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933Y1 - 유아용 식탁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식탁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933Y1
KR200274933Y1 KR2020020003812U KR20020003812U KR200274933Y1 KR 200274933 Y1 KR200274933 Y1 KR 200274933Y1 KR 2020020003812 U KR2020020003812 U KR 2020020003812U KR 20020003812 U KR20020003812 U KR 20020003812U KR 200274933 Y1 KR200274933 Y1 KR 200274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upport
coupled
support member
upp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민
Original Assignee
박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민 filed Critical 박상민
Priority to KR2020020003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933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식탁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U형 지지부재(10)과, 상기 U형 지지부재(10)의 선단에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식탁 상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 고정부재(12)와, 상기 상측 고정부재에 고정결합되어 식탁 상판의 배면을 받치는 받침부재(14)와, 유아가 착석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에는 좌대포지(16)를 씌워서 된 유아용 식탁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포지(16)의 내측 후면에는 유아의 등을 받치도록 등받이(34)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한 안전띠(36)가 결합되며, 상기 좌대포지의 외측면에는 유아용 손수건 등을 보관하도록 주머니(4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아의 등 및 허리를 보호하고, 유아들의 예기치 못한 행동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며, 유아용품을 용이하게 보관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유아용 식탁의자{a baby chair for a dining table}
본 고안은 유아용 식탁의자에 관한 것이다.
유아를 데리고 식탁에서 식탁을 할 경우 유아를 독립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의자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유아를 돌보는 사람과 교대로 식사를 해야 하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식탁 상판의 일측에 착탈이 용이한 행거식 의자를 설치하여 유아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유아용 식탁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유아용 식탁의자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201300호는, U형 지지간의 전방에 하향돌출된 U형 받침간이 고정된 고정관을 회전상태로 축설하여 고정관과 받침간의 선단에 고무캡을 결합하고 받침간의 중간에는 보조핀을 고정하여 나사캡을 결합하여 상기 지지간의 둘레에는 좌대포지를 씌운 구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유아용 식탁의자는 유아의 신장에 따라 등을 효과적으로 받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예기치 못한 행동으로 인하여 안전하지 못하며, 유아에게 필수적인 손수건 등의 유아용품을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의 등 및 허리를 보호하고 유아들의 예기치 못한 행동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유아용 식탁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아용품을 용이하게 보관하는 유아용 식탁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는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식탁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식탁의자의 사용상태도(식탁 상판에 결합한 상태),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식탁의자를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U형 지지부재 12 : 상측 고정부재
14 : 받침부재 16 : 좌대포지
18, 20 : 고무캡 19 : 고무지지부재
22 : 보조받침부 24 : 나사캡
26 : 바닥부 28 : 측면부
30 : 수평띠 32 : 수직띠
34 : 등받이 36 : 안전띠
40 : 주머니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식탁의자는, U형 지지부재과, 상기 U형 지지부재의 선단에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식탁 상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 고정부재와, 상기 상측 고정부재에 고정결합되어 식탁 상판의 배면을 받치는 받침부재와, 유아가 착석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에는 좌대포지를 쒸워서 된 유아용 식탁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포지의 내측 후면에는 유아의 등을 받치도록 등받이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띠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대포지의 외측면에는 유아용 손수건 등을 보관하도록 주머니가 구비된다.
상기 상측 고정부재의 전단에는 식탁 상판의 상면에 밀착하는 고무캡이 끼워지고, 상기 받침부재의 단부에는 식탁 상판의 배면에 밀착하는 고무캡이 끼워지며, 받침부재의 중간부에는 식탁의 배면을 보조적으로 받치도록 상측으로 보조받침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조받침부에는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나사캡이 결합되되, 상기 상측 고정부재의 중간에는 상측 고정부재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식탁 상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지 않게 하도록 링형태로 된 고무지지부재가 끼워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로 된 U형 지지부재(10)의 전단에는 식탁 상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 고정부재(12)가 끼워져 회전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상측 고정부재(12)에는 식탁의 배면을 받치는 받침부재(14)가 용접 연결되며, 유아가 착석하도록 상기 U형 지지부재(10)의 둘레에는 좌대포지(16)가 쒸워진다.
상기 상측 고정부재(12)의 전단에는 식탁 상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고무캡(18)이 끼워져 있는데, 이 고무캡(18)은 유아들의 호기심을 끌도록 동물등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고정부재(12)의 중간에는 상측 고정부재(12)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식탁 상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지 않게 하도록 링형태로 된 고무지지부재(19)가 끼워져 있다.
상기 받침부재(14)는 대체로 U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은 상기 상측 고정부재(12)에 고정된다. 상기 받침부재(14)의 타측단에는 고무캡(20)이 끼워져 있으며, 받침부재(14)의 중간부에는 식탁의 배면을 보조적으로 받치도록 상측으로 보조받침부(2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조받침부(22)에는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나사캡(24)이 나사결합된다.
상기 좌대포지(16)는 부직포 등의 천을 재봉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바닥부(26)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변(앞측)을 제외한 변을 따라 세워져 상기 U형 지지부재(10)에 걸리는 측면부(28)로 이루어져 앞측이 트이되, 상기 죄대포지(16)의 앞측에는 측면부(28)의 앞측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띠(3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띠(30)의 중간부와 상기 바닥부의 앞측 중간부는 유아의 사타구니가 걸리는 수직띠(3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좌대포지(16)의 내측 후면에는 유아의 등을 받치도록 등받이(34)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34)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띠(36)가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측면부(28)의 양측 앞단은 상기 받침부재(14)의 후측에 걸려 짝단추 등의 로킹수단에 의해 로킹된다. 상기 수평띠(30) 및 수직띠(32), 안전띠(36)에도 로킹수단이 결합된다.
상기 바닥부(26)에는 유아가 앉을 시 좌판의 공간을 유지시키도록 지지판(38)이 삽입되고, 상기 등받이(38)의 내부에도 도시하지 않은 지지판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포지(16)의 부직포 내부에는 유아들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편안한 감을 느끼도록 스폰지 등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대포지(16)의 외측면에는 유아용 손수건 등을 보관하도록 주머니(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식탁의자를 평상시 사용하지 않으 시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탁 상판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데, 상측고정부재(14)를 회동시켜 접는 한편, 좌대포지(16)의 등받이(34)를 앞측으로 접는다.
그리고 유아가 식탁에서 식탁을 할 경우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고정부재(12)에 결합된 고무캡(18) 및 고무지지부재(19)를 식탁 상판(P)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받침부재(14)를 식탁 상판의 하측에 위치하게 접어 넣어 주면 고무캡(20:도시안됨)은 식탁 상판의 배면에 밀착하여 지렛대의 지지점 역활을 하여 좌대포지(16)는 행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받침부재(14)의 보조받침부(22)에 나사결합된 나사캡(24)을 회전시킴에 의해 위로 이동시켜 식탁상판(P)의 배면에 밀착시키면 U형 지지부재(10)는 견고히 결합되어 좌대포지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고무지지부재(19)는 식탁상판에 걸리는 힘을 분산시키므로 식탁의자의 행거상태가 더욱 안정된다. 상기 나사캡(24)은 사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 상태에서 유아를 좌대포지(16)의 바닥부(26)에 앉혀 두 다리를 식탁측으로 빼서 내리게 하면 유아는 어른과 같이 식탁의자에 앉는 안정된 상태가 되고, 수평띠(30) 및 수직띠(32)에 의해 유아가 앞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어른들은 편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고 유아에게도 식사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때 등받이(34)는 유아가 식사를 하다가 뒤로 젖힐 때 안전하게 등을 받쳐서 보호하고, 안전띠(36)은 유아의 예기치 않은 행동으로 인한 안전을 보장한다. 그리고, 좌대포지에 결합된 주머니(40)는 손수건 등의 유아용품을 용이하게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식탁의자에 의하면, 유아의 등 및 허리를 보호하고, 유아들의 예기치 못한 행동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며, 유아용품을 용이하게 보관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Claims (3)

  1. U형 지지부재과, 상기 U형 지지부재의 선단에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식탁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측 고정부재와, 상기 상측 고정부재에 고정결합되어 식탁의 배면을 받치는 받침부재와, 유아가 착석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에는 좌대포지를 쒸워서 된 유아용 식탁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포지의 내측 후면에는 유아의 등을 받치도록 등받이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한 안전띠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포지의 외측면에는 유아용 손수건 등을 보관하도록 주머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고정부재의 전단에는 식탁 상판의 상면에 밀착하는 고무캡이 끼워지고, 상기 받침부재의 단부에는 식탁 상판의 배면에 밀착하는 고무캡이 끼워지며, 받침부재의 중간부에는 식탁의 배면을 보조적으로 받치도록 상측으로 보조받침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조받침부에는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나사캡이 결합되되,
    상기 상측 고정부재의 중간에는 상측 고정부재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식탁 상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지 않게 하도록 링형태로 된 고무지지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의자.
KR2020020003812U 2002-02-06 2002-02-06 유아용 식탁의자 KR200274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12U KR200274933Y1 (ko) 2002-02-06 2002-02-06 유아용 식탁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12U KR200274933Y1 (ko) 2002-02-06 2002-02-06 유아용 식탁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933Y1 true KR200274933Y1 (ko) 2002-05-13

Family

ID=7307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812U KR200274933Y1 (ko) 2002-02-06 2002-02-06 유아용 식탁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9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3103B2 (ja) 2つの機能を兼ねる子供用椅子
US6594840B2 (en) Baby bouncer/bassinet
US6142565A (en) Infant chair liner
US5087066A (en) Foldable baby stroller
US6676210B1 (en) Washable highchair slipcover
US5507550A (en) Highchair
US8162333B1 (en) Combination child walker and high chair
EP1176893B1 (en) Baby chair
US9895005B2 (en) Convertible child seat
US7621592B1 (en) Rocker and hook on high chair apparatus
US4889388A (en) Transportable seat insert especially adapted for infants
US20010048235A1 (en) Seat cover For Shopping cart child seat
US5382074A (en) Detachable stroller tray
US7281759B1 (en) Portable high chair
US7210737B2 (en) Feeding chair apparatus
US20080277439A1 (en) Basket structure for child&#39;s stroller
US10905255B1 (en) Adjustable voluminous padded chair
KR101221882B1 (ko) 식탁 겸용으로 사용되는 유아용 의자
US6561526B1 (en) Stroller with attachable seat assembly
EP0832811B1 (en) Bicycle baby-seat
US3427071A (en) Children&#39;s play seat
KR200274933Y1 (ko) 유아용 식탁의자
JPH04154478A (ja) ベビーカー等の座席構造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US7146661B1 (en) Knockdown, portable, non-intimidating, and stable pen for comfortably, conformingly, supportingly, and entertainingly accommodating an infant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