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662Y1 - Cup-holder for motors - Google Patents

Cup-holder for mo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662Y1
KR200272662Y1 KR2020020001407U KR20020001407U KR200272662Y1 KR 200272662 Y1 KR200272662 Y1 KR 200272662Y1 KR 2020020001407 U KR2020020001407 U KR 2020020001407U KR 20020001407 U KR20020001407 U KR 20020001407U KR 200272662 Y1 KR200272662 Y1 KR 200272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lip
holder
cup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4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해석
Original Assignee
이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석 filed Critical 이해석
Priority to KR2020020001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6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662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앞좌석의 3점식 안전벨트가 인출되는 측판패널의 틈에 컵홀더과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를 삽입하여 측판패널 외벽에 접이식 컵홀더가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이 음료잔을 편리하게 재치할 수 있도록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and inserts the hook formed integrally with the cup holder in the gap of the side panel panel from which the three-point seat belt of the front seat is drawn out so that the foldable cup holder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side panel panel in close contact. Passengers will be able to conveniently place a drink.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HOLDER FOR MOTORS}Cup Holder for Cars {CUP-HOLDER FOR MOTORS}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에 사용되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차 및 소형 승합차의 뒷좌석 승객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use in an automobile interi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seat passenger cup holder of passenger cars and small vans.

자동차를 이용한 가족단위의 장거리 여행이 보편화된 현실이지만, 자동차 뒷좌석 승객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된 컵홀더는 많지 않다.Although long-distance travel by car is commonplace, there are not many cupholders that are convenient for passengers in the back seats.

그리고, 이미 공지된 기술들 중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는 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의 공개번호1999-0018478호인 차량에 구비된 봉지걸이 겸용 컵홀더의 경우, 차량 좌석의 양쪽 사이드 트림에 원형의 개방함을 형성시키고 그 개방함에 격납되는 회동식 컵홀더를 구성하는 것이나, 이것은 사이드트림의 형상을 컵홀더 형성에 유리하도록 변형시켜야 하는 것이며, 이는 또 사이드 트림을 제작하는 금형의 형상을 변경시켜야 하는 개조비용이 들어야 한다는 것을 뜻하며, 이와 동시에 사이드 트림의 형상이 변화되지 않은 차랑에는 컵홀더를 설치할 수 없다는 제한적인 의미도 된다.In addition, among the known technologies,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case of a cup holder with a bag hanger provided in the vehicl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18478, circular openings on both side trims of the vehicle seat It constitutes a pivoting cup holder which forms a box and is stored in its opening, but this is to modify the shape of the side trim to favor the cup holder formation, which is also a modification to change the shape of the mold making the side trim. At the same time,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a cupholder cannot be installed in a car that does not change the shape of the side trim.

또한, 동 공보의 공개번호1999-0021314호인 자동차용 컵홀더의 경우에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즉 차량의 내부 천정)에 부착되는 행거에 컵홀더를 구성시킨 젓으로 컵홀더가 상대적으로 높이 위치하게 되어 행거 및 컵홀더등이 승객들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up holder for cars disclosed in the publication No. 1999-0021314, the cup holder is positioned relatively high with a hook having a cup holder formed on a hanger attached to the headlining of the vehicle (ie, the interior ceiling of the vehic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hangers and cup holders obscure the view of passengers.

또한, 동 공보의 공개번호1999-0038288호인 자동차용 컵홀더의 경우, 컵받침이 케이스 내부로부터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형태이나, 이는 즉 수평으로 인출되는 방식이므로 케이스 등을 형성하기 위하여 앞좌석쪽이나 뒷좌석의 중앙팔걸이 등에 적절한 구조의 변화를 주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up holder for a vehicle of the publication No. 1999-0038288 of the publication, the cup support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se in the form of a drawer, that is, it is a horizontal way to draw out the front seat or rear seat to form a case, etc. The structure of the center armrest should be changed.

상기한 고안들에 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에 공개된(특2001-0065966호)의 경우, 도어트림 등에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개량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을 수 있도록 된 사각 접이식의 컵홀더가 있으나, 이것 역시 도1과 같이 도어트림의 틈새(창문이 오르내리는)에 클립을 삽입하게 됨으로 컵홀더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창문을 오르내리기 어려운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다.Compared to the above designs,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65966, an improved cup holder that can be fixed using a clip on a door trim or the like can be folded when not in use. Although there is a cup holder, this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up and down the window when the cup holder is installed because the clip is inserted into the gap (window rise and fall) of the door trim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의 내장품(사이드트림, 도어트림, 헤드라이닝 등..)에 아무런 형상변화를 주지 않고 손쇱게 탈착이 가능하여 어느 차종에나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컵홀더의 설치위치를 앞좌석의 삼점식 안전벨트 인출구가 있는 측판 패널쪽으로 하여 뒷좌석 승객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는 장소로 지정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changing any shape on the interior of the car (side trim, door trim, headlining, etc.),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ny vehicle model, and also the cup The location of the holder is set to the side panel panel with the three-point seatbelt outlet on the front seat,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ar seat passenger's movement.

따라서, 상기 안전벨트 인출구의 측판 패널 틈새에 안정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걸고리(클립)의 형상을 구체화하고, 앞좌석 승객이 좌석을 뒤로 눕힐 경우에도 컵홀더가 간섭되지 않도록 컵홀더의 지지간 일측을 회동 가능한 구조로 하는 동시에 공간활용의 이점을 최대한 살려 간이 수납함등을 부설하여 그 활용도를 높였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hook (clip) as a structure that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side panel panel of the seat belt outlet, and the cup holder support so that the cup holder does not interfere even when the front passengers lie down the seat.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on one side of the liver, the utilization of space was enhanced by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도1 은 종래의 컵홀더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 따른 컵홀더의 설치 사용시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installation and us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FIG.

도4는 회동부의 확대 종단면도4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otating part;

도5는 회동부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ting unit housing

* 도면에 인용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references cited in the drawings

1; 컵홀더대 2; 보강대 3; 받침대One; Cup holder stand 2; Reinforcement 3; Pedestal

3; 클립 5; 로크 6; 미늘부3; Clip 5; Lock 6; Barb

7; 클립체결부 8; 프레임 9; 쿠션패드7; Clip fastening part 8; Frame 9; Cushion pad

10; 양면테이프 20; 수납함 21; 수납함체결핀10; Double-sided tape 20; Holder 21; Box fastening pin

22; 지지간 23; 수직회동부 24; 턱받침22; Support span 23; Vertical pivot 24; Bib

25; 회동부 하우징 26; 수평회동축 27; 홀더25; Pivotal housing 26; Horizontal pivot 27; holder

28; 와셔 29; 라이너 30; 안전벨트28; Washer 29; Liner 30; safety belt

31; 커버패널 32; 뒷판패널 33; 광고면31; Cover panel 32; Back panel 33; Advertising

34; 걸고리 35; 앞좌석 시트 36; 고정핀34; Hook 35; Front seat 36; Push pin

37; 창유리 X, Y ; 컵홀더대의 수직 수평 운동방향37; Panes X, Y; Vertical horizontal direction of cup holder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도1은 종래의 컵홀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컵홀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4은 본고안에서의 회동부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며, 도5는 본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cup hold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up holder of FIG. 4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rotat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서, 부호4는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제작된 클립이며, 부호8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프레임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클립과 결합되고 하단은 컵홀더의 회동을 가능케하는 회동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의 주부품인 회동부하우징(25)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컵홀더대(1)의 일단이 조립 체결되어 있다. 컵홀더대(1)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 가능하며 직접 컵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컵의 바닥면을 떠받칠 수 있는 받침대(3)부분이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clip made of an elastic metal plate, and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fram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upp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lip, and the low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ivoting portion that enables the rotation of the cup holder. .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which is a main part of the rotating part,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one end of the cup holder stand 1 is assembled and fastened. The cup holder stand 1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is a part directly supporting the cup, in which the pedestal part 3 that can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is integrally formed.

상기 클립(4)을 자동차의 3점식 안전벨트 인출구가 있는 측판 패널(자동차의 앞좌석 승객을 위한 안전벨트는 대개 앞쪽 도어와 뒤쪽 도어의 사이에 있는 합성수지제 커버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인출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서는, 도3 및 도5에 부호 3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가 인출되는 부분의 합성수지제 커버를 '커버패널'이라 한다.)에 삽입 고정시켜 본 고안의 컵홀더를 설치하는 것이다.The clip 4 is pulled upward from the space formed inside the synthetic resin cover between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synthetic resin cover of the portion where the seat belt is drawn out as 'cover panel'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1 in FIGS. 3 and 5). To install.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인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클립(4)은 대략 2㎝ 내지 4㎝ 폭을 갖는 탄성이 있는 금속판체로서 그 두께는 0.5㎜ 내지 1㎜ 범위 내로 한다.The clip 4 is an elastic metal plate body having a width of about 2 cm to 4 cm, the thickness of which is in the range of 0.5 mm to 1 mm.

클립(4)은 도1에서와 같이 측면 형상이 '∩'형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앞쪽 부분의 전면 일단에 프레임(8)과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체결부(7)를 형성하는데, 상기 클립체결부(7)는 걸림턱이 형성된 돌기부로서 클립(4)의 일단을 부분적으로 절개 절곡하여 형성시키는 것이다.The clip 4 is formed in a '∩' shape as shown in Figure 1, the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to form a clip fastening portion 7 for engaging with the frame 8, the clip fastening portion (7) is a protrusion in which the locking step is formed to partially cut and bend one end of the clip (4).

그리고, 클립(4)의 뒤쪽 부분은 커버패널(31) 상단에서 그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확실한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그 말단에 요철부(미설명부호;d)를 형성하는 동시에 미늘부(6)를 둔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portion of the clip 4 is inserted into and fixed from the top of the cover panel 31 to the inside thereof, an uneven portion (not shown; d) is formed at the end thereof so that it can be securely fixed. 6).

도3에 표시된 미설명부호'a'는 클립(4)의 상측 간격으로, 대략 5㎜내지 1cm범위에 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b'로 표시된 커버패널(31)의 상단은 차종에 따라 살두께가 다르며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그 말단부가 뒷판패널(32) 쪽으로 굽어진 형태 등이 있으나, 대개 3mm 내지 8mm범위에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a'부 간격을 정함이 적정하다 할 것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a' shown in FIG. 3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5 mm to 1 cm at the upper interval of the clip 4.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nel 31 indicated by the symbol 'b' has a flesh thicknes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its end portion is bent toward the rear panel 32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but is generally in the range of 3mm to 8mm. As described above, it is appropriate to determine the interval between the 'a' sections.

또한, 부호 'c'는 클립(4) 하부의 양 말단부의 간격으로, 상기 'a'보다 충분히 작게하여 커버패널(31)에 클립(4)을 설치하였을 때 견고하게 탄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c' is smaller than 'a' at intervals between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lip 4 so that the clip 4 may be firmly supported when the clip 4 is installed on the cover panel 31.

클립(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이 있는 것으로 하는데, 스테인레스강판이나 인청동합금판 또는 열처리된 탄소강판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탄성을 보조하기 위한 스프링을 결합 구성시킨 금속선재로도 할 수가 있다.The clip 4 is elastic as described above. The clip 4 may be made of a stainless steel plate, a phosphor bronze alloy plate or a heat treated carbon steel plate, or may be a metal wire rod having a spring configured to assist elasticity.

부호 8은 프레임이며, 폭 3cm 내지 5㎝ 범위, 두께 1㎝ 내외, 길이 15㎝ 내지 30 ㎝ 범위인 합성수지체로서 클립(4)과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패널(31) 외벽에 밀착 설치되어 컵홀더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Numeral 8 is a frame, a synthetic resin body having a width of 3cm to 5cm, a thickness of about 1cm, and a length of 15cm to 30cm, 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cover panel 31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with the clip (4). It supports the whole.

프레임(8)은 배면은 평면이며, 전면은 하측 말단에 반원기둥을 덧붙인 것과 같은 형상이 된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의 형상은 본 고안의 요지 내에서도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형태를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frame 8 is flat on its rear surface, and its front surface is shaped like a semi-circle cylinder attached to its lower end. However, since the shape of the fram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8) 배면의 상측 일단에 클립체결부(7)가 강제 압입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되고, 배면 하단 대략의 위치에 쿠션패드(9)와 양면테이프(10)가 부착된다. 쿠션패드(9)는 차량의 주행 중에 컵홀더의 요동을 완화하는 동시에 커버패널(31) 면에 밀착된 프레임(8)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질 실리콘고무재의 박막으로 한다. 양면테이프(10)는 프레임(8)의 견고한 부착을 보조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a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8 so that the clip fastening portion 7 can be forcibly pushed in, and the cushion pad 9 and the double-sided tape 10 are positioned at approximately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Attached. The cushion pad 9 is designed to reduce the shaking of the cup hold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to prevent the sliding of the frame 8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panel 31 surface. The cushion pad 9 is made of a thin film of soft silicone rubber. The double-sided tape 10 assists in firmly attaching the frame 8.

상기 프레임(8)의 전면에는 상측 대략의 위치에 수납함(20)을 지지할 수 있는 수납함체결핀(21)의 일단이 매설되고, 하측 말단부에 형성된 반원기둥 모양의 내부에는 수평회동축(26)이 견고하게 삽입된다. 수평회동축(26)은 적당한 크기의 금속재 축으로서, 상측 일부는 상기 프레임(8)의 전면 하부에 매입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는데 그 노출된 하측의 말단에 고정핀(36)이 체결될 수 있는 요홈을 형성한다.One end of the storage box fastening pin 21 that can support the storage box 20 at the upper side of the frame 8 is embedded, and a horizontal cylindrical shaft 26 is formed in the semi-cylindrical shape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This is firmly inserted. The horizontal pivot 26 is an appropriately sized metal shaft, and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8 and the remaining part is exposed, and the fixing pin 36 may be fastened to the exposed lower end thereof. To form a groove.

고정핀(36)은 축 빠짐 방지를 위한 스냅링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fixing pin 36 may apply a snap ring or the like for preventing the shaft from coming off.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회동축(26)을 통하여 회동부하우징(25)이프레임(8)과 조립된다.As shown in FIG. 3,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is assembled with the frame 8 through the horizontal rotating shaft 26.

회동부하우징(25)은 금속재 또는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며, 일측에는 상기 수평회동축(26)의 노출부가 수직하방으로 삽입 관통될 수 있는 구멍(미설명부호; 42 )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컵홀더대(1) 지지간(22)의 폭에 가까운 두께로 세로 방향으로 부분 연장된 돌출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지지간(22)의 말단부를 수용 할 수 있는 구멍(미설명부호; 40 ) 및 컵홀더대(1)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턱받침(24)이 형성된다.The rotating part housing 25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or a rigid material, and on one side, a hole (not shown) 42 is formed through which an exposed portion of the horizontal rotating shaft 26 can be inserted vertically downward. On the opposite side, a hole for accommodating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rod 22 while forming a protrusion extending par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thickness close to the width of the support holder 22 of the cup holder stand (not shown) 40. And the support base 24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cup holder stand (1) is formed.

도4에 회동부하우징(25)을 중심으로 한 회동부의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일예에 불과하며, 회동부하우징(25)과 같은 매개물에 의하여 컵홀더대(1)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회동케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part centering on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is shown in FIG. 4,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up holder base 1 is moved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by the same medium as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As shown in FIG. Rotating configuration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도5에 회동부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tional housing.

컵홀더대(1)는 용접으로 연결된 금속선 또는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스푼 형상으로 제작하되, 통상의 종이컵과 음료수 캔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부, 및 대략 2cm 가량의 폭으로 일방향으로 직선 연장되고 그 말단이 절곡되어 회동부하우징(25)의 구멍(40)에 삽입되어지는 지지간(22), 및 종이컵 등의 밑부분을 받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와 대략의 간격을 두고 보강대(2)로 연결 구성된 받침대(3) 등으로 일체 형성한다.The cup holder stand 1 is manufactured in a spoon shape using a metal wire connected by welding or an injection-molded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n upper portion formed in a round or square shape having a size that can accommodate a conventional paper cup and a beverage can, and about 2 cm. It extends in one direction with a width of about one end and is bent so as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rod 22 inserted into the hole 40 of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and the bottom of the paper cup.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edestal (3), etc., which are connected by reinforcement (2) at intervals of.

상기 지지간(22)의 길이는 10cm내외가 적당하다.The length of the support section 22 is preferably about 10cm.

받침대(3)에는 종이컵 등의 하단부가 안정되게 걸쳐질 수 있는 원형 요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rm a circular groove in the pedestal 3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aper cup or the like can be stably hung.

도2에 나타난 컵홀더대(1)는 상부 말단에 개방부(미설명부호; 43 )가 형성되고, 지지간(22)이 좌우 2가닥인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다. 즉, 컵홀더대(1)의 형상은 종이컵 등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부분과 회동부하우징(25)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 지지간(22) 부분이 복합 구성된 것이라면 미적 효과를 위하여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 설계될 수 있는 것이다.The cup holder 1 shown in FIG. 2 has an open portion (not shown) 43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support holder 22 has two left and right strand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at is, the shape of the cup holder stand (1) is deformed in any form for the aesthetic effect if the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per cup, etc. and the portion of the support rod 22 that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It can be designed.

부호 28 및 29는 회전 습동면에 사용되는 통상의 와셔와 라이너이며, 미설명부호 41은 스프링, 그리고 부호 27은 지지간(22)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홀더이다. 홀더는 합성수지제의 튜브 또는 금속판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 상기 홀더(27)는 컵홀더대(1)의 재질이나 형상 등에 따라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Reference numerals 28 and 29 denote conventional washers and liners used for the rotating sliding surface, reference numeral 41 denotes a spring, and reference numeral 27 denotes a holder for preventing a gap between the support rods 22. The holder can be made of a tube or metal plate made of synthetic resin. In addition, the holder 27 may not be appli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cup holder 1.

부호 20은 수납함이며, 전술한 컵홀더대(1)의 상부(종이컵 등의 외주면을 수용 내지는 홀드하는 부분) 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직사각형 내지는 원형의 간이 수납함이다. 상기 수납함(20)은 상측을 개방하고, 배면 일단에는 프레임(8)에 압입되어 있는 수납함체결핀(21)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고, 재질은 합성수지제로 함이 바람직하다.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storage box, which is a rectangular or circular simple storage box of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an upper portion (a portion that accommodates or hold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uch as a paper cup) of the cup holder stand 1 described above. The holder 20 is open to the upper side, one end of the back to form a through-hole into which the holder fastening pin 21 is pressed into the frame 8, the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상기 통공에 수납함체결핀(21)이 삽입되도록 하여 수납함(20)을 프레임(8)에 밀착 설치한다. 따라서, 수납함체결핀(21)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함(20)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수납함체결핀(21)의 머리를 크게하고 상기 통공의 형상도 호리병 모양으로 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함은 당연한 일이다.The storage box fastening pin 2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torage box 2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8.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or more storage fastening pins 21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head of the holder fastening pin 21 is enlarged so that the holder 20 can be installed stably, and the through hole is also shaped like a bottle.

수납함(20)의 두께는 2㎝내지 3cm 범위가 적당하다. 따라서, 전술한 컵홀더대(1)의 상부측과 받침대(3)와의 간격은 적어도 2cm이상이 되어야 한다.The thickness of the holder 20 is in the range of 2 cm to 3 cm.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cup holder stand 1 and the pedestal 3 should be at least 2 cm.

또한, 도2 및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납함(20)의 전면 하단부 일점에 받침대(3)의 하단부을 지지할 수 있는 로크(5)를 부착한다. 로크(5)는 금속재의 탄성편을 매입 사출 등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부분 노출되게 부착한 것으로, 컵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컵홀더대(1) 전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lso, as shown in FIGS. 2 and 3, a lock 5 capable of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3 is attached to one point of the front lower end of the storage box 20. The lock 5 is partially attached to the elastic piece of the metal material by using a known method such as embedded injection, so that the entire cup holder stand 1 can be kept vertically when the cup holder is not used. It plays a role.

상기 로크(5)는 그 부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The lock 5 may differ in its attachment position.

도5에서의 부호 34는 회동부하우징(25)의 저면에 나사결합으로 부설되는 걸고리이며, 쓰레기봉지용의 걸고리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 'z'는 걸림돌기로서 지지간(22)을 로크하기 위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34 in Fig. 5 is a hook which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by screwing, and is used as a hook for garbage bag.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z" which is not described is for locking the support body 22 as a locking protrusion.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본 고안의 컵홀더는 먼저 클립(4)과 프레임(8)이 클립체결부(7)로서 결합되고 이어 회동부하우징(25)의 구멍(42)이 프레임(8)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수평회동축(26)에 외삽됨으로써 회동부하우징(25)이 체결되고, 이어 컵홀더대(1) 지지간(22)의 말단부가 회동부하우징(25)의 구멍(40)에 삽입됨으로서 조립 완성된다. 그리고, 수납함(20)을 조립 부설한다.In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4 and the frame 8 are first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clip fastening portion 7, and then the hole 42 of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is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8.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is fastened by being extrapolated to the rotating shaft 26, and then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holder 22 of the cup holder stand 1 is inserted into the hole 40 of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thereby completing the assembly. . Then, the storage box 20 is assembled and laid.

그리고, 클립(4)을 자동차의 커버패널(31) 상단(b부분)에 씌워 컵홀더를 차량에 설치한다. 클립의 미늘부(6)가 커버패널(31) 내벽을 압박하여 고정되게 되며, 쿠션패드(9) 등에 의하여 미끄럼이 방지된다.Then, the clip 4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b portion) of the cover panel 31 of the vehicle to install the cup holder in the vehicle. The barb 6 of the clip is fixed by pressing the inner wall of the cover panel 31, the slip is prevented by the cushion pad (9).

컵홀더를 사용하기 전에는 받침대(3)의 일단이 로크(5)에 걸려 컵홀더대(1)가 세워진 상태가 된다.Before using the cup holder, one end of the pedestal 3 is locked to the lock 5, and the cup holder stand 1 is in an upright position.

그리고, 수납함(20)의 외주면은 컵홀더대(1)의 상측 일단과 보강대(2) 받침대(3) 등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가 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box 20 has a form in which an upper end of the cup holder stand 1 and the reinforcement stand 2, the pedestal 3, and the like are surrounded.

수납함(20) 내에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메모지 필기구 등을 넣어둘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의 경우 컵홀더대(1)의 상측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메모지 등을 넣고 뺄 수 있다.In the storage box 20 can be put a note paper writing instruments for passengers in the back sea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stand 1 is open, it can be easily put in and out.

그리고 컵홀더를 사용하는 경우, 컵홀더대(1)를 당겨 로크(5)가 풀리게 하여 수평상태로 눕힌다. 이때 턱받침(24)에 의하여 컵홀더대(1)는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 음료수캔 등을 받침대(30)에 재치한 뒤, 컵홀더대(1)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 수평회동축(26)에 의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41)에 의하여 적당한 압력과 완충작용이 있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a cup holder, the cup holder stand 1 is pulled out so that the lock 5 is released and then lies down in a horizontal state. At this time, the cup holder stand 1 is kept horizontal by the bib support 24. Subsequently, after placing the beverage can or the like on the pedestal 30, the cup holder stand 1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adjust the desired angle by the horizontal pivot 26. In addition, the spring 41 has a moderate pressure and buffer action.

그리고 필요한 경우 걸고리(34)에 쓰레기봉지 등을 걸어둘 수 있다.And if necessary, you can hang the garbage bags and the like on the hook (34).

또한, 수납함(20)의 전면에 광고인쇄를 한 광고면(33)을 둘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surface 33 which ad printed on the front of the holder 20 may be placed.

여러 차종의 자동차 실내에 임의 탈착이 가능한 컵홀더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한 자동차 문화에 기여한다. 도어트림에 걸어 설치되는 종래의 컵홀더와 비교하여 본 고안은 두께 1㎜내외의 금속판체로 된 클립을 사용하여 안전벨트를 인출함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안전벨트 인출구가 있는 커버패널에 부착 설치되므로 공간활용의 이점이 있으며, 창문을 오르내리기에 방해를 받지 않으며, 특히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앞좌석 시트가 젖혀지더라도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By providing a cup holder that can be detached in various vehicle interiors, it contributes to a more convenient car cultu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up holder installed by hanging on the door trim,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lip of metal plate of about 1mm in thickness, so it is attached to the cover panel with the seatbelt outlet without any problem in pulling out the seatbelt. There is an advantage of space utilization, it is not obstructed to move up and down the window, and in particular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front seat is flipped.

또한 컵홀더 하단에 걸고리(34)를 부설하였을 경우, 뒷좌석 승객이 방해를 적게 받는 공간에 쓰레기봉지 등을 걸어둘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ok 3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up hold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ar seat passengers can hang garbage bags and the like in a space that is less disturbed.

Claims (3)

자동차 실내에 사용되는 컵홀더로서 컵 등을 재치하는 부분과 컵홀더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두께 1㎜ 이내인 금속 탄성체로 제작되고 그 말단부에 미늘부(6)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4), 및 상기 클립의 지지체인 프레임(8)에 체결되어 컵홀더대(1)의 수직/수평 운동을 가능케하는 회동부하우징(25), 및 상기 회동부하우징에 일단이 체결된 컵홀더대(1)로 구성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3점식 안전벨트 인출구가 있는 커버패널(31) 상단에 상기 클립을 끼움함으로써 커버패널(31) 외측면에 설치되는 특징이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A cup holder for use in an automobile interior, comprising a portion for placing a cup or the like and a clip for fixing the cup holder; The clip 4 is made of a metal elastic body having a thickness of 1 mm and has a barb portion 6 formed at its distal end, and is fastened to the frame 8 as a support body of the clip, thereby vertically / horizontally of the cup holder stand 1. Rotating part housing 25 for enabling movement, and a cup holder stand (1) having one end fastened to the rotating part housing, the clip on the top of the cover panel 31 having a three-point seat belt outlet of the vehicle Cup hold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anel 31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8)의 일면에 간이 수납함(20)을 부설하는 동시에 상기 수납함의 임의 위치에 컵홀더대(1)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5)가 부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The method of claim 1; A cup holder for automobiles having a lock (5)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rame (8) and attached with a lock (5) for maintain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up holder stand (1) at any position of the hold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동부하우징(25)의 하측에 걸고리(34)가 부설되어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cup holder for automobiles in which the hook 34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art housing 25.
KR2020020001407U 2002-01-14 2002-01-14 Cup-holder for motors KR2002726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07U KR200272662Y1 (en) 2002-01-14 2002-01-14 Cup-holder for mo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07U KR200272662Y1 (en) 2002-01-14 2002-01-14 Cup-holder for mo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662Y1 true KR200272662Y1 (en) 2002-04-18

Family

ID=7311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407U KR200272662Y1 (en) 2002-01-14 2002-01-14 Cup-holder for mot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66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258B2 (en) Multi-functional fastener system
US5678741A (en) Backseat butler drink holder
US20050051584A1 (en) Collapsible container holder
GB2418403A (en) Supporting articles in vehicles
US7036700B2 (en) Multi-purpose holder installed in a vehicle
EP206278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uggage restraints
KR200272662Y1 (en) Cup-holder for motors
US4723748A (en) Article holder
KR200202514Y1 (en) Console-box for a car
KR19980054285A (en) Passenger cup holders for large vans
KR200256608Y1 (en) Clothes rack
KR100259958B1 (en) Cup holder assembly
KR200293779Y1 (en) Cup-holder for rear seat armrest of a car
KR19990003330U (en) Car Cup Holder Mounting Structure
KR0140658Y1 (en) Cup holder for retaining various-sized cup
KR0114412Y1 (en) Cup holder for a car
KR200236280Y1 (en) A receiving pocket for miscellaneous goods in a car
KR200247551Y1 (en) Toilet paper holder for cars
KR200276607Y1 (en) Cup holder of cars passenger
KR0132529Y1 (en) Cup holder for vehicles
JP3081861U (en) Car storage case
JP3062958U (en) Cup holder and table using car headrest
KR19980016743A (en) Car rear seat armrests with cup holder
KR0139607Y1 (en) Cup holder for a car
KR20220001193U (en) Cup holder installed on ca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