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318Y1 -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 Google Patents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318Y1
KR200272318Y1 KR2019990009469U KR19990009469U KR200272318Y1 KR 200272318 Y1 KR200272318 Y1 KR 200272318Y1 KR 2019990009469 U KR2019990009469 U KR 2019990009469U KR 19990009469 U KR19990009469 U KR 19990009469U KR 200272318 Y1 KR200272318 Y1 KR 200272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pie
rack
magpies
building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233U (ko
Inventor
이정관
Original Assignee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2019990009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318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에 관한것으로 특히, 조립식앵글을 이용하여 후방에 래크취부용 구멍을 형성한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만들고 이를 전신주에 고정설치되는 랙크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암타이볼트에 결합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전신주의 선로고장의 위험이 없는 적당한 높이에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고정설치하여 까치가 까치집축조용 선반상면에만 까치집을 짓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써 까치집으로 인한 단전등과 같은 선로고장의 피해를 최소화함은 물론 기존의 까치집축조 예방과 철거에 따른 인력 및 예산절감의 효과와 전통적으로 길조라고 인식되어 있는 까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친근감의 확산효과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동시에 창출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for a magpie house structure shelf possible estabilishment on the telegraph pole}
본 고안은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에 관한것으로 특히, 조립식앵글을 이용하여 후방에 래크취부용 구멍을 형성한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만들고 이를 전신주에 고정설치되는 랙크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암타이볼트에 결합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전신주의 선로고장의 위험이 없는 적당한 높이에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고정설치하여 까치가 까치집축조용 선반상면에만 까치집을 짓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써 까치집으로 인한 단전등과 같은 선로고장의 피해를 최소화함은 물론 기존의 까치집축조 예방과 철거에 따른 인력 및 예산절감의 효과와 전통적으로 길조라고 인식되어 있는 까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친근감의 확산효과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동시에 창출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산업현장 및 가정등에 정격주파수와 규정전압을 착오없이 일정하게 송신 또는 송전하거나 국민들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서 선로의 증,개설 또는 보수를 시행하며, 정전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양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무고장 확보에는 한계성이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전신주에 까치가 까치집을 짓거나 나뭇가지가 근접하여 선로에 고장이 생기거나 차량이 충돌하여 전신주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면서 선로에 고장이 생기는 등의 여러가지 원인이 있는데 이중 나무의 경우와 차량충돌의 경우에는 나뭇가지가 근접하지 못하도록 제때에 가지치기를 하여주거나 안전운전을 하는 등의 노력정도에 따라 근절가능하다고 보지만 까치집으로 인한 고장은 예방에 한계가 있는데 그 이유는 조류고장 방지를 위해 전신주에 완금텐트나 바람개비를 설치하여도 까치의 뛰어난 생존대처능력에 의해 큰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조류고장 예방절연호스의 경우에는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절연내력이 저하되어서 고장발생의 가능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현재 조류고장 방지에 가장 효과가 뛰어난 시공방법으로 점퍼선의 하향원회시공을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신설장주에는 문제가 없으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설장주에는 활선작업이 반드시 수반되고 차량출입이 가능한 장소에만 적용가능하여 예산이 불필요하게 과다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데 참고로 하기 표1과 표2와 같이 한국전력공사에서 집계한 까치집으로 인한 전국 고장점유율 및 북부산지점의 고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표1(한국전력공사에서 집계한 까치집으로 인한 전국 고장점유율)
구 분 94 95 96 97 98 평 균
전체고장 3,401 2,869 2,906 2,233 2,642 2,810
까치고장 379 381 374 292 139 313
점유율(%) 11 13 12 13 5 11
표2(한국전력 북부산지점의 고장 점유율)
구 분 97 98 99(2월말현재)
점 유 율(%) 20.8 19.8 24.0
그 피해의 심각성을 알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점퍼선`의 하향원회시공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국전력공사 북부산지점의 경우만 가정해도 기설장주인 986개소의 점퍼선 하향원회시공시 약500,000원(1개소당)×986(전체개소)=약493,000,000원의 예산이 들며, 이를 전국적으로 산출하면 어마어마한 예산이 소요되는 것을 알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의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마땅한 해결책을 강구하지 못한채 현재까지도 까치집의 축조여부를 많은 인력과 비용을 낭비하면서 전신주를 일일히 확인하면서 감시 제거하여야만 하였는데 특히 까치의 주 활동시기인 매년1~ 4월에는 배전운영실 직원까지도 동원되어 일반고장 예방업무수행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까치집을 제거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일시적인 방편일 뿐 인근 전신주에 계속 축조가 진행되며, 까치 암,수한쌍에 의해 매년 5~6월에 7~8마리의 새끼가 부화하는등 마땅한 천적이 없는 관계로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정에서 단순히 그때그때 축조된 까치집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마땅한 해결책이 될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지금까지의 까치집축조방지및 제거 방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조립식앵글을 이용하여 후방에 래크취부용 구멍을 형성한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만들고 이를 전신주에 고정설치되는 랙크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암타이볼트에 결합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전신주의 선로고장의 위험이 없는 적당한 높이에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고정설치하여 까치가 까치집축조용 선반상면에만 까치집을 짓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써, 까치집으로 인한 단전등과 같은 선로고장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며, 기존의 까치집축조 예방과 철거에 따른 인력 및 예산을 절감토록함과 더불어 전통적으로 길조라고 인식되어 있는 까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친근감을 확산토록하는등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전신주의 소정위치에 까치집의 축조를 허용하면서도 선로고장을 예방하는 신개념을 실시하여 국민들에게 좀더 양질의 전력을 제공하는등 국민전체의 편리를 도모하고 국익의 선양에 일익을 담당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을 전신주에 설치한 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을 전신주에 설치한 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까치집축조용 선반 10a:평형앵글
10b:'??'형앵글 10a',10b':구멍
11:래크취부용구멍 20:랙크밴드
21:암타이볼트 22:너트
100:전신주 200:까치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신주의 선로고장 위험이 없는 적당한 높이에 본 고안의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고정설치하여 까치가 까치집축조용 선반상면에만 까치집을 짓도록 유도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면에 나뭇가지, 철사, 전화선 등을 꽂을 수 있는 원형 및 타원형 등의 구멍(10a')(10b')이 형성된 평형앵글(10a) 또는 'ㄱ'형앵글(10b)을 볼트(12)조립하여 후방에 래크취부용 구멍(11)을 상단과 하단에 형성한 'ㄴ'형의 까치집축조용 선반(10)을 구성하고, 상기 래크취부용 구멍(11)을 전신주(100)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랙크밴드(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암타이볼트(21)에 결합한다음 너트(22)로 체결하여서, 상기 까치집축조용 선반(10) 상면에 까치집(200)을 짓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까치집축조용 선반(10)은 나무재질의 후레임을 조립하여 구성할 수 도 있으며, 플라스틱재질의 후레임을 조립하여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각형의 쓰레받이 형상으로 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소형이고, 가벼우며 전체적으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이동이 손쉬운 관계로 차량출입공간이 필요없으며 설치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공 1인이면 충분히 전신주(100)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부설 가능 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까치집축조용 선반(10)을 전신주(100)의 선로고장의 위험이 없는 적당한 높이에 한쌍의 랙크밴드(20)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치하고 나면 상기 까치가 까치집(200)을 축조하기 어려운 완금(도시하지 않음)위가 아닌 까치집축조용 선반(10) 상면에 까치집(200)을 짓게 된다.
따라서 선로의 고장위험이 감소하게 됨은 물론 번식기에 산란한 알들을 까치집축조용 선반(10) 상면에 축조된 까치집(200)내에서 손쉽게 수거 함으로써 근본적인 과다 번식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까치집축조용 선반(10)(1개소시공시 약5만원)을 설치함으로써 절감되는 예산을 점퍼선의 하향원회시공방법(1개소시공시 약50만원)과 비교한 한국전력공사 북부산지점(설치수량이 986개소일경우)의 예를들면 하기 표3과 같다.
표3 (단위 : 천원)
설 치 수 량 점퍼선의하향원회시공방법` 까치집축조용 선반시공방법 절감예산
986개소 493,000 49,300 443,700
이밖에도 상기 본 고안의 까치집축조용 선반(10)을 설치하면 완금위에 축조되는 까치집(200)감시와 철거 그리고 완금위에 축조된 까치집(200)으로 인해서 고장난 선로의 보수로 인해 발생하는 인력과 예산이 절감되어 일반 예방보수 작업 시행이 좀더 원활하게 되어 전체적인 선로의 고장감소가 기대되어 보다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연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공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전신주의 선로고장 위험이 없는 적당한 높이에 소형이고, 가벼우며 전체적으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이동이 손쉬운 관계로 차량출입공간이 필요없으며 설치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공 1인이 충분히 신속하고 견고하게 전신주의 선로고장의 위험이 없는 적당한 높이에 랙크밴드를 이용하여 간단히 부설 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본 고안의 까치집축조용 선반을 전신주에 설치하고 나면 까치가 까치집을 축조하기 어려운 완금위가 아닌 까치집축조용 선반 상면에 까치집을 짓게 되어 까치집으로 인한 선로고장의 원인이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따라서, 까치집감시와 철거 등에 드는 인력과 예산이 절감되어 절감되는 인력과 예산을 일반 예방보수 작업 시행에 적극적으로 투입하여 전체적인 선로의 고장감소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번식기에 산란한 알들을 본 고안의 까치집축조용 선반 상면에 축조된 까치집내에서 손쉽게 수거 함으로써 근본적인 과다 번식을 방지 할 수 있어 전신주에 까치집을 짓는 사례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까치를 내쫏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전신주의 소정위치에 까치집의 축조를 허용함으로써 까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연친화적인 친근감을 확산토록 하면서도 까치의 과다 번식도 막아주며 선로고장을 예방하는 신개념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것으로 국민들에게 좀더 양질의 전력을 제공하는등 국민전체의 편리를 도모하고 국익의 선양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이고 신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표면에 나뭇가지, 철사, 전화선 등을 꽂을 수 있는 원형 및 타원형 등의 구멍(10a')(10b')이 형성된 다수개의 평형앵글(10a) 또는 'ㄱ'형앵글(10b)을 볼트(12)조립하여 후방에 래크취부용 구멍(11)을 상단과 하단에 형성한 'ㄴ'형의 까치집축조용 선반(10)을 구성하고, 상기 래크취부용 구멍(11)을 전신주(100)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랙크밴드(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암타이볼트(21)에 결합한다음 너트(22)로 체결하여서, 상기 까치집축조용 선반(10) 상면에 까치집(200)을 짓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까치집을 지을수 있도록 이루어진 까치집축조용 선반(10)을, 나무재질의 후레임을 조립하여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까치집을 지을수 있도록 이루어진 까치집축조용 선반(10)을 플라스틱재질의 후레임을 조립하여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KR2019990009469U 1999-05-31 1999-05-31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KR200272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69U KR200272318Y1 (ko) 1999-05-31 1999-05-31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69U KR200272318Y1 (ko) 1999-05-31 1999-05-31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233U KR20000020233U (ko) 2000-11-25
KR200272318Y1 true KR200272318Y1 (ko) 2002-04-15

Family

ID=7308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469U KR200272318Y1 (ko) 1999-05-31 1999-05-31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538B1 (ko) * 2021-11-08 2023-01-04 주식회사 피디엔에스 입상케이블 진단 캐패시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538B1 (ko) * 2021-11-08 2023-01-04 주식회사 피디엔에스 입상케이블 진단 캐패시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233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815B2 (en) Platform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6672022B2 (en) Cable tray support system
KR100780081B1 (ko)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US8225558B2 (en) Wildlife flashover preventer for high voltage electrical transmission structures
US11495946B2 (en) Rodent resistant ground level ice bridge
KR102166342B1 (ko) 전신주용 새둥지 방지 장치
JP4668078B2 (ja) 鳥害防止装置
KR200272318Y1 (ko)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까치집축조용 선반
KR200204895Y1 (ko) 정전방지용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CN210246265U (zh) 一种拱形防鸟隔板
KR200207523Y1 (ko) 조류집 방지용 경완금
KR102643036B1 (ko) 접지일체형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CN211185614U (zh) 一种占位式驱鸟器结构
KR20110001868U (ko) 조류퇴치장치
KR100585617B1 (ko) 조류의 인공둥지 구조
US9847627B2 (en) Modular photovoltaic power skid base system
KR20220168016A (ko) 집합 단자대
US5249114A (en) Arrangement of a valve stack fo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in a valve hall
KR100213675B1 (ko) 가공배전장주용 전선지지체
CN212728587U (zh) 一种线路横担防鸟害装置及横担
KR200214666Y1 (ko) 전신주 상부에 조류집 짓기 방지를 위한 오뚜기형상의구조물
CN210325618U (zh) 电力隔离开关防鸟害装置和电力隔离开关设备
CN219247370U (zh) 一种电缆防缠绕架
CN210092724U (zh) 一种高压输电线路防鸟害装置
KR100828565B1 (ko) 점퍼선 고정이 가능한 가공 배전의 경완금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