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459Y1 - 과수용 해충 포집기 - Google Patents

과수용 해충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459Y1
KR200275459Y1 KR2020010039966U KR20010039966U KR200275459Y1 KR 200275459 Y1 KR200275459 Y1 KR 200275459Y1 KR 2020010039966 U KR2020010039966 U KR 2020010039966U KR 20010039966 U KR20010039966 U KR 20010039966U KR 200275459 Y1 KR200275459 Y1 KR 200275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nonwoven fabric
pesticide
pesticides
at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2020010039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45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해충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과실에 농약으로 인한 오염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과수용 해충 포집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는,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주몸체부를 이루는 거적포; 거적포의 내외면을 각각 감싸는 광선 차단용의 내,외부 부직포; 외부 부직포의 표면에 고정되며, 거적포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 내부 부직포의 표면에 복수개의 폐종이 말이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해충의 거처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한 복수개의 해충 거처 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해충 거처 수단들 사이에 마련되며, 해충의 유인 및 살충을 위한 해충 유인/살충제가 도포된 해충 유인/살충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해충의 잠복이 용이하도록 장소를 제공해주고, 살충제가 섞인 유인제에 의해 해충을 유인하여 그 유인제를 먹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해충(성충)이 죽게 하므로, 지속적으로 해충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과실에 농약으로 인한 오염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수용 해충 포집기{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for fruit trees}
본 고안은 과수용 해충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집기의 내부에 먹이 유인제 및 살충제와 성페로몬(pheromone)을 마련함으로써 해충의 유인을 극대화하여 해충포집 및 살충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과수용 해충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배나무 등등의 과수목은 각종 해충(예를 들면, 복숭아 심식나방, 사과애모무늬 잎마리 나방, 복숭아 순나방, 사과무늬 잎마리 나방, 은무늬 굴나방, 파방나방, 명나방 등)에 의해 해마다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해마다 살충제 또는 농약 등을 살포하여 해충의 방제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살충제나 농약을 사용할 경우는 그 효과가 단발성에 그쳐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자주 사용하다 보면 해충도 면역성이 생겨살충 및 방제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살충제를 살포하게 되면 살충제가 바람에 날려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실수의 경우 열매가 오염되기 때문에 사용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상기 살충제는 주기적으로 살포해야 하는 한편 분무기를 등에 지고 다니면서 살포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인력의 과다 소요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사항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해충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과실에 농약으로 인한 오염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과수용 해충 포집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의 해충 거처수단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의 내부 부직포의 내면부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거적포 102...내부 부직포
103...외부 부직포 104...고정끈
105...해충 거처수단 106...해충 유인/살충부
107...성페로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는,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주몸체부를 이루는 거적포;
상기 거적포의 내외면을 각각 감싸는 광선 차단용의 내,외부 부직포;
상기 외부 부직포의 표면에 고정되며, 거적포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
상기 내부 부직포의 표면에 복수개의 폐종이 말이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해충의 거처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한 복수개의 해충 거처 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해충 거처 수단들 사이에 마련되며, 해충의 유인 및 살충을 위한 해충 유인/살충제가 도포된 해충 유인/살충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해충 거처수단의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3은 내부 부직포의 내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는 거적포 (101), 내,외부 부직포(102)(103), 고정끈(104), 해충 거처수단(105), 해충 유인/살충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적포(101)는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 또는 혼용 섬유 재질의 면포부재로 소정 크기(예컨대, 20cm×40cm)와 두께를 가지며, 주몸체부를 이룬다.
상기 내,외부 부직포(102)(103)는 상기 거적포(101)의 내,외면을 각각 감싸도록 거적포(101)에 박음질 고정된다. 이 내,외부 부직포(102)(103)는 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따라서 검은 색의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끈(104)은 외부 부직포(103)의 표면에 복수개가 박음질 고정되며, 거적포(101) 및 내,외부 부직포(102)(103)로 이루어진 몸체부 전체를 나무에 묶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해충 거처수단(105)은 상기 내부 부직포(102)의 표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며, 해충의 거처 공간을 마련해 준다. 이 해충 거처수단 (10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복수개의 폐종이를 말아서 내피면 안쪽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폐종이 말이 및 폐종이 말이와 말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해충의 거처 수단이 되며, 내부 부직포(102)의 표면에 접착제나 끈 등을 이용해서 폐종이 말이를 고정시킨다.
상기 해충 유인/살충부(106)는 상기 복수의 해충 거처수단(105) 사이에 마련되며, 이 부위에는 해충유인물인 당밀액과 함께 해충의 유인 및 살충을 위한 해충 유인/살충제가 투여된다. 여기서, 해충의 유인/살충제로는 혼합제 20ℓ를 기준으로 할 때, 라놀린이나 바세린 500g, 공업용 식초(빙초산) 100g, 깻묵 1kg, 물엿 2kg, 막걸리 농축액 3ℓ, 과즙 2ℓ, 살충제 20mg의 혼합 조성물이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충 유인/살충부(106)에는 해충의 성감을 자극하여 해충의 유인을 극대화하기 위한 성페로몬(107)이 더 부가된다. 이때, 성페로몬으로는 심식나방용 성페로몬, 복숭아 순나방용 성페로몬, 배명나방용 성페로몬, 3종복합용 성페로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는 사과나무, 배나무, 복숭아 나무 등의 과수의 소정 부위에 상기 내부 부직포(102)가 나무의 외표면에 접촉되도록 감싸여진 상태에서 고정끈(104)을 이용하여 동여 매어 고정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해충 포집기가 과수에 설치되면, 각종 나방류, 예를 들면 복숭아 심식나방, 사과굴나방, 배명나방, 잎말이나방 등의 해충이 일단 거적포 (101) 및 내,외부 부직포(102)(103)로 이루어진 주요 몸체부 내부로 숨어 들게 된다. 그리고, 그 내부의 해충 거처수단(105)으로서의 복수개의 폐종이 말이 및 폐종이 말이와 말이 사이를 하나의 서식 장소로 여기고 더욱 깊이 숨어들게 된다. 이때, 내부 부직포(102) 내에 마련되어 있는 유인/살충부(106)에 투여되어 있는 해충 유인제 및 성페로몬(107)에 의해 해충은 많은 자극을 받게 된다. 그리고, 그 자극에 이끌려 해충은 결국 유인/살충부(106)에 투여되어 있는 유인/살충제를 먹게 되며, 그에 따라 해충은 죽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수용 해충 포집기는 해충의 잠복이 용이하도록 장소를 제공해주고, 살충제가 섞인 유인제에 의해 해충을 유인하여 그 유인제를 먹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해충(성충)이 죽게 하므로, 지속적으로 해충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과실에 농약으로 인한 오염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주몸체부를 이루는 거적포;
    상기 거적포의 내외면을 각각 감싸는 광선 차단용의 내,외부 부직포;
    상기 외부 부직포의 표면에 고정되며, 거적포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
    상기 내부 부직포의 표면에 복수개의 폐종이 말이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해충의 거처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한 복수개의 해충 거처 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해충 거처 수단들 사이에 마련되며, 해충의 유인 및 살충을 위하여 혼합제 20ℓ를 기준으로 할 때, 라놀린이나 바세린중의 어느 하나 500g, 공업용 식초(빙초산) 100g, 깻묵 1kg, 물엿 2kg, 막걸리 농축액 3ℓ, 과즙 2ℓ, 살충제 20mg 으로 구성된 해충 유인/살충제가 도포된 해충 유인/살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해충 포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유인/살충부에는 해충의 성감을 자극하기 위한 성페로몬이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해충 포집기.
  3. 삭제
KR2020010039966U 2001-12-24 2001-12-24 과수용 해충 포집기 KR200275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66U KR200275459Y1 (ko) 2001-12-24 2001-12-24 과수용 해충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66U KR200275459Y1 (ko) 2001-12-24 2001-12-24 과수용 해충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459Y1 true KR200275459Y1 (ko) 2002-05-17

Family

ID=7311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966U KR200275459Y1 (ko) 2001-12-24 2001-12-24 과수용 해충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4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04U (ko) * 2015-07-06 2016-05-26 임종호 수목에 접근하는 해충 살충 포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04U (ko) * 2015-07-06 2016-05-26 임종호 수목에 접근하는 해충 살충 포집기
KR200483394Y1 (ko) 2015-07-06 2017-05-11 임종호 수목에 접근하는 해충 살충 포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4890A1 (en) Arthropod Bioassay and Control Device
Weinzierl et al. Insect attractants and traps
US5018299A (en) Pesticide delivery device
CN202211095U (zh) 一种诱集红火蚁感染虫生真菌的装置
KR200275459Y1 (ko) 과수용 해충 포집기
EP3261429A1 (en) Thorny carpet
CN212324926U (zh) 一种树干防虫装置
KR20020033593A (ko) 수목용 해충 포집기
Nancarrow et al. Dead snails leave no trails: natural pest control for home and garden
Rana et al. Traditional methods of insect pest management in India
KR100348645B1 (ko) 살충 포집기
CN111955251A (zh) 一种树干防虫装置
Jakhrani et al. Evaluation of cue-lure pheromone for the attraction of Melon fruit fly Bactrocera cucurbitae in bitter gourd vegetable crop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Fogain Beat Bed Bugs and Other Pests: Learn How to Rid Your House of the Critters
Lyon et al. Ohio State University Extension Fact Sheet
Tomberlin et al. Poultry pest management
Lindquist Uses of insecticides in the production of milk
Jawale Agriculture entomology and pest pesticides
JP2000333583A (ja) 樹木用害虫駆除マット
Leonard A bibliography of the writings of Professor Mark Vernon Slingerland
Nasir Design A Smart Insect Repeller Using Ultrasonic Sensor
De Moraes Caterpillars--agents of their own demise
Lofgren Armyworms (Revised 1976)
Schneider An example of complex life-relation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