지지턱(13)을 형성하고 나머지 내주 몸체부에 물이 흐르는 관로(14)가 형성하는 식으로 구성하였는데, 고정체(9)가 급수관 연결구(2)에 끼워져서 단턱(8a)에 돌출환체(11)의 단턱(8b)이 밀착 고정되었을 경우 수도꼭지 연결구(5)의 구멍과 일치하는 고정체(9) 위치에 수도꼭지 연결구(5) 구멍과 같은 구멍으로 된 유수구(15)가 고정체(9)의 몸체 벽을 관통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체(9)는 외경부(10) 지름과 내주에서 제일 적은 지름으로 된 관로(14)의 지름차로 인해 소정두께의 고정체(9)의 두께를 가지게 하는데, 이로 인하여 고정체(9)의 두께만큼 큰 단면적의 에어챔버실(3)을 형성시키게 되면 에어챔버실(3)의 높이 길이를 짧게 하여도 에어챔버실(3)의 내용적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상기의 고정체(9)가 기물내장구(6)와 내경부(7)에 끼워져서 고정하더라도, 사용할 때 수압의 하중에서 고정체(9)가 수전 관이음쇠(1) 내경부(7)에서 조금만이라도 회전하면 유수구(15)와 수도꼭지 연결구(5) 구멍이 불일치하여 수도꼭지 연결구(5)에 물이 흐르지 못하던가 물의 토출량이 줄게 된다. 도 4와 도 5는 이와같은 현상을 방지하고자 유수구(15) 하단부 위치에서 고정체(9)의 외경부(10) 측면보다 돌출된 돌기부(16)를 형성하여, 고정체(9)가 끼워지면 돌기부(16)가 수도꼭지 연결구(5)의 내측 끝단 구멍 일측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체(9)의 회전을 막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짧은 길이로 된 에어챔버실이 형성된 수전관이음쇠는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급수관 연결구(2) 에어챔버실(3), 수도꼭지 연결구(5)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수전용 관이음쇠(1)에 있어서,
    수전 관이음쇠(1) 내주는 기물내장구(6)와 단턱(8a), 내경부(7)를 가지며, 수전 관이음쇠(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체(9)는 몸체 내외벽이 관통한 유수구(15)가 있고 하단에 돌출환체(11)가 형성되어 돌출환체(11)의 단턱(8b)이 수전관이음쇠(1) 단턱(8a)에 지지되도록 수용되었으며, 수도꼭지 연결구(5)에는 내주에 나사부(8b)가 있는 금속소켓(4)이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
  2. 1항에 있어서, 고정체(9)는 유수구(15) 하단에 외경부(10) 측면보다 돌출된 돌기부(16)가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
KR2020020003299U 2002-02-01 2002-02-01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KR200275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99U KR200275941Y1 (ko) 2002-02-01 2002-02-01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99U KR200275941Y1 (ko) 2002-02-01 2002-02-01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941Y1 true KR200275941Y1 (ko) 2002-05-18

Family

ID=7311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299U KR200275941Y1 (ko) 2002-02-01 2002-02-01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9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3560A (en) Anti-hammer under-fixture valve
KR200275941Y1 (ko)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관 이음쇠
US7530122B2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KR200310438Y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2247975B1 (ko) 수전박스
US5329646A (en) Drain flusher device
KR200275942Y1 (ko) 플라스틱 에어챔버 일체형 수전 관이음쇠
KR200292321Y1 (ko) 수전 이음쇠
KR20070092900A (ko) 충격흡수장치를 가진 후렉시블연결관
US3818931A (en) Water hammer arrester
KR200261554Y1 (ko) 수전금구용 t자 관이음쇠
KR100478013B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KR200337246Y1 (ko) 수격흡수기의 접속용 수전이음쇠 구조
CN218719598U (zh) 一种水利管道连接结构
RU73037U1 (ru) Кран смывной
KR200206374Y1 (ko) 충격압력 흡수기
JP4200065B2 (ja) 量水器筐
KR100878999B1 (ko) 벽체에 매립하는 케이스에 내장한 수격방지형 수전이음관
KR20000006445U (ko) 수도꼭지 체결 티자 관이음쇠 제조방법
JP3125444U (ja) 自動排出弁
JPH08145272A (ja) ウオーターハンマー防止装置
KR100278579B1 (ko)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KR200184207Y1 (ko)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KR200227509Y1 (ko) 수격작용을 억제하고 유수음을 방지하는 폴리부틸렌 관용수전이음쇠
KR200299984Y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