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997Y1 -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997Y1
KR200274997Y1 KR2020020004525U KR20020004525U KR200274997Y1 KR 200274997 Y1 KR200274997 Y1 KR 200274997Y1 KR 2020020004525 U KR2020020004525 U KR 2020020004525U KR 20020004525 U KR20020004525 U KR 20020004525U KR 200274997 Y1 KR200274997 Y1 KR 200274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keyboard
auxiliary
tube
auxiliary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5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용순
Original Assignee
권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순 filed Critical 권용순
Priority to KR2020020004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99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997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성형에 따른 비용을 줄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함과 함께 특히, 제1,2보조 키보드를 결합한 상태에서 절첩시 상기 제2보조 키보드가 본체쪽인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2보조 키보드를 연동시켜 주는 연결링크는 상,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 있도록 함에 따라 동작의 정확성은 물론 본체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 설계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to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cost of forming parts,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Whe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moved upward when it is in a combined state or moved downward when the body is opposite to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link for interlock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is not in a state of moving upward and downward.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as well as the design of the signal processing area portion in the main body is not to be paid much attention.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1보조 키보드(8)가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되도록 제1연통관(2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 키보드(8) 상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본체(1)에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연통관(201)의 내경부로 끼워지게 제1외부 끼움관(2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외부 끼움관은 제1연통관(201)의 내경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보조 키보드(8)의 절첩시 회전되면서도 상,하방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2보조 키보드(9)가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는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되도록 제2연통관(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보조 키보드(9) 상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본체(1)에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로 끼워지게 제2외부 끼움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은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보조 키보드(9)의 절첩시 회전되면서도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된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corner portion to which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to be coupled among the rear both side corn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 to one corner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 of the rear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A first outer fitting pipe 202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neck portion, and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is rotated when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folded while being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201. The main body 1 is coupled so as not to move downward, and in an open stat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communicate with other corner portions of the rear two side corn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o whic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to be coupled. A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is formed at the other corner of both corner parts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 to be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in an open state thereof, and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is formed. The second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coupl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while rotating whe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folded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to be.

Description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A secondary keyboard combin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본 고안은 무선 휴대폰, 개인용 휴대 정보단말기, IMT-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특히 복수개의 입력키를 갖는 본체와는 별도로 복수개의 보조 입력키를 갖는 보조 키보드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키보드를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기 위한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ellular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IMT-2000 terminal, and the like. In particular, an auxiliary keyboard having a plurality of auxiliary input keys separate from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is pivotally hing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it relates to an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for pivotally hinged to the main keyboard.

최근, 이동통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고,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역이나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그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는 물론 관련 기술의 개발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common, and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regardless of regional, time, and space constraints. Development is also happening rapidly.

뿐만 아니라 3세대 이동통신이라 불리우는 IMT-2000 등의 이동단말기에서는 문자 정보는 물론 화상 정보까지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단말기 자체는 갈수록 소형화되어 가고 있으므로 이동단말기의 한정된 면적 내에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여러개의 입력키를 배열한다는 것이 이동단말기를 제조하는 업체의 입장에서 볼 때는 큰 어려움이 아닐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ch as IMT-2000 called 3G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s are diversified to transmit and receive not only text information but also image information. However, since the terminal itself is becoming smaller, the terminal itself is becoming smaller. Arrang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for entering letters or numbers is a great difficulty for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terminal.

따라서 지금 까지의 이동단말기에서는 한정된 갯수의 입력키로서 여러개의 숫자 또는 문자 등을 입력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입력키에는 여러개의 알파벳 또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 숫자 등이 부여되어 있고, 실제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입력키의 입력횟수(누르는 횟수)에 따라 원하는 알파벳, 한글의 자음 및 모음 또는 숫자 등이 선택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많았다.Therefore, until now, mobile terminals need to input several numbers or letters as a limited number of input keys, and one input key is assigned with several alphabets or Korean consonants, vowels, numbers, etc.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esired alphabet,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r numb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keys (the number of presses).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0-49945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12457호를 우선권 주장하여 특허출원 제2001-20701호로 이동단말기를 이미 특허출원한 사실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already filed a patent applic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1-20701 and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0-49945 an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0-12457.

상기 특허출원 제2001-20701호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프론트 판넬부(1a)와 백 판넬부(1b)가 서로 합치되어 이루어진 본체(1)에 회동에 의해 절첩가능한 상태로 폴더(2)가 힌지결합된 구조로서, 상기 본체(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입력키(3)가 갖추어 짐과 함께 송신음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4)가 구비되고, 상기 폴더(2)의 상면인 바깥쪽에는 본체(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5)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The patent application No. 2001-20701 has a folder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nel portion 1a and the back panel portion 1b are foldable by pivoting on the main body 1 formed by coinciding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is hinged structur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keys (3) and a microphone (4) for inputting a transmission sound, the folder (2) of Outside the upper surface, the battery 5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1 is detachably coupled.

상기한 폴더(2)에는 하면인 안쪽면에 각종 정보 및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패널(6)과 함께 수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리시버)(7)가 각각 갖추어진다.The folder 2 is provided with a speaker (receiver) 7 for outputting a reception sound together with a liquid crystal panel 6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d messages on the inner surface, which is a lower surface.

또한 상기 본체(1)를 이루는 백 판넬부(1b)의 하면중 후방 양측 코너부분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2보조 키보드(8)(9)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가 본체(1)에 전부분이 인입된 상태로 접혀지거나 힌지 결합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본체에서 인출된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상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보조 입력키(10)(11)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 입력키가 본체(1)의 프론트 판넬부(1a) 상면에 구비된 입력키(3)와 함께 필요한 문자 또는 순자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hinged to the rear opposite corn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panel portion 1b constituting the main body 1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auxiliary keyboard is folded in a state where all parts ar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 or the remaining parts except the hinge coupling part are extended out from the main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Each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is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input keys can input necessary characters or sequential characters together with the input keys 3 provided on the front panel portion 1a of the main body 1. To help.

이와 같은 구조의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는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체(1)를 이루는 백 판넬부(1b)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보조 키보드(8) 및 제2보조 키보드(9)를 펼친 다음 상기 본체(1)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입력키(3)와 제1,2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보조 입력키(10)(11)중 특정 입력키를 선택하여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면 되고, 사용후에는 펼쳐져 있는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칠 때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1과 같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본체(1)의 하부로 숨어들어가도록 접으면 된다.Whe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having such a structure is to be use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which is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panel part 1b constituting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inputs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nd the plurality of input keys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fter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open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a specific input key among the keys 10 and 11, and after use,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h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expand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may be fold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한편 보조 키보드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해 상대방과 대화를 할 경우의 송신음은 본체(1)의 프론트 판넬부(1a) 상면에 구비된 마이크(4)를 통해 입력됨과 함께 수신음은 폴더(2)의 하면인 안쪽면에 구비된 스피커(7)를 통해 출력되고, 또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 상대방과 메시지를 주고 받을 경우의 상기 메시지는 폴더(2)의하면인 안쪽면에 구비된 액정 패널(6)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때에 필요한 전원 공급은 폴더(2)에 결합되어 있는 밧데리(5)를 통해 이루어 짐은 이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sound in the case of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using th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portion 1a of the main body 1, while the reception sound is the bottom of the folder 2. The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7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hosphor, and the message when the message is exchanged with the counterpart using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6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2. The power supply required at this time is made through the battery (5) coupled to the folder (2) can be understoo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보조 키보드는 결합장치에 의해 본체(1)의 하면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어 있음인데, 먼저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종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keyboard is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by a coupling device in a rotatable state. First, the conventional auxiliary keyboard coupling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Th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1보조 키보드(8)가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는 상기 제1보조 키보드쪽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영역부와는 분리되게 제1요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요입홈 내에는 끝단 내측둘레에 제1지지턱(22a)을 갖는 제1지지관(22)이 상기 제1요입홈(21)의 둘레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1요입홈(21) 내로 끼워지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1끼움관(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관의 안쪽에는 제1지지관(22)에 형성된 제1지지턱(22a)에 걸려 지지되도록 끝단 외측에 제1걸림턱(24a)을 갖는 제1걸림편(24)이 복수개 형성된다.One corner portion of the lower rear side corners of the main body 1 to which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to be coupled may be different from the signal processing area provided in the main body 1 in a state where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is opened. A first concave groove 21 is formed to be separated, and a first support tube 22 having a first support jaw 22a at an inn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first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concave groove 21. The first fitting pipe 23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open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ed groove 21 formed in the main body 1. Is formed, the first engaging piece 24 having a first catching jaw (24a) on the outside of the end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jaw (22a)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ipe 22 inside the first fitting pipe (24) ) Is formed in plural.

또한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2보조 키보드(9)가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쪽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영역부와는 분리되게 제2요입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요입홈 내에는 끝단 내측둘레에 제2지지턱(26a)을 갖는 제2지지관(26)이 상기 제2요입홈(25)의 둘레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2요입홈(25) 내로 끼워지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2끼움관(27)이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관의 안쪽에는 제2지지관(26)에 형성된 제2지지턱(26a)에 걸려 지지되도록 끝단 외측에 제2걸림턱(28a)을 갖는 제2걸림편(28)이 복수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rner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other corner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coupled to the signal processing area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 wit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side open; The second concave groove 25 is formed to be separated, and the second concave groove 25 having a second support jaw 26a arou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concave groove 25. The second fitting pipe 27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open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ss 25 formed in the main body 1. Is formed, and a second locking piece having a second locking jaw 28a on the outside of the end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jaw 26a formed on the second supporting pipe 26 inside the second fitting pipe ( 28) is formed in plurality.

한편 상기 제2요입홈(25)의 둘레면에는 직선부(29a)와 상기 직선부에서 상방쪽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29b)가 부드럽게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가이드홈(29)이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관(27)의 외측둘레면중 서로 반대되는 부분에는 본체(1)의 제2요입홈(25)에 형성된 각 가이드홈(29)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돌기(30)가 형성되어 제2보조 키보드(9)의 회동시 상기 가이드돌기(30)가 가이드홈(29)의 직선부(29a)를 따라 안내될 때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제2끼움관(27)과 함께 본체(1)쪽인 상방 및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돌기(30)가 가이드홈(29)의 경사부(29b)를 따라 안내될 때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제2끼움관(27)과 함께 본체(1)쪽인 상방 및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 으로 이동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is formed with a straight portion 29a and a guide groove 29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29b is smoothly continuous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straight portion. On the opposite part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pipe 27, guide protrusions 30 are formed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guide grooves 29 formed in the second recessed grooves 25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When the guide protrusion 30 is guided along the straight portion 29a of the guide groove 29 when the keyboard 9 is rotate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combined with the second fitting pipe 27. 1)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fitted with the second when the guide protrusion 30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portion 29b of the guide groove 29 so as not to be moved upwards and downwards opposite to the main body. The tube 27 is moved upwardly toward the main body 1 and downwards opposite to the main body.

그리고 본체(1)에 형성된 제2요입홈(25)의 둘레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경사부(29b)와 동일 경사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복수개의 캠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에 형성된 제2끼움관(22)의 외측둘레면에는 캠홈(31)과 동일한 경사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복수개의 캠편(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펼쳐지기 위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할 때는 각 캠편(32)이 캠홈(31)에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 쪽인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에 있다.A plurality of cam grooves 31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formed in the main body 1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at of the inclined portion 29b of the guide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tting tube 22 formed on the keyboard 9, a plurality of cam pieces 32 are 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cam groove 31, which is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When moving upward to the main body 1 sid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o expand the),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moves upward toward the main body 1 as each cam piece 32 is fitted into the cam groove 31. It is to be stably supported on the main body even in the state.

상기의 구조에서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일측 코너부에 제1보조 키보드(8)가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구조는 상기 제1보조 키보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위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때 본체(1)쪽인 상방 및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의 이동이 필요 없도록 된 구조이고,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타측 코너부에 제2보조 키보드(9)가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구조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위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때 본체(1)쪽인 상방 및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의 이동이 필요하도록 된 구조인데,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1) 반대쪽인 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하면을 제1보조 키보드(8)의 하면과 비교할 때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두께 만큼 단차져 있지만, 상기 제2보조 키보드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1)쪽인 상방으로 최대한 근접되게 이동되어 있으므로 제2보조 키보드(9)의 하면을 제1보조 키보드(8)의 하면과 비교할 때 단차없이 서로 평행해져 있다.In the above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bsidiary keyboard 8 is hinged to b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ne of the two rear corners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hinged so that the first subsidiary keyboard is unfolded or folded. When rotated around the coupling part, the structure does not need to move upward to the main body 1 and downwar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t the other corners of the rear two side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pivotally hi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sub-keyboard needs to be moved upwardly and downwardly opposite to the main body 1 when the secondary auxiliary keyboard is rotated about the hinge engaging portion to be unfolded or folded. The second sub-keyboard 9 is in a folded state, and since the second sub-keyboard 9 is folded downward, the second sub-keyboard 9 is moved downward. Compa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 8, the second sub-keyboard 9 is stepped, but the second sub-key is mov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pper side toward the main body 1 in the extended state.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9 is compar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they are parallel to each other without a step.

따라서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친상태에서 이동단말기를 사용할 때는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상면이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므로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 구비된 제1보조 입력키(10)와 제2보조 키보드(9)의 상면에 구비된 제2보조 입력키(11)가 동일 높이차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이 확보된다.Therefor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used wit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extende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irst auxiliary input key 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8) and the second auxiliary input key 1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maintain the same height difference, convenience of use is ensured. do.

또한 사용자가 본 고안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1,2보조 키보드(8)(9)중 어느 하나의 보조 키보드를 펼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보조 키보드도 함께 펼쳐지도록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는 서로 연동됨이 바람직 하고,이를 위해서는 제1보조 키보드(8)에 형성된 제1끼움관(23)과 제2보조 키보드(9)에 형성된 제2끼움관(27)을 연결링크(33)로서 연결하여야 하는데,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을 제1보조 키보드(8)에 형성된 제1끼움관(23)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본체(1)에 형성된 제1요입홈(21)과 상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 영역부를 분리하는 격벽부분에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연통공(34)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관(23)의 외측 둘레면 적소에는 연통공(34)을 통해 본체(1) 내에 구비된 신호처리 영역부로 노출되게 고정링크(35)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링크의 끝에 연결링크의 일단을 회동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고, 상기 연결링크(33)의 타단을 제2보조 키보드(9)에 형성된 제2끼움관(27)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본체(1)의 제2요입홈(25)에 형성된 각 가이드홈(29)중 본체(1)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쪽에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홈을 상기 본체(1)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제2끼움관(27)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돌기(30)중 본체(1)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쪽에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홈(29)으로 끼워져 있는 하나의 가이드돌기는 상기 본체(1) 내에 구비된 신호처리 영역부로 노출되게 연장시켜 상기 가이드돌기(30)의 끝에 연결링크(33)의 타단을 회동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unfolds the auxiliary keyboard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s necessary to use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re also unfolded together. The keyboards 8 and 9 are preferab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first fitting tube 23 formed on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and the second fitting tube 27 formed o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re provided. Should be connected as a connecting link 33. In order to connect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to the first fitting pipe 23 formed on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the first recessed groove 21 formed in the main body 1 is provided. ) And a communication hole 34 formed in a partition portion separating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1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form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tting pipe 23. Fixed to be exposed to the signal processing area provided in the main body 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4 in the area It is understood that the hinge 35 is hinged to the end of the fixed link by forming a linkage 35,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link keyboard 9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keyboard 9. In order to connect to the fitting pipe 27, one guide groove formed in the signal processing area portion of the main body 1 of each guide groove 29 formed in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of the main body 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 A guide formed in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ortion of the main body 1 of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30 formed in the second fitting tube 27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n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ortion in the One guide protrusion fitted into the groove 29 extends to be exposed to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1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ink link 33 is hinged to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30 in a rotatable state. It should be understandable.

상기에서 연결링크(33)와 가이드돌기(30)의 힌지결합은, 제2보조 키보드(9)가 펼쳐지는 과정에서는 상방인 본체(1)쪽으로 이동하고 제2보조 키보드(9)가 접혀지는 과정에서는 하방인 본체(1) 반대쪽으로 이동함을 감안할 때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와 함께 제2끼움관(27)에 일체 형성된 가이드돌기(3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연결링크(33)를 가이드돌기(30) 및 고정링크(35)에 힌지결합하는 힌지축의 길이가 제2보조 키보드(9)의 상,하방 이동거리 만큼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야 하는 등 본체(1)의 신호처리 영역부 설계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한다.Hinge coupling of the link link 33 and the guide protrusion 30 in the above process,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n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upper body (1) toward the process of folding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n the lower body (1) in consideration of moving to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together with the second projection pipe (30)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 fitting pipe (27) should be made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In order to hinge the coupling link 33 to the guide protrusion 30 and the fixed link 35, the length of the hinge shaft should be secured enough to move up and dow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etc.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esign of the signal processing area.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종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체(1)를 이루는 백 판넬부(1b)의 하면중 후방 양측 코너부분에 힌지결합된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2보조 키보드중 제1보조 키보드(8)가 본체(1)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제1보조 키보드(8)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본체(1)의 상면에 구비된 입력키(3) 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입력키의 선택에 의해서만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hinged to both rear corners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anel portion 1b of the main body 1 are folded, the first of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is folded. The auxiliary keyboard 8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main body 1,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n this state of the main body 1 Since only the input key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can use the mobile terminal only by selecting the input key.

하지만 본체(1)의 상면에 구비된 입력키(3)는 물론 제1,2보조 키보드(8)(9)의 상면에 각각 구비된 제1,2보조 키보드(10)(11)를 복합적으로 선택하면서 이동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전에 접혀져 있는 제1,2보조 키보드(8)(9)를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펼치면 되는데,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그 상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보조 입력키(10)(11) 또한 본체(1)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키(3)와 마찬가지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입력키(3) 및 보조 입력키(10)(11)를 컴퓨터의 자판처럼 선택하여 이동단말기를 보다 편리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input keys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10 and 11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combined. If you want to use the mobile terminal while select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8) (9) folded before use to rotate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keyboards 8 and 9, the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8 and 9 are also exposed to the outside like the input keys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input key 3 and the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may be selected as a keyboard of a comput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in a more convenient state.

상기에서 이동단말기를 사용할 때는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져 있거나 펼쳐져 있거나에 상관없이 폴더(2)는 펼친상태에 있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When using the mobile terminal in the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e folder 2 should be in the expanded st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folded or expanded.

그럼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n, the process of unfolding in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1)에 구비된 입력키(3)와 제1,2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구비된 보조 입력키(10)(11)를 컴퓨터용 자판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치게 되면, 상기 제1보조 키보드는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함께 제2보조 키보드(9)는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 어느 순간(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보조 키보드와 제2보조 키보드의 중첩상태가 완전히 해제된 직후)부터는 제2보조 키보드(9)는 본체(1)쪽인 상방을 향해 이동되므로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펼쳐짐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제1,2보조 키보드(8)(9)의 하면이 동일 수평면이 된다.The first input key 3 provided in the main body 1 and the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respectively, are used as a computer keyboard. Whe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8 and 9 are unfolde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hinge coupling point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based on the hinge coupling point. In a counterclockwise rotation, at any moment (just after the super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is completely released when viewed from the plane), the second and second keyboards 9 face upward from the main body 1 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becomes the same horizontal plane when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are unfolded.

상기에서 제1,2보조 키보드(8)(9)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쪽인 상방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되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하면이 동일 수평면이 되도록 한 것은,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쳐 본체(1)에 구비된 입력키(3)와 제1,2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구비된 보조 입력키(10)(11)를 컴퓨터용 자판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 이동단말기를 지면에 지지할 때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하면 전부분이 동시에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본 고안 이동 단말기의 지지가 안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에 있음은 물론 제1,2보조 키보드(8)(9)의 상면에 각각 구비된 보조 입력키(10)(11)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하여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으로 입력키(3) 및 보조 입력키(10)(11)를 컴퓨터의 자판과 같이 선택할 때 그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r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ully deployed, the second and second sub-keyboards 9 are completely moved upward toward the main body 1,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are completed. (8) The lower surface of the (9) is the same horizontal plan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to expand the input key (3)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1) (8) (9)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when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on the ground for use as a computer keyboard, respectively, If the lower part i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e suppor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auxiliary input keys 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8) (9), respectively ( 11) the input keys (3) and the auxiliary input keys (10, 11) with a finger in the process of using a mobile terminal to match the height of the computer keyboard This is to make it easier to use when choosing.

한편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기 위해서는 상기 제1보조 키보드(8)는 힌지결합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야 함은 물론 제2보조 키보드(9)는 힌지결합지점을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야 하는데,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회동은 본체(1)의 하면에 제1보조 키보드(8)쪽인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영역부와는 분리되게 제1요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요입홈 내에는 끝단 내측둘레에 제1지지턱(22a)을 갖는 제1지지관(22)이 상기 제1요입홈(21)의 둘레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1요입홈(21) 내로 끼워지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1끼움관(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끼움관의 안쪽에는 제1지지관(22)에 형성된 제1지지턱(22a)에 걸려 지지되도록 끝단 외측에 제1걸림턱(24a)을 갖는 제1걸림편(24)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회동은 본체(1)의 하면에 제2보조 키보드(9)쪽인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 영역부와는 분리되게 제2요입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요입홈 내에는 끝단 내측둘레에 제2지지턱(26a)을 갖는 제2지지관(26)이 상기 제2요입홈(25)의 둘레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제2요입홈(25) 내로 끼워지게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2끼움관(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끼움관의 안쪽에는 제2지지관(26)에 형성된 제2지지턱(26a)에 걸려 지지되도록 끝단 외측에 제2걸림턱(28a)을 갖는 제2걸림편(28)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be unfolded in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the first sub-keyboard 8 must b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hinge coupling point. Of course, the second sub-keyboard 9 should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n the basis of the hinge coupling point, and the first sub-keyboard 8 is rot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 first recessed groove 21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1 in a state where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is opened, and a first support is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first recessed groove. The first support tube 22 having the jaws 22a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cessed groove 21, and the main surface 1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formed on the main body 1. The first fitting pipe 23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fit into the formed first recessed groove 21, the Since a plurality of first catching pieces 24 having a first catching jaw 24a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end portion so as to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jaw 22a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pipe 22 inside the fitting tube.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may be rotated with a signal processing regio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ope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second concave groove 25 is formed to be separated, and the second concave groove 25 having the second support jaw 26a arou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concave groove 25. It is form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the second fitting tube of the lower opening state to be fitted into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formed in the main body (1) ( 27 is formed, and has a second locking jaw 28a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itting pipe so as to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jaw 26a formed on the second supporting pipe 26. Two clamping members (28) are possible because it is formed a plurality.

그럼 다시 1,2보조 키보드(8)(9)가 펼쳐지는 어느 순간 제2보조 키보드(9)만이 본체(1)쪽인 상방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보조 키보드(9)의 도면상 반시계방향 회동시에는 제2끼움관(27)이 본체(1)에 형성된 제2요입홈(25)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지지관(26)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제2요입홈(25)의 둘레면에는 직선부(29a)와 상기 직선부에서 상방쪽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29b)가 부드럽게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한쌍의 가이드홈(29)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끼움관(27)의 외측둘레면중 서로 반대되는 부분에는 본체(1)의 제2요입홈(25)에 형성된 각 가이드홈(29)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돌기(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끼움관(27)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0)가 제2요입홈(25)의 둘레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9)중 직선부(29a)의 안내를 받다가 자연스럽게 경사부(29b)의 안내를 받게 되고, 상기 가이드돌기(30)가 가이드홈(29)의 경사부(29b)에 안내되는 과정에서는 제2끼움관(27)이 본체(1)쪽인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제2보조 키보드(9)가 상기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하면이 제1보조 키보드(8)의 하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것이다.Then, the process of moving only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only upward toward the main body 1 at any time wh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unfol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drawing, the second fitting pipe 27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while the second fitting pipe 27 is fitted into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formed in the main body 1.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is formed a straight portion 29a and a pair of guide grooves 29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29b is smoothly and continuously connect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straight portion. The guide protrusions 3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29 formed in the second recessed grooves 25 of the main body 1 at por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fitting pipe 27. Guide grooves 30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are formed in the guide projection 30 formed in the second fitting pipe 27. In the process of being guided by the inclined portion 29b while being guided by the straight portion 29a, the guide projection 30 is guided to the inclined portion 29b of the guide groove 29 by the second fitting pipe 27. ) Is naturally moved upwardly toward the main body 1,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b-keyboard 9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 toward the main body 1. It i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bottom surface of 8).

한편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2보조 키보드(9)가 펼쳐지기 위해 수평방향으로회동하는 과정에서 본체(1) 쪽인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는 제2끼움관(27)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0)가 제2요입홈(25)에 형성된 가이드홈(29)의 직선부(29a)에 안내되는 때 이고,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는 상기 제2끼움관(27)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0)가 제2요입홈(25)에 형성된 가이드홈(29)의 경사부(29b)에 안내되는 때 인데,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회동만 하는 순간까지는 제2요입홈(25)의 둘레면중 각 가이드홈(29) 사이에 형성된 캠홈(31)으로 상기 제2끼움관(27)의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캠편(32)이 각각 끼워지지 않다가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회동하면서 본체(1)쪽으로도 이동하는 순간부터는 상기 캠편(32)이 캠홈(31)으로 각각 끼워지므로 결국 제2보조 키보드(9)의 펼쳐짐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캠편(32)이 캠홈(31)에 완전하게 끼워져 지지된 상태에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rotrusion 30 formed in the second fitting pipe 27 is not moved upward in the main body 1 in the process of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unfolded. Is when it is guided to the straight portion 29a of the guide groove 29 formed in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the state moving upward toward the main body 1 is the guide projection formed in the second fitting pipe 27 When the 30 is guided to the inclined portion 29b of the guide groove 29 formed in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until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rotated only. The cam auxiliary portion 3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tting pipe 27 is not fitted into the cam groove 31 formed between the guide grooves 29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The cam pieces 32 are fitted into the cam grooves 31 from the moment when they move toward the main body 1 as they rotate, eventually unfolding the second sub-keyboard 9. In the state where deflection is completed, the cam piece 32 is in a state of being fully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cam groove 31.

즉, 본체(1)의 제2요입홈(25) 둘레에 형성된 캠홈(31)은 가이드홈(29)의 경사부(29b)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제2끼움관(27) 둘레에 형성된 캠편(32)은 캠홈(31)과 동일한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회동만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캠홈(31)으로 캠편(32)이 끼워지지 않다가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회동함과 동시에 본체(1)쪽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캠편(32)이 캠홈(31)으로 끼워지는데, 이에 대한 설계는 본체(1)의 제2요입홈(25)에 형성된 가이드홈(29) 및 캠홈(31)의 위치와 제2보조 키보드(9)의 제2끼움관(27)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0) 및 캠편(32)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That is, the cam groove 31 formed around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of the main body 1 maintains the same angle of inclination as the inclined portion 29b of the guide groove 29, and the second fitting pipe 27 Since the cam piece 32 formed at the circumference maintain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cam groove 31, the cam piece 32 is not fitted into the cam groove 31 while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rotate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rotated and moved toward the main body 1, the cam piece 32 is fitted into the cam groove 31, which is designed for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of the main body 1. The position of the guide grooves 29 and the cam grooves 31 formed in the < RTI ID = 0.0 >) and < / RTI > the guide protrusions 30 and the cam pieces 32 formed around the second fitting pipe 27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s appropriate. As long as it is possible, there is no big problem.

또한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친상태로 하여 본 고안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사용이 완료되었거나 아니면 본체(1)에 구비된 입력키(3)만을 선택하여 단순한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펼쳐진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칠때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는 접혀지면서 본체(1) 안쪽으로 숨어 들어간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in a state of being unfolded,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or when the input key 3 provided in the main body 1 is selected and used for a simple purpos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unfold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folded into the main body (1). Hiding in

한편 이동단말기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제1,2보조 키보드(8)(9)를 접거나 펼때 상기 제1,2보조 키보드를 각각의 힘으로 접거나 펴지 않고 어느 하나의 보조 키보드만을 접거나 펴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보조 키보드도 함께 접어지거나 펴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olds or unfolds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obile terminal, only one auxiliary keyboard is folded or unfolded without folding or un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with respective forces. Even if the other one of the auxiliary keyboard is also folded or unfolded, for this purpos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8) (9) has a structure that is interlocked.

이하에서 제1,2보조 키보드(8)(9)의 연동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terlock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첨부된 도 8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져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장 하방에 있는 제2보조 키보드(9)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펼치게 되면, 상기 제2보조 키보드의 상면에 형성되어 본체(1)의 하면에 형성된 제2요입홈(25)으로 끼워진 제2끼움관(27)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끼움관의 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제2끼움관(27)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돌기(30)중 본체(1)의 신호처리 영역부쪽에 있는 하나의 가이드돌기가 본체(1)의 제2요입홈(25)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홈(29)중 상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 영역부쪽에 있는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본체(1)의 신호처리 영역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별다른 간섭이 없이 일점쇄선과 같이 이동하므로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3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연결링크(33)도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한다.8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re folded, in which the user counterclockwise views the second sub-keyboard 9, which is the lowermost in the drawing. When rotated and unfolded, the second fitting pipe 2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 keyboar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ssed groove 2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drawing of the second fitting tube,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on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ortion of the main body 1 of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30 formed on the second fitting tube 27 is provided.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29 formed in the second recessed grooves 25 of the main body 1,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main body 1 through the guide grooves on the side of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1; In the state exposed to the area part, it moves like a dashed line without any interference, so that one end The connecting link 33, which is hinged to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30, also moves in position as shown by the dashed line.

이와 같이 제2보조 키보드(9)의 도면상 반시계방향 회동에 따라 본체(1)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에 있는 연결링크(33)가 위치 이동하면, 제1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는 본체(1)의 하면에 형성된 제1요입홈(21)으로 끼워지게 제1끼움관(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끼움관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1요입홈(21)과 상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신호처리 영역부를 분리하는 격벽의 연통공(34)을 통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된 신호처리 영역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링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크의 끝단에는 일단이 가이드돌기(3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연결링크(33)의 다른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고정링크(35)가 연통공(34)을 따라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함과 함께 제1끼움관(23)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보조 키보드(8)도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므로 결국 제1,2보조 키보드(8)(9)가 연동에 의해 펼쳐지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connecting link 33 in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in the main body 1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econd sub-keyboard 9,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keyboard 8. The first fitting pipe 23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first recessed groove 21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1), and the first recessed groove 21 formed in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fitting tube are formed in the first fitting tube. A fixing link 35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4 of the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1, and at the end of the fixed link.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33 hinged to on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30 is hinged, the fixed link 35 moves along a communication hole 34 as shown by a dashed-dotted line. The first fitting pipe 23 rotates clockwise in the drawing, and accordingly the first beam The keyboard 8 is also stretched so as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hinged parts of the heart will eventually spread by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8) (9) is coupled.

상기에서는 제1,2보조 키보드(8)(9)가 연동에 의해 펼쳐지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연동에 의해 접혀짐도 이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unfolded by interlocking, but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re folded.

이상에서 설명된 종래에서 본체(1)와 제1보조 키보드(8) 및 제2보조 키보드(9)는 서로 필요한 신호를 주고 받도록 특정한 종류(박판으로된 띠형태, 원통으로된 코일형태 등)의 케이블로서 각각 연결 되는데, 상기 케이블의 통과는 제1보조 키보드(8) 및 제2보조 키보드(9)의 힌지 결합부 중심에 있는 여부 공간부를 통해 이루어진다.In the conventional art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re made of a specific type (such as a strip of strip, a coil of a cylinder, etc.) to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Connected as cables, respectively, the passage of the cables is through a space whether or not the center of the hing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그러나 이와 같은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종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부품의 성형에 따른 비용의 과다 지출로 인해 전체적인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such an auxiliary keyboard ha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overly expensive structure due to the molding of the component is very complicated.

특히, 제1,2보조 키보드를 펼침에 따라 상기 제2보조 키보드가 본체쪽인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보조 키보드에 형성된 제2끼움관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때 제1,2보조 키보드를 연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연결링크도 함께 상,하방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상기 연결링크에 의한 제1,2보조 키보드의 연동동작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짐은 물론 상기 연결링크의 상,하방이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로 본체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를 설계하여야 함에 따라 이 또한 제작비용 증가의 한 요인으로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moved upward a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re opene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re moved upward when the second fitting pipes formed o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are moved upward. Since the link that acts as an interlock must also move up and down together,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by the link is not smooth,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as well as the link of the link. Since the signal processing area in the main body should be designed in a state where the downward travel distance is sufficiently secured, this also has a problem of remaining as a factor of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성형에 따른 비용을 줄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함과 함께 특히, 제1,2보조 키보드를 결합한 상태에서 절첩시 상기 제2보조 키보드가 본체쪽인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2보조 키보드를 연동시켜 주는 연결링크는 상,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 있도록 함에 따라 동작의 정확성은 물론 본체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 설계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o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cost of forming parts, and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combined state Whe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moved upward when the main body side or downward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at the time of folding in the connection link for interlock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to be in a state that does not move up and down Its purpose is not to worry about the design of the signal processing area in the main body as well as accuracy.

도 1은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폴더가 열려져 있고 보조 키보드는 접혀진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with a folder open and the secondary keyboard folded;

도 2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폴더가 열려져 있고 보조 키보드는 펼쳐진 상태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r in which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is open and the auxiliary keyboard is opened;

도 3은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폴더가 열려져 있고 보조 키보드는 펼쳐진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in a folder open and the secondary keyboard in an unfolded state

도 4는 종래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이기 위해 그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ventional incision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도 5는 종래 장치에 의해 결합된 제2보조 키보드가 절첩될 때 상기 종래 장치의 구성요소인 캠편이 캠으로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5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cam piec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conventional device, is fitted into a cam whe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coupled by the conventional device is folded;

도 6은 종래 장치에 의해 보조 키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보조 키보드가 접혀진 상태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auxiliary keyboard by a conventional device, the auxiliary keyboard is folded

도 7은 도 6의 Ⅰ-Ⅰ선 요부 단면도로서, 제2보조 키보드가 펼쳐져 본체쪽인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6, in whic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unfolded and moved upwardly toward the main body;

도 8은 종래 장치에 의해 보조 키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요부 횡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auxiliary keyboard is coupled by a conventional apparatus;

도 9는 종래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device

도 10은 본 고안 장치중 제1보조 키보드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for coupling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도 11은 본 고안 장치중 제2보조 키보드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for coupling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of the subject innovation device

도 12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제1,2보조 키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보조 키보드가 접혀진 상태도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re coupled b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xiliary keyboard is folded.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요부 단면도로서, 제2보조 키보드가 펼쳐져 본체쪽인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2, in whic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unfolded and moved upward toward the main body; FIG.

도 14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결합된 제2보조 키보드가 절첩될 때 상기 본 고안 장치의 구성요소인 캠편이 캠으로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FIG. 14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cam piec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into a cam when a second auxiliary keyboard coupled b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도 15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보조 키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요부 횡단면도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auxiliary keyboard b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체 8. 제1보조 키보드1. Main Unit 8. First Auxiliary Keyboard

9. 제2보조 키보드 201. 제1연통관9. Secondary Keyboard 201. First Correspondence

202. 제1외부 끼움관 203. 제1걸림턱202. First external fitting pipe 203. First locking jaw

204. 제1내부 끼움관 205. 제1결림편204. First internal fitting 205. First round

206. 제1수평판 207. 제1통공206. First Horizontal Plate 207. First Through Hole

208. 제1스토퍼 209. 제1지지부재208. First stopper 209. First support member

210. 제2연통관 211. 제2외부 끼움관210. Second communicating pipe 211. Second external fitting pipe

212. 제2걸림턱 213. 제2내부 끼움관212. Second locking jaw 213. Second internal fitting tube

214. 제2걸림편 215. 제2수평판214. Second Jammer 215. Second Horizontal Plate

216. 제2통공 217. 제2스토퍼216. Second through hole 217. Second stopper

218. 제2지지부재 219. 캠홈218. Second support member 219. Cam groove

220. 캠편 221. 연결링크220. Cam piece 221. Lin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본체 하면의 후방 양측코너부중 제1보조 키보드가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제1연통관과, 상기 제1보조 키보드 상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본체에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1연통관의 내경부로 끼워진 제1외부 끼움관과, 상기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이격되게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턱과,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별도 성형되어 상기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에 끼워진 제1내부 끼움관과, 상기 제1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제1내부 끼움관을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1외부 끼움관에 형성된 제1걸림턱과 접촉된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걸림편과, 상기 제1내부 끼움관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통관의 상단에 받쳐지는 제1수평판과, 상기 제1수평판이 형성된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제1보조 키보드가 본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 본체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2보조 키보드가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제2연통관과, 상기 제2보조 키보드 상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본체에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2연통관의 내경부로 끼워진 제2외부 끼움관과,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이격되게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턱과,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별도 성형되어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에 끼워진 제2내부 끼움관과,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형성되어 제2내부 끼움관을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2외부 끼움관에 형성된 제2걸림턱과 제1보조 키보드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는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걸림편과,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연통관의 상단에 받쳐지는 제2수평판과, 상기 제2수평판이 형성된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제2연통관의 내경부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캠홈과,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외경부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외부 끼움관이 회전할 때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각 캠홈으로 끼워지면서 제2외부 끼움관이 상방으로 이동력을 갖도록 하거나 각 캠홈에서 빠져나오면서 제2외부 끼움관이 하방으로 이동력을 갖도록 하는 복수개의 캠으로 구성하여 제2보조 키보드가 본체에 회동 가능함과 함께 회동과정에서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rear both side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one corner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irs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 communication tube, a first outer fitting tu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of the corners of the rear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ommunicating tube, and the first outer fitting A pair of first catching jaw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and the first inner fitting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separately formed to be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upper end is formed on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when the tube and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are rotated at right angl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A pair of first catching piece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contact with the catching jaw, and a horizontal stat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so that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is fitted to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In the first horizontal plat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and the first inner fitting plate formed with the first horizontal plate is formed by means for rotating together when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which is hinged to the main body in a rotatable state and is formed to be open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corner portion to whic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of the lower rea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 second outer fitting pipe formed at an upper part of the second corner fitting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among the rear opposite corner part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and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par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and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Bore A pair of second catching jaw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upper end, a second inner fitting pipe separately formed to be open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fitted into an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A second catching jaw formed at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and formed at an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so that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is rotated at right angles while being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A pair of second catching piece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a state where they can be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b-keyboard, and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so that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A second horizontal plate supported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fitting tube, and means for causing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having the second horizontal plate to rotate together when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is rotated; Alo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A plurality of cam groove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a lower portion, and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a lower portion to an upper portion along an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to rotate to the respective cam grooves whe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is rotate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can be rotated to the main body by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ms which allow the second external fitting pipe to have a moving force upward while being inserted or the second external fitting pipe having a moving force downward while exiting from each cam groove. An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inged to a stat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n a rotation process is provided.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0 to 15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as follows.

첨부된 도 10은 본 고안 장치중 제1보조 키보드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 장치중 제2보조 키보드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제1,2보조 키보드가 힌지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요부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결합된 제2보조 키보드가 절첩될 때 상기 본 고안 장치의 구성요소인 캠편이 캠으로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보조 키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1보조 키보드(8)가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는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1연통관(2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1연통관(201)의 내경부로 끼워지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1외부 끼움관(2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따라 이격되게 한쌍의 제1걸림턱(20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외부 끼움관(202)의 내경부에는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1내부 끼움관(204)이 끼워지며, 상기 제1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는 제1내부 끼움관(204)을 제1외부 끼움관(202)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1외부 끼움관(202)에 형성된 제1걸림턱(203)과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쌍의 제1걸림편(205)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 끼움관(204)의 상단에는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20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통관(201)의 상단에 받쳐되도록 제1수평판(206)이 수평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판에는 제1내부 끼움관(204)에 형성된 제1걸림편(205) 사이부분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한쌍의 제1통공(207)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 끼움관(204)의 상단에는 제1수평판(206)에 형성된 각 제1통공(207)을 통해 제1외부 끼움관(202)의 내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턱(203) 사이부분과 제1내부 끼움관(204)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편(205) 사이부분으로 연속해서 수직되게 끼워지도록 한쌍의 제1스토퍼(208)를 일체로 갖는 제1지지부재(209)가 지지된다.Attached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for coupling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of the device,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for coupling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of th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main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by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I-II of FIG. 12, and FIG. When the auxiliary keyboard is folded is a developed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itting the cam piece as a compon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auxiliary keyboard b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rear side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coupled to the first corner keyboard 8 to which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coupled. Communicator A first outer fitting pipe 202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formed in the main body 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formed, a pair of first catching jaw 203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tate facing each other, the inside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202 The neck portion is fitted with a first inner fitting tube 204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204 is fitted into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202. A pair of first pairs such that an upper end thereof i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thereof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catching jaw 203 formed in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202 when it is rotated at right angles in an inner diameter portion of A locking piece 205 is formed, and a first inner fitting pipe is fitted to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202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204. The first horizontal plate 206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in a state, and the first locking piece 205 formed in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204 in the first horizontal plate. A pair of first through holes 207 are open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n up and down state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a portion between them, and a first horizontal plate 20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204.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atching jaws 203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202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204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s 207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209 integrally having a pair of first stoppers 208 is supported so as to be continuously vertically inserted into a portion between the pair of first catching pieces 205.

또한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2보조 키보드(9)가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는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2연통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로 끼워지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2외부 끼움관(21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이격되게 한쌍의 제2걸림턱(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에는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2내부 끼움관(213)이 끼워지며,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는 제2내부 끼움관(213)을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에 형성된 제2걸림턱(212)과 제1보조 키보드(8)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는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쌍의 제2걸림편(2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부 끼움관(213)의 상단에는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연통관(210)의 상단에 받쳐되도록 제2수평판(215)이 수평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판에는 제2내부 끼움관(213)에 형성된 제2걸림편(214) 사이부분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한쌍의 제2통공(2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부 끼움관(213)의 상단에는 제2수평판(215)에 형성된 각 제2통공(216)을 통해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턱(212)사이부분과 제2내부 끼움관(213)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편(214) 사이부분으로 연속해서 수직되게 끼워지도록 한쌍의 제2스토퍼(217)를 일체로 갖는 제2지지부재(218)가 지지된다.In addition, a second communication tube open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corner portion of the rear side both corn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o whic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to be coupled ( 210 is formed, and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be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formed on the main body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8. And a pair of second catching jaws 212 ar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ou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3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s fitted, and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3 is connec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at an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When rotated at right angles in the fitted stat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atching jaw 212 an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formed o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A pair of second catching pieces 214 are form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a state where they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inner fitting pip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in the state fitted in the (211), the second horizontal plate formed in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A pair of second through holes 216 opened in a state of being communicated up and down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portion between the engaging pieces 214 is formed, an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A portion between the pair of second catching jaws 212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and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through each of the second through holes 216 formed in the horizontal plate 215. A second support member integrally having a pair of second stoppers 217 to be vertically fitted into a portion between the pair of second catching pieces 214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218 is supported.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에는 내경부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복수개의 캠홈(219)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의 외경부에는 외경부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복수개의 캠편(220)이 형성되는데, 이는 제2보조 키보드(9)가 펼쳐지기 위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2외부 끼움관(211)이 회전할 때 각 캠편(220)이 각 캠홈(219)으로 각각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과 함께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formed in the main body 1, a plurality of cam grooves 219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ortion along the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is formed. A plurality of cam pieces 220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bottom to top along the outer diameter portion, which is rotated whe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is rotated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s the cam pieces 220 are fitted into the cam grooves 219, respectively,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moves upward along the main body 1 together with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상기의 구조에서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일측 코너부에 제1보조 키보드(8)가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구조는 상기 제1보조 키보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위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때 본체(1)쪽인 상방 및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의 이동이 필요 없도록 된 구조이고,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타측 코너부에 제2보조 키보드(9)가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구조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위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때 본체(1)쪽인 상방 및 본체 반대쪽인 하방으로의 이동이 필요하도록 된 구조이다.In the above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bsidiary keyboard 8 is hinged to b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ne of the two rear corners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hinged so that the first subsidiary keyboard is unfolded or folded. When rotated around the coupling part, the structure does not need to move upward to the main body 1 and downwar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t the other corners of the rear two side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pivotally hi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sub-keyboard needs to be moved upwardly and downwardly opposite to the main body 1 when the secondary auxiliary keyboard is rotated about the hinge engaging portion to be unfolded or folded. Structure.

한편 사용자가 본 고안 장치가 갖추어진 이동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1,2보조 키보드(8)(9)중 어느 하나의 보조 키보드를 펼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보조 키보드도 함께 펼쳐지도록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는 서로 연동됨이 바람직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제1내부 끼움관(204)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20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통관(201)의 상단에 받쳐진 제1수평판(206)과 제2내부 끼움관(213)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연통관(210)의 상단에 받쳐진 제2수평판(215)을 연결링크(221)로서 연결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user unfolds the auxiliary keyboard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s necessary to use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also extended together. First and second keyboards (8) and (9) are preferab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204 so that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 202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206 and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3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so that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is seco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in the state fitted to the outer fitting pipe 211 should be connected as a connection link 221.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본 고안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제1,2보조 키보드(8)(9)가 본체(1)에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1)에 구비된 입력키(3)와 제1,2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구비된 보조 입력키(10)(11)를 컴퓨터용 자판 처럼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치게 되면, 상기 제1보조 키보드는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함께 제2보조 키보드(9)는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 어느 순간(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보조 키보드와 제2보조 키보드의 중첩상태가 완전히 해제된 직후)부터는 제2보조 키보드(9)는 본체(1)쪽인 상방을 향해 제1보조 키보드(8)의 두께 만큼 이동되므로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펼쳐짐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제1,2보조 키보드(8)(9)의 하면이 동일 수평면이 된다.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are provided on the input keys 3 and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provided on the main body 1, respectively, when they are folded on the main body 1. Wh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extended to simultaneously use the auxiliary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as a computer keyboar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is shown in the drawing on the basis of the hinge coupling point. In addition to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sub-keyboard 9 rotates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based on the hinge coupling point. At this moment, when the first sub-keyboard and the second sub-keyboard overlap each other, The second sub-keyboard 9 is moved upward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b-keyboard 8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main body 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re unfolded. In this completed state,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become the same horizontal plane.

상기에서 제1,2보조 키보드(8)(9)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쪽인 상방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되어 상기제1,2보조 키보드(8)(9)의 하면이 동일 수평면이 되도록 한 것은,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쳐 본체(1)에 구비된 입력키(3)와 제1,2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구비된 보조 입력키(10)(11)를 컴퓨터용 자판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 이동단말기를 지면에 지지할 때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하면 전부분이 동시에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본 고안 장치를 갖는 이동 단말기의 지지가 안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에 있음은 물론 제1,2보조 키보드(8)(9)의 상면에 각각 구비된 보조 입력키(10)(11)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하여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으로 입력키(3) 및 보조 입력키(10)(11)를 컴퓨터의 자판과 같이 선택할 때 그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r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ully extend, and the second and second sub-keyboards 9 are completely moved upwards toward the main body 1, thereby completing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The lower surface of the (9) is the same horizontal plan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to expand the input key (3)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1) (8) (9)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when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on the ground for use as a computer keyboard, respectively, In order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ll part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e same time, as well as the auxiliary input key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respectively. 10) (11) to match the height of the input terminal (3) and the auxiliary input key (10) (11) with a finger in the process of using a mobile terminal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ier to use when choosing a keyboard.

한편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기 위해서는 상기 제1보조 키보드(8)는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야 함은 물론 제2보조 키보드(9)는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야 하는데,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회동은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1보조 키보드(8)가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1연통관(2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1연통관(201)의 내경부로 끼워지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1외부 끼움관(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이격되게 한쌍의 제1걸림턱(2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외부 끼움관(202)의 내경부에는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1내부 끼움관(204)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제1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는 제1내부 끼움관(204)을 제1외부 끼움관(202)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1외부 끼움관(202)에 형성된 제1걸림턱(203)과 접촉된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쌍의 제1걸림편(20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내부 끼움관(204)의 상단에는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20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통관(201)의 상단에 받쳐지도록 제1수평판(206)이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평판에는 제1내부 끼움관(204)에 형성된 제1걸림편(205) 사이부분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연통되게 개방된 한쌍의 제1통공(20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내부 끼움관(204)의 상단에는 제1수평판(206)에 형성된 각 제1통공(207)을 통해 제1외부 끼움관(202)의 내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턱(203) 사이부분과 제1내부 끼움관(204)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편(205) 사이부분으로 연속해서 수직되게 끼워지도록 한쌍의 제1스토퍼(208)를 일체로 갖는 제1지지부재(209)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능하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의 회동은 본체(1)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2보조 키보드(9)가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2연통관(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8)의 상면에는 본체(1)에 형성된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로 끼워지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2외부 끼움관(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이격되게 한쌍의 제2걸림턱(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에는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제2내부 끼움관(213)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는 제2내부 끼움관(213)을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에 형성된 제2걸림턱(212)과 제1보조 키보드(8)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쌍의 제2걸림편(2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내부 끼움관(213)의 상단에는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연통관(210)의 상단에 받쳐되도록 제2수평판(215)이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평판에는 제2내부 끼움관(213)에 형성된 제2걸림편(214) 사이부분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연통되게 개방된 한쌍의 제2통공(2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내부 끼움관(213)의 상단에는 제2수평판(215)에 형성된 각 제2통공(216)을 통해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턱(212) 사이부분과 제2내부 끼움관(213)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편(214) 사이부분으로 연속해서 수직되게 끼워지도록 한쌍의 제2스토퍼(217)를 일체로 갖는 제2지지부재(218)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be unfolded in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the first sub-keyboard 8 must be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on the basis of the hinge coupler. The second sub-keyboard 9 should be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on the basis of the hinge coupler. The rotation of the first sub-keyboard 8 is the first sub-keyboard 8 of the two rear corner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formed at one corner portion to be coupled thereto.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20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state to be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formed in the main body 1,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20 A pair of first catching jaws 203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opposite state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204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202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inner fit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When the tube 204 is rotated at right angl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202, the upper end thereof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atching jaw 203 formed in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202. A pair of first catching pieces 205 are form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204, and a first inner fitting pipe is fitted to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202. The first horizontal plate 206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the first locking plate 205 formed in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204 in the first horizontal plate A pair of first through-holes 207 are formed which are open in up and down communication in a state where they ar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The upper portion of the worm pipe 204 and the portion between the pair of first catching jaw 203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202 through each of the first through holes 207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plate 206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209 integrally having a pair of first stoppers 208 to be vertically fitted into a portion between the pair of first catching pieces 205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204. Is supported,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sub-keyboard 9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 at the other corners at which the second sub-keyboard 9 is to be coupled, among the two rear corners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 In the opened state,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formed in the main body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8. A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is formed in an open state so that th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faces each other. A pair of second catching jaws 21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opened in a state where upper and lower portio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3 is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when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1 is rotated at a right angle with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being fitted to the second outer fitting. A pair of second catching pieces 214 are form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a state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tching jaw 212 an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formed in the pipe 211, and the secon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fitting tube 213,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is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while being fitted to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The second horizontal plate is form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catching pieces 214 formed in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A pair of second through holes 216 opened up and down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re formed, and each second through hole 216 formed i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The pair of second catching pieces 214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catching jaws 212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through Since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18 having a pair of second stoppers 217 is integrally supported so as to be vertically inserted vertically between the parts, it is possible.

상기에서 제1보조 키보드(8)가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외부 끼움관(202)의 내경부 상단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턱(203)이 제1내부 끼움관(204)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편(205)에 상부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걸려 있게 되고, 상기 제1내부 끼움관(204)은 일체 형성된 제1수평판(206)에 의해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제1연통관(201)에 받쳐져 있음에 따라 상기 제1보조 키보드(8)가 본체(1)와 분리됨이 없게 됨은 물론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 상단에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턱(212)이 제2내부 끼움관(213)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편(214)에 상부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각각 걸려 있게 되고, 상기 제2내부 끼움관(213)은 일체 형성된 제2수평판(215)에 의해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제2연통관(210)에 받쳐져 있음에 따라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와 분리됨이 없게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hinged to the main body 1 in a rotatable manner, the pair of first catching jaws 203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pipe 202 may include the first inner portion. The pair of first catching pieces 205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tting tube 204 is hung in an unmovable state, and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20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orizontal plate 206. As a result of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201 formed in the main body 1, the first subsidiary keyboard 8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as well as the second subsidiary keyboard 9. A pair of second locking jaws 2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i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3 in the hinged rotatable manner Each of the two fastening pieces 214 is hung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upward, and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is integrally formed by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n accordance with that turned beneath the second communicating tube 21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 are not separated and the body (1).

그럼 다시 1,2보조 키보드(8)(9)가 펼쳐지는 어느 순간 제2보조 키보드(9)만이 본체(1)쪽인 상방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보조 키보드(9)의 도면상 반시계방향 회동시에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9)에 형성된 제2외부 끼움관(211)이 본체(1)에 형성된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의 내경부로 끼워져 있는 제2내부 끼움관(213)과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수평판(215) 그리고 상기 제2수평판에 형성된 한쌍의 제2통공(216)을 통해 일체 형성된 제2스토퍼(217)가 수직상태로 끼워져 있는 제2지지부재(218)도 함께 회전한다.Then, the process of moving only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only upward toward the main body 1 at any mom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unfol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drawing,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formed i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formed in the main body 1.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wherein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3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211 and the second water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are formed. The second support member 218 in which the second stopper 217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flat plate 215 and the pair of second through holes 216 formed i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re fitted in a vertical state also rotates together.

한편 제2보조 키보드(9)에 형성된 제2외부 끼움관(211)이 본체(1)에 형성된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펼쳐지지 않은 경우(접혀져 있는 경우)라면 제2외부 끼움관(211)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캠편(220)이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캠홈(219)으로 각각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제2보조 키보드(9)의 펼쳐짐에 의해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하는 어느 순간(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보조 키보드와 제2보조 키보드의 중첩상태가 완전히 해제된 직후) 제2외부 끼움관(211)에 형성된 각 캠편(220)이 제2연통관(210)에 형성된 각 캠홈(219)으로 각각 끼워 들어가므로 상기 캠편(220) 및 캠홈(219)이 각각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경사져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캠편(220)이 캠홈(219)에 안내됨에 따라 제2외부 끼움관(212)에는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력이 부여되어 결국 각 캠편(220)이 각 캠홈(219)으로 각각 완전히 끼워져 들어간 상태에서는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 완료되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있고, 상기 제2보조 키보드(9)가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 완료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1보조 키보드(1)와 그 저면이 동일 수평면을 이루면서 평행한 상태에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not unfolded while the second external fitting pipe 211 formed i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formed in the main body 1. In this case (when folded), the plurality of cam pieces 220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are each formed by the plurality of cam grooves 219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Whe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unfolding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n this state, the moment of rotation (when viewed from the plane) Immediately after the overl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is completely released), each cam piece 220 formed i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is fitted into each cam groove 219 form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210. Since the cam piece 220 and the cam groove 219 are respective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long the circumference Considering that the cam piece 220 is guided to the cam groove 219 as the cam piece 220 is guided to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2, a moving force is applied upward toward the main body 1, so that each cam piece 220 is each cam groove. In the state completely inserted into each of the 219,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moved to the upper side toward the main body 1 and is fully extended,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s upward to the main body 1 side. In the state where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1 and its bottom face are in parallel while forming the same horizontal plane.

상기한 작용에서 제2보조 키보드(9)의 펼침에 따라 제2외부 끼움관(211)이 회전할 때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2내부 끼움관(213)과 제2수평판(215) 그리고 제2지지부재(218)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제2내부 끼움관(213)과 제2수평판(215) 그리고 제2지지부재(218)는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데,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2외부 끼움관이 제2보조 키보드(9)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외부 끼움관(211)에 형성된 제2걸림턱(212)이 제2내부 끼움관(213)에 형성된 제2걸림편(214)에 걸려 있을 때 상기 제2걸림턱(212)과 제2내부 끼움관(213)에 형성된 제2수평판(215) 사이가 제1보조 키보드(8)의 두께 만큼 공간을 갖고 있으므로 가능하고, 또한 제2내부 끼움관(213)과제2수평판(215) 그리고 제2지지부재(218)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것은, 제2내부 끼움관(213)에 형성된 제2수평판(215)의 상단이 본체(1)를 이루는 프론트 판넬부(1a)의 상부면 안쪽과 근접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When the second external fitting pipe 211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ing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ternal fitting pipe 213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and the first When the second support member 218 rotates together and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moves upward while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rotates,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are moved.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18 does not move upward together,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is moved upward,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is moved downward wit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The second catching jaw when the second catching jaw 212 formed i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is caught by the second catching piece 214 formed in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while being moved. Since the space between the 212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formed in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has a spac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b keyboard 8, 2 The inner fitting pipe 213,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18 did not move upward together,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formed in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Since it is close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part 1a which comprises this main body 1, it is possible.

상기에서 본체(1)쪽인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2외부 끼움관(211)은 이동 과정에서 제2지지부재(218)의 제2스토퍼(217)에 가이드 되므로 그 상방이동이 안정을 이루게 된다.Since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moving upward as the main body 1 is guided by the second stopper 217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18 in the moving process, the upward movement becomes stable.

또한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친상태로 하여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다가 사용이 완료되었거나 아니면 본체(1)에 구비된 입력키(3)만을 선택하여 단순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펼쳐진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칠때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는 접혀지면서 본체(1) 안쪽으로 숨어 들어간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unfolded or when the use is completed, or if you want to use only the input key (3) provided in the main body (1) for simple us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unfold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folded into the main body (1). Hiding in

한편 본 고안 장치가 갖추어진 이동단말기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제1,2보조 키보드(8)(9)를 접거나 펼때 상기 제1,2보조 키보드를 각각의 힘으로 접거나 펴지 않고 어느 하나의 보조 키보드만을 접거나 펴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보조 키보드도 함께 접어지거나 펴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olds or unfolds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is not folded or unfolded with each force. Even if only the auxiliary keyboard is folded or unfolded, the other auxiliary keyboard is also folded or unfolded. For this purpos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interlocked.

이하에서 제1,2보조 키보드(8)(9)의 연동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terlock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첨부된 도 1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져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장 하방에 있는 제2보조 키보드(9)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펼치게 되면, 상기 제2보조 키보드에 형성되어 본체(1)에 형성된 제2연통관(210)의 내경부로 끼워져 있는 제2외부 끼움관(2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시에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2내부 끼움관(213)과 제2수평판(215) 그리고 제2지지부재(218)도 함께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일점쇄선과 같이 연결링크(33)의 수평방향 이동에 의해 제1보조 키보드(8)도 함께 펼쳐지는데, 상기 제2내부 끼움관(213)과 제2수평판(215) 그리고 제2지지부재(218)는 회전 과정에서 어떠한 경우라도 축방향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링크(33)의 위치 이동은 수평상태로만 가능한 것이다.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5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re folded, in which the user counterclockwise views the second sub-keyboard 9, which is the lowermost. When rotated in a direction to be unfolded,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211 formed i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and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210 formed in the main body 1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Whe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is rotated,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213,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18 are also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also unfold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link 33 like the one-dot chain line,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213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15 and the second Since the support member 218 is not made axial movement in any case in the rotation process, Positioning of the connection link 33 is possible only in a horizontal state.

상기한 제1,2보조 키보드(8)(9)의 연동과정에서는 제1,2보조 키보드가 펼쳐지는 것 만을 설명하였지만 연동에 의해 접혀지는 것도 당연함은 이해 가능하다.In the interlock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only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are unfolded, but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are fold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서 본체(1)와 제1보조 키보드(8) 및 제2보조 키보드(9)는 서로 필요한 신호를 주고 받도록 특정한 종류(박판으로된 띠형태, 원통으로된 코일형태 등)의 케이블로서 연결되는데, 상기 케이블의 통과를 위해 제1지지부재(209)의 중심부 및 제2지지부재(218)의 중심부에는 각각 케이블 통과공(209a)(218a)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are made of a specific type (such as a strip of strip, a coil of cylindrical shape, etc.) to transmit and receive a necessary signal to each other. The cable passing holes 209a and 218a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9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18 for the passage of the cable.

그러므로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본 고안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부품의 성형에 따른 비용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is structurally simple to reduce the cost of forming parts,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특히, 제1,2보조 키보드를 펼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접음에 따라 상기 제2보조 키보드가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보조 키보드와 제1보조 키보드를 연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연결링크는 상,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2보조 키보드의 연동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종래에서 처럼 상기 연결링크의 상,하방이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로 본체 내의 신호처리 영역부를 설계할 필요도 없으므로 이 또한 제작비용 감소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up and down a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re expanded or folded again,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an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are linked to each other. Since the link does not move up and down,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is performed smoothly,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secured, as well as the up and down mov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link is sufficiently secured. Since there is no need to design the signal processing region in the main body in this state, this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Claims (4)

본체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1보조 키보드가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제1연통관과, 상기 제1보조 키보드 상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본체에 결합될 일측 코너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1연통관의 내경부로 끼워진 제1외부 끼움관과, 상기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이격되게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턱과,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별도 성형되어 상기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에 끼워진 제1내부 끼움관과, 상기 제1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제1내부 끼움관을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1외부 끼움관에 형성된 제1걸림턱과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걸림편과, 상기 제1내부 끼움관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통관의 상단에 받쳐지는 제1수평판과, 상기 제1수평판이 형성된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제1보조 키보드가 본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A first communication tube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to be opened in a state where upper and lower portions communicate with one side corner portion to which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is coupled among the rear two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both rear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is formed in an open state at one corner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corner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opposite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A pair of first catching jaws formed, a first inner fitting tube separately formed to be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fitted into an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and an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When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is rotated at right angl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the upper en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catching jaw formed in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on A first number of pairs of first catching pieces positioned and a first number formed horizontally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and supported by an upper end of the first communication tube in a state where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is fitted to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is hinged to the main body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lat plate and means for allowing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having the first horizontal plate to rotate together when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is rotated. 본체 하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제2보조 키보드가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제2연통관과, 상기 제2보조 키보드 상면의 후방 양측 코너부중 본체에 결합될 타측 코너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2연통관의 내경부로 끼워진 제2외부 끼움관과,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 상단에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이격되게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턱과, 상,하부가 연통된 상태로 개방되게 별도 성형되어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에 끼워진 제2내부 끼움관과,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제2내부 끼움관을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로 끼운 상태에서 직각되게 회전시켰을 때 그 상단이 상기 제2외부 끼움관에 형성된 제2걸림턱과 제1보조 키보드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는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걸림편과,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연통관의 상단에 받쳐지는 제2수평판과, 상기 제2수평판이 형성된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제2연통관의 내경부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캠홈과, 상기 제2외부 끼움관의 외경부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외부 끼움관이 회전할 때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각 캠홈으로 끼워지면서 제2외부 끼움관이 상방으로 이동력을 갖도록 하거나 각 캠홈에서 빠져나오면서 제2외부 끼움관이 하방으로 이동력을 갖도록 하는 복수개의 캠으로 구성하여 제2보조 키보드가 본체에 회동 가능함과 함께 회동과정에서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A second communication tube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corner portion to which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to be coupled among the rear opposite corner part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both rear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A second outer fitting pip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ther corner part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corner part and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par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opposite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A pair of second catching jaws formed, a second inner fitting tube separately formed to be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fitted into an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and an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When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is rotated at right angl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the upper end thereof is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tching jaw formed i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an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Could be A pair of second catching piece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a state of forming a horizontal state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so that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is fitted into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A second horizontal plate supported at the upper end, a means for causing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in which the second horizontal plate is formed to rotate together when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is rotated, and a lower portion alo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ube. And a plurality of cam groove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in the upper portion, and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long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am gro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second outer fitting pipe rotates.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ms which allow the second external fitting pipe to have upward movement or the second external fitting pipe has downward movement while exiting each cam groove.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oupled to the state capable of pivoting to the sieve and movable up and down in the rotation proces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수평판이 형성된 제1내부 끼움관이 제1외부 끼움관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은,Means for causing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plate is formed to rotate together when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is rotated, 상기 제1수평판에 형성되어 제1내부 끼움관에 형성된 제1걸림편 사이부분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연통되게 개방된 한쌍의 제1통공과, 상기 제1내부 끼움관의 상단에 지지되어 제1수평판에 형성된 각 제1통공을 통해 제1외부 끼움관의 내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턱 사이부분과 제1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걸림편 사이부분으로 연속해서 수직되게 끼워지도록 한쌍의 제1스토퍼를 일체로 갖는 제1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은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A pair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opened up and down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catching pieces formed on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i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first inner fitting pipe; A pair of first pair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atching jaws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fitting tube through each of the first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plate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fitting tube; An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ing member having a pair of first stoppers integrally fitted vertically into a portion between the engaging piec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2수평판이 형성된 제2내부 끼움관이 제2외부 끼움관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은,Means for causing the second inner fitting tube in which the second horizontal plate is formed to rotate together when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is rotated, 상기 제2수평판에 형성되어 제2내부 끼움관에 형성된 제2걸림편 사이부분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연통되게 개방된 한쌍의 제2통공과, 상기 제2내부 끼움관의 상단에 지지되어 제2수평판에 형성된 각 제2통공을 통해 제2외부 끼움관의 내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턱 사이부분과 제2내부 끼움관의 외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걸림편 사이부분으로 연속해서 수직되게 끼워지도록 한쌍의 제2스토퍼를 일체로 갖는 제2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A pair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opened up and down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etween the second catching pieces formed on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 i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second inner fitting pipes. A pair of second pair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catching jaws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fitting tube an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pair; A second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having a pair of second stopper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vertical portion between the engaging pieces.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의 중심부에 각각 케이블 통과공이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본체와 각 보조 키보드 간의 신호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전달선이 상기 케이블 통과공을 통과하여 본체와 각 보조 키브드를 회로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보조 키보드 결합장치.Cable passing holes are vertically formed at the center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respectively, so that signal transmission lines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spective auxiliary keyboards pass through the cable through holes, thereby supporting the main body and each auxiliary keybed. Auxiliary keyboard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it connected.
KR2020020004525U 2002-02-15 2002-02-15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KR2002749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25U KR200274997Y1 (en) 2002-02-15 2002-02-15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25U KR200274997Y1 (en) 2002-02-15 2002-02-15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997Y1 true KR200274997Y1 (en) 2002-05-09

Family

ID=7311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525U KR200274997Y1 (en) 2002-02-15 2002-02-15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99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97B1 (en) 2004-01-0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97B1 (en) 2004-01-0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4043B2 (en) Mobile terminal
KR102085235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9980067221U (en) One-touch assembly tent frame
JPH10319879A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053192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KR200274997Y1 (en)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KR20050040433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older move of mobile phone
KR200295580Y1 (en)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KR200316506Y1 (en)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KR200289492Y1 (en) device for combining support keyboard of mobile station
KR200316323Y1 (en) interlocking device of support keyboard in mobile station
KR19990082563A (en) Cordless telephone
KR10091803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internal dual lcd
JP2005159406A (en) Mobile phone
KR100692418B1 (e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being folded or unfolded by rotation and coupling device for use in the same
KR20020046056A (en) Folder type mobile phone
KR20210012234A (en) Folderble Hinge Device
KR102085234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0372928Y1 (en) hinge module fixing structure of a folder type mobile communition terminal
KR100468369B1 (en) Hinge device
KR200338956Y1 (en) Sw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36301Y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KR100612821B1 (en) Hinge device having structure at side producing additional rotation
KR10061452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ry forder
KR100533037B1 (en) Keypad enlarge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