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228Y1 - 광섬유필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섬유필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228Y1
KR200272228Y1 KR2019980014073U KR19980014073U KR200272228Y1 KR 200272228 Y1 KR200272228 Y1 KR 200272228Y1 KR 2019980014073 U KR2019980014073 U KR 2019980014073U KR 19980014073 U KR19980014073 U KR 19980014073U KR 200272228 Y1 KR200272228 Y1 KR 200272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or
optical fiber
optical
fiber filter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769U (ko
Inventor
이한영
윤형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19980014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22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7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228Y1/ko

Links

Abstract

광섬유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는 광 커넥터 또는 다른 광 소자 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광 커넥터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광 커넥터 결합부는 광섬유, 광원, 광 검출기 등에 결합되어 있는 또 다른 광 커넥터 등과 쌍을 이루어 끼움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광 커넥터 결합부와 몸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는 다루기가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생산비용의 절감 및 생산품에 대한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되고, 소자의 이동 및 관리가 편리하다.

Description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
본 고안은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 필터를 다른 광섬유, 광원, 광 검출기 등에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가지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필터는 게르마늄(Ge)이 첨가된 광섬유 코어 내에 강한 자외선(UV) 빔의 간섭 패턴을 일정한 시간 동안 만들어 줌으로써 파장을 선택적으로반사 및 투과시키는 광섬유 소자로서, 광 통신 및 광 센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섬유 필터는 광 커넥터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굵기가 가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광섬유 필터를 수납하고 있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1)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광섬유 필터(3)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이 피복이 코팅된 광섬유(5, 7) 양단에는 제1, 2 커넥터(9, 11)가 결합되어 있다. 제1, 2 커넥터(9, 11)는 다른 광섬유를 수용하고 있는 커넥터 내의 페룰(13, 15) 등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광섬유를 수용하고 있는 페룰(13, 15)이 고정되어 있는 제3, 4 커넥터(17, 19)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1, 2 커넥터(9, 11)와 제3, 4 커넥터(17, 19)는 서로 쌍을 이루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끼움 결합 또는 스플라이스 부싱(splice bushing) 등을 통해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는 이동할 때 광섬유의 흔들림 또는 꺾임 등으로 인하여 손상되기 쉽고,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있는 광섬유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를 취급할 때 주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와 다른 광섬유를 수용하는 광 커넥터와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광섬유 격자 필터 소자의 입, 출력단에 광 신호를 주고받는 광섬유를 삭제하여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고 소자의 이동 및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광 커넥터 연결부와 이 광 커넥터 연결부와 대응하는 다른 광 커넥터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와 다른 광 커넥터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광섬유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는 광 커넥터 또는 다른 광 커넥터 소자 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광 커넥터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광 커넥터 결합부는 광섬유, 광원, 광 검출기 등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광 커넥터 등과 쌍을 이루어 끼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101)는 광섬유 필터(103)가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몸체부(105)와, 이 몸체부(105)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 2 광 커넥터 결합부(107, 10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광섬유 필터(103)는 광섬유 격자 필터로 광파이버에 새겨진 격자구조에 의해 특정한 파장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지며 광커넥터나 광 커플링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몸체부(105)는 광섬유 필터(10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 역할을 하며, 양 측면에는 다수의 브라켓부(111, 113, 115, 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브라켓부(111, 113, 115, 117)에는 다수의 결합 구멍(111a, 113a, 115a, 11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 구멍(111a, 113a, 115a, 117a)은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101)를 볼트등의 적절한 체결 부재로 별도의 장비 또는 이 장비의 케이스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1, 2 광 커넥터 결합부(107, 109)는 몸체부(105)의 끝단부 양측 면에 설치된 고정부(119, 121, 123, 125)를 포함하며, 이 고정부(119, 121, 123, 125)의 일단은 자유단을 이루고,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유단측에는 돌기부(119a, 121a, 123a, 125a)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119a, 121a, 123a, 125a)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광섬유, 광원, 광 검출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127, 도 4에 도시하고 있음)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홈(129, 131, 도 4에 도시하고 있음) 등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 2 광 커넥터 결합부(107, 109)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 홈(133, 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홈(133, 135)은 제1, 2 광 커넥터 결합부(107, 109)와 결합되는 다른 광 커넥터 등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돌기(137)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2 광 커넥터 결합부(107, 109)와 다른 광 커넥터(127) 등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측면에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는 고정부(119, 121, 123, 125)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광 커넥터(127) 등과 결합하여 광섬유 필터(103)와 다른 광 커넥터나 광 소자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양측에 광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한 광 커넥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일측에만 광 커넥터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외부의 광 커넥터(127) 등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 광섬유 등을 수용하고 있는 페룰(140)을 삽입하기 위한 페룰 삽입부(139)를 도시하고 있으며, 페룰 삽입부(139)는 또한 몸체부(105)의 내측에 광섬유 필터(10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페룰 삽입부(139)에는 광섬유 필터(103)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 부재(141)가 연장되어 이루어진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페룰 삽입부(139)는 제1, 2 광 커넥터 결합부(107, 109)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몸체부(105)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호 부재(141)의 내측에는 단면의 형상이 'C'모양인 슬리브(143)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슬리브(143)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의 페룰(140)이 삽입되면 페룰(140)을 중앙으로 조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광 커넥터 결합부가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101)를 다른 광섬유를 수용하고 있는 광 커넥터(127) 등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부(105)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를 다른 광 커넥터(127)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미끄럼 가압하면 광 커넥터(127)의 안내 돌기(137)가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의 안내 홈(133)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안내 홈(133)과 안내 돌기(137)는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와 다른 광 커넥터(127)의 접속 위치를 일정하게 해준다. 그리고 계속해서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 및 다른 광 커넥터(127)의 슬라이드 가압을 계속하면,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19, 121)의 돌기부(119a, 121a)가 고정부(119, 121)의 탄성력에 의하여 광 커넥터(127)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홈(129, 131)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광 커넥터(127)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페룰(140)이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의 페룰 삽입부(139)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몸체부(105) 내에 배치되어 있는 광섬유 필터(103)의 일단과 광 커넥터(127)에 고정되는 페룰(140) 내에 있는 광섬유(142)가 접촉하여 광섬유 필터(103)와 광섬유(142)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에서 외부의 광 커넥터(127)를 이탈시키려면 단지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와 광 커넥터(127)를 잡아당김으로써 상술한 결합 작용과 반대로 작용하여 분리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제1 광 커넥터 결합부(107)와 외부의 광 커넥터(127)의 결합 및 분리 관계를 설명하였으나, 제2 광 커넥터 결합부(109)도 또 다른 외부의 광 커넥터(128)와 결합 및 분리 작용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파장이 다른 다수의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를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에 일체형으로 광 커넥터 결합부를 설치함으로써, 다루기가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생산비용의 절감 및 생산품에 대한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되고, 소자의 이동 및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파장이 다른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를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광 커넥터 또는 다른 광 커넥터 소자와 연결해 주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필터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광 커넥터 결합부
    를 가지고 있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광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는 고정부,
    상기 걸림 홈과 상기 고정부가 결합될 때 상기 광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돌기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광 커넥터가 일정한 위치로 안내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홈
    으로 이루어져 있는 광섬유 필터 어셈블리.
KR2019980014073U 1998-07-29 1998-07-29 광섬유필터어셈블리 KR200272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73U KR200272228Y1 (ko) 1998-07-29 1998-07-29 광섬유필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73U KR200272228Y1 (ko) 1998-07-29 1998-07-29 광섬유필터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69U KR20000003769U (ko) 2000-02-25
KR200272228Y1 true KR200272228Y1 (ko) 2002-09-05

Family

ID=6951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073U KR200272228Y1 (ko) 1998-07-29 1998-07-29 광섬유필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2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69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4629A (en) Multifiber optical cable connector
KR100204372B1 (ko) 광섬유 커넥터용 어댑터 조립체
US6682228B2 (en) Connector housing for fiber-optic module
KR920001120B1 (ko) 소켓트, 플러그 및 광학 접속기
JP2866119B2 (ja) 光コネクタ
JP3046904B2 (ja) 光ファイバーのプラグコネクタ
US5838856A (en) Optical-fiber cable connector assembly
EP0928978B1 (en) Connector for plastic optical fiber
US20070230874A1 (en) Fiber adapter and shutter member thereof
KR20020006481A (ko) 이중 기능의 먼지 덮개
CA2190405A1 (en) Fibre optic cable connector
CA2027732A1 (en)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 cable ribbons
US20070211998A1 (en) Inner Housing For A Fibre-Optic Plug Connector
JP2000314829A (ja) 光ファイバスリーブハウジングを保護するダストカバー
EP0582675A1 (en) Push-pull optical fiber connector
TW200535477A (en) Optical fiber plug-in connection
US5727102A (en) Multifiber optical connector for optical ribbon cable
KR100204370B1 (ko) 듀플렉스 커넥터
WO2001037010A3 (en)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array interfaces
US6206580B1 (en) Optical connector
US6435728B2 (en) Optical connector housing, optical connector using the opt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n opt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optical connector housing and an optical component
EP1043612A3 (en) Optical fibre connector
WO1998041889A3 (en) Connector for at least one optical fibre
US20060193565A1 (en) Optic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ing method, optical connecting structure, and optic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ing part
CA2537354A1 (en) Opt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