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593Y1 - 헤어브러시 몸체 - Google Patents

헤어브러시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593Y1
KR200274593Y1 KR2020010036002U KR20010036002U KR200274593Y1 KR 200274593 Y1 KR200274593 Y1 KR 200274593Y1 KR 2020010036002 U KR2020010036002 U KR 2020010036002U KR 20010036002 U KR20010036002 U KR 20010036002U KR 200274593 Y1 KR200274593 Y1 KR 200274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rush
present
ventilation hole
hair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을
Original Assignee
이종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을 filed Critical 이종을
Priority to KR2020010036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593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브러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심어진 털모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통기공을 형성하며 그 통기공은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관통되도록 하여 헤어브러시의 무게를 가볍게 함과 동시에 브러시에 감겨진 머리카락 전체에 헤어드라이어의 열이 골고루 전달 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자연스러운 커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 몸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어브러시 몸체{A HAIRBRUSH BODY}
본 고안은 머리를 손질하기 위한 헤어브러시에 적용되는 몸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어브러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심어진 털모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통기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용이하게 커얼(curl)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그 무게를 가볍게 함과 동시에 브러시에 감겨진 머리카락 전체에 헤어드러이어의 열을 전달시킬 있도록 하여 머리카락의 커얼 상태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브러시는 주로 여성들이 머리를 빗는데 사용되며, 빗살이 일자형태로 한 줄로 형성된 일반 머리빗과는 달리 털모가 여러줄로 배열되어 머리카락을 효과적으로 커얼(curl)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헤어브러시는 털모의 간격이 조밀하지 못하여 머리손질을 용이하게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털모의 간격 사이사이에 다른 털모를 형성하는 형태로 하여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는 있으나 이 역시 털모의 간격을 좁히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헤어브러시를 이용하여 머리를 손질할 때에는 통상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헤어드라이어에서는 더운 바람이 나오게 되고, 그 더운 바람에 의해 머리카락의 커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종래의 헤어브러시는 상기와 같은 더운 바람이 헤어브러시에 감겨진 머리카락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여 커얼 하기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어브러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심어진 털모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통기공을 형성하며 그 통기공은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관통되도록 하여 헤어브러시의 무게를 가볍게 함과 동시에 브러시에 감겨진 머리카락 전체에 헤어드라이어의 열이 골고루 전달 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자연스러운 커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 몸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어브러시 몸체 12 - 공간부
14 - 통기공 16 - 털모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은, 외주면에 털모가 심어지는 헤어브러시 몸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목재로 구성되며 그 몸체의 중앙부에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에서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통기공을 상기 털모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 몸체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10)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몸체(10)는 목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12)와 관통되는 통기공(14)이 상기 몸체(10)의 외측면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공(14)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 심어지는 털모의 사이사이에 위치한다.
도 1과 도 2에 따르면, 상기 통기공(14)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그 장공은 몸체(10)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평방형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따르면, 상기 통기공(14)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그 장공은 몸체(10)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 털모(16)가 심어진 상태와 그몸체(10)의 하측으로 손잡이(18)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헤어브러시 몸체(10)는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머리를 손질(커얼)할 때 헤어드라이어에서 나오는 더운 바람이 상기 공간부(12)와 통기공(14)에 의해 브러시에 감겨진 머리카락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자연스러운 커얼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헤어브러시 몸체(10)에 전달되는 열은 상기 통기공(14)을 통해 공간부(12)로 들어와 인접한 다른 통기공(14)으로 배출되면서 브러러시에 감겨져 있는 머리카락 전체에 골고루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공간부(12)와 통기공(14)에 의해 헤어브러시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그 사용을 한층 더 편리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브러시 몸체는 그 무게를 가볍게 함과 동시에 그 몸체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이 공간부를 관통되게 형성된 통기공에 의해서 헤어드라이어로부터 가해지는 열이 브러시에 감겨져 있는 머리카락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커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주면에 털모가 심어지는 헤어브러시 몸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목재로 구성되며 그 몸체의 중앙부에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에서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통기공을 상기 털모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 몸체.
KR2020010036002U 2001-11-22 2001-11-22 헤어브러시 몸체 KR200274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02U KR200274593Y1 (ko) 2001-11-22 2001-11-22 헤어브러시 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02U KR200274593Y1 (ko) 2001-11-22 2001-11-22 헤어브러시 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593Y1 true KR200274593Y1 (ko) 2002-05-08

Family

ID=7311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002U KR200274593Y1 (ko) 2001-11-22 2001-11-22 헤어브러시 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87B1 (ko) * 2012-05-02 2014-01-08 조규현 헤어브러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87B1 (ko) * 2012-05-02 2014-01-08 조규현 헤어브러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720B2 (en) Hair care device
US6739016B2 (en) Hairbrush
KR101254672B1 (ko) 손가락 타입 헤어 브러시
US20130074867A1 (en) Hair styling apparatus with novel bristle configuration
US20010001887A1 (en) Hair brush
GB2185186A (en) Heated bristle curling brush
US4417595A (en) Hairbrush
KR200274593Y1 (ko) 헤어브러시 몸체
KR200286488Y1 (ko) 헤어 브러시
GB1593670A (en) Hair dryer attachment
US6047704A (en) Self-fixing multi-comb hair-curler with retention channels
KR200224665Y1 (ko) 헤어브러시
US20040088811A1 (en) Hair brush
US4566473A (en) Air baffled hairbrush
CA2327062C (en) Hair brush
EP0141532A1 (en) A hair brush
KR102205007B1 (ko) 돈모가 중심축에 감긴 헤어 롤 브러시
KR200318919Y1 (ko) 헤어 브러쉬
KR200190814Y1 (ko) 드라이어 고대기 겸용 롤 브러쉬
KR200312898Y1 (ko) 헤어브러시
JP2733064B2 (ja) ヘアーカール器のブラシ
JPH0126265Y2 (ko)
KR200239320Y1 (ko) 헤어 브러쉬
JPH038161Y2 (ko)
CA2578180A1 (en) Ergonomic hair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