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998Y1 -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998Y1
KR200272998Y1 KR2019980020092U KR19980020092U KR200272998Y1 KR 200272998 Y1 KR200272998 Y1 KR 200272998Y1 KR 2019980020092 U KR2019980020092 U KR 2019980020092U KR 19980020092 U KR19980020092 U KR 19980020092U KR 200272998 Y1 KR200272998 Y1 KR 200272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fastening groove
duct
fasten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8407U (en
Inventor
권영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0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998Y1/en
Publication of KR20000008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40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998Y1/en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동실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덕트를 냉장고의 인너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duct for guiding the cold air to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inner case of the refrigerator.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는, 결합공이 성형된 인너케이스(40)와, 인너케이스의 결합공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체결홈(22)이 연결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성형된 덕트(20), 그리고 상기 체결홈(22)에 결합된 인너케이스를 체결홈의 일측면을 향하여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홈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체결구(30)는 상기 체결구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체결홈 내부에 일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인너케이스(40)를 체결홈(22)의 일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완벽한 실링성을 확보한다.In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case 40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and a duct 20 in which a coupling groove 22 into whic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case is inserted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and the In order to contact the inner case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22 toward on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the fastener 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he fastener 30 is the fastener is formed in a U-shap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astening groov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ase 40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2, perfect sealing properties Secure.

Description

냉장고의 덕트 연결구조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장실로 냉기를 안내하는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실링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duct for guiding cold air to a refrigerato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itself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sealing material.

냉장고에서 냉기는 냉동실 후방의 열교환챔버에 설치된 증발기 부근에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냉기의 일부를 송풍팬에 의하여 직접 냉동실로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덕트를 거쳐 냉장실로 공급된다.Cold air in the refrigerator is generated near the evaporator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 chamber behind the freezer compartment. A part of the cold air thus produced is supplied directly to the freezing compartment by a blowing fan, and the other part is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via a duct.

이와 같이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의 연결구성에 대한 종래의 구성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97-22114호로 공개된 것을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공보에 기재된 덕트의 연결구조를 보이고 있다.As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duct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may be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97-22114. 1 and 2 show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uct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2는 냉장고의 인너케이스의 냉동실 후벽을 의미하고, 14는 인너케이스의 냉장실 후벽을 의미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10)는, 상기 냉동실후벽(12)과 냉장실후벽(14)를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냉동실후벽(12)의 내측부분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덕트(10)를 따라 냉장실로 안내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rear wall of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inner case of the refrigerator, and 14 denotes a rear wall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f the inner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uct 10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connected to the freezing chamber rear wall 1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rear wall 14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rear wall 12 is guided along the duct 10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그리고 상기 덕트(10)과 냉동실후벽의 결합관계를 도 2에 기초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uct 10 and the freezing chamber rear w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덕트(10)의 단부에는, 플랜지(10a)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10a)의 전면측에는 다수개의 걸림턱(10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10)의 단부에는 고정부재(16)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덕트(10)가 인너케이스의 냉동실후벽(12)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A flange 10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uct 10, and a plurality of locking jaws 10b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lange 10a. And the end of the duct 10 is fitted with a fixing member 16, the duct 10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freezing chamber rear wall 12 of the inner case.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덕트 연결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제기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uct connection structure is configured as follow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먼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덕트(10)와 인너케이스 사이에 별도의 실링재를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의 상승과 조립공정상 복잡해 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플랜지에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고정부재에 의하여 끼워야 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다수개의 걸림턱에 의하여 고정부재가 끼워지기 때문에 고정턱이 없는 부분에서는 완전한 밀착이 어렵게 되고, 따라서 발포시 발포액이 덕트 내부로 진입하여 냉기통로가 막히는 단점이 제기되기도 한다.Firs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since a separate sealing material must be attached between the duct 10 and the inner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and the assembly process becomes complicated.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locking jaws must be formed on the flange to be fitted by the fixing member, workability in a narrow space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member is fitted by a plurality of catching jaw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adhere in a portion without the fixing jaw, and thus,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foaming liquid enters the duct during foaming and the cold air passage is block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를 인너케이스에 완전히 밀착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덕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uct is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as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실링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성이 우수한 덕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uct excellent in assembly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ealing material.

도 1은 일반적인 덕트의 설치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general duct.

도 2는 종래의 덕트 연결부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uct connecting por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덕트연결부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ct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덕트 연결부분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ct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덕트 22 ..... 체결홈20 ..... Duct 22 ..... Fastening groove

24 ..... 체결턱 30 ..... 체결구24 ..... Fasteners 30 ..... Fasteners

40 ..... 인너케이스40 ..... Inner Ca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덕트의 연결구조는, 결합공이 성형된 인너케이스와; 상기 인너케이스의 결합공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연결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성형된 덕트; 그리고 상기 체결홈에 결합된 인너케이스를 체결홈의 일측면을 향하여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홈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Connection structure of th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ner case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A duct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case is inserted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portion; And in order to close the inner case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toward on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it comprises a fasten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인너케이스는 체결홈의 일측면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포액이 누설될 우려도 없으며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덕트와 인너케이스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the fastener, the inner case can b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foaming liquid leakage, and the duct and the inner case can be combined by a simple assembly.

상기 체결구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체결구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체결홈 내부에 일체로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을 우수하게 하고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fastener, the fastener is formed in a U-shape to b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hereby excellent assembly.

그리고 상기 체결홈의 제1면은 인너케이스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성형되고, 그 대향측의 제2면은 인너케이스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그 연결부분인 양측의 제3면은 각각의 체결홈을 연결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면 및 제3면에 삽입되는 것이고, 경사를 가진 제3면에 삽입되는 체결구의 측면은 상기 제3면에 밀착 삽입될 수 있는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다.The first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inner case, and the second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is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case, and the thir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The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connecting the respective fastening grooves, and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ird surfaces, and the side of the fastener inserted into the third surface having the slope is connected to the third surface. It is molded to have a slope that can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그리고 상기 제1면이 인너케이스에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덕트를 회전시켜서 인너케이스에 결합될 때, 제2면의 전면 단부가 원활하게 인너케이스의 결합공에 삽입되기 위하여 경사진 안내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And when the first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ase is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by rotating the duc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urface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guide inclined surface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case have.

또한 상기 체결구의 내측면에는 박형의 밀착돌출부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돌기부는 체결구가 완전하게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너케이스와 체결홈 사이의 틈새에 밀착 삽입되어, 인너케이스와 체결홈 사이의 틈새를 완전하게 없앨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is formed of a thin contact protrusion, the contac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fastening groove in the state that the fastener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fastening with the inner case The gap between the grooves can be completely eliminated.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조를 위한 덕트(20)의 단부 형상과 체결구(3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덕트(20)는 냉장고의 인너케이스에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어,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체결구(30)를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이와 같은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3 exemplarily illustrates an end shape of the duct 20 and a fastener 30 for th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ase of the refrigerator, thereb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foaming liquid, and furthermore, by assembling the fastener 30, such adhesion is achieved. It can be secur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덕트(20)의 연결단부에는, 체결홈(2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22)의 전방에는 외주면을 향하여 일정간격 돌출한 체결턱(24)이 성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 fastening groove 22 is formed in the connecting end of the duc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fastening jaw 24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22 is formed.

상기 체결홈(22)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케이스(4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인너케이스(40)에는, 상기 덕트(20)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22)이, 결합공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덕트(20)의 연결단부가 결합되게 된다.The fastening groove 22 is a portion to which the inner case 40 is coupled as shown in FIG. 4. That is, the inner case 4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connecting end of the duct 20 is inserted, and the connecting end of the duct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 by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To be combined.

상기 체결홈(22)의 폭은 상하부분에서 가변적으로 성형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홈(22)의 상부(22a)는 인너케이스(40)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체결홈(22)의 하부(22c)는 인너케이스(40)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체결홈(22)의 측면부(22b)는, 상대적으로 넓은 상부(22a)와 좁은 하부(22c)를 서로 연결하는 형상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하지는 경사홈의 형상을 가진다.The width of the fastening groove 22 is variably mold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at is, as shown, the upper portion (22a) of the fastening groove 22 has a width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case 40, the lower portion 22c of the fastening groove 22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case 40 Have the same width. In addition, the side portion 22b of the fastening groove 22 has a shape of connecting the relatively wide upper portion 22a and the narrow lower portion 22c with each other, and has a shape of an inclined groove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nd a width narrowing downward. .

상기 체결홈(22)의 측면부(22b)는,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턱(24)의 두께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체결턱(24)의 측면부(24a)가 하방으로 갈수록 두껍게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홈(22)의 측면부(22b)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The side part 22b of the said fastening groove 22 is shape | molded in the shape becoming narrower downward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fastening jaw 24 in the Example shown. That is, by forming the side portion 24a of the fastening jaw 24 toward the lower side, the side portion 22b of the fastening groove 22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따라서 체결홈(22)의 하부(22c)에 인너케이스(40)가 끼워지면 서로 완전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되고, 상부(22a)는 인너케이스(40)가 끼워진 상태에서 다소 유격을 가지도록 성형된다.Therefore, when the inner case 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22c of the fastening groove 22, the inner case 4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portion 22a is formed to have a little play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case 40 is fitted. .

그리고 이와 같이 인너케이스(40)에 상기 체결홈(22)이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홈의 상부(22a)가 다소 유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결구(30)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인너케이스(40)와 상기 체결홈(22)을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groove 22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4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portion 22a of the fastening groove is somewhat free, the fastener 30 is coupled downward from the top. , The inner case 40 and the fastening groove 22 may be complete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체결구(30)는, 하방이 개방된 ㄷ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30)의 측면(33)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성형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체결홈(22)의 측면부(22b)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점에 기초하고 있다.The fastener 30 is molded into a U-shape open downward. And the side surface 33 of the fastener 30 is formed in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bottom, which is based on the point that the side portion 22b of the fastening groove 22 is formed in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downward Doing.

따라서 상기 체결구(30)를, 체결홈(22) 속으로 삽입하면 체결구(30)의 측면(33)이 체결홈(22)의 측면부(22b) 속으로 삽입되어 내려가게 된다. 이 때 상기 체결홈(22)의 측면부(22b)와 체결구(30)의 측면(33)이 동일하게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덕트(20)의 연결단부가 인너케이스(40)과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astener 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2, the side surface 33 of the fastener 30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22b of the fastening groove 22 and descends. At this time, since the side portion 22b of the fastening groove 22 and the side surface 33 of the fastener 30 are equally narrowed, the connecting end of the duct 20 is completely formed with the inner case 40. It is closely adhered to.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30)의 내측부분에는, 밀착돌출부(32)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밀착돌출부(32)는 체결구(30)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전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고 얇게 성형된다. 이러한 밀착돌출부(32)는, 상기 체결구(30)가 체결홈(22) 속에 삽입되는 경우, 인너케이스(40)과 체결홈(22)의 단부 사이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완벽한 밀착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30)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어서, 상기 밀착돌출부(32)가 끼워지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형되면서 밀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 3, the close_contact | adherence protrusion part 32 is shape | molded in the inner part of the said fastener 30. As shown in FIG. The close contact portion 32 is a portion projecting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30 is formed thin. When the fastener 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2, the close contact part 32 is completely inserted between the inner case 40 and the end of the fastening groove 22, thereby providing perfect adhesion. It is to provide. And the fasten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certain elasticity, is configured to provide adhesion while being deformed as described later when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32 is fitted.

그리고 상기 체결턱(24)의 상부의 상단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분을 일정하게 모따기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안내경사면(34)이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경사면(34)은, 상기 체결턱(24)이 인너케이스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턱(24)의 상단면이 인너케이스의 내측으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도록 성형되는 부분이다.In addition, a guide inclined surface 34 formed by constant chamfering of corner portions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jaw 24. The guide inclined surface 34 is a portion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jaw 24 can be smoothly guided into the inner case when the fastening jaw 24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체결홈(22)과 체결구(30)의 결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ure 4, it will be described for the coupling process of the fastening groove 22 and the fasten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덕트(20)의 연결단부를 인너케이스(40)에 성형된 결합공에 결합시켜야 한다. 이렇게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덕트(20)의 체결홈(22)의 하부(22c)를 먼저 인너케이스(40)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체결홈(22)의 하부(22c)는 인너케이스(4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액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서로 완전하게 밀착된다.First, the connecting end of the duc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inner case 40. 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22c of the fastening groove 22 of the duct 20 is first coupled to the inner case 40.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portion 22c of the fastening groove 22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inner case 40, as shown in FIG. 4, the lower portion 22c is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akage of the foaming liquid can be prevented.

그리고 이렇게 체결홈(22)의 하부(22c)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2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홈(22)의 상부(22a)를 인너케이스(40)에 결합시킨다. 이 때 체결홈 상부(22a)에 해당하는 플랜지(24)에는 안내경사면(34)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인너케이스(40)의 결합공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안내되면서 체결홈의 상부(22a)가 인너케이스(40)에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홈의 상부(22a)는 인너케이스(40)와는 다소 유격이 있는 상태이다.And while the lower portion 22c of the fastening groove 22 is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22a of the fastening groove 22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40 while rotating the duct 20 upward.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inclined surface 34 is formed in the flange 24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groove 22a, the upper part 22a of the fastening groove is guided while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case 40. It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40. In the coupled state, the upper portion 22a of the fastening groove is in a state where there is a little gap with the inner case 4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인너케이스(40)의 이면에,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30)를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구(30)가 체결홈(22)에 결합되면, 체결구(30)의 측면(33)이 체결홈(22)의 측면부(22b)를 따라 내려가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케이스(40)를 체결홈(22)의 우측면으로 완전하게 밀착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the fasten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40 from above to downward. When the fastener 3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22, the side surface 33 of the fastener 30 descends along the side portion 22b of the fastening groove 22, as shown in FIG. 4. The case 40 is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2.

그리고 상기 체결구(30)가 완전하게 체결홈(22) 속으로 삽입되도록 가압하면, 상기 체결구(30)의 밀착돌출부(32)가, 인너케이스(40)의 하단부와 체결홈(22)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틈새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fastener 30 is pressurized to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2, the close contact part 32 of the fasten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ase 40 and the fastening groove 22. It will be pushed into the gap that can occur in, this state i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체결홈(22)과 인너케이스(40) 사이에는 전혀 공간이 발생할 수 없게 되어 완전하게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no space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fastening groove 22 and the inner case 40 to maintain a completely closed stat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덕트(20)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인너케이스(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구(30)에 의하여, 완전하게 밀착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 formed at the connection end of the duct 20 is fastened by the fastener 30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case 40 is inserted. It can be seen that.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는, 덕트(20)와 인너케이스(40) 사이에서 어떠한 부분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any portion between the duct 20 and the inner case 4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을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advantages.

덕트와 인너케이스를 밀착상태로 연결함에 있어서, 체결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완전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실링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완전한 실링을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는 부분적으로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덕트와 인너케이스의 외주면 전체를 커버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완전하게 밀착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덕트의 조립부분을 통하여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In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uct and the inner cas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close by using a fastener. Therefore, a complete sealing can be realized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sealing material. Furthermore, 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ly in close contact, but covers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d the inner case, thereby providing a completely close contact overall. Therefore, the effect that can prevent the leakage of the foam liquid through the assembly portion of the duct is expected.

그리고 별도의 실링재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조립공정이 쉽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잇점은 실질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And by not using a separate sealing material, such as the assembly process is easy, it can be expected that the advantage that the assembly is improved, this advantage will bring the effect of substantial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Claims (5)

결합공이 성형된 인너케이스와;An inner case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상기 인너케이스의 결합공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연결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성형된 덕트; 그리고A duct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case is inserted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portion; And 상기 체결홈에 결합된 인너케이스를 체결홈의 일측면을 향하여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홈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덕트 연결구조.In order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case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toward on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a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fasten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체결홈 내부에 일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덕트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er is formed in a U-shap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integral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제1면은 인너케이스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성형되고, 그 대향측의 제2면은 인너케이스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그 연결부분인 양측의 제3면은 각각의 체결홈을 연결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면 및 제3면에 삽입되는 것이고, 경사를 가진 제3면에 삽입되는 체결구의 측면은 상기 제3면에 밀착 삽입될 수 있는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덕트 연결구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inner case, the second side of the opposite side is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case, the connection portion The third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phosphor is formed to have a slope connecting the respective fastening grooves, and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astener inserted into the third surface having the slope is Refrigerator duct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lope that can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이 인너케이스에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덕트를 회전시켜서 인너케이스에 결합될 때, 제2면의 전면 단부가 원활하게 인너케이스의 결합공에 삽입되기 위하여 경사진 안내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덕트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first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ase by rotating the duct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urface is inclined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case smoothly Refrigerator duct connection structure comprising a guide slop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내측면에는 박형의 밀착돌출부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돌기부는 체결구가 완전하게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너케이스와 체결홈 사이의 틈새에 밀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덕트 연결구조.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is formed of a thin contact protrusion, the contact protrusion is fastened to the inner case, the fastener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Refrigerator duct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losely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grooves.
KR2019980020092U 1998-10-21 1998-10-21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KR2002729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92U KR200272998Y1 (en) 1998-10-21 1998-10-21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92U KR200272998Y1 (en) 1998-10-21 1998-10-21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07U KR20000008407U (en) 2000-05-15
KR200272998Y1 true KR200272998Y1 (en) 2002-06-20

Family

ID=6952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92U KR200272998Y1 (en) 1998-10-21 1998-10-21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99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07U (en)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6864A (en) Snap-in gasket system for refrigerator and freezer doors
US6266970B1 (en) Vertical partition cover assembly of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KR200264494Y1 (en) Front central part of refrigerator
US20070216272A1 (en) Refrigerator and sealing gasket therefor
JP5298660B2 (en) refrigerator
KR200272998Y1 (en)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KR200163961Y1 (en) Cooling air duct structure of a refrigerator
US11306963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built-in part
KR200156909Y1 (en) Door handle structure in ref.
KR100689331B1 (en) Lamp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200168022Y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refrigerating panel of refrigerating cabinet
JPH0328308Y2 (en)
KR100593624B1 (en) Refrigerator Door
KR100347033B1 (en) Door liner for refrigerator
KR100420362B1 (en) A door having duct therein for Refrigerator
MXPA02008758A (en) Duct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0125941Y1 (en) Structure for fixing the display frame of a refrigerator
JPH10300320A (en) Refrigerator with freezer
JPH10259987A (en) Heat insulating structure
JP2005090845A (en) Refrigerator
KR200217744Y1 (en) Damper Cover of Refrigerator
KR970009839B1 (en) Side wall coldair passage of refrigerators
KR20030021807A (en) Device for mounting side duct for Refrigerator
KR100547428B1 (en) Refrigerator Door Duct
KR100217405B1 (en) Middle hinge of refriger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