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654Y1 - Tent - Google Patents

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654Y1
KR200272654Y1 KR2020020000998U KR20020000998U KR200272654Y1 KR 200272654 Y1 KR200272654 Y1 KR 200272654Y1 KR 2020020000998 U KR2020020000998 U KR 2020020000998U KR 20020000998 U KR20020000998 U KR 20020000998U KR 200272654 Y1 KR200272654 Y1 KR 200272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ttom member
tent
members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9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정기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안정기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기, 김성현 filed Critical 안정기
Priority to KR2020020000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6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654Y1/en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텐트는 공기주입구로 주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팽창되어 펼쳐지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와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천정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유지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부, 두 개의 기둥부재, 모서리부재 사이를 밀폐함과 더불어 다수의 모서리부재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측벽과 천정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천으로 이루어진다.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 member that is expanded and expanded due to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let;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each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dges of the bottom member, each of which is erected while maintaining a mutual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bottom member due to the injection of air; A plurality of corner members each communicative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to maintain corner portions of the ceiling shape due to the injection of air; And it is made of a plurality of fabrics formed of the side wall and the ceiling wall by sealing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bottom member, two pillar members, the corner member and a plurality of edge members.

따라서 본 고안은 골조와 깔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전체적으로 일체화하여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작업만으로 일정한 주거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하거나 형성된 주거 공간을 철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층을 보유한 바닥부재를 바닥에 배치할 수 있어 바닥을 용이하게 보온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골조가 필요없어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서 휴대성과 운반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ormed or demolished the formed residential space only by the operation of integrating or discharging air by integrally as a whole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the frame and the rug, so that the floor member having the air layer is installed on the floor. Because it can be arranged, the floor can be easily kept warm,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ramework,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portability.

Description

텐트{TENT}Tent {TENT}

본 고안은 야외에서 거주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일체화함으로써 간단한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형성되면서 보온성과 휴대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that can be residing in the open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t that can be easily integrated by the whole as a simple operation and easily improve the warmth and portability.

텐트는 유목민에게 일상적인 주거용으로 사용되거나, 군사, 탐험, 야영 등에는 일시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신속하게 설치함과 더불어 철거할 수 있는 구조이다.Tents are used for daily living for nomads, or form temporary living spaces for military, exploration, camping, etc., and thus can be quickly installed and dismantled.

예컨대 종래의 텐트는 지면 위에서 일정한 공간을 감싸게 되는 천막, 상기 천막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골조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conventional tent is made of a tent to surround a certain space on the ground, the fram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ent.

상기 골조는 상기 천막의 펼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와 탄력적인 재질로 구성되는 바, 상기 천막의 각각의 요소를 지지하는 골조를 분리 구성하거나 각각의 골조를 상호 힌지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frame is composed of a structure and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easily maintain the unfolded state of the tent bar, can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frame supporting each element of the tent or to combine the respective frameworks can be configured integrally. have.

여기서 상기 골조를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은 천막과 함께 일체화되어 골조를 펼치는 동작만으로 텐트를 설치할 수 있으며, 골조를 접는 동작만으로 텐트를 철거할 수 있어 신속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rame is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tent so that the tent can be installed only by unfolding the frame, and the tent can be demolished only by folding the frame, thereby quickly installing or removing the frame.

그러나 종래에는 천막과 골조의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골조의 무게를 아무리 가볍게 한다고 하더라도 골조의 무게로 인하여 전체적인 무게가 증대하게 되고, 골조가 탄력성이 있어 잘 휘어지지만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작은 크기로 줄여서 운반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tent and the frame is conventionally, even if the weight of the frame is light, the overall weight increases due to the weight of the frame, and the frame is elastic, so it flexes well, but it is conveniently stored or reduced to a small size.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difficult to do.

또한 종래에는 텐트 내부 바닥에 깔개를 별도로 깔기 때문에, 깔개의 무게와 부피가 가중될 뿐만 아니라 별도로 마련된 깔개의 보온성이나 탄력성이 떨어져서 일시적인 주거를 편리하게 할 수 없으며, 별도로 마련된 깔개의 넓이가 텐트의 내부 바닥의 넓이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깔개를 겹쳐서 깔게 되어 일시적으로 주거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ug is separately laid on the floor of the tent, the weight and the volume of the rug are not only increased, but also the warmth or elasticity of the separately provided rug is not convenient, so that temporary housing is not convenient. Since it is not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lo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temporarily live by overlapping the ru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골조와 깔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전체적으로 일체화함으로써, 간단한 동작만으로 일정한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바닥의 보온성을 향상하면서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서 휴대성과 운반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the whole without the need to provide a skeleton and a rug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constant space with a simple operation, the floor It is to provide a tent that can easily improve the portability and portability 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while improving the warmth of the.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주입구로 주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팽창되어 펼쳐지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와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천정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유지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부, 두 개의 기둥부재, 모서리부재 사이를 밀폐함과 더불어 다수의 모서리부재 사이를 밀폐하여 측벽과 천정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천으로 이루어지는 텐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member which is expanded and expanded due to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let;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each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dges of the bottom member, each of which is erected while maintaining a mutual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bottom member due to the injection of air; A plurality of corner members each communicative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to maintain corner portions of the ceiling shape due to the injection of air; In addition, the edge of the bottom member, the two pillar members, and the sealing between the edge member and a plurality of the edge member to provide a ten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loth formed of side walls and ceiling wall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텐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4는 도 1의 C - C선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텐트 1a : 공기주입기1: tent 1a: air injector

11 : 바닥부재 11a : 표피부11: bottom member 11a: skin part

11b : 중간막 11c,12b, 13b : 격막11b: Interlayer 11c, 12b, 13b: Diaphragm

11d,12c,13c : 통기구 12 : 기둥부재11d, 12c, 13c: vent 12: pillar member

12a,13a : 외피부 13 : 모서리부재12a, 13a: outer skin 13: edge member

14 : 천14: Cloth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텐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텐트(1)는 공기를 주입하면 주거용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닥에 위치하는 바닥부재(11), 텐트의 기둥 역할을 하는 다수의 기둥부재(12), 상부에 위치한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13), 그리고 주거용 공간의 외형이 되는 측벽, 천정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천(14)으로 이루어진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pace for residential use when injecting air, the floor member 11 located on the floor, the role of the pillar of the ten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12, a plurality of corner members 13 to form a corner portion of the shape located at the top, and a plurality of fabrics (14) formed of side walls, ceiling walls that are the appearance of the residential space. .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11)는 공기가 출입하는 공기주입구(1a)를 보유하고 있어 상기 공기주입구(1a)로 주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팽창되어 넓은 면적으로 펼쳐지게 된다.Here, the bottom member 11 has an air inlet 1a through which air enters and expands due to air injected into the air inlet 1a, thereby expanding a large area.

더우기 상기 바닥부재(11)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위치하는 표피부(11a), 상기 표피부(11a)의 중앙부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중간막(11b), 상기 표피부(11a)와 중간막(11b)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막(11c)으로 이루어진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ttom member 11 includes an outer skin portion 11a positioned outside, an intermediate film 11b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t the center of the skin portion 11a, and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diaphragms 11c formed between the epidermis 11a and the intermediate film 11b.

그리고 상기 중간막(11b)과 격막(11c)에 다수의 통기구(11d)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표피부(11a)와 중간막(11b) 사이의 공간을 다수개로 분할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s 11d are formed in the interlayer 11b and the diaphragm 11c to allow air to flow throughout, and the space between the epidermis 11a and the interlayer 11b is divided into a plurality. .

물론 상기 중간막(11b)은 표피부(11a)의 넓은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바, 바닥부재(11)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공기층을 상하로 형성하게 되며, 다수의 중간막(11b)을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the interlayer film 11b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wide plane of the epidermal portion 11a. The air layer is formed up and down while air is injected into the bottom member 11, and a plurality of interlayer films 11b are installed. It can be obvious.

상기 기둥부재(1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재(11)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상기 바닥부재(11)의 가장자리에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세워지며, 긴 길이를 보유한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피부(12a)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다수의 격막(12b)을횡방향으로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다수로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격막(12b)에 다수의 통기구(12c)를 형성하게 된다.1 and 3, the pillar members 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edges of the bottom member 11 to maintain the mutual spacing at the edges of the bottom member 11 due to the injection of air. A plurality of diaphragms 12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shell portion 12a, which are erected and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long length,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ner spaces, and the diaphragm 12b A plurality of vents (12c) are formed in the.

상기 모서리부재(13)는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12)의 상부와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천정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유지하게 되며, 상기 기둥부재(12)와 같이 긴 길이를 보유한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피부(13a)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다수의 격막(13b)을 횡방향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격막(13b)에 다수의 통기구(13c)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corner member 1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12 so as to maintain corner portions of the ceiling shape due to the injection of air, respectively. A plurality of diaphragms 13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formed inside the outer skin portion 13a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long length as shown in (12), and a plurality of vents 13c are provided in the diaphragm 13b. ) To form a structure.

상기 천(14)은 상기 바닥부재(11)의 가장자리부, 두 개의 기둥부재(12), 모서리부재(13)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밀폐함과 더불어 다수의 모서리부재(13) 사이를 밀폐하여 본 고안의 텐트의 측벽과 천정벽의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천(14)에 출입문과 창문 등을 형성할 수 있다.The cloth 14 seals the edge portion of the bottom member 11, the two pillar members 12, the edge surrounded by the edge member 13, and also seals between the plurality of edge members 13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serve as the side wall and ceiling wall of the tent, it can form the door and window, etc. in the cloth (14).

물론 상기 바닥부재(11), 기둥부재(12), 모서리부재(13)는 공기를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는 유연한 합성수지, 고무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 부착 결합되는 경계 부분은 완전히 밀봉 처리되면서 각각의 구성 요소가 상호 연통하게 되는 구조이며, 얇은 합성수지박판이나 고무박판을 다수개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the bottom member 11, the pillar member 12, the edge member 13 may be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a rubber material that can easily seal the air, each boundary portion is attached and bonded completely sealed It is obvious that each component is a structure in which each other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hin synthetic resin sheets or rubber sheets can be laminated.

또한 상기 천(14)은 통기성과 보온성 등을 고려함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텐트에 사용하는 것이면 충분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th 14 considers breathability, heat retention, and the like, and it is sufficient to use it for a normal tent.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텐트(1)는 공기주입기(1a)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주거 공간이 형성되어 거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공기주입기(1a)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면 텐트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is way is a state in which a living space is formed when the air is injected through the air injector (1a) to be inhabited,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injector (1a) to roll the tent It will be in a possible state.

즉 펌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공기주입기(1a)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게 되면 바닥부재(11)에 공기가 유입됨과 더불어 통기구(11d)를 통하여 각각의 분할 공간으로 전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바닥부재(11)와 연통하는 기둥부재(12)와 모서리부재(13)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전체적으로 펼쳐지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air is blown through the air injector 1a by using a pump (not shown), the air flows into the bottom member 11 and the air flows into each divided space through the vent 11d. As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pillar member 12 and the corner member 13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member 11, the whole is unfolded.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공기층으로 폭신하게 부풀어오른 바닥부재(11) 위에서 안락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user is able to live comfortably on the floor member 11 which swells in the air layer.

물론 텐트 내에서 버너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바닥부재(11)가 완전히 편편하지 않기 때문에 불편할 수 있으나, 바닥부재(11)를 제작할 때에 버너를 배치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when using a burner or the like in the tent, it may be inconvenient because the bottom member 11 is not completely flat, but may also form a portion in which the burner may be disposed when the bottom member 11 is manufactured.

한편 공기를 완전히 주입한 상태에서 텐트를 철거하고자 할 때에는 공기주입구(1a)를 개방하여 바닥부재(11), 기둥부재(12), 모서리부재(13)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텐트 전체가 납작하게 되어 작은 부피로 쉽게 말거나 접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nt is to be removed while the air is completely injected, the air inlet 1a is opened to discharge the air in the bottom member 11, the pillar member 12, and the corner member 13 to the outside. It can be easily rolled up or folded in a small volume.

물론 상기 바닥부재(11), 기둥부재(12), 모서리부재(13) 내의 공기를 공기주입기(1a)에 연결되는 공기배출용 펌프(미도시) 등으로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the air in the bottom member 11, the pillar member 12, the edge member 13 can be easily and quickly discharged by an air discharge pump (not shown) connected to the air injector 1a. Self-explanatory

다른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텐트를 제작할 경우, 바닥부재(11)의 가장자리 둘레의 내부에 형성된 통기구를 다른 통기구보다 많이 형성하거나 크게 형성함과 더불어 기둥부재(12)와 모서리부재(13)에 형성된 통기구(12c,13c)를 많이 형성하거나크게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manufacturing th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edge of the bottom member 11 or formed more than the other vents, and also formed in the pillar member 12 and the corner member 13 12c and 13c can be formed in large or large sizes.

그러면 상기 텐트(1)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바닥부재(11)의 둘레면과 기둥부재(12), 모서리부재(13)가 우선적으로 부풀게 되며,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기둥부재(12)와 모서리부재(13)의 공기가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바, 텐트(1)의 설치와 철거를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tent 1,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1 and the pillar member 12 and the corner member 13 are preferentially inflated,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e pillar member 12 and the corner Since the air of the member 13 is discharged preferentially,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tent 1 can be made easier.

더우기 모서리부재(13)는 접힐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접히는 부분을 원활하게 접기 위하여 끈(16)을 사용하여 접히는 부분의 안쪽이 더이상 벌려지지 않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edge member 13 is a collapsible structure, the inner side of the folded portion may not be opened anymore using the string 16 to fold the folding portion smoothly.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텐트(1)는 공기의 주입하는 작업만으로 텐트를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기를 배출하는 작업만으로 텐트를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t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stall the tent only by injecting air, and the tent can be easily dismantled only by discharging the ai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텐트는 골조와 깔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전체적으로 일체화하여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작업만으로 일정한 주거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하거나 형성된 주거 공간을 철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층을 보유한 바닥부재를 바닥에 배치할 수 있어 바닥을 용이하게 보온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골조가 필요없어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서 휴대성과 운반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ormed or demolished the formed residential space only by the operation of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air by integrating the whole body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the frame and the rug, the air layer It can be placed on the floor having a floor member having an easy to keep the floor easy,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kelet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improve the portability and portability 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Claims (3)

공기주입구(1a)로 주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팽창되어 펼쳐지는 바닥부재(11);A bottom member 11 expanded and expanded due to air injected into the air inlet 1a; 상기 바닥부재(11)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상기 바닥부재(11)의 가장자리에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부재(12);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12 which ar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dges of the bottom member 11 and are respectively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a mutual gap at the edges of the bottom member 11 due to the injection of air; 상기 기둥부재(12)의 상부와 각각 연통 결합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인하여 천정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유지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13);A plurality of edge members 13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s of the pillar members 12 to respectively maintain the corner portions of the ceiling shape due to the injection of air;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11)의 가장자리부, 두 개의 기둥부재(12), 모서리부재(13) 사이를 밀폐함과 더불어 다수의 모서리부재(13) 사이를 밀폐하여 측벽과 천정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천(14)으로 이루어지는 텐트.A plurality of sidewalls and ceiling walls are formed by sealing the edges of the bottom member 11, the two pillar members 12, and the edge members 13, and sealing the edge members 13. Tents made of cloth (1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닥부재(11)는 외부에 위치하는 표피부(11a)의 중앙부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중간막(11b)이 형성되고, 상기 표피부(11a)와 중간막(11b) 사이에 다수의 격막(11c)을 설치하며, 상기 격막(11c)과 중간막(11b)에 다수의 통기구(11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The bottom member 11 is formed with an intermediate film 11b parallel to the groun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kin portion 11a positioned outside,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11c between the skin portion 11a and the intermediate film 11b. And a plurality of vents (11d) are formed in the diaphragm (11c) and the intermediate film (11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둥부재(12)와 모서리부재(13)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외피부(12a,13a)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다수의 격막(12b,13b)을 횡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격막(12b,13b)에 다수의 통기구(12c,13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The pillar member 12 and the edge member 13 form a plurality of diaphragms 12b and 13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skin portions 12a and 13a formed in a rod shape, and the diaphragm 12b , 13b) a plurality of vents (12c, 13c) to form a tent.
KR2020020000998U 2002-01-12 2002-01-12 Tent KR2002726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98U KR200272654Y1 (en) 2002-01-12 2002-01-12 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98U KR200272654Y1 (en) 2002-01-12 2002-01-12 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654Y1 true KR200272654Y1 (en) 2002-04-20

Family

ID=7311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998U KR200272654Y1 (en) 2002-01-12 2002-01-12 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65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533B2 (en) Temporary outdoor shelter
US5007212A (en) Inflatable shelter
US3629875A (en) Portable inflatable enclosure for personal use
US9376860B2 (en) Double pleat cellular shade element
US4585020A (en) Self-contained tent
US5636478A (en) Inflatable tent structure
KR20180056660A (en) Air frame inflatable protector
US11346123B2 (en) Rooftop tent for vehicle
RU2602855C1 (en) Tent module system
US1650323A (en) Foldable and rollable tent
US3055379A (en) Inflatable tent structure
KR102334479B1 (en) Extendable roof-top tent
KR200272654Y1 (en) Tent
KR101495568B1 (en) Tent
US11840857B1 (en) Popup camper
KR100926452B1 (en) Structure of awning curtain for tent
US2785695A (en) Portable sun bath enclosure
KR20140112763A (en) Assembled bubble house
KR101378025B1 (en) Easy setting tarp shell
KR20130004378U (en) tent
US2999507A (en) Collapsible shelter using bellows-like sections
US20050072538A1 (en) Portable screen wall section
CN206071214U (en) A kind of Aerated safety tent
JPH11152939A (en) Air tube tent
KR200242655Y1 (en) Air depleting device for of mold for the use of footwear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